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615B1 - 스마트 안경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615B1
KR102186615B1 KR1020190032007A KR20190032007A KR102186615B1 KR 102186615 B1 KR102186615 B1 KR 102186615B1 KR 1020190032007 A KR1020190032007 A KR 1020190032007A KR 20190032007 A KR20190032007 A KR 20190032007A KR 102186615 B1 KR102186615 B1 KR 10218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display
smart glass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085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9003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6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나 시선 방향에 맞게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안경의 사용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나 시선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나 시선 방향에 맞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 Head Mounted Display)는 내장된 액정 스크린과 얼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각종 센서를 통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공간 내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시각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개발되어 점차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래 들어 각종 영상 장치 또는 정보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 신호를 영상으로서 재생할 때 보다 큰 화면으로 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 군사작전 등에서 특수 목적을 위한 군사장비로 사용되거나, 교육, 영화나 음악 감상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물품의 관리 또는 기계 정비 점검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맨 눈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벗어야 하며, 다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동 작업에 따라 사용자 간의 협의 또는 사용자의 맨 눈 시야를 통한 확인 작업을 반복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여러 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착 행동을 반복해야 하므로 전체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정확한 관측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부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 또는 양안 사이의 거리에 맞는 영상을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자는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64798호 (공개일: 2000. 11. 06)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안경의 사용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나 시선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선형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나 시선 방향에 맞게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의 코에 거치되는 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재,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표시부재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노출시키는 노출부재 및 상기 노출된 표시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재는 상기 표시부재가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동작하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선택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잠금을 해제시켜 상기 표시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센서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에 따르면, 스마트 안경의 사용 시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노출되도록 하고, 스마트 안경의 비사용 시에는 프레임부의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파손 및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맨 눈 시야확보를 위해서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스마트 안경을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선형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나 시선 방향에 맞게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편안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이 분해된 상태를 저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재가 프레임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부재에 의해 표시부재가 프레임부로부터 노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재가 선형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분해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이 분해된 상태를 저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안경(1)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100) 및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지지부(110) 및 지지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대략 U자 형태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 안경(1)을 착용할 수 있는 안경테 모양이나 안경테의 뼈대 모양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으며, 착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1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양단이 사용자의 얼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내장되어 있어 구부림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성형 중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10)의 내부 구조물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조립한 후 금형을 삽입할 수 있다. 지지부(110)의 양단에는 디스플레이부(200), 하기에서 설명할 제어부 또는 통신부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130)는 지지부(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홈 형태의 제1 커넥터(111), 제1 커넥터(111)의 양측에 제1 및 제2 자석(112a, 112b)을 수용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3a, 113b)이 각각 설치되고, 프레임부(130)에는 제1 커넥터(111)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돌기 형태의 제2 커넥터(131), 제2 커넥터(131)의 양측에 제1 및 제2 자석(112a, 112b)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금속(132a, 132b)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보스(133a, 133b)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11)에 제2 커넥터(131)가 결합됨과 함께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3a, 113b)에 제1 및 제2 가이드 보스(133a, 133b)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지지부(110)는 프레임부(13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나사식 체결구조를 이용하거나 끼움 결합에 의해 프레임부(130)에 지지부(110)를 착탈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130) 및 지지부(110)에 각각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나사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지지부(110)를 프레임부(13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외에 다양한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프레임부(130)에 지지부(11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10)와 프레임부(130)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 안경(1)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지지부(110)와 프레임부(130)를 분리시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30)는 보조 배터리용 커넥터(134)가 설치되어 전원부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안경(1)은 프레임부(130)의 중앙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부(130)가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의 코에 거치되는 코 거치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 거치대(150)는 프레임부(130)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지지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코 거치대(150)와 접촉하는 지지부(110)에는 볼 형상의 스토퍼 및 스프링 부재(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어 코 거치대(1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 거치대(150)의 코와 접촉하는 부분은 연성 재질 또는 인서트 된 쿠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스마트 안경(1)의 비사용 시에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프레임부(130)의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하고, 도 2와 같이, 스마트 안경(1)의 사용 시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노출되게 할 수 있다.
표시부재(210)는 프레임부(13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거나, 복수 개인 경우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부재(210)는 표시부재(210)는 디지털 형태의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광학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표시부재(210)는 박막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기반 디스플레이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0)는 표시부재(210)를 프레임부(130)로부터 노출시키는 노출부재(220) 및 노출된 표시부재(210)를 프레임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재가 프레임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30)에는 표시부재(210)가 수용되는 개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2)는 프레임부(130)의 일측면에 표시부재(21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출부재(220)는 표시부재(210)가 개구부(132)에 수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프레임부(130)로부터 표시부재(21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스마트 안경(1)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스마트 안경(1)을 착용한 상태에서 맨 눈 시야를 통한 확인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표시부재(210)는 개구부(132)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표시부재(21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노출부재(220)를 이용하여 표시부재(210)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5b와 같이, 표시부재(210)는 프레임부(130)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다가, 다시 사용자가 맨 눈 시야를 통한 확인 작업을 하고자 하거나 사용을 중단할 경우, 표시부재(210)를 b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부재(210)가 개구부(132)에 수용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안경(1)의 사용 여부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출부재(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0)를 프레임부(130)로부터 선택적으로 노출시켜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위치하게 하거나 숨길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부재에 의해 표시부재가 프레임부로부터 노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노출부재(220)는 잠금 유닛(22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잠금 유닛(221)은 표시부재(210)가 개구부(132)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동작하고, 프레임부(130)에 설치된 선택 버튼(P)의 누름 동작에 의해 잠금을 해제시켜 표시부재(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표시부재(210)는 개구부(132)에 수용된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Rs)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면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리턴 스프링(Rs)의 중심에는 회전체(Cr)가 배치되어 있고, 회전체(Cr)는 표시부재(210)와 연결될 수 있다. 만약, 도 6b와 같이, 사용자가 프레임부(130)에 설치된 선택 버튼(P)을 누르면, 누름 동작에 의해 락킹 부재(R)가 좌측으로 밀리면서 동작 스프링(Ps)이 압축되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도 6c와 같이, 잠금이 해제되면서 리턴 스프링(Rs)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Cr)가 회전되고, 회전체(Cr)의 회전에 따라 표시부재(210)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프레임(13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재가 선형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부재(230)는 표시부재(210)가 프레임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230)는 표시부재(210)가 프레임부(130)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 c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부재(230)는 개구부(132)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31) 및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유닛(2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1)은 표시부재(2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유닛(233)은 가이드 레일(231)에 대응되는 돌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퀴 등과 같이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여 표시부재(2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안경(1)은 제어부(300), 통신부(400), 입력부(500),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600), 디스플레이부(200)의 밝기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센서부(700),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부(810),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830)와, 디스플레이부(200), 제어부(300) 및 통신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스마트 안경(1)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스마트 안경(1)의 지지부(110) 또는 프레임부(130)에 수납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40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안경(1)은 통신부(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직접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통신부(400)는 신호 전송 방식에 따라 RF 통신 신호 또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 등을 수신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300)로 전달하거나, 데이터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 단말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500)는 전원부(90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거나, 메뉴 등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5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이얼 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700)는 프레임부(130)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프레임부(130)에는 LED 라이팅 부재 또는 플래쉬(Flash)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900)는 스마트 안경(1)의 각종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등의 이차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스마트 안경
100: 베이스부
110: 지지부
130: 프레임부
200: 디스플레이부
210: 표시부재
220: 노출부재
230: 이동부재

