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421B1 - 휴대폰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421B1
KR102383421B1 KR1020200169606A KR20200169606A KR102383421B1 KR 102383421 B1 KR102383421 B1 KR 102383421B1 KR 1020200169606 A KR1020200169606 A KR 1020200169606A KR 20200169606 A KR20200169606 A KR 20200169606A KR 102383421 B1 KR102383421 B1 KR 10238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case body
fixed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20016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카메라렌즈가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에 대하여 카메라렌즈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하여 수납하여 보호함은 물론, 촬영기능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편하게 카메라렌즈를 외부로 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을 극대화하도록; 케이스본체(2)와; 후면이 상기 케이스본체(2)에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면 전면에 휴대폰(10)이 부착되는 고정몸체(3)과; 상기 케이스본체(2)와 상기 고정몸체(3)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2)에 대하여 상기 고정몸체(3)를 지지하여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4);을 포함하는 휴대폰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4)은, 상기 케이스본체(2)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들의 사이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만곡된 탄성부를 구비하는 '━' 자 형상의 탄성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봉의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본체(2)에 형성된 고정홈(24)들에 삽입되면서 끼움고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길이를 가지는 절곡단(41)이 절곡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3)에서 상기 지지수단(4)이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탄성봉이 이동가능하게 끼움되어 결속되는 결속홈(32)이 구비되는 휴대폰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핸드폰, 스마트폰 등)을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된 휴대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카메라렌즈가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에 대하여 카메라렌즈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하여 수납하여 보호함은 물론, 촬영기능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편하게 카메라렌즈를 외부로 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을 극대화하도록 된 휴대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핸드폰, 스마트폰 등)은 휴대폰케이스를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떨어뜨림 등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게 되어 잇다.
이러한 상기 휴대폰케이스는, 크게 측면을 보호하는 범퍼 케이스와 측면과 후면을 보호하는 하드케이스 및 전면판이 절첩가능하게 이루어져 접혀짐과 펼쳐져 내부에 비품(카드,현금) 등을 수납하도록 된 지갑형 케이스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은 범퍼 케이스와 하드 케이스 방식으로, 상기 범퍼 케이스 및 하드 케이스는 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유연한 합성수지나 고형 젤리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된 것으로, 내부에 결합되는 휴대폰을 보호하는 일차적인 역할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패션 아이템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근자에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예컨대, 신용카드, 교통카드, 포인트 카드 등)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사용효율을 증대시키도록 된 지갑형 휴대폰케이스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휴대폰케이스들에서, 표면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가지는 휴대폰들을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된 것들에는, 촬영을 하기 위한 카메라렌즈가 외부로 표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모양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해 카메라 렌즈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기 관통공에 의해 휴대폰케이스 전체에 대한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을 통해 카메라렌즈가 외부의 환경요인에 의해 손상(오염/파손)되어 촬영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폰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에서 상기 휴대폰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카메라렌즈부위를 외부로 노출하여 촬영하거나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된 휴대폰케이스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92042호(명칭;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2012.08.22.)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홀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에 뚜껑이 연결되어, 뚜껑의 내측면에 소정의 수납부가 구비된 공지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 내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고정기판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고 휴대폰이 탑재되는 이동기판을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7-0001053호(명칭; 사진촬영이 용이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2017.03.