KR20070078771A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771A
KR20070078771A KR1020060037614A KR20060037614A KR20070078771A KR 20070078771 A KR20070078771 A KR 20070078771A KR 1020060037614 A KR1020060037614 A KR 1020060037614A KR 20060037614 A KR20060037614 A KR 20060037614A KR 20070078771 A KR20070078771 A KR 20070078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il spring
slider
housing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3830B1 (ko
Inventor
히로키 사다토쿠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력을 줄이고, 하우징에 카드를 확실하게 잠글 수 있으며, 더욱이 카드 배출시에 카드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카드를 넣었다 뺐다 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카드를 끼웠을 때 카드의 접점과 접촉하는 커넥터 단자와, 카드의 삽입과 배출에 따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압착하는 제 1 코일스프링과, 슬라이더를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압착하는 제 2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며, 제 1 코일스프링 및 제 2 코일스프링은 슬라이더 및 하우징에 각각 항상 접촉되어 있다.
카드, 하우징, 코일스프링, 커넥터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Connector for ca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로의 카드의 삽입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임시보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가 오버 스트로크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로 카드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카드용 커넥터로의 카드의 삽입/배출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더에 가해지는 힘을 세로축에, 슬라이더의 전후방향 위치를 가로축에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의 경우를, (b)는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임시보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제 2 스위치 단자 및 그 주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하방향 직교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로 카드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20: 하우징 21: 하우징 본체
28: 단자(커넥터 단자) 29a: 위치결정부
41: 하우징 커버 50: 슬라이더
60: 암 70: 카드
80: 제 1 코일스프링 82: 제 2 코일스프링
90: 잠금기구(잠금부재) P1: 초기위치
P2: 오버 스트로크 위치 P3: 잠금위치
본 발명은 휴대전화, PC, 그 밖의 각종 휴대정보단말,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AV기기 등의 메모리 대응기기, 및 가정용 게임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 IC 카드 및 카드형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PC, 그 밖의 각종 휴대정보단말,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AV기기 등의 메모리 대응기기, 가정용 게임기기, 그 밖의 기기에서는, IC나 메모리를 장착한 메모리 카드, IC 카드, 또는 카드형 카트리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메모리 카드, IC 카드, 또는 카드형 카트리지를 기기측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카드용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카드형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일본특허공개 2002-367720호 공보). 이 카드용 커넥터에는 카드(121)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하우징(122)이 설치되며, 이 하우징(122)은 하우징 본체(123)와 그 윗쪽을 덮는 하우징 커버(124)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23)는 얇은 판 형상의 바닥판(125)과, 앞끝부분에 형성된 앞벽(126)과, 측부에 형성된 측벽(127)을 구비하며, 바닥판(125)의 앞끝쪽에는 10개의 단자(128)가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앞벽(126) 내측에는 암(arm)받이 홈(134)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암받이 홈(134) 안에는 작은 직경의 둥근 홈(135)(도 1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둥근 홈(135)에는 암(136)의 앞끝부분(137)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앞벽(126)에는 스프링받이 오목부(139)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바닥판(125)의 뒷쪽에는 코너벽(140)이 형성되며, 상기 코너벽(140)에는 스프링 수용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124)는 양옆이 아랫쪽으로 꺾어져, 하우징 본체(123)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24)의 가장자리에는 암 누름부(143)가 꺾여 형성되어, 암 누름부(143)가 암(136)을 아랫쪽으로 누르고 있다.
바닥판(125)의 끝부분(129)에는 슬라이더(144)가 설치되며, 슬라이더(144)는 각진 막대형상의 가이드부(145)와, 가이드부(145)의 앞끝부분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카드(121)의 앞끝이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14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부(145)의 윗면측에는 걸어맞춤 오목부(148)를 가지는 하트캠(heart cam)(147)이 형성되어, 암(136)의 뒷끝부분(138)이 하트캠(147)을 따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145)의 뒷끝부분에는 스프링 수용홈(14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장 코일스프링(151)은 그 앞끝부분과 뒷끝부분이 각각, 각 스프링 수용홈(149,141) 안에 수용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부(146)에는 절결부(156)가 형성되며, 절결부(156)에 압축 코일스프링(158)의 뒷끝부분이 걸어맞추어져 있다.