Claims (9)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나 시선 방향에 맞게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수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재;
    상기 표시부재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구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표시부재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노출시키는 노출부재; 및
    상기 노출된 표시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재는 상기 표시부재가 상기 개구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동작하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이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선택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잠금을 해제시키면, 상기 노출부재는 탄성 회전력을 통해 상기 개구부에 수납된 상기 표시부재를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하방으로 회전 인출시키는 스마트 안경.
  2. 삭제
  3. 제 1 항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의 코에 거치되는 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8. 제 1 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9. 제 1 항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센서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스마트 안경.
KR1020190032007A 2019-03-20 2019-03-20 스마트 안경 KR10218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07A KR102186615B1 (ko) 2019-03-20 2019-03-20 스마트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07A KR102186615B1 (ko) 2019-03-20 2019-03-20 스마트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085A KR20200112085A (ko) 2020-10-05
KR102186615B1 true KR102186615B1 (ko) 2020-12-03

Family

ID=7280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007A KR102186615B1 (ko) 2019-03-20 2019-03-20 스마트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6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5829A (ja) 2009-01-29 2010-08-12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3210587A (ja) * 2012-03-30 2013-10-10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6031761A (ja) * 2014-07-25 2016-03-07 裕行 池田 眼鏡型端末
JP6455520B2 (ja) 2014-09-30 2019-01-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789A (ja) 1997-01-29 2000-07-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力節約型頭部装着液晶ディスプレイ
JPH11142782A (ja) * 1997-11-11 1999-05-28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08165063A (ja) * 2006-12-28 2008-07-17 Scalar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5829A (ja) 2009-01-29 2010-08-12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3210587A (ja) * 2012-03-30 2013-10-10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6031761A (ja) * 2014-07-25 2016-03-07 裕行 池田 眼鏡型端末
JP6455520B2 (ja) 2014-09-30 2019-01-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085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6482B2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JP5190070B2 (ja) 単眼式の表示装置
CN108572449B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08132537B (zh) 显示设备
US11029524B2 (en) Display device
EP2828704B1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CN100514183C (zh) 便携式电子设备
US20130250503A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frame
US20090190026A1 (en) Pair of Spectacles with Miniature Camera
EP2963479B1 (en) Glasses-type head mounted display
KR1017653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2186615B1 (ko) 스마트 안경
CN106646875B (zh) 头戴显示设备及其显示模组
US11543677B2 (en) Eyewear having deployable auxiliary devices
US20150381794A1 (en) Viewing adapter for smartphone or similiar electronic device
US11714454B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wearable assembly
WO2024117856A1 (ko) 부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63533A1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21246597A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WO2023204086A1 (ja) アダプター及び撮像装置
CN207976793U (zh) 显示设备
US10514538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2004139937A (ja) 画像表示機能付き携帯機器
KR20170003374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KR20240082964A (ko) 부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