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756B1 -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756B1
KR102090756B1 KR1020180154934A KR20180154934A KR102090756B1 KR 102090756 B1 KR102090756 B1 KR 102090756B1 KR 1020180154934 A KR1020180154934 A KR 1020180154934A KR 20180154934 A KR20180154934 A KR 20180154934A KR 102090756 B1 KR102090756 B1 KR 10209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ireless charging
guide
casing
charg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섭
김상복
권문재
조승훈
윤용은
Original Assignee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비시스템즈
주식회사 훈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비시스템즈, 주식회사 훈스랩 filed Critical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02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를 갖도록 구비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무선충전패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충전패드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케이싱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높은 호환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다수개의 웨이러블 키를 통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높은 충전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비충전시 다수의 무선충전패드가 케이싱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싱의 내부로 구비된 가이드 프레임의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에 무선충전패드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정보통신에서 스마트폰(smartphone)과 태블릿(tablet)PC 등과 같이 이동 중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 환경을 모바일이라하며,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 된 전자 기기로 모바일 기기 혹은 단말 기기라 한다.
단말 기기 중 웨이러블 컴퓨터는 초소형 부품과 초박막형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마트 센서, 저전력 무선 통신, 모바일 운영 체제 등 IT 기술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시계, 안경, 옷, 헬멧 등에 접목되어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스마트워치와 같은 착용 컴퓨터(wearable computer), 스마트 의류(smart clothes),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가상 현실(혼합 현실) 체험 기기 등으로 응용되어 모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단말 기기는 재충전이 가능한 배티리팩이 구비되며, 배티리팩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 기기의 배티리팩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장치와 배티리팩은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비되어 이를 서로 접촉시켜 충전 장치와 배티리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촉식 충전 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어 이 물질에 의한 오염이 쉬운 원인으로 인하여 배티리팩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시스템이 제안되어 많은 휴대용 단말 기기에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 충전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를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티리팩이 충전이 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은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및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방식이 있다.
공진 방식은 공명(Resonance) 즉, 소리 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으로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킨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8443호(2015.11.18)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충전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충전기는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전자 장치와의 자기적 결합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 및 거치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모듈이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하나의 거치대에 하나의 충전기 모듈만 거치될 수 있도록 할 뿐 다량의 충전기 모듈을 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전기 모듈을 다른 거치대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없는 호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8443호(2015.11.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싱 전면으로 다수개의 무선충전패드가 인·입출되도록 하여 다수의 웨어러블 기기가 동시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하여 충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무선충전패드가 케이싱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른 케이싱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를 갖도록 구비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무선충전패드로 구비되며,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는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구비된 수직 가이드와; 상기 수직 가이드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반복되게 구비되어 일측 수직 가이드와 타측 수직 가이드 사이로 제공되는 충전패드 인·입출 공간부와; 상기 양측의 수직 가이드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수평형태의 가이드홈을 갖도록 구비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홈의 전방 또는 후방에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는 상부 가로부와 상기 가로부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를 갖는 T자 형태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가로부의 양단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전면과 상면이 오픈되어 내부로 가이드 프레임 삽입 공간부가 제공되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오픈된 전면과 상면이 커버되도록 구비된 케이싱 커버 ; 및 상기 케이싱 커버의 전면에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와 일치되는 충전패드 인·입출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는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에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반복 배열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는 반원형홈이 수직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무선충전패드는 무선충전코일이 구비된 직사각형태를 갖는 패드본체 및 상기 패드본체의 후방 양측 단부에 구비된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는 패드 본체의 후방 양측단부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아암이 휘어지거나 펴지도록 하는 탄성 공간부; 및 상기 탄성 공간부의 입구측에 반원형 돌기를 갖는 상기 탄성아암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아암은 일측단이 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며 타측단이 패드 본체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부로 구비된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에 무선충전패드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무선충전패드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케이싱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높은 호환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싱의 전면으로 다수의 무선충전패드가 인·입출되도록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이를 인출시켜 다수개의 웨어러블 