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241A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241A
KR20050075241A KR1020040003458A KR20040003458A KR20050075241A KR 20050075241 A KR20050075241 A KR 20050075241A KR 1020040003458 A KR1020040003458 A KR 1020040003458A KR 20040003458 A KR20040003458 A KR 20040003458A KR 20050075241 A KR20050075241 A KR 20050075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mera
hole
coupled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배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241A/ko
Publication of KR2005007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2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폰에서 외관에 구비된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한쌍의 카메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도어와,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정, 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를 상, 하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카메라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아니라,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며, 카메라 렌즈의 표면에 끼는 먼지나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폰에서 외관에 구비된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한쌍의 카메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화상통화를 위하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촬영 수단이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며, 이를 통하여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하거나,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든 들어 음성 통신이나 영상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들은 외형적으로 플립형이나 폴더형등의 단말기가 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플립형이나 폴더형 단말기가 음의 감도가 우수하며, 본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기 때문에 현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는 플립형 단말기일 경우 본체에 장착되고, 폴더형 단말기일 경우 힌지 장치 및 폴더에 보편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카메라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폰은 휴대하면서 이동이 자유롭고 렌즈를 통해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폰은 상기 카메라 렌즈은 항상 개방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 따라서 파손이 쉽고, 또한 렌즈의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자주 끼며, 이 상태에서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 할 경우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이 흐리거나 선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폰은 카메라 렌즈가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다른 타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촬영하는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폰에서 외관에 구비된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한쌍의 카메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폰에서 외관에 구비된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한쌍의 카메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카메라 렌즈의 표면에 끼는 먼지나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폰에서 외관에 구비된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한쌍의 카메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미사용시에는 카메라 렌즈를 차단하여 타인을 촬영한다는 오해의 소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도어;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정, 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를 상, 하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샤프트;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상기 도어 샤프트와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샤프트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캠의 정, 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를 상, 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도어; 및
상기 회전캠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치합됨과 동시에 정, 역회전에 따라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기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도어;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도어와 치합됨과 동시에 정, 역회전에 따라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1)는 상, 하부 플레이트(2)(3)와, 한쌍의 도어(4)(5)와, 회전캠(6)과, 핸드롤(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2)(3) 내에는 렌즈홀(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6)의 정, 역회전에 따라서 상기 렌즈홀(3a)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도어(4)(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6)은 정, 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4)(5)를 상, 하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2)(3)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핸드롤(7)은 상기 회전캠(6)를 외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캠(6)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3)에는 렌즈홀(3a)과, 가이드 레일(3b)과, 적어도 하나이상의 나사홀(3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렌즈홀(3a)은 상기 한쌍의 도어(4)(5)에 의해 개폐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3)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3b)은 상기 각각의 도어(4)(5)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홀(3a)의 상, 하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홀(3c)은 상기 한쌍의 도어(4)(5)와 회전캠(6)과, 상부 플레이트(2)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2)의 나사돌기(2d)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렌즈홀(3a)의 좌, 우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3b)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4)(5)에 형성된 레일 플레이트(4a)(5a)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레일홈(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도어(4)(5)는 레일 플레이트(4a)(5a)와, 가이드 돌기(4b)(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 플레이트(4a)(5a)는 상기 가이드 레일(3b)의 레일홈(3d)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각각의 도어(4)(5)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4b)(5b)는 상기 회전캠(6)의 한쌍의 가이드 홀(6b)와 결합되도록 상기 레일 플레이트(4a)(5a)의 상단면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도어(4)(5)에는 상기 렌즈홀(3a)을 닫을 경우 각각의 도어(4)(5)가 결합되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홀(3a)을 개방할 경우 상, 하로 분할되어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캠(6)은 결합홀(6a)과, 한쌍의 가이드 홀(6b)과, 나사돌기 홀(6c)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6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합홀(6a)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2)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돌기(2c)와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캠(6)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 홀(6b)은 상기 핸드롤(7)을 정, 역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4)(5)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b)(5b)를 상, 하 양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켜 상기 렌즈홀(3a)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홀(6a)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돌기 홀(6c)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2)에 형성된 나사돌기(2d)와 관통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홀(6a)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6d)는 상기 핸드롤(7)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핸드롤(7)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캠(6)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6b)은 일정각도의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돌기 홀(6c)은 상기 결합홀(6a)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2)는 렌즈홀(2a)과, 나사돌기(2d)와, 결합돌기(2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렌즈홀(2a)은 상기 한쌍의 도어(4)(5)에 의해 개폐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2)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돌기(2d)는 상기 회전캠(6)에 형성된 나사돌기 홀(6c)과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나사홀을 통해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2)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돌기(2d)는 상기 렌즈홀(3a)을 중심으로 좌, 우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c)는 상기 회전캠(6)의 결합홀(6a)과 관통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2)의 하측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드롤(7)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캠(6)의 고정돌기(6d)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6, 도 9 및 도 10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1)는 상, 하부 플레이트(2)(3)와, 한쌍의 도어(4)(5)와 회전캠(6)과, 핸드롤(7)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핸드롤(7)을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캠(6)도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핸드롤(7)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캠(6)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6d)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드롤(7)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홈(7a)에 고정돌기(6d)가 결합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캠(6)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회전캠(6)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홀(6b)을 따라서 상기 한쌍의 도어(4)(5)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b)(5b)가 상기 가이드 홀(6b)을 따라서 가이드 되어 이동한다.
