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343B1 -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343B1
KR101536343B1 KR1020140165608A KR20140165608A KR101536343B1 KR 101536343 B1 KR101536343 B1 KR 101536343B1 KR 1020140165608 A KR1020140165608 A KR 1020140165608A KR 20140165608 A KR20140165608 A KR 20140165608A KR 101536343 B1 KR101536343 B1 KR 10153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portable device
cover
moving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기
Original Assignee
여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창기 filed Critical 여창기
Priority to KR1020140165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카메라를 위한 별도의 홀을 구성하거나 휴대기기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휴대기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통화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커버부, 지지부, 이동부, 접착필름, 락킹부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좌우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부는 일면이 커버부의 내면에 결합되며, 타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이동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접착필름은 이동부의 표면에 구비된다. 락킹부는 가이드 레일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동부의 슬라이딩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나 버튼, 디스플레이 등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이물질에 오염될 우려가 있다. 이에 사용자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휴대기기를 보호하고자, 휴대기기를 완전히 감싸는 케이스에 휴대기기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 경우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휴대기기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니면, 카메라의 위치에 맞게 홀이 뚫린 케이스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휴대기기마다 카메라 위치가 상이하므로 범용성이 떨어지고, 해당 홀을 통해 이물질이 삽입되어 휴대기기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356236 (2014.02.03 공고)
본 발명은 카메라를 위한 별도의 홀을 구성하거나 휴대기기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휴대기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통화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커버부, 지지부, 이동부, 접착필름, 락킹부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좌우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부는 일면이 커버부의 내면에 결합되며, 타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이동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접착필름은 이동부의 표면에 구비된다. 락킹부는 가이드 레일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동부의 슬라이딩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동부의 양측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가이드 레일의 양측 내면에는 플랜지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가이드 레일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지지부에 설치되어 이동부와 지지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가이드 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지지부의 타면 일부를 덮도록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 및 락킹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내부 커버와 이동부의 이동경로 부위에 결합되어 지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바닥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케이스에 별도의 카메라 홀을 뚫거나 휴대기기를 보호케이스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휴대기기를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에서통화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화 통화시 커버를 열지 않고 위로 올려 통화 함으로써 커버를 뒤로 접을 필요가 없다.
또한, 휴대기기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라면 휴대기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휴대기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서 이동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를 B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참조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커버부(110), 지지부(120), 이동부(130), 접착필름(131), 락킹부(123)를 포함한다.
커버부(110)는 좌우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부(110)의 중앙에는 절첩부(11)가 마련되어,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세로가 긴 두 개의 직사각형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10)의 내측면에는 지폐나 카드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천연가죽이나 합성피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이나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커버부(110)의 일측에는 커버부(110)를 접은 후,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단추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일면이 커버부(110)의 내면에 결합되며, 타면에 가이드 레일(121)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21)이 형성된 면이 수납부(113)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1)은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는 가공이 용이하며, 가볍고 강도가 좋기 때문에 지지부(120)로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견고한 소재가 될 수도 있다.
이동부(130)는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이동부(13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30)는 가이드 레일(1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3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부(130)의 양측에는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21)의 양측 내면에는 플랜지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동부(130)는 지지부(120)에서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 레일(121)에 의해 안내되며 슬라이딩되게 된다.
또한, 이동부(130)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즉, 중앙부 바닥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동부(130)가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이동부(130)와 지지부(120)가 맞닿는 면이 줄어들어, 슬라이딩 과정에서 이동부(130)가 받는 마찰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이동부(130)를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접착필름(131)은 이동부(130)의 표면에 구비된다. 접착필름(131)에는 휴대기기(10)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필름(131)은 접착성이 좋으면서도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PET타입의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필름(131)이 이동부(130)의 표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이동부(130)에 휴대기기(10)를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락킹부(123)는 가이드 레일(12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동부(130)의 슬라이딩을 제어한다. 락킹부(123)는 마찰력으로 이동부(130)의 슬라이딩 동작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락킹부(123)는 가이드 레일(12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반구형 돌기일 수 있다. 반구형 돌기는 가이드 레일(121)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락킹부(123)가 형성됨으로써, 이동부(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락킹부(123)는 이동부(130)가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가이드 레일(1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동부(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40)는 U자 형상인 가이드레일(121)의 양 끝점을 잇는 형태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140)가 가이드 레일(121)의 상측에 연결됨에 따라, 이동부(130)가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게 되면 이탈방지부(14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동부(130)가 지지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사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사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부(110)를 열고 이동부(130)의 접착필름(130)에 휴대기기(10)의 뒷면을 부착한다. 휴대기기(10)가 이동부(130)에 부착되면, 휴대기기(10)는 커버부(110)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기기(10)를 위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이동부(130)가 가이드 레일(121)에 의해 안내되며 이동되어, 휴대기기(10)의 카메라 부위가 커버부(110) 밖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휴대기기(10)의 카메라는 촬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121)의 양측면에는 락킹부(123)가 형성되어 이동부(130)의 움직임을 제어하므로, 이동부(130)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다거나 좌우로 유동되는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휴대기기(10)를 위아래로 움직여 휴대기기(10)의 노출면적을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로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의 촬영이 끝난 후에는 휴대기기(10)를 아래로 밀어 휴대기기(10)가 커버부(110)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이동부(130)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휴대기기(10)의 카메라 부위를 용이하게 커버부(110) 밖으로 노출시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21)의 양측면에 락킹부(123)가 형성됨으로써, 이동부(13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에 별도로 카메라 홀을 뚫지 않아도 된다. 더불어, 휴대기기(10)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라면 휴대기기(10)의 종류와 상관없이 휴대기기(1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를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4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에 비해 가이드 띠(122)를 더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 띠(122)는 이동부(130)의 저면에서 이동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120)의 바닥면에서 이동부(13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띠(122)는 2개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 띠(122)로 인해 이동부(130)와 지지부(120)의 맞닿는 면적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30)가 슬라이딩될 때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이동부(130)를 슬라이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 띠(122)는 POM(Polyoxymethyle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POM재질은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가장 내마찰성,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자기 윤활성이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는 가이드 띠(122)의 재질로 적합하다. POM재질로 가이드 띠(122)를 제작함으로써,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를 B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4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에 비해 내부 커버(150)와 바닥 커버(124)를 더 포함하고 있다.
