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042A -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042A
KR20120092042A KR1020120012654A KR20120012654A KR20120092042A KR 20120092042 A KR20120092042 A KR 20120092042A KR 1020120012654 A KR1020120012654 A KR 1020120012654A KR 20120012654 A KR20120012654 A KR 20120012654A KR 20120092042 A KR20120092042 A KR 2012009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ibute
lane
map database
road segmen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613B1 (ko
Inventor
씨. 씨. 스핀들러
시몬 스취즈
Original Assignee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9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5Road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01C21/3881Tile-based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1)는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베이스(3)와 프로세싱 유니트(2)를 포함한다. 맵 데이터베이스(3)는 고속 차로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1 속성과, 도로 세그먼트의 어느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차로에 할당되는 제2 속성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니트(2)는 맵 데이터베이스(3)에 연결되고, 적어도 제1 속성에 근거하여 경로 탐색을 수행하고, 적어도 제2 속성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한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VEHICLE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발명은 맵 데이터(map data)를 저장한 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맵 데이터 생성 방법 및,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은 특히 맵 데이터베이스가 속성을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맵 데이터를 사용하여 출발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 경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경로를 탐색한다. 비용함수는 경로에 관련된 여행시간, 거리 또는 연료비용, 또는 최소화되어야할 다른 적정 량 등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최적 경로는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의 활성화에 좌우된다. 고속도로, 나루터 또는 터널에 대한 선호 및 회피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경로 결정에 부가하여, 네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 안내도 제공한다. 안내정보의 제공은 차량 주변 도로망 일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운전자에 대한 시각적 또는 음향적 지령의 결합이 가능한, 시각적 또는 음향적 출력의 발생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를 위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케 하는 맵 데이터베이스의 제공 및 사용은 많은 도전을 상징한다. 예를 들어, 경로 탐색에 대하여, 대게는 출발점 및 목적지 모두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위하여 도로망의 미세 구조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출발점 및 목적지 모두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예를 들어 고속도로와 같은 적어도 어떤 형태의 도로 정보가 경로 탐색을 위해 요구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안내 기능은 차량 주변 지역의 큰 레벨의 세부 정보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많은 도로망은 고속 차로라 일컫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고속 차로는 도시지역에서 자주 발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고속 차로는 시설로의 입장 및 출구점 수의 제한에 의해 관리되는 차로로 접근하는 차선으로 이해된다. 즉, 보통 차로의 모든 접근 또는 출구점이 고속 차로의 접근 또는 출구점이 아니다. 고속 차로는 주 도로 회랑에 제공된 일반 목적 역할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막히거나, 그로부터 도로 표시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고속 차로는 가역 흐름 설비 또는 양방향 설비일 수 있다.
따라서,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고속 차로를 고려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필요는 독립 청구항에 열거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다루어진다. 종속 청구항은 실시 예를 규정한다.
한 측면에 따르면, 맵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세싱 유니트를 포함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링크 및 속성을 포함하는 맵 데이터를 저장한다. 링크는 도로 세그먼트(road segment)를 표현한다. 제1 속성은 링크의 서브세트에 각각 할당되어 서브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구비함을 표시한다. 제2 속성은 서브세트에 포함된 링크의 적어도 일부의 차로에 각각 할당되어, 각 도로 세그먼트 중 어느 차로가 고속 차로임을 표시한다. 프로세싱 유니트는 맵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고, 적어도 제1 속성에 근거한 경로 탐색을 수행하고, 적어도 제2 속성에 근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 안내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제1 및 제2 속성은 고속 차로의 표시에 사용된다. 이것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 모두에 고속 차로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제1 및 제2 속성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분리된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속성이 저장된 부분을 접근함으로써 고속 차로를 고려하여 경로 탐색을 수행하고, 제2 속성이 저장된 부분을 접근함으로써 고속 차로를 고려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각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고,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필드의 각각에 대해 개별 설정된 값을 갖는 고정된 수의 데이터 필드를 갖는다. 제1 및 제2 속성은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로부터 분리 저장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그때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링크만에 대한 제1 및 제2 속성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제1 속성은 부울 파라미터(Boolean Parameter)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속성 및 부울 파라미터 모두에 근거하여 링크에 대한 경로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울 파라미터는 고속 차로를 위해 시행되는 회피 및 선호 옵션을 허락한다.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은 전적으로 고속 차로를 구성하는 링크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제1 값과 상이한 제2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은 적어도 하나의 비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링크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고속 차로를 위해 시행되는 회피 및 선호 옵션을 허락한다.
제1 속성은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되, 특히 정수 파라미터 타입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파라미터는 차로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속성 및 파라미터 모두에 근거하여 링크에 대한 경로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속성은 제1 부분에 저장되고, 제2 속성은 제2 부분에 저장된다.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1 부분에 저장된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제2 부분으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택일적 또는 부가적으로, 프로세싱 유니트는 제2 부분에 저장된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제1 부분으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로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정보는 경로 탐색 또는 경로 안내를 위하여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효율적으로 검색될 수 있다. 경로 탐색을 수행하는 경우에, 프로세싱 유니트는 고속 차로를 위해 회피 또는 선호 옵션이 선택되면 제1 속성에 근거하여 비용 모델에서 링크의 비용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분리 테이블일 수 있다. 제1 부분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경로 계층을 표현하고, 제2 부분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안내 계층을 표현할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분리 테이블에 저장될 필요가 없으나, 파일의 논리적인 구별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구성하거나 처리하기 위하여 타일링(tiling)을 사용할 수 있다. 타일링 및 대응하는 맵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데이터 구성의 정의는 국부적인 갱신을 용이케 한다. 도로망의 국부적인 변경으로부터 발생된 맵 데이터 변경은 교환된 완전한 맵 데이터베이스의 요구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구비해야만 타일링의 타일에 위치된 링크에 대한 제1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타일에 대한 제1 속성을 제외함으로써, 저장 공간 요구가 감소될 수 있다.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안내 기능에 대하여 추가 타일링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 타일링은 경로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타일링과 다르거나 동일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타일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구비해야만 추가 타일링의 타일에 위치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대한 제2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타일에 대한 제2 속성을 제외함으로써, 저장 공간 요구가 감소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네비게이션 데이터 표준(NDS; Navigation Data Standrd)에 따른 맵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 따르면, 맵 데이터베이스 생성의 방법이 제공된다. 도로 세그먼트 정보와,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검색된다. 복수의 도로 세그먼트를 위하여,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구비하고; 제1 속성이 도로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차로가 고속 차로이면 도로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링크에 선택적으로 할당되고;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할당되는 제2 속성이 도로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링크의 차로에 선택적으로 할당되는지가 결정된다. 제1 속성 및 제2 속성은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러한 방법은 맵 데이터베이스가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생성되도록 허락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각기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 속성을 포함한다. 맵 데이터베이스가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사용되는 때에, 제1 및 제2 속성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를 위하여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인 제1 속성 할당은 도로 세그먼트의 모든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한 제1 속성의 파라미터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파라미터는 고속 차로를 위해 시행되는 회피 및 선호 옵션을 허락한다.