이때, 상기 회전캠(6)의 회전운동을 상기 가이드 홀(6b)에 의해 직동운동으로 바꾸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4b)(5b)를 상, 하 양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각각의 도어(4)(5)는 상, 하 양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렌즈홀(3a)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플레이트(3)의 렌즈홀(3a)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4)(5)를 상,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3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레일(3b)을 따라서 상기 도어(4)(5)를 상, 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렌즈홀(3a)을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3b)은 상기 도어(4)(5)의 레일 플레이트(4a)(5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다시 상기 렌즈홀(2a)(3a)을 닫을 경우 상기 핸드롤(7)을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핸드롤(7)과 함께 회전캠(6)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캠(6)은 상기 각각의 도어(4)(5)를 반대로 상, 하 양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켜 상기 렌즈홀(2a)(3a)을 다시 닫는다.
여기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한쌍의 도어(4)(5)는 상기 렌즈홀(2a)(3a)을 닫을 경우 상기 각각의 도어(4)(5)가 결합되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홀(2a)(3a)을 개방할 경우 상, 하로 분할되어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10)는 상, 하부 플레이트(20)(30)와, 한쌍의 도어 샤프트(40)와, 회전캠(50)과, 한쌍의 도어(60)(70)와, 핸드롤(80)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와, 한쌍의 도어 샤프트(40)와, 회전캠(50)과, 상기 한쌍의 도어(60)(70)와, 상부 플레이트(2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20)의 결합돌기(22)와 상기 회전캠(50)의 캠측 돌기홀(53)을 결합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돌기홀(34)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드롤(80)을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캠(50)도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도 12와 같이, 상기 핸드롤(8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캠(50)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측 고정돌기(54)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8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드롤(80)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홈(81)에 캠측 고정돌기(54)가 결합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캠(5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3과 같이, 상기 회전캠(50)의 중심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60)(70)를 구비하는 캠측 결합홀(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도어(60)(70)를 상기 캠측 결합홀(51)에 구비한다.
이와 동시에, 도 14와 같이, 상기 회전캠(50)에 형성된 한쌍의 캠측 가이드 홀(52)을 따라서 상기 한쌍의 도어 샤프트(40)에 형성된 제 1 이동돌기(41)가 상기 각각의 캠측 가이드 홀(52)을 따라서 가이드 되어 이동한다.
이때,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상기 회전캠(50)의 회전운동을 상기 캠측 가이드 홀(52)에 의해 직동운동으로 바꾸어서 상기 제 1 이동돌기(42)를 상, 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이때, 도 14와 같이, 상기 제 1 이동돌기(41)가 상, 하 양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한쌍의 도어 샤프트(40)로 함께 이동한다.
이때, 도 16과 같이,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40)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60)(70)에 형성된 회전홀(61)(71)에 결합되는 제 2 이동돌기(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 샤프트(40)가 상, 하 양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이동돌기(42)도 함께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각각의 도어(60)(70)의 회전홀(61)(71)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렌즈홀(21)(31)을 개방시킨다.