카드(121) 삽입시에는, 카드(121)의 삽입에 따라 슬라이더(144)가 인장 코일스프링(151)의 탄성력에 대하여 전진하며, 또한 압축 코일스프링(158)이 스프링받이 오목부(139)에 맞닿아 압축된다. 그리고, 암(136)의 뒷끝부분(138)이 하트캠(147)의 걸어맞춤 오목부(148)에 걸어맞추어지고 슬라이더(144)와 카드(121)가 끼움 위치에 잠기어 카드(121)와 단자(128)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카드(121)를 배출시키는 것은, 끼움 위치에서 카드(121)를 더욱 밀어넣음으로써 암(136)의 뒷끝부분(138)이 걸어맞춤 오목부(148)로부터 벗어나 압축 코일스프링(158)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144)와 카드(121)가 후퇴하여 카 드(121)와 단자(128)가 떨어진 후, 인장 코일스프링(15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144)와 카드(121)가 배출위치까지 후퇴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인장 코일스프링(151) 및 압축 코일스프링(158)의 2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더(144)와 카드(121)를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누르고 있어, 카드(121) 배출시에 카드(121)가 그 기세로 배출위치를 넘어 떨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넥터 장치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잠김이 해제되어 카드가 튀어나와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카드 배출시의 카드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 코일스프링(151)을 대신하여, 슬라이더의 뒷끝부분과 하우징 뒷끝부분의 사이에 카드 배출방향을 따라 판스프링을 배치한 코넥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일본특허공개2005-20323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2005-203231호 공보에서는 카드 배출시에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한 충격이, 판스프링이 가지는 탄발력에 의해 완화되기 때문에, 카드 배출시에 카드에 전해지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카드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카드 배출시의 완충부재로서 판스프링을 배치한 이 커넥터 장치는, 카드 돌출방지의 효과는 있지만, 슬라이더가 정지할 때, 슬라이더와 판스프링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충돌하기 때문에 충격이 발생한다는 문제, 또한 근래의 경박단소(輕薄短小)화된 커넥터에서는 판스프링의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어, 슬라이더가 정지할 때 생기는 충격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스프링의 스트로크나 하중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력을 줄이고, 하우징에 카드를 확실하게 잠글 수 있으며, 더욱이 카드 배출시에 카드가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카드를 넣었다 뺐다 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카드를 끼웠을 때, 카드의 접점과 접촉하는 커넥터 단자와, 카드의 삽입/배출에 따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압착하는 제 1 코일스프링과, 슬라이더를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압착하는 제 2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며, 제 1 코일스프링 및 제 2 코일스프링은 슬라이더 및 하우징에 각각 항상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2 코일스프링은,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을 따라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제 2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이, 제 1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더는, 하우징에 설치된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 2 코일스프링에 의해 끼워져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은 하우징 안에서 카드를 가장 앞쪽으로 삽입했을 때 제로가 되면 좋다.
상기 제 1 코일스프링 및 제 2 코일스프링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카드는 마이크로 사이즈드 SD 메모리 카드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70)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하우징(20), 암(60), 슬라이더(50), 제 1 코일스프링(80), 제 2 코일스프링(82), 및 잠금기구(90)를 구비한다.
하우징(20)은, 합성수지제로 윗쪽 또는 뒷끝쪽이 개방된 하우징 본체(21)와, 하우징 본체(21)의 윗쪽을 폐색할 수 있는 금속제 하우징 커버(41)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1)는 판형상의 바닥판(25)과, 바닥판(25)의 앞끝부분에 형성된 앞벽(26)와, 바닥판(25)의 한쪽 측부에 형성된 측벽(27)을 구비하며, 바닥판(25)의 대략 중앙에 설치한 오목부(25a)에는 필요한 갯수(도 1에서는 8개)의 단자(커넥터 단자)(28)가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 각 단자(28)들은 오목부(25a)의 대략 중앙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벽부(25b)에 눌려들어가거나 또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바닥판(25)의 다른 쪽 측벽(29) 쪽에는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가이드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30) 앞쪽의 앞벽(26) 안쪽에는 암받이 오목부(34)가 형성되며, 이 암받이 오목부(34) 안에는 작은 직경의 둥근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둥근홈(35)에는 암(60)의 앞끝부분(6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암(60)은 앞끝부 분(62) 및 뒷끝부분(64)이 각각 아랫쪽으로 구부러진 핀형상을 이루고 있다.