제1 속성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제1 부분에 저장되고, 제2 속성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제2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부분은 경로 탐색에 대한 데이터를 표현하고, 제2 부분은 경로 안내 정보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한 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정보는 경로 탐색 또는 경로 안내를 위하여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효율적으로 검색될 수 있다.
제1 부분은 제1 테이블이고, 제2 부분은 제1 테이블로부터 분리된 제2 테이블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이블은, 예를 들어 SQL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일 수 있다.
복수의 타일을 포함하고 도로 세그먼트를 포괄하는 타일링이 정의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타일링의 어떤 주어진 타일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와 관련된 데이터가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타일링의 각 타일에 대하여, 제1 속성이 타일링의 개별 타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해야만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타일에 대한 제1 속성을 제외함으로써, 저장 공간 요구가 감소 될 수 있다.
유사하게, 추가 타일링이 경로 안내와 관련된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하여 정의될 수 있다. 추가 타일링은 타일링과 동등할 수 있다. 추가 타일링의 각 타일에 대하여, 제2 속성은 적어도 하나의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추가 타일링의 각 타일에 포함되어야만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타일에 대한 제2 속성을 제외함으로써, 저장 공간 요구가 감소 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의하면,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도로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링크와 제1 및 제2 속성을 포함한다. 제1 속성은 링크의 서브세트에 할당되고, 제2 속성은 링크의 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의 차로에 할당된다. 방법에서, 경로 탐색이 실행된다. 고속 차로에 대한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의 활성화가 감시된다. 경로의 비용은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이 활성화되면 링크에 할당된 제1 속성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조정된다. 방법에서, 경로 안내 정보가 출력된다. 경로 안내 정보는 제2 속성에 근거하여 출력된다.
경로 탐색 수행은 제1 속성이 할당된 링크 확인과,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이 활성화되면 링크에 대한 비용 모델에서의 선택적인 비용 증가 또는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안내 정보 출력은 고속 차로인 차량 환경에서의 제2 속성에 근거한 차로 확인과, 확인 차로에 근거한 음향 또는 시각적인 출력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 탐색은 제2 속성에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택일적 또는 부가적으로,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은 제1 속성에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어떤 관점 또는 실시예에 따른 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맵 데이터베이스 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도로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링크와 속성을 포함하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가 제공되는데, 제1 속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는 서브세트에 포함된 링크를 표시하기 위해 링크의 서브세트에 각각 할당되고, 제2 속성은 각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서브세트에 포함된 링크의 적어도 일부의 차로에 각각 할당되며, 제2 속성은 제1 속성과 다르다.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 표시 속성을 포함하고 네비게이션 데이터 표준(NDS)에 따라 구성된 맵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 캐리어가 제공된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상술한 특성이 이해될 것이며, 나타낸 개별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 또는 분리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음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는 경우 실시예의 다음 상세 설명으로부터 자명해 질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는 유사한 요소와 관련 있다.
발명은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에 고속 차로를 고려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다.
도 2는 맵 데이터베이스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의 경로 탐색 실행에 대한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4는 경로 탐색에서 고속 차로 속성의 사용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경로 안내 정보 출력에 대한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로망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경로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레벨에서의 도 6의 도로망 일부를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과 다른 레벨에서 맵 데이터베이스의 경로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안내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장치(1)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1)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유니트(2)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니트(2)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 또는 주문형 집적회로 형태인 중앙처리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1)는 메모리(3)에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3)는 콤팩트디스크(CD), DVD, 메모리카드와 같은 분리 가능한 메모리뿐만 아니라, 랜덤 접근 메모리, 플레시 메모리 또는 하드드라이브와 같은 여러 타입의 메모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1)는 사용자에게 안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4)를 포함한다. 출력 인터페이스(4)는 시각적 출력장치, 음향 출력장치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1)는 사용자로 하여금 옵션을 설정케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5)를 포함한다. 특히, 입력 인터페이스(5)는 사용자로 하여금 경로 탐색에 대한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을 설정케 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위치센서 및/또는 무선수신기 및/또는 차량 인터페이스와 같은 부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는 네비게이션 장치(1)가 설치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함에 적용될 수 있다. 위치센서는 이동통신망 등에 근거한 위치센서, 갈릴레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수신기는 메모리(3)에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싱 유니트(2)가 다른 차량 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 또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한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케 한다. 차량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MOST(Media Oriented Devices Transport)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는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도로 세그먼트 및 속성을 표현하는 링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링크에 의해 표현된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지를 표시하는 속성을 특별히 포함한다. 상이한 제1 및 제2 속성은,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에게 신호를 보내고/또는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는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5)를 통해 고속 차로에 대한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을 설정하는 때에, 경로 탐색 수행에 대한 제1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는 차로에 할당된 제2 속성과 독립적으로 경로 탐색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는 출력 인터페이스(5)를 통한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는 제1 속성과 독립적으로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그러므로 각기 고속 차로, 경로 탐색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속성, 경로 안내를 위해 사용되는 제2 속성과 관련된, 상이한 제1 및 제2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속성이 링크에 할당되고,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속성은 시작 및 종료 점의 정보 또는 맵 토폴로지(map topology)에 관련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속성은 각기 각각의 링크를 위해 또는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맵 특징을 위해 제공된 데이터 필드의 미리 정의된 수를 갖는 데이터 구조에 저장될 수 있다. 덧붙여, 속성은 각 링크에 존재할 때만, 링크 또는 다른 특징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메모리(3)에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링크에만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유동적인 속성으로서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속성을 포함한다.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속성은 각 링크에 대한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정 포맷 데이터 구조와 분리하여 저장된다.
메모리(3)에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는 상이한 논리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맵 데이터베이스는 상이한 갱신 지역 또는 타일링의 타일과 관련된 상이한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갱신 수행을 용이케 한다. 이것은 도로망에서의 국부적인 변경에 대한 맵 데이터베이스 조정에 대한 맵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수행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러한 갱신은 갱신 지역 또는 도로망에서의 변경에 의한 영향을 받는 타일만을 갱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좀 더 시간 효율적인 방식 또는 오버 디 에어(over-the-air) 갱신으로 좀더 순조롭게 갱신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맵 데이터베이스(10)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다음에 설명된 구조를 갖는 맵 데이터베이스(10)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1)의 메모리(3)에 저장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10)는 경로 계층(11)과 안내 계층(14)을 포함하는 복수의 계층(11),(14)을 포함한다. 경로 계층(11)은 경로 탐색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링크의 출발점 및 종료점과 같은, 도로망의 토폴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계층(11)의 정보는 다양한 비용 모델의 링크와 관련된 비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로 계층(11)의 정보는 선호 또는 회피 옵션에 근거한 경로 탐색에서 링크의 비용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속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로 계층(11)에, 도로망을 세부의 상이 레벨로 표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이한 레벨(12, 13)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망의 모든 도로 세그먼트가 레벨(13)에 존재하는 반면, 도로 세그먼트의 일부는 상위 레벨(12)에서 제외될 수 있다.