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뒷면에 접하게 되는 뒷 판과; 지갑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뒷 판에 연결되어 휴대폰의 앞면을 덮을 수 있게 되는 앞판과 상기 뒷 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을 상기 뒷 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휴대폰 고정부와 휴대폰을 상, 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판으로 이루어지는 지갑형휴대폰케이스에 있어서, 양측에 가이드 돌기가 돌출구성되며 고정부와 접하는 면에는 탄성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와 휴대폰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구성한 승강 판과; 승강 판이 수납되고 이동되도록 상, 하로 길게 구성되는 수납 실과 승강 판의 양측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수납 실의 단 턱 부에 구성되며 탄성 스프링의 타 단이 고정되도록 고정 돌기가 구성되고 수납 실의 바닥면에는 승강 판이 상, 하로 이동될 때 마찰력을 최소화 하기위한 미세돌기와 승강 판의 고정 돌기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구성되는 휴대폰 고정구와 승강 판을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하여서 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92042호(2012.08.2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7-0001053호(2017.03.0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케이스들은, 가이드레일을 통해 휴대폰이 안착되는 이동기판이 직선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을 통해 단순히 상기 이동기판의 이동방향으로 가압하여 수납 및 노출하도록 됨에 따라, 휴대폰이 안착되는 이동기판이 전후방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휴대폰의 노출이 일정하게 정해진 이동간격으로만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폰에 배치되는 카메라렌즈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하여 각각 맞춤되는 노출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지 못함에 따라, 사용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렌즈가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에 대하여 카메라렌즈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하여 수납하여 보호함은 물론, 촬영기능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편하게 카메라렌즈를 외부로 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을 극대화하도록 된 휴대폰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는, 케이스본체와; 후면이 상기 케이스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면 전면에 휴대폰이 부착되는 고정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본체에서 상기 고정몸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표면측 방향으로 지지하여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휴대폰의 후면과 양측단부위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수용하는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면이 고정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서 접혀짐과 펼쳐짐되어 상기 휴대폰의 전후부위를 감싸면서 수용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된 전면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갑몸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는, 표면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에 대하여 고정몸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에 수용하여 카메라렌즈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여 외부로 노출하지 않게 수납하여 보호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촬영기능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본체상에서 고정몸체를 이동운동시키어 간편하게 카메라렌즈 부위를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촬용기능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품질을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의 적용예들을 각각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본체 및 지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를 구성하는 고정몸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1)는, 케이스본체(2)와; 후면이 상기 케이스본체(2)에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면 전면에 휴대폰(10)이 부착되는 고정몸체(3);를 가진다.
즉, 상기 고정몸체(3)에 휴대폰(10)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몸체(3)가 상기 케이스본체(2)에 대하여 이동운동하도록 됨에 따라, 휴대폰(10)의 전후면측에 노출된 카메리렌즈부위가 상기 케이스본체(2)상에서 밀폐 및 노출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을 상기 고정몸체(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하여 카메라렌즈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여 외부로 노출하지 않게 수납하여 보호는 보호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촬영기능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2) 상에서 상기 고정몸체(3)를 이동운동시키어 간편하게 카메라렌즈 부위를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촬영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품질을 극대화 된다.
상기에서 케이스본체(2)의 일측표면에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고정몸체(3)가 이동가능한 이동경로를 가지면서 수용되도록 끼움결속되는 형상 및 길이를 가지는 결속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공간에 상기 고정몸체(3)가 끼움결합되면서 이동운동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결속공간은, 상기 케이스본체(2)의 개구측 표면에 대하여 상기 고정몸체(3)에서 휴대폰이 부착되는 표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되는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몸체(3)에 부착되는 휴대폰(10)이 상기 결속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고정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2)에서 상기 고정몸체(3)가 선택적으로 이동운동하게 되면, 휴대폰(10)의 일부위(카메라렌즈가 위치된 부위)가 상기 케이스본체(2)의 외부 및 내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1)는, 