암받이 오목부(34)로부터 측벽(29) 쪽의 앞벽(26)에는, 측벽(29)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스프링받이 기둥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스프링받이 기둥부(36)의 뒷쪽에는 코너벽(37)이 형성되며, 이 코너벽(37)에는 제 2 스프링받이 기둥부(36)와 동축상에, 제 2 스프링받이 기둥부(36)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스프링받이 기둥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29)의 코너벽(37)쪽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위치결정부(29a)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41)는 아랫쪽으로 구부러진 좌우 벽부(42,43)를 측벽(27,29)에 각각 걸어맞추어, 하우징 본체(21)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 하우징 커버(41)에서는 하우징 본체(21)의 가이드 구멍(30)의 앞끝쪽에 대향하는 위치에, 뒷쪽 비스듬하게 아랫쪽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는 암 누름부(45)가 꺾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41)가 하우징 본체(21)에 끼워졌을 때, 암 누름부(45)는 암(60)을 아랫쪽으로 누른다. 이 하우징 커버(41)도 하우징 본체(21)와 함께 기판에 실장된다.
슬라이더(이젝트 바;eject bar)(50)는 대략 각진 막대형상의 가이드부(51)와, 가이드부(51)의 뒷끝부분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경사측면(53a) 및 이것에 연속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53b)이 형성된 맞닿음부(53)와, 가이드부(51)의 뒷끝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지지부(58)를 구비한다. 이 슬라이더(50)는 스프링 지지부(58)가 측벽(29) 쪽을 향하도록, 바닥판(25)의 측벽(29) 쪽에 배치된다. 하우징(20) 안에 카드(70)가 삽입되면, 맞닿음부(53)에는 카드(70)의 앞끝이 맞닿는다.
가이드부(51)의 윗면으로부터는 하트캠(55)이 오목설치되며, 이 하트캠(55)의 뒷끝에는 걸어맞춤 오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부(58)에는 제 1 스프링받이 기둥부(38) 및 제 2 스프링받이 기둥부(36)와 동축상으로 연장되도록, 제 2 스프링받이 기둥부(36) 쪽을 향하는 제 2 기둥부(58a)와, 제 1 스프링받이 기둥부(38) 쪽으로 연장되는 제 1 기둥부(58b)가 설치되어 있다. 암(60)은 앞끝부분(62)이 둥근 홈(3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뒷끝부분(64)이 하트캠(55)을 따라 요동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부(51)의 아랫면에는, 슬라이더(50)를 바닥판(25)에 배치했을 때 가이드 구멍(30) 안으로 걸어맞추지고, 슬라이더(5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용 돌기(5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50)의 위치는 가이드용 돌기(52) 및 가이드 구멍(30) 외에, 슬라이더(50) 및 하우징 본체(21)의 다른 부위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51)의 뒷끝쪽에 있어서, 맞닿음부(53)와 스프링 지지부의 사이에는 대략 U자 형상의 홈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9)에는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이루어진 잠금기구(90)의 앞끝부분(92)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잠금기구(90)의 뒷끝부분(94)은 일단 안쪽을 향한 뒤에 바깥쪽으로 꺾이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이 꺾임 부분(94a)은 측면(53b)의 뒷끝쪽에 형성된 절결부(53c)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나아간다. 이 뒷끝부분(94)은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다. 한편, 잠금기구(90)는 같은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면,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는 슬라이더(50)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 1 코일스프링(80)은 그 앞끝부분 및 뒷끝부분이 제 1 기둥부(58b) 및 제 1 스프링받이 기둥부(38)에 각각 지지되는 압축 코일스프링이다. 