내부 커버(150)는 지지부(120)의 타면 일부를 덮도록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121) 및 락킹부(12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내부 커버(150)는 지지부(120)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되, 이동부(130)의 이동경로 부위는 절단되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내부 커버(150)는 커버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커버(124)는 이동부(130)의 이동경로 부위에 결합되어 지지부(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바닥 커버(124)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130)는 바닥 커버(124)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동작 시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바닥면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커버(124)는 커버부(110) 및 내부 커버(15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121) 및 락킹부(12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내부 커버(150)와 지지부(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바닥 커버(124)를 더 구비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들을 가지고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휴대기기 100 :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110 : 커버부 111 : 절첩부
113 : 수납부 120 : 지지부
121 : 가이드 레일 122 : 가이드 띠
123 : 락킹부 124 : 바닥 커버
130 : 이동부 131 : 접착필름
140 : 이탈방지부 150 : 내부 커버

Claims (6)

  1. 좌우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부;
    일면이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 결합되며, 타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표면에 구비된 접착필름;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락킹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양측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가이드 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면 일부를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및 락킹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내부 커버와 상기 이동부의 이동경로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바닥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20140165608A 2014-11-25 2014-11-25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53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08A KR101536343B1 (ko) 2014-11-25 2014-11-25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08A KR101536343B1 (ko) 2014-11-25 2014-11-25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343B1 true KR101536343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608A KR101536343B1 (ko) 2014-11-25 2014-11-25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3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56B1 (ko) * 2015-09-25 2016-01-13 주식회사 크레용인터네셔널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0480906Y1 (ko) * 2016-03-25 2016-07-25 주식회사 아트제이로 휴대폰 케이스
KR101647611B1 (ko) * 2015-12-28 2016-08-10 황호진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KR102022337B1 (ko) 2018-05-04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022340B1 (ko) 2018-07-02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383421B1 (ko) * 2020-12-07 2022-04-05 김동진 휴대폰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556B1 (ko) * 2012-08-22 2012-11-27 유창섭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356236B1 (ko) *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KR20140003032U (ko) * 2012-11-14 2014-05-23 (주)민스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556B1 (ko) * 2012-08-22 2012-11-27 유창섭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3032U (ko) * 2012-11-14 2014-05-23 (주)민스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56236B1 (ko) *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56B1 (ko) * 2015-09-25 2016-01-13 주식회사 크레용인터네셔널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647611B1 (ko) * 2015-12-28 2016-08-10 황호진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KR200480906Y1 (ko) * 2016-03-25 2016-07-25 주식회사 아트제이로 휴대폰 케이스
KR102022337B1 (ko) 2018-05-04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022340B1 (ko) 2018-07-02 2019-09-18 여창기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102383421B1 (ko) * 2020-12-07 2022-04-05 김동진 휴대폰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343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979629B1 (ko) 다용도 홀더
US11487192B2 (en) Optical redirection adapter
KR101522003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US9025948B2 (en) Camera prot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case
JP4393356B2 (ja) カメラケース
KR101544093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WO2013009524A2 (en) System fo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461147Y1 (ko) 렌즈 탑재형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US20160007705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0281Y1 (ko) 가변적 휴대폰 장착 위치 조절 구조의 착탈식 범용 휴대폰 케이스
US20160007704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94240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86453Y1 (ko)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US8073512B2 (en) Mobile phone
US20170119118A1 (en) Convertible Lanyard Case for Personal Electronics
KR200467694Y1 (ko) 카메라 홀더
KR102383421B1 (ko) 휴대폰케이스
KR200480627Y1 (ko) 카드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수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636667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US20210000247A1 (en) Smartphone Holster
JP3198976U (ja) 携帯型情報端末用カバー
KR200478908Y1 (ko) 다기능 핸드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