상기 케이스본체(2)와 상기 고정몸체(3)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본체(2)에서 상기 고정몸체(3)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표면측 방향으로 지지하여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수단(4)을 통해 상기 고정몸체(3)가 상기 케이스본체(2)에 대하여 일방향(주로 상기 케이스본체(2)에서 상기 고정몸체(3)가 배치되는 측의 방향)으로 가압지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가압력에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2) 상에서 상기 고정몸체(3)가 이동은 가능하게 되며; 상기 고정몸체(3)로의 사용자의 가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본체(2)에 상기 고정몸체(3)가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확고히 하면서 결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2)에 대하여 상기 고정몸체(3)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그 위치 및 자세를 확고히 유지하도록 되어, 휴대폰(10)의 보관 및 카메라를 통한 촬영기능의 수행시, 무단으로 흔들림(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지지수단(4)은, 양단이 상기 케이스본체(2)에 각각 고정되며, 양단들의 사이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만곡된 탄성부를 구비하는 '━' 자 형상의 탄성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봉의 탄성부가 상기 고정몸체(3)를 상기 케이스본체(2)의 개구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턴성지지하도록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2)의 결속공간에서 상기 고정몸체(3)를 확고히 결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2) 상에서 상기 고정몸체(3)가 이동중 및 이동후의 위치를 확고히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10)의 노출 및 수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어 사용품질이 증대된다,
상기에서 케이스본체(2)에서 결속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몸체(3)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이동가능하게 끼움결속되어 상기 고정몸체(3)가 무단으로 상기 케이스본체(2)의 개구를 통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걸림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홈(21)에 상기 걸림돌기(31)가 끼움결합되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아,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걸림홈(21)은, 상기 고정몸체(3)의 이동방향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31)가 상기 걸림홈(21)상에서 이동기능하게 되어, 상기 케이스본체(2)에서 상기 고정몸체(3)가 이동운동할 때, 안정된 이동운동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케이스본체(2)는, 전면에 상기 결속공간이 개구를 형성하면서 구비되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판(22)과; 상기 베이스판(22)의 개구측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몸체(3)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31)를 덮어 밀폐하도록 되어 상기 베이스판(22)의 내측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홈(21)을 형성하도록 된 내측단부를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틀' 형상의 본체틀(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22)과 상기 본체틀(23)의 조립을 통해 상기 걸림홈(21)을 형성하면서 상기 고정몸체(3)가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수용되는 결속공간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2)와 상기 고정몸체(3)의 조립작업 편리하게 구현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1)에서, 상기 지지수단(4)을 구성하는 상기 탄성봉의 양단은, 상기 케이스본체(2)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2)에서 상기 베이스판(22)에는, 상기 탄성봉의 양단이 각각 끼움결속되면서 고정되는 고정홈(24)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홈(24)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봉의 양단에서 절곡된 절곡단(41)이 삽입되면서 끼움고정되는 단면상 '∪' 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폐쇄된 단면상 '□' 형상의 '둠형요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절곡단(41)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길이를 가지어 상기 '둠형요부'에 길이를 가지면서 끼움지지되어, 상기 탄성봉의 탄성부에 대한 지지성능을 증대하면서 결속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탄성봉의 탄성지지를 더욱 안정된 탄성을 부여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1)에서, 상기 고정몸체(3)에서 상기 지지수단(4)이 대면하는 면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봉이 이동가능하게 끼움되어 결속되는 결속홈(3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홈(32)을 통해 상기 지지수단(4)과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상기 케이스본체(2) 상에서 상기 고정몸체(3)가 이동운동할 때, 상기 지지수단(4)과의 연결결속이 확고히 유지됨은 물론, 상기 지지수단(4)의 배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탄성가압력의 부여가 더욱 안정되게 이루어지면서 이동운동이 안정되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1)에서, 상기 케이스본체(2)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10)의 후면과 양측단부위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수용하는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A)이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10)을 안정되게 보호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케이스(1)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2)의 후면이 고정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후면커버(51)와, 상기 후면커버(51)의 일측에서 접혀짐과 펼쳐짐되어 상기 휴대폰(10)의 전후부위를 감싸면서 수용하거나 상기 휴대폰(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된 전면커버(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갑몸체(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갑몸체(5)에 상기 케이스본체(2)를 수용고정하여 휴대폰(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상기 지갑몸체(5)에 다양한 수납홈(미도시됨)들 및 수납공(미도시됨)들을 형성하여, 별도의 비품(미도시됨)에 대한 수납기능을 부여하도록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휴대폰케이스 10 : 휴대폰