또한, 제 2 코일스프링(82)은 그 앞끝부분 및 뒷끝부분이 제 2 스프링받이 기둥부(36) 및 제 2 기둥부(58a)에 각각 지지되는 압축 코일스프링이다. 제 1 코일스프링(80) 및 제 2 코일스프링(82)은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동축상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슬라이더(50)는 전후방향을 따라 하우징 본체(21)에 대하여 역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카드(7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사이즈드 SD 메모리 카드(Micro-sized SD Memory Card)로서, 그 아랫면쪽의 앞끝부분에 단자(28)에 대응하는 갯수의 주지의 접점 설치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그 접점 설치홈 안에 접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드(70)의 앞끝 각부분에는 측면의 형상이 슬라이더(50)의 경사측면(53a)에 대응하는 맞닿음 경사면(77)이 형성되며, 하우징 본체(21)에 카드(70)를 삽입해가면, 경사측면(53a)에 맞닿음 경사면(77)이 맞닿는다. 더욱이, 맞닿음 경사면(77)쪽의 측부에는 잠금홈(78)이 오목설치되며, 이 잠금홈(78)에 잠금기구(90)의 뒷끝부분(94)이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카드(70)를 삽입 또는 배출할 때의 카드용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1) 카드 미삽입 상태(초기상태)
하우징(20)에 카드(7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 또는 카드(70)를 하우징(20)의 뒷끝쪽에서부터 삽입하여, 카드(70)의 맞닿음 경사면(77)이 슬라이더(50)의 경 사측면(53a) 및 잠금기구(90)의 꺾임 부분(94a)에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도 2)에서, 슬라이더(50)에는 제 2 코일스프링(82)의 탄성에 의한 뒷쪽으로의 압착력(누르는 힘)(F1)과, 제 1 코일스프링(80)의 탄성에 의한 앞쪽으로의 압착력(누르는 힘)(F2)이 작용하고 있다. 이 압착력들은 제 2 코일스프링(82)에 의한 압착력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더욱이 슬라이더(50)의 스프링 지지부의 뒷끝면이 위치결정부(29a)에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더(50)의 앞끝면(50a)의 초기위치(P1)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 1 코일스프링(80) 및 제 2 코일스프링(82)은 슬라이더(50)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여도, 제 1 코일스프링(80)에 대해서는 코너벽(37)과 스프링 지지부(58)에, 제 2 코일스프링(82)에 대해서는 앞벽(26)과 스프링 지지부(58)에 항상 접촉하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50)에는 제 1 코일스프링(80)과 제 2 코일스프링(82)의 압착력의 차이(이하, 초기동력) Fs(=F1-F2)가 끊임없이 부하되고 있기 때문에, 카드(7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슬라이더(50)가 움직이거나 이상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2) 카드 임시보유 상태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카드(70)를 더욱 하우징(20) 안으로 삽입해가면, 잠금기구(90)는 꺾임 부분(94a)이 카드(70)의 측면(72)에 맞닿아 바깥쪽으로(제 1 코일스프링(80)에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한다. 그 후, 카드(70)를 더욱 삽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70)의 맞닿음 경사면(77)이 경사측면(53a)에 맞닿는 동시에, 뒷끝부분(94)(꺾임 부분(94a))이 잠금홈(78) 안으로 끼워맞추어져, 카드(70)는 하우징 본체(21)에 임시 보유된 상태가 된다. 초기 상태로 부터 임시보유 상태에 이를 때까지는, 슬라이더(50)는 초기동력(Fs)에 의해 앞끝면(50a)이 초기위치(P1)에서 정지하고 있으며, 암(60)의 뒷끝부분(64)은 하트캠(55)의 앞끝쪽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맞닿음 경사면(77)은 앞쪽으로 향해감에 따라 서서히 안쪽으로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며, 또한 잠금기구(90)의 뒷끝부분(94)의 꺾임부분(94a)으로부터 뒷끝부분까지의 형상도 맞닿음 경사면(77)에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뒷끝부분(94)(꺾임부분(94a))을 잠금홈(78) 안에 걸어맞추기 위해 필요한 힘(Tin)을 초기 상태의 슬라이더(50)를 움직이기 위한 초기동력(F2)(=F1-F2)보다 줄일 수 있다.