기기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높은 충전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충전시 다수의 무선충전패드가 케이싱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싱으로부터 무선충전패드가 인·입출되는 과정 중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와 멈춤홈부에 의하여 일정 한도 이상으로 인,입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과정에서 무선충전패드가 케이싱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보관 및 운반과정에서 케이싱내부로 삽입된 무선충전패드가 외부로 분리되는 원인에 의하여 분실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있어 무선충전패드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있어 단위충전패드 가이드와 무선충전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요부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의 무선충전패드가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충전패드에 웨이러블키가 올려져 충전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있어 무선충전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인출 및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있어 무선충전패드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있어 단위충전패드 가이드와 무선충전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요부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의 무선충전패드가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충전패드에 웨이러블키가 올려져 충전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는 무선충전패드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높은 호환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다수개의 웨어러블 기기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 가이드 프레임(200) 및 무선충전패드(300)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싱(100)은 전면과 상면이 오픈되어 내부로 가이드 프레임 삽입 공간부(IS)가 제공되는 케이싱 본체(110)에 케이싱 커버(120)가 결합되어 오픈된 전면과 상면이 커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 커버(120)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와 일치되는 충전패드 인·입출홀(121)이 구비되어 무선충전패드(300)가 간섭없이 용이하게 인·입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은 케이싱(100)의 내부로 구비되어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평상시 무선충전패드(300)가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과정에서 파손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로 다수개의 무선충전패드(300)가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전면에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반복 배열되도록 구비되어 다수개의 무선충전패드(300)가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는 수직 가이드(211), 충전패드 인·입출 공간부(CS), 가이드 레일(213) 및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수직 가이드(211)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패드 인·입출 공간부(CS)는 수직 가이드(211)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반복되게 구비됨으로써, 일측 수직 가이드(211)와 타측 수직 가이드(211) 사이로 제공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13)은 양측의 수직 가이드(211)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수평형태의 가이드홈(212)을 갖도록 구비되어 무선충전패드(300)의 인·입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는 가이드홈(212)의 전방 또는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후술하는 무선충전패드(300)에 구비된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330)가 삽입됨으로써, 무선충전패드(300)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인·입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무선충전패드(300)가 충전패드 인·입출 공간부(CS)의 내부로 깊숙이 삽입되어 인출이 어렵게 되거나, 충전패드 인·입출 공간부(SC)의 외부로 인출되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는 반원형홈이 수직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330)와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충전패드(300)는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에 슬라이드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무선충전코일(310)이 구비된 직사각형태를 갖는 패드본체(320) 및 상기 패드본체(320)의 후방 양측 단부에 구비된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33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330)는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의 가이드 레일(213)의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에 삽입 또는 결합되어 무선충전패드(300)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인·입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패드 본체(320)의 후방 양측단부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아암(331)이 휘어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공간부(TS)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 공간부(TS)의 입구측에 반원형 돌기(332)를 갖는 상기 탄성아암(331)이 구비되어 무선충전패드(300)를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로부터 인·입출 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 레일(213)의 가이드홈(212)에 반원형 돌기(332)가 맞닿도록 하여 무선충전패드(30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소정의 반발력 내지는 탄성력이 반원형 돌기(332)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에 용이한 삽입 또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아암(331)은 일측단이 패드 본체(320)에 일체로 구비되며 타측단이 패드 본체(320)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활처럼 휘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반대로 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를 위해 상기 탄성아암(331)은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있어 무선충전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인출 및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에 있어 무선충전패드(30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웨어러블키(WK)의 충전이 필요치 않은 상태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패드(300)가 단위충전 패드 가이드(2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패드본체(320)에 형성된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330)가 가이드레일(213)의 후방에 형성된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케이싱(100)을 기울여도 무선충전패드(300)는 케이싱(100)의 전면으로 자중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무선충전패드(300)를 이용하여 웨이러블키(WK)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 무선충전패드(300)의 패드 몸체(320)의 전방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면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에 삽입되어 있던 패드 인·입출 철부(330)가 내측으로 오무려지면서 가이드 레일(213)의 가이드홈(21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330)가 가이드홈(212)의 전방에 형성된 동일한 형태를 갖는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에 탄성아암(331)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원형 돌기(332)가 삽입됨과 동시에 인출이 멈추어지게 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 코일(310)이 구비된 패드 본체(320)의 상부에 웨이블러키(WD)를 올려 놓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충전패드(300)를 완전히 분리하여 다른 케이싱에 구비된 동일한 형태를 갖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에 끼워 사용할 경우, 무선충전패드(300)가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의 전방 또는 전면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무선충전패드(300)의 선단부를 잡아 당김과 동시에 패드 인·입출 철부가 가이드레일(213)의 전방에 형성된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214)로부터 빠져나와 구속력이 해지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더 잡아 당김과 동시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패드(300)의 패드본체(320)가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됨에 따라 미도시한 다른 가이드 프레임에 구비된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210)에 끼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케이싱 110:케이싱 본체