2 : 케이스본체 21 : 걸림홈
22 : 베이스판 23 : 본체틀
24 : 고정홈 3 : 고정몸체
31 : 걸림돌기 32 : 결속홈
4 : 지지수단 41 : 절곡단
5 : 지갑몸체 51 : 후면커버
52 : 전면커버

Claims (3)

  1. 케이스본체(2)와; 후면이 상기 케이스본체(2)에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면 전면에 휴대폰(10)이 부착되는 고정몸체(3)과; 상기 케이스본체(2)와 상기 고정몸체(3)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2)에 대하여 상기 고정몸체(3)를 지지하여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4);을 포함하는 휴대폰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4)은,
    상기 케이스본체(2)에 각각 고정되는 양단들의 사이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만곡된 탄성부를 구비하는 '━' 자 형상의 탄성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봉의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본체(2)에 형성된 고정홈(24)들에 삽입되면서 끼움고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길이를 가지는 절곡단(41)이 절곡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3)에서 상기 지지수단(4)이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탄성봉이 이동가능하게 끼움되어 결속되는 결속홈(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2)에는,
    상기 휴대폰(10)의 후면과 양측단부위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수용하는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2)의 후면이 고정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후면커버(51)와, 상기 후면커버(51)의 일측에서 접혀짐과 펼쳐짐되어 상기 휴대폰(10)의 전후부위를 감싸면서 수용하거나 상기 휴대폰(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된 전면커버(52)를 구비하는 지갑몸체(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케이스.
KR1020200169606A 2020-12-07 2020-12-07 휴대폰케이스 KR10238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06A KR102383421B1 (ko) 2020-12-07 2020-12-07 휴대폰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06A KR102383421B1 (ko) 2020-12-07 2020-12-07 휴대폰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421B1 true KR102383421B1 (ko) 2022-04-05

Family

ID=8118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606A KR102383421B1 (ko) 2020-12-07 2020-12-07 휴대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243B1 (ko) 2022-07-07 2023-03-09 서성현 스마트키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042A (ko) 2011-02-09 2012-08-20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536343B1 (ko) * 2014-11-25 2015-07-10 여창기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70001053U (ko) 2014-08-04 2017-03-21 수라사크 수린퐁 음극 아크 플라즈마 증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아크 이온 증발기용 필터 장치
KR200486947Y1 (ko) * 2017-03-23 2018-08-17 유성호 휴대폰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042A (ko) 2011-02-09 2012-08-20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70001053U (ko) 2014-08-04 2017-03-21 수라사크 수린퐁 음극 아크 플라즈마 증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아크 이온 증발기용 필터 장치
KR101536343B1 (ko) * 2014-11-25 2015-07-10 여창기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86947Y1 (ko) * 2017-03-23 2018-08-17 유성호 휴대폰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243B1 (ko) 2022-07-07 2023-03-09 서성현 스마트키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80Y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반자동 슬라이드 케이스
KR101522003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US8240858B2 (en) Protective cover module for lens
JP3225377U (ja) モバイル機器スライド装置
KR102383421B1 (ko) 휴대폰케이스
KR102423199B1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1536343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US7847860B2 (en) Camera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14502431A (zh) 夹持结构、云台设备及可移动平台
CN113422891B (zh) 电子设备
JP2007065443A (ja) レンズカバー構造
KR102032856B1 (ko) 풀 스크린 스마트폰용 카메라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878912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5819083B2 (ja) 眼鏡ケース
KR102072053B1 (ko) 셀프카메라 장치
KR200487466Y1 (ko) 사진촬영이 용이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367840Y1 (ko) 휴대폰의 카메라렌즈 보호장치
KR200478908Y1 (ko) 다기능 핸드폰 케이스
KR20160004503U (ko) 스마트폰이 부착되는 수납장치
KR200495934Y1 (ko) 반자동 개폐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휴대폰 케이스
KR101938258B1 (ko) 핸드폰 케이스
KR100801018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JP3205498U (ja) 携帯型情報端末用ケース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921872B1 (ko) 슬라이딩회전식 휴대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