(3) 오버 스트로크 상태
카드(70)를 하우징(20) 안으로 더욱 삽입하면, 슬라이더(50)는 제 2 코일스프링(82)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카드(70)와 함께 전진하기 시작한다. 카드(70)를 더욱 전진시키면, 제 1 코일스프링(80)은 그 탄성에 의해 그 앞끝부분을 스프링 지지부에, 뒷끝부분을 코너벽(37)에 맞닿게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2 코일스프링(82)은 더욱 압축되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70)의 앞끝부분은 앞벽(26)에 맞닿고, 슬라이더(50)의 앞끝면(50a)은 오버 스트로크 위치(P2)에 이른다(오버 스트로크 상태). 이 오버 스트로크 상태에 이를 때까지의 동안, 슬라이더(50)에는 제 1 코일스프링(80)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이 계속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카드(70)를 하우징(20)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코일스프링(80)과 제 2 코일스프링(82)이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 에, 제 1 코일스프링(80) 및 제 2 코일스프링(82)의 자세 및 거동이 안정적이며, 이에 의해 카드(70)를 똑바른 방향, 위치로 삽입할 수 있다. 오버 스트로크 상태에서는 제 1 코일스프링(80)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이 제로가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그 동안, 암(60)은 둥근 홈(35)을 지점으로 하트캠(55)에 따라 요동하며, 암(60)의 뒷끝부분(64)은 하트캠(55)의 뒷끝부분 안쪽에 위치한다. 한편, 제 1 코일스프링(80)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은 제로가 되지 않도록 하여도 좋으며, 슬라이더(50)의 앞끝면(50a)이 후술하는 잠금 위치(P3)에 왔을 때 제로가 되도록 하여도 좋다.
(4) 카드 잠금 상태(카드 끼움 상태)
오버 스트로크 상태에 이르렀을 때 카드(70)의 삽입 동작을 멈추면, 제 2 코일스프링(82)과 제 1 코일스프링(80)의 탄성력의 밸런스에 대응하여, 슬라이더(50)는 카드(70)와 함께 후퇴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60)의 뒷끝부분(64)이 하트캠(55)의 걸어맞춤 오목부(56)에 맞물린다. 그 결과, 카드(70)는 소정의 끼움 위치에 보유되며, 슬라이더(50)의 앞끝면(50a)은 잠금위치(P3)에 이른다. 이 때, 카드(70) 쪽의 각 접점(도시하지 않음)은 각각 소정의 각 단자(28)와 접촉하고, 카드(70)는 회로기판의 소정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50)는 제 2 코일스프링(82)으로부터 뒷쪽으로 향하는 압착력을, 제 1 코일스프링(80)으로부터 앞쪽으로 향하는 압착력을 각각 받고 있으며, 또한 제 1 코일스프링(80)의 압착력보다 제 2 코일스프링(82)의 압착력이 크기 때문에, 걸어맞춤 오목부(56)로 뒷끝부분(64)이 확실하게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카드(7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카드(70)가 하우징(20)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5) 카드의 추출
카드(70)를 빼내는 것은, 카드(70)를 끼움 위치보다 더욱 앞쪽으로 밀어넣어, 제 2 코일스프링(82), 제 1 코일스프링(80)의 탄성을 이용하여 카드(70)를 하우징(20)으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카드(70)를 끼움 위치보다 앞쪽으로 밀어넣으면, 경사측면(53a)이 맞닿음 경사면(77)과 맞닿아 있는 슬라이더(50)도 앞쪽으로 나아가고, 앞끝면(50a)은 잠금위치(P3)로부터 오버 스트로크 위치(P2)로 향한다. 