안내 계층(14)은 경로 안내를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안내 계층(14)은 특히 안내 정보의 시각적 및/또는 음향적 출력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안내 계층은 세부의 상이 레벨로 도로망을 표현하는 상이 레벨의 데이터를 갖는 레벨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경로 계층(11)과 안내 계층(14)은 메모리에 저장된 분리 테이블처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약보다는, 경로 계층(11)은 SQL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일 수 있고, 안내 계층(14)은 SQL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테이블 일 수 있다. 경로 계층(11)과 안내 계층(14)은 분리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경로 계층(11)과 안내 계층(14)은 한 파일의 논리적인 구분 일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10)는 부가 계층(15-17)을 포함할 수 있다. 네임 계층(name layer)(15)은 도로 명, 번지 또는 유사한 것들의 참조를 포함한다. 트럭 계층(16)은 트럭 또는 대형 트럭에 대한 특정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급 운전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계층(17)은 고급 운전 보조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지점 정보 계층, 음성 표현 계층 또는 기본 맵 표시 계층 등과 같은 부가적 또는 택일적 계층이 제공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10)는 네비게이션 데이터 표준(NDS; Navigation Data Standard)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NDS는 유동적인 속성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고속 차로의 표시 속성이 맵 데이터베이스(10)가 NDS에 따라 설치되는 때에 정의 및 저장되게 한다.
고속 차로의 표시 속성은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제1 속성은 경로 계층(11)에 저장된 데이터를 위해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제1 속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각 링크에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선호 옵션이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도로 세그먼트를 위해 시행될 수 있게 한다. 맵 데이터베이스(10)는 직접 및 간접 링크 모두에 대한 제1 속성을 저장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10)가 상이한 타입의 링크가 구별되도록 구성되면, 맵 데이터베이스(10)는 모든 타입의 링크에 대한 제1 속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데이터베이스(10)가 전적으로 타일링의 타일에 위치된 기본 링크와, 타일 경계를 가로질러 확장한 경로 링크를 포함하면, 맵 데이터베이스(10)는 기본 링크와 경로 링크 모두에 할당된 제1 속성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속성은 파라미터를 구비하되, 부울 파라미터(Boolean parameter) 일 수 있다. 제1 속성이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어떤 링크를 위하여, 도로 세그먼트의 모든 차로가 고속 차로이면, 파라미터는 하나의 값(예를 들어, TRUE)을 가질 수 있다. 고속 차로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차로가 있으면, 파라미터는 다른 값(예를 들어, FALSE)을 가질 수 있다. 제1 속성과 그것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프로세서(2)는 고속 차로에 대한 회피 옵션이 선택되면 경로 탐색에 비용이 증가 되는 경우, 어떤 도로 세그먼트가 완전히 고속 차로로 구성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는 고속 차로에 대한 선호 옵션이 선택되면 경로 탐색에 그의 비용이 감소 되는 경우, 어떤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는지도 결정할 수 있다.
제1 속성은 모든 링크 또는 다른 맵 특징에 대한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고정 포맷 데이터 구조로부터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각 도로 세그먼트를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플래그의 저장 공간을 보유할 필요가 없다. 도로 세그먼트가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도로 세그먼트를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플래그의 저장 공간을 보유할 필요도 없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러한 정보는 유동적인 속성으로서 포함된다. 제1 속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링크가 없는 타일이나 갱신 지역을 위해 제외될 수 있다. 고속 차로 정보 저장에 대한 저장 공간 요구는 그로 인하여 감소 될 수 있다.
경로 탐색 수행시에, 프로세서(2)는 경로 계층(11)에 저장된 제1 속성 및 그것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고속 차로에 대한 회피 옵션 또는 선호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한 절차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좀더 상세히 설명된다.
고속 차로의 제2 속성은 안내 계층(14)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속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도로 세그먼트 만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부의 수행에서, 제2 속성은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인 적어도 하나의 차로와, 고속 차로가 아닌 다른 차로를 가져야만,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선택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제2 속성은 각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지를 프로세서(2)에게 표시하는 안내 계층(14)에 저장될 수 있고, 도로 세그먼트의 어느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로에 대한 제2 속성 할당에 대하여, 부가 정보는 각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링크에 대한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고속 차로인 차로에 대한 하나의 값(예를 들어, "1")과, 고속 차로가 아닌 차로에 대한 다른 값(예를 들어, "0")을 갖는 차로 마스크의 형태로 저장될 것이다. 그러한 부가 정보는 각 차로에 제2 속성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1)가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때에, 프로세서(2)는 경로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하여 안내 계층(14)을 접근한다. 전형적으로, 차량 주변 지역에 관련된 데이터만이 경로 안내를 위해 검색될 수 있다. 안내 계층(14)으로부터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때에, 프로세서(2)는 제2 속성이 각 도로 세그먼트의 하나 또는 여러 차로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2)는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표시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차로 마스크 형태)를 이용하여 제2 속성을 분류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제2 속성은 개별 차로를 위해 분리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는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경로 안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방향을 이용한 음향 출력은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택일적으로, 운전 방향을 이용한 시각적 출력은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2 속성은 모든 링크 또는 다른 맵 특징에 대한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고정 포맷 데이터 구조로부터 분리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표시하는 각 도로 세그먼트를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플래그에 대한 저장 공간을 보유할 필요가 없다. 제2 속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도로 세그먼트가 없는 타일이나 지역을 갱신하기 위해 제외할 수 있다. 고속 차로 정보 저장에 대한 저장 공간 요구는 그럼으로써 감소 될 수 있다.
경로 안내 수행시에, 프로세서(2)는 안내 계층(14)에 저장된 제2 속성에 근거하여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한 절차는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된다.
제1 및 제2 속성이 맵 데이터베이스(10)의 상이한 계층에 분리 저장됨에 반하여, 고속 차로 정보의 적정 유지와 관련된 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추가 저장 공간이 요구된다. 맵 데이터베이스(10)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에 포함된 도로 세그먼트 만을 위해 제1 및 제2 속성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분리된 상이한 계층(11) 및 (14)의 제1 및 제2 속성을 사용함으로써, 맵 데이터베이스(10)로의 억세스는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 모두에서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1)의 프로세서(2)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좀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서(2)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로 탐색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로 안내 모두를 실행할 수 있다.
