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018B1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1018B1 KR100801018B1 KR1020070034451A KR20070034451A KR100801018B1 KR 100801018 B1 KR100801018 B1 KR 100801018B1 KR 1020070034451 A KR1020070034451 A KR 1020070034451A KR 20070034451 A KR20070034451 A KR 20070034451A KR 100801018 B1 KR100801018 B1 KR 1008010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blade
- spring
- cover memb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시에만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렌즈에 이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는, 카메라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를 개폐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반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카메라 보호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일방향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타방향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3의 작동과정에서의 내부구조의 상태를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방커버, 12, 22 : 개방부,
16 : 슬롯공, 18, 38 : 지지돌기,
20 : 후방커버, 26 : 가이드홀,
28 : 삽입공, 30 : 블레이드,
35 : 가이드돌기, 36 : 레버,
40 : 스프링, 50 :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시에만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렌즈에 이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의 휴대 단말기에는 소형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통상 렌즈가 외부로 항상 노출되어 있어서 렌즈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화질이 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소형 카메라에서도 오토 포커싱과 줌을 실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출시되었다.
이와 같은 오토 포커싱과 줌을 실행할 수 있는 카메라는, 각 렌즈들 간의 간격과 이미지센서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소형 카메라는 내부에 복잡한 구동부가 실장되므로, 과거의 단촛점 방식의 소형 카메라와 달리 내부를 폐쇄시키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개방되는 개방부를 통하여 카메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었고, 침투한 이물질은 구동부의 부품들의 동작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특히 이미지센서에 미세한 먼지가 달라붙을 경우, 렌즈에 이물질이 붙은 것 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극도의 화질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이미지센서에 먼지가 붙는 경우에는, 그 먼지를 청소할 수 없으므로 카메라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시에만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렌즈에 이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는, 카메라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를 개폐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반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블레이드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을 때 이동중 보다 더 이완되게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일방향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타방향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과정에서의 내부구조의 상태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50)의 카메라 보호장치는 커버부재와, 블레이드(30)와,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는 카메라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50)에 고정 장착되어 카메라의 전방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상기 카메라를 개폐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50)에 설치된 카메라의 전방에 설치되고 개방부(12,22)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50)에 설치된 카메라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블레이드(30)와 스프링(40)에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두 개의 부재로 분리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커버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10)와 후방커버(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커버(10)와 후방커버(20)에는 각각 개방부(1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12,22)에는 휴대 단말기(50)에 장착된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30)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개방부(12,22)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상기 블레이드(30)가 상기 개방부(12,22)를 개폐함으로서 휴대 단말기(50)에 장착된 카메라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30)에는 상기 전방커버(10) 방향으로 레버(36)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커버(10)에는 상기 레버(36)가 관통하는 슬롯공(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레버(36)를 잡고 슬라이딩시킴으로서, 상기 레버(36)는 상기 슬롯공(16)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된다.
도 3(a)는 상기 전방커버(10)를 정면으로 하여 상기 블레이드(30)의 이동에 의해 개방부(12,22)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상기 후방커버(20)를 정면으로 하여 상기 블레이드(30)에 의해 개방부(12,22)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 즉 공간부에는 상기 블레이드(30)와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4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블레이드(30)와 후면커버(20)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블레이드(3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레이드(30)와 전방커버(10)에는 상기 스프링(40)의 양단 이 삽입 고정되는 지지돌기(18,38)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커버(20)에는 상기 전방커버(10)에 형성된 지지돌기(18)가 삽입되는 삽입공(2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0)의 일단은 상기 블레이드(30)와 후방커버(20) 사이에서 상기 전방커버(10)에 형성된 지지돌기(18)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블레이드(30)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돌기(38)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커버(10)에 형성된 지지돌기(18)의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30)의 두께보다 커서 상기 스프링(40)의 타단이 상기 블레이드(30)와 후방커버(20) 사이에서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0)은 M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토션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30)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30)에는 가이드돌기(35)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의 후방커버(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5)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홀(26)은 양측이 폐쇄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돌기(35)가 슬라이딩될 때 스토퍼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한다.
도 4(a)는 상기 개방부(12,22)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상기 개방부(12,22)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30)가 개방 또 는 폐쇄되었을 때가 이동중 보다 더 이완되게 장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블레이드(30)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을 때 양단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프링(40)의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돌기(18,38)를 연결한 선이 경사지게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부(12,2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40)의 상단 즉 상기 블레이드(30)에 형성된 지지돌기(38)가 전면커버(10)에 형성된 지지돌기(18)보다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블레이드(30)의 레버(36)를 잡고 왼쪽으로 밀면, 상기 스프링(4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가상선이 상기 블레이드(3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될 때까지 상기 스프링(40)은 압축되게 된다.