이에 의해, 암(60)의 뒷끝부분(64)과 걸어맞춤 오목부(56)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며, 뒷끝부분(64)은 하트캠(55)의 뒷끝부분 바깥쪽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카드(70)를 밀어넣는 동작을 멈추면, 제 2 코일스프링(82)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50)의 앞끝면(50a)이 임시보유위치(P1)에 이를 때까지, 카드(70) 및 슬라이더(50)는 후퇴한다(도 3). 이 상태에서 카드(70)의 뒷끝부분을 뒷쪽으로 잡아당기면, 잠금기구(잠금부재)(90)의 뒷끝부분(94)은 바깥쪽으로 탄성변형하고, 잠금기구(90)와 잠금홈(78)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카드(70)를 하우징(20)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카드(70)를 빼내는 과정에서는, 뒷끝부분(64)과 걸어맞춤 오목부(56)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며, 카드(70)의 밀어넣기 동작을 멈춘 후에, 슬라이더(50)에는 제 2 코일스프링(82)의 탄성에 의한 뒷쪽으로의 압착력 외에, 제 1 코일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한 앞쪽으로의 압착력이 계속 작용하고 있다. 즉, 이 동안 제 2 코 일스프링(82)에서는 그 앞끝부분이 앞벽(26)에 뒷끝부분이 스프링 지지부에, 제 1 코일스프링(80)에서는 앞끝부분이 스프링 지지부에 뒷끝부분이 코너벽(37)에, 각각 맞닿은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더(50)에 가해지는 힘은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70) 삽입공정의 각 상태와, 카드(70)의 추출 공정에서 이들에 대응하는 각 상태가 동일하게 된다. 더욱이, 카드(70)에는 잠금기구(90)의 뒷끝부분(94)의 탄성에 의한 안쪽으로의 압착력이 계속하여 작용하고 있다. 이 압착력(보유력)(Tout)은 초기상태의 슬라이더(50)를 움직이기 위한 초기동력(Fs)(=F1-F2)보다 크다. 이 때문에, 카드(70)가 제 2 코일스프링(82)으로부터 받는 압착력에 의해 카드(70)가 하우징(20)으로부터 튀어나가 버리지 않아, 가속도를 서서히 줄이면서 카드(70)가 뒷쪽으로 이동하여, 잠금홈(78)으로의 잠금기구(90)의 뒷끝부분(94)의 걸어맞춤이 확보되며, 카드(70)는 확실하게 임시보유 위치에 보유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출 공정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P2 위치에서 P1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의 동안에 가해지는 힘이 당초 일정값 그대로이다. 이는 가속도가 감쇠하지 않고 슬라이더가 이 동안에 공주(空走)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이 거동에 의해, 임시보유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급격한 가속도의 감쇠가 발생하여, 이에 의해 카드에 커다란 관성력이 발생하고, 카드는 임시보유 위치에 멈추지 않고 하우징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코일스프링(80)과 제 2 코일스프링(82)이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이 동일 직선상에서 작용하며, 이에 의해 카드(70)의 추출 동작중의 슬라이더(50) 및 카드(70)의 자세 및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단자(100)와 제 2 스위치 단자(110)를 설치하고, 카드(7)가 끼워짐으로써 이들이 도통(conduction)하는 구성으로 하면, 카드가 끼워진 것을 전기적으로 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 1 스위치 단자(100)는 판스프링으로서, 앞끝부분(102)이 구부러져 앞벽(26)에 설치한 걸어맞춤 홈(26a) 안에 맞물리고, 뒷끝부분(103)이 하우징 본체(21) 안에서 앞벽(26)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어 실장기판에 접속된다.