120:케이싱 커버 121:충전패드 인·입출홀
200:가이드 프레임 210:단위 충전패드 가이드
211:수직 가이드 212:가이드홈
213:가이드 레일 214:패드 인·입출 멈춤홈부
300:무선충전패드 310:무선충전코일
320:패드본체 330:패드 인·입출 멈춤철부
331:탄성아암 332:반원형 돌기
CS:충전패드 인·입출 공간부 IS:가이드 프레임 삽입 공간부
TS:탄성 공간부

Claims (8)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를 갖도록 구비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무선충전패드로 구비되며,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는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구비된 수직 가이드와;
    상기 수직 가이드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반복되게 구비되어 일측 수직 가이드와 타측 수직 가이드 사이로 제공되는 충전패드 인·입출 공간부와;
    상기 양측의 수직 가이드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수평형태의 가이드홈을 갖도록 구비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홈의 전방 또는 후방에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는 상부 가로부와 상기 가로부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를 갖는 T자 형태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가로부의 양단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전면과 상면이 오픈되어 내부로 가이드 프레임 삽입 공간부가 제공되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오픈된 전면과 상면이 커버되도록 구비된 케이싱 커버 ; 및
    상기 케이싱 커버의 전면에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와 일치되는 충전패드 인·입출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충전패드 가이드는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에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반복 배열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인·입출 멈춤홈부는 반원형홈이 수직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패드는 무선충전코일이 구비된 직사각형태를 갖는 패드본체 및 상기 패드본체의 후방 양측 단부에 구비된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인·입출 멈춤철부는 패드 본체의 후방 양측단부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아암이 휘어지거나 펴지도록 하는 탄성 공간부; 및
    상기 탄성 공간부의 입구측에 반원형 돌기를 갖는 상기 탄성아암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은 일측단이 패드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며 타측단이 패드 본체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20180154934A 2018-12-05 2018-12-05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209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934A KR102090756B1 (ko) 2018-12-05 2018-12-05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934A KR102090756B1 (ko) 2018-12-05 2018-12-05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756B1 true KR102090756B1 (ko) 2020-03-18

Family

ID=6999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934A KR102090756B1 (ko) 2018-12-05 2018-12-05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7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556A1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진아이디 멀티형 스마트폰 무선충전기
WO2022139566A1 (ko) * 2020-12-22 2022-06-30 삼성전자(주)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961A (ko)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
KR20150128443A (ko)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충전기
KR20160143951A (ko) * 2015-06-04 2016-12-15 (주)오라컴디스플레이 다수의 모바일 기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JP2017049273A (ja) * 2015-08-31 2017-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容器、シャッ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961A (ko)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
KR20150128443A (ko)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충전기
KR20160143951A (ko) * 2015-06-04 2016-12-15 (주)오라컴디스플레이 다수의 모바일 기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JP2017049273A (ja) * 2015-08-31 2017-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容器、シャッ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556A1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진아이디 멀티형 스마트폰 무선충전기
WO2022139566A1 (ko) * 2020-12-22 2022-06-30 삼성전자(주) 무선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755B1 (ko) 트레이, 트레이 분리용 지그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249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장치
US9614378B2 (en) Inductive charging interface with magnetic retention for electronic devices and accessories
US9072172B2 (en) Auxiliary device for mobile electronic apparatus
KR101820283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50200554A1 (en) Chargeable, portable storage case for optical and other wearable computing devices
EP2866304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ic connector
EP2811364A1 (en)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KR101751389B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90756B1 (ko)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KR20130125705A (ko) 모바일 디바이스용의 외부 처리 액세서리
KR20160087636A (ko) 웨어러블 기기
US20140284226A1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CN106797144B (zh) 无线功率发射/接收设备
CN108702168B (zh) 用于便携式移动终端设备的、具有温控充电电路的保护套装置
US20220115918A1 (en) Wireless Charing Coil In Wearable Devices
KR20140035676A (ko) 무선 충전기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US20160234359A1 (en) Contactles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30130921A (ko)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용 충전지
KR20110062038A (ko) 일체형 포토블 전원장치
KR200487132Y1 (ko) 스마트폰용 무선 충전 케이스
JP2013034290A (ja) 充電アダプタ
KR200486581Y1 (ko) 명함케이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충전지
CN217847134U (zh) 便携式身份证识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