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975B1 -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975B1
KR100704975B1 KR1020050064334A KR20050064334A KR100704975B1 KR 100704975 B1 KR100704975 B1 KR 100704975B1 KR 1020050064334 A KR1020050064334 A KR 1020050064334A KR 20050064334 A KR20050064334 A KR 20050064334A KR 100704975 B1 KR100704975 B1 KR 100704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lade
link
gear
camer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225A (ko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to KR102005006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975B1/ko
Priority to US11/994,902 priority patent/US20080205879A1/en
Priority to CN200910266313A priority patent/CN101738822A/zh
Priority to PCT/KR2006/001510 priority patent/WO2007011106A1/en
Priority to CN2006800259471A priority patent/CN101223774B/zh
Priority to JP2008521296A priority patent/JP2009501357A/ja
Priority to EP06747419A priority patent/EP1905227A4/en
Publication of KR2007000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Abstract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개폐장치는, 프레임의 중심영역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방하기 위한 제 1개방구가 형성된 차단판과, 프레임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손잡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되며 제 1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와, 차단판에 축지지되며 제 1기어치에 치합되는 제 2기어치가 형성되는 제 1링크와, 제 1링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제 1개방구를 개폐시키는 제 1블레이드를 갖는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할 때에만 카메라장치의 개방부를 개방하고,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카메라장치, 개방구, 개폐장치