제 2 스위치 단자(110)는 코일스프링으로서, 바닥판(25)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한 지지기둥(25c)에 지지된 코일부(111)로부터 연장되어 나간 앞끝부분(112)은, 앞벽(26)에 대하여 예를 들어, 일체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실장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속조각(114)에 맞닿고(도 8 참조), 뒷끝부분(113)은 전후방향에서 제 1 스위치 단자(100)의 뒷끝부분(103)과 마주보도록 앞벽(26) 뒷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70)의 임시보유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치 단자(100)와 제 2 스위치 단자(110)가 접촉하지 않아, 카드(70)의 하우징(20)으로의 끼워짐이 검지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70)가 하우징(2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카드(70)의 앞끝면(79)에 맞닿은 제 1 스위치 단자(100)의 뒷끝부분(103)이 그 탄성에 의해 앞쪽으로 눌려지면서, 제 2 스위치 단자(110)의 뒷끝부분(113)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스위치 단자(100)와 제 2 스위치 단자(110)가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제 1 스위치 단자(100) 또는 코일부(111)에 접속된 카드 검지회로(도시하지 않음)가 하우징(20) 안에 카드(70)가 끼워진 것을 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단자(100)와 제 2 스위치 단자(110)는 제 1 코일스프링(80), 제 2 코일스프링(82), 그 밖의 카드(70)의 삽입/배출에 관련한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가 경박단소화되었다고 해도 안정된 카드의 삽입/배출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1) 끼워진 카드(70)를 올바른 순서를 거치지 않고 강제로 배출시킨 경우, (2) 낙하충격 등으로 카드(70)가 배출되어 버린 경우, (3) 카드(70)를 넣고 빼기 위한 구성(기구)이 외부압력 등의 요인에 의해 파괴된 경우, 그 밖의 오작동이 일어나도, 정상적으로 기능한다.
또한, 제 1 스위치 단자(100)는 그 뒷끝부분(103)이 카드(70)의 앞끝면(79)에 의해 눌림으로써, 뒷끝부분(113)과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50)가 잠금 위치(P3)에 있는데도 카드(70)가 배출되는 오작동이 일어나더라도, 카드 미삽입 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즉, 카드검지는 정상적으로 기능하여 세트 등에 전기적인 손상을 주지 않는다.
더욱이, 제 2 스위치 단자(110)로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카드 및 카드용 커넥터의 소형화에 따라, 카드 끼움 조작의 스트로크(전후방향의 스트로크) 를 유지하면서, 카드 및 커넥터의 폭칫수(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가 작아지고 있는 근래의 상황으로부터 보아, 판스프링을 사용한 경우에는, 전후방향의 스트로크(변위량)를 줄이지 않고, 폭칫수의 제한으로 인해 스프링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설계가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면, 폭칫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스트로크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카드(70)의 삽입 위치에서 슬라이더(50)의 움직임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잠금기구는 상술한 암(60)과 하트캠(55)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 1 코일스프링(80) 및 제 2 코일스프링(82)을 모두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하였지만, 이들을 모두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코일스프링(80)의 인장력을 제 2 코일스프링(82)보다 크게 설정하면,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개량의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의 삽입방향을 따라 슬라이더와 하우징에 항상 접촉하도록 2개의 코일스프링을 동축상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카드 삽입시에는 제 1 코일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삽입력을 줄일 수 있고, 카드 배출시에는 제 1 코일스프링이 배출동작 직후부터 슬라이더의 브레이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배출동작 완료시에는 충분히 슬라이더의 가속도를 감쇠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출동작중에 스프 링과 슬라이더가 충돌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에 의해 카드의 돌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카드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카드용 커넥터로서,
    상기 카드를 끼웠다 뺐다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카드를 끼웠을 때, 상기 카드의 접점과 접촉하는 커넥터 단자와,
    상기 카드의 삽입/배출에 따라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으로 압착하는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압착하는 제 2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코일스프링 및 제 2 코일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항상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2 코일스프링은,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을 따라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은, 제 1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보다 큰 카드용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 2 코일스프링에 의해 끼워져 있는 카드용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스프링 및 제 2 코일스프링은 압축 코일스프링인 카드용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마이크로 사이즈드 SD 메모리 카드인 카드용 커넥터.