방법은 도로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링크와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속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도 2 또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속성은 도 3에서 "EXPRESS_ROAD"라고 일컬어 질 것이고, 제1 속성의 파라미터는 "AllLanes"이라고 일컬어 질 것이며, 제2 속성은 "EXPRESS_LANE"이라고 일컬어 질 것이다.
도 3은 경로 탐색 수행에 대한 절차(20)의 흐름도이다.
21에서, 경로 탐색이 시작된다. 경로 탐색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시작될 수 있다. 택일적 또는 부가적으로, 경로 탐색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에도,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경로 탐색에서 이전에 찾았던 경로를 떠나는 때,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다.
22에서, 고속 차로를 갖는 도로에 대한 회피 옵션 또는 선호 옵션이 선택되었는지가 결정된다. 도로에 대한 그러한 회피 옵션 또는 선호 옵션의 선택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고,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만일 고속 차로를 갖는 도로에 대한 회피 옵션 또는 선호 옵션이 선택되지 않은 것이 결정되면, 23에서, 경로 탐색이 맵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된다. 제1 속성(EXPRESS_ROAD)은 이 경로 탐색에서 무시된다.
만일 고속 차로를 갖는 도로에 대한 회피 옵션 또는 선호 옵션이 선택된 것이 결정되면, 24에서, 경로 탐색이 링크의 일부에 할당된 제1 속성(EXPRESS_ROAD)을 고려하여 수행된다. 제1 속성(EXPRESS_ROAD)은 여러 방식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 차로를 갖는 도로에 대한 전체 회피 옵션이 설정되면, 전부 고속 차로로 이루어진 도로를 표현하는 모든 링크는 무시될 수 있다. 택일적 또는 부가적으로, 링크의 비용은, 회피 또는 선호 옵션에 근거하여, 제1 속성(EXPRESS_ROAD)이 할당된 링크를 위해 조정될 수 있다. 그러한 비용의 조정은, 최고속 경로(여행시간 최소화), 최단거리 경로(여행거리 최소화) 또는 최소 연료 소모 경로(연료 소모 최소화) 등과 같은, 다양한 비용 모델의 어떤 하나를 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제1 속성에 근거하여 경로 탐색에서 링크 비용을 조정하기 위한 절차(30)의 흐름도이다. 절차(30)는 도 3의 절차(20)의 24에서 수행되는 경로 탐색에서 비용 조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1에서, 링크가 경로 탐색중에 확인된다. 링크는, 예를 들어 탐색 알고리즘의 확장 단계에서, 확인될 수 있다. 링크는, 예를 들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s algorithm) 또는 A* 알고리즘의 확장 단계에서, 확인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비용의 조정은, 예를 들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또는 A*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전에, 수행될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서, EXPRESS_ROAD 속성을 갖는 모든 링크는 이런 링크들의 비용을 조정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확인될 수 있다.
32에서, 확인된 링크가 그것에 할당된 제1 속성(EXPRESS_ROAD)을 갖는지가 결정된다. 이 결정은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계층 구조를 갖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위하여, 결정은 경로 계층(11)에 저장된 제1 속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확인된 링크가 그것에 할당된 제1 속성(EXPRESS_ROAD)을 갖지 않는 것이 결정되면, 33에서, 링크의 비용은 조정되지 않은 채로 있는다. 경로 탐색은 각 비용 모델의 비용을 표현하는 비용을 이용하여 계속될 수 있다.
만일 확인된 링크가 그것에 할당된 제1 속성(EXPRESS_ROAD)을 갖는 것이 결정되면, 34에서, 고속 차로에 대한 회피 옵션이 설정되었는지가 결정된다.
만일 회피 옵션이 설정되지 않은 것이 결정되면, 35에서, 링크의 비용이 감소된다. 그럼으로써, 고속 차로를 갖는 도로에 대한 선호 옵션이, 제1 속성(EXPRESS_ROAD)이 할당된 링크에 대한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고려된다. 35에서의 링크의 비용 감소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비용 모델의 비용은 1보다 작은 인수로 곱해질 수 있다. 택일적으로, 어떤 값이 각 비용 모델의 비용으로부터 감산 될 수 있다. 35에서의 링크의 비용 감소는 수학적 연산 또는 테이블 룩업(table look up)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경로 탐색은 링크에 대한 감소된 비용을 이용하여 계속 될 수 있다.
만일 회피 옵션이 설정된 것이 결정되면, 36에서, 제1 속성(EXPRESS_ROAD)의 파라미터(AllLanes)가 TRUE 인지가 결정된다.
만일 제1 속성(EXPRESS_ROAD)의 파라미터(AllLanes)가 TRUE가 아니면, 38에서, 링크의 비용은 조정되지 않은 채로 있는다. 그 절차는 각 비용 모델의 비용을 표현하는 비용을 이용하여 계속될 수 있다. 이것은 회피 옵션이 고속 차로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차로를 구비한 회피 도로를 요구하지 않음을 반영한다.
만일 제1 속성(EXPRESS_ROAD)의 파라미터(AllLanes)가 TRUE 인 것이 결정되면, 37에서, 링크의 비용은 증가 된다. 37에서의 링크의 비용 증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비용 모델의 비용은 1 보다 큰 인수로 곱해질 수 있다. 택일적으로, 어떤 값이 각 비용 모델의 비용에 합해 질 수 있다. 37에서의 링크의 비용 증가는 수학적 연산 또는 테이블 룩업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경로 탐색은 증가된 링크 비용을 이용하여 계속될 수 있다.
고속 차로에 대한 회피 및 선호 옵션을 고려한 경로 탐색이 도 3 및 도 4에 예시된데 반하여, 경로 탐색은 고속 차로의 사용이 절대적으로 금지된 그러한 옵션의 변종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각각의 링크는, 제1 속성(EXPRESS_ROAD) 및 그것의 파라미터(AllLanes)에 근거하여, 경로 탐색에서의 고려 사항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40)의 흐름도이다.
41에서, 차량 국지 환경의 도로 세그먼트가 확인된다. 도로 세그먼트는 현재 차량 위치에 근거하여 확인될 수 있다. 도로 세그먼트는 경로 탐색의 결과에 근거하여 더 확인될 수 있다. 41에서 확인된 도로 세그먼트는 안내 정보 출력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에 관한 모든 도로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42에서, 확인된 도로 세그먼트의 어느 하나의 차로가 그것에 할당된 제2 속성(EXPRESS_LANE)을 갖는지가 결정된다. 이 결정은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계층 구조를 갖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위하여, 결정은 안내 계층(14)에 저장된 제2 속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만일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가 그것에 할당된 제2 속성(EXPRESS_LANE)을 갖지 않는 것이 결정되면, 45에서, 안내 정보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 안내 정보는 제2 속성(EXPRESS_LANE)에 근거하여 수정되지 않는다.