Description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요부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20: 차단판
22: 제 1개방구 24: 슬라이딩면
26: 제 1슬라이드홈 28: 제 2슬라이드홈
40: 손잡이 50: 랙기어
52: 제 1기어치 60: 제 1링크
62: 제 2기어치 64: 제 1장공
70: 제 2링크 72: 제 3기어치
74: 제 2장공 80: 제 1블레이드
82: 제 1돌기 90: 제 2블레이드
92: 제 2돌기 100: 덮개판
본 발명은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카메라장치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할 때에만 개방부를 개방하고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의 통신기기에는 소형의 카메라장치가 장착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카메라장치로 과거에는 단촛점 방식의 카메라장치가 사용되었다.
단촛점 방식의 카메라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이 투과되는 다수의 렌즈와 투과된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센서 등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카메라장치의 경우에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되었고, 최전방의 렌즈만이 외부로 표출되었다.
따라서 최전방의 렌즈에만 먼지가 묻게 되어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영상의 화질을 흐릴 염려가 있었고, 사용자가 최전방의 렌즈를 청소하면 다시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의해 소형 카메라장치에서도 오토 포커싱과 줌을 실행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은 오토 포커싱과 줌을 실행하려면, 각 렌즈들간의 간격과 이미지센서와의 간격을 조정하여야 하므로, 각 렌즈들을 기계적으로 구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소형 카메라장치는 내부에 복잡한 구동부가 실장되므로, 과거의 단촛점 방식의 소형 카메라장치와 달리 내부를 폐쇄시키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개방되는 개방부를 통하여 카메라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었고, 침투한 이물질은 구동부의 부품들의 동작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특히 이미지센서에 미세한 먼지가 달라붙을 경우, 렌즈에 이물질이 붙은 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극도의 화질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이미지센서에 먼지가 붙는 경우에는, 그 먼지를 청소할 수 없으므로 카메라장치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기 전에 개방부에서 이물질을 차단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카메라장치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할 때에만 개방부를 개방하고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의 개방부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링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심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기 위한 제 1개방구가 형성된 차단판;
상기 프레임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되며, 제 1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
상기 차단판에 축지지되고, 상기 제 1기어치에 치합되는 제 2기어치가 상기 축지지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원주상에 형성되는 제 1링크; 및
상기 제 1링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 1개방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제 1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링크에는 제 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블레이드에는 상기 제 1장공에 결합되는 제 1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와 상기 제 1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는, 상기 차단판에 축지지되고, 상기 제 2기어치에 치합되는 제 3기어치가 축지지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원주상에 형성되는 제 2링크; 및
상기 제 2링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 1개방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제 2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링크에는 제 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블레이드에는 상기 제 2 장공에 결합되는 제 2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와 상기 제 1블레이드 및 상기 제 2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요부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개폐장치는, 카메라장치의 개방부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링형의 프레임(10); 프레임(10)의 중심영역에 설치되며, 개방부를 개방하기 위한 제 1개방구(22)가 형성된 차단판(20); 프레임(10)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40); 손잡이(40)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되며, 제 1기어치(52)가 형성된 랙기어(50); 차단판(20)에 축지지되고, 제 1기어치(52)에 치합되는 제 2기어치(62)가 축지지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원주상에 형성되는 제 1링크(60); 및 제 1링크(6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제 1개방구(22)를 개폐 가능하도록 차단판(20)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제 1블레이드(8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소형 카메라장치의 렌즈에 빛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개방되는 개방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소형 카메라장치는 개방부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프레임(10)은 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40)는 프레임(10)을 따라 소정구간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제 1링크(60)에는 제 1장공이 형성되고, 제 1블레이드(80)에는 제 1장공에 결합되는 제 1돌기(82)가 형성된다.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손잡이(40)와 제 1블레이드(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100)이 구비된다.
또한 차단판(20)에 축지지되고, 제 2기어치(62)에 치합되는 제 3기어치(72)가 축지지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원주상에 형성되는 제 2링크(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1링크(60)와 제 2링크(70)는 서로 맞물려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 2링크(7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제 1개방구(22)를 개폐 가능하도록 차단판(20)에 슬라이드 되는 제 2블레이드(90)가 설치된다. 제 1블레이드(80)와 제 2블레이드(90)는 양측에서 동시에 제 1개방구(22)의 위를 덮어서 폐쇄하거나, 동시에 벌어져서 제 1개방구(22)를 개방한다.
차단판(20)에는 제 1블레이드(80)와 제 2블레이드(90)가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면(24)이 다른 부분과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어, 제 1블레이드(80)와 제 2블레이드(90)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차단판(20)에는 제 1돌기(82) 및 제 2돌기(92)가 이동할 수 있는 제 1슬라이드홈(26) 및 제 2슬라이드홈(2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블레이드가 사용됨에 따라 제 1개방구(22)를 개폐하는 속 도가 2배로 빨라진다. 또한 두개의 블레이드가 사용됨에 따라 각 블레이드의 크기가 반으로 줄게 되어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보다 자유로워진다.
제 2링크(70)에는 제 2장공(74)이 형성되고, 제 2블레이드(90)에는 제 2장공(74)에 결합되는 제 2돌기(92)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손잡이(40)와 제 1블레이드(80) 및 제 2블레이드(90)의 이탈을 방지하며 제 1개방구(22)에 일치되는 제 2개방구(102)가 형성된 덮개판(100)이 구비된다. 따라서 차단판(20)과 덮개판(100)에 손잡이(40)와 제 1블레이드(80) 및 제 2블레이드(90)가 놓이게 된다.
또한 차단판(20)의 아래에도 제 1링크(60) 및 제 2링크(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판이 프레임(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잡이(40)를 밀면, 손잡이(40)에 고정된 랙기어(5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랙기어(50)의 제 1기어치(52)에 치합된 제 2기어치(62)를 갖는 제 1링크(60)가 회전하고, 제 2기어치(62)에 치합된 제 3기어치(72)가 제 1링크(6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링크(60)와 제 2링크(70)의 회전에 의해 제 1블레이드(80)와 제 2블레이드(90)가 차단판(20)상에서 동시에 벌어져 제 1개방구(22)를 개방한다.
제 1블레이드(80)의 제 1돌기(82)는 제 1링크(60)의 제 1장공(6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링크(60)의 회전운동이 제 1블레이드(8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는데 저항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제 2블레이드(90)의 제 2돌기(92)도 제 2링 크(70)의 제 2장공(7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2링크(70)의 회전운동이 제 2블레이드(9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는데 저항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1개방구(22)가 개방되면, 빛이 소형 카메라장치의 개방부로 들어가므로 카메라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40)를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개방과정과 역순으로 진행되어 제 1블레이드(80)와 제 2블레이드(90)가 제 1개방구(22)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제 1개방구(22)가 폐쇄되면, 소형 카메라장치의 개방부 또한 폐쇄되는 결과가 되어 소형 카메라장치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할 때에만 카메라장치의 개방부를 개방하고, 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카메라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카메라장치의 개방부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링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심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기 위한 제 1개방구가 형성된 차단판;
    상기 프레임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되며, 제 1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
    상기 차단판에 축지지되고, 상기 제 1기어치에 치합되는 제 2기어치가 상기 축지지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원주상에 형성되는 제 1링크;
    상기 제 1링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 1개방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제 1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링크에는 제 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블레이드에는 상기 제 1장공에 결합되는 제 1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와 상기 제 1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는,
    상기 차단판에 축지지되고, 상기 제 2기어치에 치합되는 제 3기어치가 축지지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의 원주상에 형성되는 제 2링크; 및
    상기 제 2링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 1개방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에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제 2블레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링크에는 제 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블레이드에는 상기 제 2장공에 결합되는 제 2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와 상기 제 1블레이드 및 상기 제 2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제 1개방구에 일치되는 제 2개방구가 형성된 덮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KR1020050064334A 2005-07-15 2005-07-15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KR10070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34A KR100704975B1 (ko) 2005-07-15 2005-07-15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US11/994,902 US20080205879A1 (en) 2005-07-15 2006-04-21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CN200910266313A CN101738822A (zh) 2005-07-15 2006-04-21 小型摄像机用开闭装置
PCT/KR2006/001510 WO2007011106A1 (en) 2005-07-15 2006-04-21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CN2006800259471A CN101223774B (zh) 2005-07-15 2006-04-21 小型摄像机用开闭装置
JP2008521296A JP2009501357A (ja) 2005-07-15 2006-04-21 小型カメラ用開閉装置
EP06747419A EP1905227A4 (en) 2005-07-15 2006-04-21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PHOTOGRAPHIC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34A KR100704975B1 (ko) 2005-07-15 2005-07-15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225A KR20070009225A (ko) 2007-01-18
KR100704975B1 true KR100704975B1 (ko) 2007-04-10

Family

ID=3801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334A KR100704975B1 (ko) 2005-07-15 2005-07-15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2568A (zh) * 2021-05-21 2021-08-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杯托组件及具有其的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41A (ko) * 2004-01-16 200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41A (ko) * 2004-01-16 200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225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427B1 (ko) 홍채 인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US8625024B2 (en) Webcam with moveable zoom lens
KR20070043643A (ko) 렌즈 배럴
JP2009501357A (ja) 小型カメラ用開閉装置
US20080212958A1 (en)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JP2005215160A (ja) 撮影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KR100736109B1 (ko)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KR100704975B1 (ko)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KR100675083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JP2004361590A (ja) 光学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4208176A (ja) 携帯端末機器
KR100716759B1 (ko) 소형 카메라용 보호장치
KR100801018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JP200631771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331449B2 (ja) レンズカバー開閉表示装置
JP2003015207A (ja) 防水式カメラ装置
KR100780433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자동 보호장치
KR100609208B1 (ko) 슬라이딩에 의해 접사모드로 전환 가능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KR100676676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KR100729640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JP4306339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6106396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KR1005944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JP200628473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340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