KR1020060037614A 2006-01-30 2006-04-26 카드용 커넥터 KR100793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0766A JP4473226B2 (ja) 2006-01-30 2006-01-30 カード用コネクタ
JPJP-P-2006-00020766 2006-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771A true KR20070078771A (ko) 2007-08-02
KR100793830B1 KR100793830B1 (ko) 2008-01-11

Family

ID=3832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614A KR100793830B1 (ko) 2006-01-30 2006-04-26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09245B2 (ko)
JP (1) JP4473226B2 (ko)
KR (1) KR100793830B1 (ko)
TW (1) TWI33654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8Y1 (ko) * 2007-10-18 2009-07-10 (주)파트론정밀 듀얼 메모리 커넥터의 록킹장치
KR101470902B1 (ko) * 2012-05-31 2014-12-0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9871B2 (ja) * 2005-01-13 2011-10-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M307216U (en) * 2006-06-05 2007-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CN200947503Y (zh) * 2006-09-04 2007-09-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906523B2 (ja) * 2007-01-25 2012-03-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US7626826B2 (en) * 2007-01-31 2009-12-01 Sun Microsystems, Inc. Expansion card c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7517238B2 (en) * 2007-02-05 2009-04-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TWI364141B (en) * 2007-04-30 2012-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JP2009093359A (ja) * 2007-10-05 2009-04-30 Alps Electric Co Ltd 電子機能カード
TWM332966U (en) * 2007-10-08 2008-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CN201142378Y (zh) * 2007-12-06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2009259761A (ja) * 2008-02-01 2009-11-05 Fujitsu Component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CN201197014Y (zh) * 2008-04-08 2009-02-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808743B2 (ja) * 2008-04-24 2011-11-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TWI393294B (zh) * 2008-09-01 2013-04-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卡連接器
JP4662293B2 (ja) * 2008-11-26 2011-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648398B1 (en) * 2008-11-28 2010-01-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TWM393075U (en) * 2009-03-05 2010-11-21 Molex Inc Card connector
CN201440518U (zh) * 2009-06-18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TW201140962A (en) * 2010-02-15 2011-11-16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rd
CN201773975U (zh) * 2010-05-31 2011-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1741852U (zh) * 2010-06-10 2011-02-0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KR101140425B1 (ko) * 2010-09-02 2012-06-0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KR101151485B1 (ko) * 2010-11-19 2012-06-2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KR101201667B1 (ko) * 2011-03-28 2012-1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TWM416241U (en) * 2011-05-31 2011-11-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The terminals stripping Card connector
CN103188906A (zh) * 2011-12-28 2013-07-0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弹出装置
CN202564666U (zh) * 2012-03-06 2012-11-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3187380U (ja) 2013-09-12 2013-11-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EP3525297B1 (en) * 2016-11-17 2020-12-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10544848A (zh) * 2018-05-28 2019-12-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自动弹出机构
CN114098998B (zh) * 2020-08-31 2023-08-01 疆域康健创新医疗科技成都有限公司 弹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4998B2 (ja) * 2000-02-04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3058828A (ja) * 2001-08-21 2003-02-28 Sony Corp 記憶媒体の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方法、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3086290A (ja) * 2001-09-10 2003-03-20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5071945A (ja) * 2003-08-28 2005-03-17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8Y1 (ko) * 2007-10-18 2009-07-10 (주)파트론정밀 듀얼 메모리 커넥터의 록킹장치
KR101470902B1 (ko) * 2012-05-31 2014-12-0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0270A (en) 2008-02-16
KR100793830B1 (ko) 2008-01-11
JP4473226B2 (ja) 2010-06-02
JP2007200815A (ja) 2007-08-09
US7309245B2 (en) 2007-12-18
US20070178733A1 (en) 2007-08-02
TWI336546B (en)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830B1 (ko) 카드용 커넥터
US8393910B2 (en) Card connector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CN100530841C (zh) 卡连接器
US7887348B2 (en) Card connector
US7651351B2 (en) Card connector with a card insertion guide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82303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WO2008005563A2 (en) Connector for an electronic card
JP4527675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380243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I360610B (en) Card connector
US7708575B2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switching a card holding state with a simple structure
US9106028B2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CN107636912B (zh) 卡连接器
JP5207196B2 (ja) 取出し機能付きカードコネクタ
JP200236772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26871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076652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532353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67253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3012433A (ja) カードコネクタ
JP4442164B2 (ja) カード保持機構
KR20140102140A (ko) 카드 커넥터
JP200509317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