만일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가 그것에 할당된 제2 속성(EXPRESS_LANE)을 갖는 것이 결정되면, 43에서, 각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차로의 타입 및 수에 관한 정보가 검색된다. 그 정보는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가 맵 데이터베이스(10) 같이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정보는 안내 계층(14)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검색된 정보는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된 정보는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44에서, 출력 정보가 43에서 검색된 정보에 근거하여 조정된다. 출력 정보 조정은 도로 세그먼트의 어느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음성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출력 정보 조정은 도로 세그먼트의 어느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시각적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택일적 또는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 정보는, 예를 들어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색상 표시 또는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그래픽 아이콘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45에서, 안내 정보가 출력된다. 45에서의 안내 정보 출력에 영향을 주는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포함하면, 안내 정보는 제2 속성(EXPRESS_LANE)에 의해 제공되는 고속 차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고속 차로 및 맵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 속성의 정의가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도로 세그먼트(51-55)를 포함하는 도로망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타일링은 도로망을 포괄하게 정의된다. 타일링은 타일(50)을 포함한다.
복수의 도로 세그먼트(51-55)는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표식 "RS1", "RS5"을 이용하여 참조 표시된다. 도로 세그먼트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RS1" 및 "RS2"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51) 및 (52)는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될 수 있다.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RS3"으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53)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가 아닌 차로를 가질 수 있다. 도로 세그먼트(54) 및 (55)가 어떤 고속 차로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도로 세그먼트(51-55)는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링크에 의해 표현된다. 경로 계층의 데이터와 안내 계층의 데이터 모두는 각 도로 세그먼트가 위치된 타일과 관련하여 각각 구성된다. 이것은 국부적인 갱신을 좀더 용이하게 수행케 한다.
도 7은 경로 계층의 섹션(12)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섹션(12)은, 제외되는 덜 중용한 도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거친 해상도를 갖는 레벨을 표현한다. 레벨에 존재하는 도로 세그먼트의 세트는 예를 들어 기능적인 도로 등급 또는 다른 세그먼트 특징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경로 계층의 섹션(12)은 타일(50)과 관련된 데이터(61)를 포함한다. 데이터(61)는 도로 세그먼트(51-55)를 표현하는 각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로 세그먼트(51-55)를 표현하는 링크에 대한 62에 개략적으로 보인 이 데이터 구조는, 각 링크에 대한 고정된 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조는 미리 정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값은 필드의 각각에 설정되어야 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각 링크를 표시하기 위해 링크에 할당된 제1 속성을 더 포함한다. 제1 속성은 각 도로 세그먼트(51-55)가 위치된 타일(50)에 대한 데이터(61)에 저장될 수 있다.
타일(50)에 대한 데이터(61)는 "RS1" 및 "RS2"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한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63)을 포함한다. 이것은 한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에 할당된 "RS1" 및 "RS2"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가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된 것을 표시한다.
타일(50)에 대한 데이터(61)는 "RS3"으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다른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64)을 포함한다. 이것은 다른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64)이 할당된 "RS3"으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지만,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되지 않은 것을 표시한다.
제1 속성(63), (64)은 링크에 대한 미리 정의된 데이터 구조(62)에 포함되지 않는다. 제1 속성(63), (64)은 유동적인 속성이다. 제1 속성은 각 타일의 적어도 하나의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가져야만 타일을 표현하는 경로 계층의 데이터(6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속성은 속성(EXPRESS_ROAD)로서 표시되고, 제1 속성의 파라미터는 AllLane으로서 표시되었다.
도 8은 도 6의 도로망의 계략도이다. 도 8에서, 도로망은 세부의 큰 레벨로 예시되었다. 도 8과 도 6은 상이한 레벨에서 동일한 도로망을 표현한 데 반하여, 도 8에 예시된 레벨에서 표현된 도로망의 도로 세그먼트(56-59)는 도 6에 예시된 거친 레벨에서 제외되었다.
도로망은 도로 세그먼트(51-55)와 도로 세그먼트(56-59)를 포함한다. 타일링(70)은 도로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타일링은 타일(71-44)을 포함한다. 도 8에 예시된 해상도 레벨에서, 타일(71-74)의 타일 크기는 도 6에 예시된 거친 해상도 레벨에서보다 작게 되도록 선택된다.
도로망은 타일 내에 전부 위치한 도로 세그먼트와, 타일 경계를 가로질러 확장된 도로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 세그먼트(59)는 타일(73) 및 (74) 사이의 경계를 가로질러 확장된다. 맵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하여, 도로 세그먼트(59)는 도로 세그먼트(59)의 토폴로지를 반영하는 한 링크와 관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구조(75), (76)는 각기 오직 한 타일에 위치되지만, 도로 세그먼트(59)의 기하학적 구조를 반영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조(75), (76)는 기하학적 라인이라고 일컬을 수 있다.
더 적은 도로 세그먼트가 제외되거나 도로 세그먼트가 전혀 제외되지 않은 도 8에 표시된 해상도의 레벨에서, 경로 계층 및 안내 계층의 데이터는 각각 타일 마다 구성된다.
도 9는 경로 계층의 섹션(13)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섹션(13)은 도 7의 섹션(12) 보다 세부의 큰 레벨로 도로망을 표현한 레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경로 계층의 섹션(13)에 의해 표현된 세부의 레벨은 모든 도로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계층의 섹션(13)은 타일(71)과 관련된 데이터(81)를 포함한다. 데이터(81)는 타일(71) 내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1) 및 (52)를 표현하는 링크의 각각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로 세그먼트(51) 및 (52)를 표현하는 링크를 위하여 82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이 데이터 구조는, 각 링크에 대한 고정된 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정의된 구조를 갖는다. 값은 필드의 각각에 설정되어야 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각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함을 표시하기 위하여 링크에 할당되는 제1 속성을 더 포함한다. 제1 속성은 각 도로 세그먼트(51) 및 (52)가 위치된 타일(71)에 대한 데이터(81)에 저장될 수도 있다.
타일(71)에 대한 데이터(81)는 "RS1" 및 "RS2"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한 값(예를 들어, "TRUE")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83)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한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83)이 할당된 "RS1" 및 "RS2"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가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되었음을 표시한다.
경로 계층의 섹션(13)은 타일(72)과 관련된 데이터(84)를 포함한다. 데이터(84)는 타일(72) 내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3-55)를 표현하는 각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로 세그먼트(53-55)를 표현하는 링크에 대한 8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이 데이터 구조는, 각 링크에 대한 고정된 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정의된 구조를 갖는다. 값은 각 필드에 설정되어야 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각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함을 표시하기 위하여 링크에 할당된 제1 속성을 더 포함한다. 제1 속성은 각 도로 세그먼트(53-55)가 위치된 타일(72)에 대한 데이터(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타일(72)에 대한 데이터(84)는 "RS3"으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다른 값(예를 들어, "FALSE")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86)을 포함한다. 이것은 다른 값으로 설정된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제1 속성(86)이 할당된 "RS3"으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지만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한다.