이 상태를 넘어가게 되면 압축된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30)는 자동적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부(12,22)를 폐쇄하게 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부(12,22)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40)의 상단 즉 상기 블레이드(30)에 형성된 지지돌기(38)가 전면커버(10)에 형성된 지지돌기(18)보다 왼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3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5)는 상기 커버부재의 가이 드홀(2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홀(26)을 폐쇄된 양단에 접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개방부(12,22)를 개방할 경우에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레버(36)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개방부(12,22)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50) 카메라가 보호장치는 사용자가 절반 정도 밀고 놓으면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반자동 형식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부(12,22)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50)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시에만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렌즈에 이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반자동적으로 상기 블레이드(30)를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개방부(12,22)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시에만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렌즈에 이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반자동적으로 블레이드를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Claims (4)
- 카메라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를 개폐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와;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블레이드와;상기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반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은 상기 블레이드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을 때 이동중 보다 더 이완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블레이드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고,상기 커버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4451A KR100801018B1 (ko) | 2007-04-07 | 2007-04-07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US12/088,259 US20080212958A1 (en) | 2006-04-26 | 2007-04-25 |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
JP2008533263A JP2009510516A (ja) | 2006-04-26 | 2007-04-25 | 小型カメラ用保護装置 |
PCT/KR2007/002023 WO2007123372A1 (en) | 2006-04-26 | 2007-04-25 | A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
EP07746183A EP2011244A4 (en) | 2006-04-26 | 2007-04-25 | PROTECTION DEVICE FOR SMALL PHILOSOPHYPATH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4451A KR100801018B1 (ko) | 2007-04-07 | 2007-04-07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1018B1 true KR100801018B1 (ko) | 2008-02-04 |
Family
ID=3934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4451A KR100801018B1 (ko) | 2006-04-26 | 2007-04-07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10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464B1 (ko) | 2007-09-03 | 2009-11-03 | (주)엘티엠에이피 |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WO2010032930A2 (ko) * | 2008-09-17 | 2010-03-25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02607A (en) | 1989-11-06 | 1997-02-11 | Nikon Corporation | Camera with lens protection barrier member opened/closed with uniform force |
JP2000147599A (ja) * | 1998-11-11 | 2000-05-26 | Konica Corp | レンズバリア開閉機構 |
KR20010037211A (ko) * | 1999-10-14 | 2001-05-07 | 이중구 | 줌 카메라의 배리어 개폐 장치 |
JP2003195393A (ja) * | 2001-12-25 | 2003-07-09 | Ricoh Co Ltd | 光学系バリア装置およびカメラ |
KR20030061991A (ko) * | 2002-01-15 | 2003-07-2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컴팩트 줌 카메라의 렌즈 캡 |
US20050025476A1 (en) * | 2003-07-30 | 2005-02-03 | Fuji Photo Film Co., Ltd. | Lens protection mechanism and camera with lens protection mechanism |
KR20060106527A (ko) * | 2005-04-09 | 2006-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
-
2007
- 2007-04-07 KR KR1020070034451A patent/KR1008010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02607A (en) | 1989-11-06 | 1997-02-11 | Nikon Corporation | Camera with lens protection barrier member opened/closed with uniform force |
JP2000147599A (ja) * | 1998-11-11 | 2000-05-26 | Konica Corp | レンズバリア開閉機構 |
KR20010037211A (ko) * | 1999-10-14 | 2001-05-07 | 이중구 | 줌 카메라의 배리어 개폐 장치 |
JP2003195393A (ja) * | 2001-12-25 | 2003-07-09 | Ricoh Co Ltd | 光学系バリア装置およびカメラ |
KR20030061991A (ko) * | 2002-01-15 | 2003-07-2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컴팩트 줌 카메라의 렌즈 캡 |
US20050025476A1 (en) * | 2003-07-30 | 2005-02-03 | Fuji Photo Film Co., Ltd. | Lens protection mechanism and camera with lens protection mechanism |
KR20060106527A (ko) * | 2005-04-09 | 2006-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464B1 (ko) | 2007-09-03 | 2009-11-03 | (주)엘티엠에이피 |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WO2010032930A2 (ko) * | 2008-09-17 | 2010-03-25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
WO2010032930A3 (ko) * | 2008-09-17 | 2010-06-24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
KR100997416B1 (ko) | 2008-09-17 | 2010-11-30 |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0859B2 (en) | Lens cov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640798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 |
JP2004109970A (ja) | 撮像装置 | |
US20080205879A1 (en)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 |
WO2004080039A1 (ja) | 携帯端末 | |
KR100880981B1 (ko) | 휴대용 통신 장치의 카메라 도어 개폐 장치 | |
JP2005156975A (ja) | レンズ移動装置 | |
KR100548339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 |
US20080212958A1 (en) |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 |
US20100239242A1 (en) | Safeguard 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lens | |
KR20140005658A (ko) | 촬영각 조절용 프리즘부재 및 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 |
KR100801018B1 (ko)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
US7369178B2 (en) |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 |
KR100801012B1 (ko)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
KR100751942B1 (ko)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 |
JP4923575B2 (ja) | カメラ | |
WO2013190985A1 (ja) |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 |
KR100729640B1 (ko) |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 |
JP3331449B2 (ja) | レンズカバー開閉表示装置 | |
KR20070111672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 |
KR100818699B1 (ko) | 휴대폰의 카메라 보호장치 | |
KR100819755B1 (ko) | 휴대폰의 카메라 보호장치 | |
KR100704975B1 (ko) |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 |
KR200355876Y1 (ko) |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의 줌렌즈 착탈 장치 | |
KR101036466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