경로 계층의 섹션(13)은 타일(73)과 관련된 데이터(87)와, 타일(74)과 관련된 데이터(89)를 포함한다. 데이터(87)는 타일(73) 내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7), (58)를 표현하는 각 링크와, 타일(73)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9)의 부분을 표현하는 기하학적 라인(76)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88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데이터 구조는 미리 정의된 수 및 필드 타입을 갖는 고정된 속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89)는 타일(73) 내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9)의 부분을 표현하는 기하학적 라인(75)과, 도로 세그먼트(56)를 표현하는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90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데이터 구조는 미리 정의된 데이터 필드를 갖는 고정된 속성으로 이루어진다.
타일(73) 및 (74)의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 속성이 타일(73) 및 (74)를 표현하는 데이터(87) 및 (89)에 저장되지 않는다.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타일과 관련된 데이터의 제1 속성을 저장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초과 차로 속성 시행에 대한 저장 공간 요구는 보통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속성은 속성(EXPRESS_ROAD)로서 표시되고, 제1 속성의 파라미터는 AllLanes으로서 표시된다.
도 7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 세그먼트(51-53)에 대한 제1 속성은 도로 세그먼트의 상급 레벨을 표현하는 섹션(12)과, 좀 더 많은 도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하급 레벨을 표현하는 섹션(13) 모두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안내 계층(14)의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8의 도로망에 대해 한번 더 도시한 것이다. 안내 계층(14)은 상이한 정확도로 도로망을 표현하는 복수의 레벨도 포함하지만, 고속 차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차로에 할당되는 제2 속성은 각 레벨에 포함될 필요가 없다. 상이한 레벨이 있으면, 제2 속성은 도로 세그먼트의 최소 수가 제외된 레벨에서, 즉, 도로망이 세부의 최대 레벨로 표현되는 기준 레벨에서, 특별히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레벨만이 도 10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었다.
경로 계층의 제1 속성은 경로 계층의 각 상이한 레벨에 존재할 수 있지만, 안내 계층이 복수의 레벨을 가지면 안내 계층의 한 레벨에만 제2 속성을 포함하면 족하다.
안내 계층(14)은 타일(71)과 관련된 데이터(91)를 포함한다. 데이터(91)는 타일(71) 내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1) 및 (52)를 표현하는 각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로 세그먼트(51) 및 (52)를 표현하는 링크에 대한 92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이 데이터 구조는, 각 링크에 대한 고정된 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정의된 구조를 갖는다. 값은 각 필드에 설정되어야 한다.
맵 데이터베이스는 각 차로가 고속 차로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링크의 차로에 할당되는 제2 속성을 더 포함한다. 제2 속성은 각 도로 세그먼트(51) 및 (52)가 위치된 타일(71)에 대한 데이터(91)에 저장될 수 있다.
타일(71)에 대한 데이터(91)는 "RS1" 및 "RS2"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제2 속성(93)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데이터 구조(94) 및 (95)가 도로 세그먼트(51) 및 (52)의 각 차로에 제2 속성(93)을 할당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구조(94) 및 (95)는, 도로 세그먼트의 각 차로가 고속 차로이면 "1"이고, 도로 세그먼트의 각 차로가 고속 차로가 아니면 "0"인 것과 같이, 하나의 값을 갖는 차로 마스크를 표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고속 차로인 도로 세그먼트(51)의 차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 세그먼트(51)의 차로 마스크를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94)로 제2 속성(93)을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고속 차로인 도로 세그먼트(52)의 차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 세그먼트(52)의 차로 마스크를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95)로 제2 속성(93)을 분류할 수 있다.
안내 계층은 타일(72)과 관련된 데이터(96)를 포함한다. 데이터(96)는 타일(72) 내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3-55)를 표현하는 각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로 세그먼트(53-55)를 표현하는 링크를 위해 97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이 데이터 구조는, 각 링크에 대한 고정된 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정의된 구조를 갖는다. 값은 필드의 각각에 설정되어야 한다.
타일(72)에 대한 데이터(96)는 "RS3"으로 표식된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제2 속성(98)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데이터 구조(99)가 도로 세그먼트(53)의 각 차로에 제2 속성(98)을 할당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구조(99)는 차로 마스크를 표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고속 차로인 도로 세그먼트(53)의 차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 세그먼트(53)의 차로 마스크를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99)로 제2 속성(98)을 분류할 수 있다.
안내 계층(14)은 타일(73)과 관련된 데이터(100)와, 타일(74)과 관련된 데이터(102)를 포함한다. 데이터(100)는 타일(73)의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적어도 고정된 속성(101)을 포함한다. 데이터(102)는 타일(74)의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103)을 포함한다. 타일(73) 및 (74)의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2 속성이 타일(73) 및 (74)를 표현하는 데이터(100) 및 (102)에 저장되지 않는다.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타일과 관련된 데이터에 제2 속성을 저장할 필요가 없다. 그럼으로써, 접근 차로 속성을 이행하기 위한 저장 공간 요구는 보통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0에서, 제2 속성은 속성(EXPRSS_LANE)으로서 표시되었다.
제1 및 제2 속성을 이용하는 다른 맵 데이터베이스가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속성(EXPRESS_LANE)은, 도 10에서 94, 95 및 99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부가적인 데이터 구조에 의해 각 차로에 할당되는 대신에, 각 차로에 직접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각 차로에 대한 직접적인 제2 속성 할당은 각 차로가 맵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별 맵 특징으로 표현되면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도 11은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110)의 흐름도이다. 그 방법은 전자 계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 방법은 도로망의 도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와,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가공 데이터를 사용한다. 그러한 데이터는 나브텍(Navteq) 또는 텔레아틀라스(Teleatlas)와 같은 여러 판매회사에 의해 제공되고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방법을 이용하여, 미가공 데이터는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처리된다.
111에서, 미가공 데이터가 검색된다. 미가공 데이터는 도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와, 도로 세그먼트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미가공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저장 공간 한계 또는 비효율적인 억세스에 기인하여,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에서의 직접적인 사용에 부적합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112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토폴로지 및 기하학적 정보가 결정된다. 토폴로지는 도로 세그먼트의 시작점 및 종료점에 관한 정보, 다른 맵 특징 또는 유사한 것으로의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하학적 정보는 도로 세그먼트의 기하학적 구조 또는 타일링의 한 타일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 일부의 기하학적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폴로지 정보는 도로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맵 데이터에서의 링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113에서,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는지가 결정된다.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를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고속 차로를 표시하는 속성이 도로 세그먼트를 위해 저장될 필요가 없다. 방법은 111로 회귀 될 것이다.
도로 세그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는 것이 결정되면, 114에서, 제1 속성(EXPRESS_ROAD)이 링크에 할당된다. 제1 속성은 맵 데이터의 후속 저장을 위해 등록될 수 있다. 제1 속성은 그렇지만 즉시 저장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타일에 위치된 상이한 도로 세그먼트에 할당된 제1 속성은 후속 저장에 대하여 집계될 수 있다.
115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모든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가 결정된다. 도로 세그먼트가 고속 차로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차로를 갖는 것이 결정되면, 116에서, 제1 속성(EXPRESS_ROAD)의 부울 파라미터(AllLanes)는 FALSE로 설정된다. 도로 세그먼트의 모든 차로가 고속 차로인 것이 결정되면, 117에서, 제1 속성(EXPRESS_ROAD)의 부울 파라미터(AllLanes)는 TRUE로 설정된다. 그 파라미터는 맵 데이터의 후속 저장을 위해 등록될 수 있다. 그 파라미터는 그렇지만 즉시 저장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제1 속성은 타일에 위치된 상이한 도로 세그먼트에 할당된 각 설정 파라미터와 함께 후속 저장에 대하여 집계될 수 있다.
118에서, 제2 속성(EXPRESS_LANE)은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할당된다. 제2 속성은 차로의 어느 하나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할당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속성(EXPRESS_LANE)은 고속 차로인 차로에만 할당될 수 있다.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대한 제2 속성(EXPRESS_LANE) 할당은, 도 10의 94, 95 및 9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적인 차로로 제2 속성과 연관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데이터 구조는 어떤 2진 숫자가 도로 세그먼트의 각 차로를 표현하는 차로 마스크 포맷을 가질 수 있다. 택일적으로, 제2 속성(EXPRESS_LANE)은 차로 마스크 필요없이, 도로 세그먼트의 각 차로와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119에서, 제1 속성(EXPRESS_ROAD)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경로 계층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속성(EXPRESS_LANE)은 맵 데이터베이스의 안내 계층에 저장될 수 있다.
각 도로 세그먼트를 위하여 맵 데이터베이스에 제1 및 제2 속성을 개별적으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타일링이 정의되고 단계 111-118은 타일에 포함된 모든 도로 세그먼트를 위해 먼저 반복된다. 제1 속성이 할당된 링크와 제2 속성이 할당된 차로에 관한 정보는 타일의 모든 도로 세그먼트를 위하여 단계 111-118이 수행된 이후 후속하여 집계되고 저장될 수 있다. 이 처리는 다른 타일에 대하여 되풀이하여 반복될 수 있다.
방법에서, 타일이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는 어떤 도로 세그먼트를 갖지 않으면, 맵 데이터베이스의 타일을 표현하는 데이터에 제1 속성 또는 제2 속성을 저장할 필요가 없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도로 세그먼트의 모든 차로가 고속 차로이면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대한 제2 속성을 저장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즉, 방법은 단계 117로부터 직접 단계 119로 진행될 것이다. 그러므로, 일부 실시예에서, 맵 데이터베이스는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는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를 위해서만 제2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맵 데이터는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제한 보다 예를 들어, 맵 데이터베이스는 NDS에 따른 맵 데이터베이스 셋업 일 수 있다. 제1 속성 및 제2 속성은 NDS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유동적인 속성일 수 있다.
도 11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맵 데이터베이스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상세히 설명된데 반하여, 수정은 다른 실시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맵 데이터베이스는 타일링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 타일링이 맵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면, 타일링은 정방형 타일링 일 필요는 없고 도로망을 포괄하는 어떤 다른 타일링 일 수 있다. 상이한 타일링이 경로 및 안내 기능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로 계층에 대하여 정의된 타일링은 타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런 타일들은 안내 계층을 위해 정의된 다른 타일링의 타일과 다른 크기 및/또는 형태일 수 있다.
좀 더 예를 들면, 제1 속성은 부울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음에 반하여, 제1 속성은 다른 파라미터 타입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속성은 정수 파라미터 타입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파라미터는 각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예를 들면, 실시예의 맵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어떤 도로 세그먼트에 대한 제2 속성을 포함하는데 반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맵 데이터베이스는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된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대한 제2 속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고속 차로인 차로에 관한 정보는 제1 속성 및 그것의 파라미터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1;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2; 프로세서
3; 메모리
4; 출력 인터페이스
5; 입력 인터페이스
10; 맵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링크와 속성(63, 64, 83, 86, 93, 98)을 포함하는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베이스(10)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연결되고, 적어도 제1 속성(63, 64, 83. 86)에 근거하여 경로 탐색을 수행하고, 적어도 제2 속성(93, 98)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유니트(2)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는 도로 세그먼트(51-59)를 표현하고, 제1 속성(63, 64, 83, 86)은 상기 링크의 서브세트에 각각 할당되어 상기 서브 세트에 포함된 상기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구비함을 표시하며, 제2 속성(93, 98)은 상기 서브세트에 포함된 상기 링크의 적어도 한 부분의 차로에 각각 할당되어 각 도로 세그먼트(51-53)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속성(93, 98)은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는 각 링크에 대한 데이터 구조(62, 82, 85, 88, 90, 92, 97, 101, 103), 및 데이터 필드의 각각에 대해 각기 설정된 값을 갖는 링크에 대한 고정된 수의 데이터 필드를 갖는 데이터 구조(62, 82, 85, 88, 90, 92, 97, 101, 10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 및 상기 제2 속성(93, 98)은 상기 데이터 구조(62, 82, 85, 88, 90, 92, 97, 101, 103)로부터 분리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은 부울 (Boolean) 파라미터를 갖고,
    상기 프로세싱 유니트(2)는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 및 상기 부울 파라미터 모두에 근거하여 링크에 대한 경로 탐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에서, 제1 값으로 설정된 상기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제1 속성(63, 83)은 전부 고속 차로로 구성된 링크(51, 52)에 각각 할당되고, 상기 제1 값과 상이한 제2 값으로 설정된 상기 부울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제1 속성(64, 86)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 및 적어도 하나의 비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링크(53)에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는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은 상기 제1 부분(11)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속성(93, 98)은 상기 제2 부분(14)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니트(2)는 상기 제1 부분(11)에 저장된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 부분(14)으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1)은 제1 테이블이고 상기 제2 부분(14)은 상기 제1 테이블과 상이한 제2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도로 세그먼트(51-59)는 타일링 (tiling)의 적어도 하나의 타일 (tile)(50, 71-74)에 위치되고,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는, 상기 링크에 의해 표현된 도로 세그먼트(51-53)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가지는 경우에만, 상기 타일링의 타일(50, 71-74)에 위치된 링크(51-53)에 대한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 링크는 추가 타일링의 적어도 하나의 타일(71-74)에 위치되고,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는 상기 추가 타일링의 상치 타일(71-74)에 위치된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의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가져야만 상기 추가 타일링의 타일(71-74)에 위치된 도로 세그먼트(51-59)의 차로에 대한 상기 제2 속성(93,9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9. 도로 세그먼트(51-59)와 각 도로 세그먼트의 차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복수의 도로 세그먼트(51-59)에 대해,
    -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갖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 중 적어도 하나의 차로가 고속 차로인 경우,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를 표현하는 링크에 제1 속성(63, 64, 83, 86)을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단계;
    -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의 어떤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의 차로에 제2 속성(93, 98)을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과 상기 제2 속성(93, 98)을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을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의 모든 차로가 고속 차로인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의 제1 부분(11)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속성(93, 98)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의 제2 부분(14)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부분(11)은 경로 탐색에 대한 데이터를 표현하고, 상기 제2 부분(14)은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타일(50, 71-74)을 포함하고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를 포괄하는 타일링이 정의되고,
    상기 타일링의 각 타일(50, 71-74)에 대하여,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이 상기 타일링의 각 타일(50, 71-74)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도로 세그먼트(51-59)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해야만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타일(71-74)을 포함하고 상기 도로 세그먼트(51-59)를 포괄하는 추가 타일링이 정의되고,
    상기 추가 타일링의 각 타일(71-74)에 대하여, 제2 속성(93, 98)이 상기 추가 타일링(71-74)의 각 타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도로 세그먼트(51-59)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차로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4. 고속 차로에 대한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의 활성화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선호 또는 회피 옵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링크에 할당된 제1 속성(63, 64, 83, 86)에 근거하여 경로의 비용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제2 속성(93, 98)에 근거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맵 데이터베이스(10)는 도로 세그먼트(51-59), 제1 속성(63, 64, 83, 86) 및 제2 속성(93, 98)을 표현하는 링크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은 링크(51-53)의 서브세트에 할당되고, 상기 제2 속성(93, 98)은 상기 링크(51-53)의 서브세트 중 적어도 일 부분의 차로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은 상기 제2 속성(93, 98)과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경로 안내 정보의 출력은 상기 제1 속성(63, 64, 83, 86)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20012654A 2011-02-09 2012-02-08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940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3921.9A EP2487461B1 (en) 2011-02-09 2011-02-09 Vehicle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EP11153921.9 2011-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042A true KR20120092042A (ko) 2012-08-20
KR101940613B1 KR101940613B1 (ko) 2019-04-10

Family

ID=4411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654A KR101940613B1 (ko) 2011-02-09 2012-02-08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0330B2 (ko)
EP (1) EP2487461B1 (ko)
JP (1) JP6012183B2 (ko)
KR (1) KR101940613B1 (ko)
CN (1) CN102636176B (ko)
CA (1) CA276322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90B1 (ko) * 2019-11-28 2020-12-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티에서 2-sat을 이용한 도로망 일방통행 결정 방법
KR102383421B1 (ko) 2020-12-07 2022-04-05 김동진 휴대폰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7751B2 (en) * 2012-11-09 2015-10-13 Here Global B.V.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WO2014081364A1 (en) * 2012-11-26 2014-05-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oute determination in a multi-hop network using multiple routing metrics
US9121719B2 (en) * 2013-03-15 2015-09-01 Abalta Technologies, Inc. Vehicle range projection
US9689690B2 (en) * 2015-07-13 2017-06-27 Here Global B.V. Indexing routes using similarity hashing
EP4180893A1 (en) * 2015-11-04 2023-05-17 Zoox, Inc. Tele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jectory modification of autonomous vehicles
US9851212B2 (en) 2016-05-0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ute generation using road lane line quality
DE102016220308A1 (de) * 2016-10-18 2018-04-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digitalen Straßenmodellen aus Luft- oder Satellitenbildern und von Fahrzeugen erfassten Daten
US10042362B2 (en) 2016-11-18 2018-08-07 Waymo Llc Dynamic routing for autonomous vehicles
CN110914777B (zh) 2016-12-30 2023-05-26 辉达公司 用于自主车辆的高清地图以及路线存储管理系统
CN107466359A (zh) * 2017-07-06 2017-12-12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道路表征方法、显示道路信息的方法与设备
CN109584706B (zh) * 2018-10-31 2021-08-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子地图车道线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346693B1 (en) * 2019-01-22 2019-07-09 StradVision, Inc. Method and device for attention-based lane detection without post-processing by using lane mask and testing method and testing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3189A (ja) * 1997-12-19 1999-07-09 Aisin Seiki Co Ltd 移動体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5061988A (ja) * 2003-08-12 2005-03-10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探索方法
JP2007240338A (ja) * 2006-03-09 2007-09-20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8425B2 (ja) * 1999-12-24 2007-04-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241447A1 (en) * 2001-03-13 2002-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terminal and cartograph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7818116B1 (en) * 2002-12-30 2010-10-19 Mapquest, Inc. Presenting a travel route in a ground-based vehicle
JP4727245B2 (ja) * 2005-02-08 2011-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情報処理装置
DE102006013389A1 (de) * 2006-03-23 2007-09-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Navigationssystems
DE102006057285A1 (de) * 2006-12-05 2008-06-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erinformationssystems, Fahrerinformationssystem und Datenträger
JP4753999B2 (ja) * 2006-12-18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981413B (zh) * 2008-04-28 2013-03-20 三菱电机株式会社 导航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3189A (ja) * 1997-12-19 1999-07-09 Aisin Seiki Co Ltd 移動体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5061988A (ja) * 2003-08-12 2005-03-10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探索方法
JP2007240338A (ja) * 2006-03-09 2007-09-20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90B1 (ko) * 2019-11-28 2020-12-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티에서 2-sat을 이용한 도로망 일방통행 결정 방법
KR102383421B1 (ko) 2020-12-07 2022-04-05 김동진 휴대폰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12183B2 (ja) 2016-10-25
CA2763228A1 (en) 2012-08-09
CA2763228C (en) 2014-12-02
EP2487461A1 (en) 2012-08-15
CN102636176A (zh) 2012-08-15
KR101940613B1 (ko) 2019-04-10
JP2012168169A (ja) 2012-09-06
EP2487461B1 (en) 2015-10-07
CN102636176B (zh) 2017-03-01
US8700330B2 (en) 2014-04-15
US20120203459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613B1 (ko)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US8396652B2 (en) Map data providing method
US7257484B2 (en) Method for searching car navigation path by using log file
JP6968171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070168121A1 (en) Map depiction device, navigation apparatus, file renewing method, file renewing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for file renewing program
US9243926B2 (en) Electronic map system
EP29515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navigational applications
JP7013512B2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8676507B2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JP2005291872A (ja) 地図データ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02658A1 (en) Vehicle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200613879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
JP7032471B2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530854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21162343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1162341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1162339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1162326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1162345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0166513A (ja) 案内システム、及び案内プログラム
JP2021162334A (ja) 情報処理装置、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4226623A (ja) 音響情報表示装置
JP2021162338A (ja) 経路案内装置、プログラム、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3214867A (ja) 地図情報作成方法及び作成装置並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