이때,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상기 각각의 도어(60)(7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힌지 돌기(33)와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각각의 도어(60)(70)를 회전시키는 도어 힌지부(62)(7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60)(70) 힌지부에 의해 상기 각각의 도어(60)(70)를 상기 도어 힌지부(62)(72)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렌즈홀(21)(31)을 개방한다.
이때, 도 16 내지 도 19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렌즈홀(31)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40)를 상, 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플레이트측 가이드 홈(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측 가이드 홈(32)을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40)가 상, 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도어(60)(70)를 회전시켜 상기 렌즈홀(21)(31)을 개방한다.
여기서, 다시 상기 렌즈홀(21)(31)을 닫을 경우 상기 핸드롤(80)을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상기 핸드롤(80)과 함께 상기 회전캠(50)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캠(50)은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40)를 반대로 상, 하 양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도어 힌지부(62)(72)의 힌지축에 의해 각각의 도어(60)(70)를 회전시켜 상기 렌즈홀(21)(31)을 다시 닫는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도어(60)(70)는 " ㄱ "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도어(60)(70)는 상기 렌즈홀(21)(31)을 개방할 경우 상기 렌즈홀(21)(3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분할되고, 닫을 경우 다시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돌기(41)는 상기 회전캠(50)의 캠측 돌기홀(53)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 2 이동돌기(42)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100)는 상, 하부 플레이트(101)(102)와, 도어(103)와, 회전 기어부(104)와, 핸드롤(105)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0 내지 도 25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02)와, 도어(103)와, 회전 기어부(104)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1)와 핸드롤(105)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101)의 나사돌기(101b)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02)에 형성된 나사홀(102c)에 나사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드롤(10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기어부(104)도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도 21과 같이, 상기 핸드롤(105)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 기어부(104)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04c)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0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드롤(105)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홈에 고정돌기(104c)가 결합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 기어부(104)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기어부(104)의 중심에는 상기 도어를 구비하는 기어측 결합홀(10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103)를 상기 기어측 결합홀(104a)에 구비한다.
이와 동시에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상기 기어측 결합홀(104a)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도어(103)의 끝단에 형성된 도어측 톱니부(103b)와 치합되는 톱니부(10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톱니부(104b)가 회전함에 따라서 도어측 톱니부(103b)가 회전한다.
이때,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상기 도어(103)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02)의 힌지돌기(102b)와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103)를 회전시키는 도어 힌지부(103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 힌지부(103a)에 의해 상기 도어(103)를 상기 도어 힌지부(103a)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렌즈홀(101a)(102a)을 개방한다.
여기서, 다시 상기 렌즈홀(101a)(102a)을 닫을 경우 상기 핸드롤(105)을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상기 핸드롤(105)과 함께 회전 기어부(104)가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 기어부(104)는 상기 도어(103)를 상기 도어 힌지부(103a)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렌즈홀(101a)(102a)을 다시 닫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6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200)는 상, 하부 플레이트(201)(202)와, 한쌍의 도어(203)(204)와, 기어부(205)와, 핸드롤(206)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6과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202)와, 한쌍의 도어(203)(204)와, 기어부(205)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201)와, 핸드롤(206)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201)의 나사돌기(201b)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2)에 형성된 나사홀(202c)에 나사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드롤(20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부(205)도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롤(206)의 내측에는 상기 기어부(205)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05c)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206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드롤(206)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홈(206a)에 고정돌기(205c)가 결합 고정되어 있어 상기 기어부(205)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205)의 중심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를 구비하는 기어측 결합홀(20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를 상기 기어측 결합홀(205a)에 구비한다.
이와 동시에,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상기 기어측 결합홀(205a)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의 끝단에 형성된 도어측 톱니부(203b)(204b)와 치합되는 톱니부(205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톱니부(205b)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도어측 톱니부(203b)(204b)가 회전한다.
이때, 도 28과 같이,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2)의 힌지돌기(202b)와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를 회전시키는 도어 힌지부(203a)(20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어(203)(204) 힌지부에 의해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를 상기 도어 힌지부(203a)(204a)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렌즈홀(201a)(202a)을 개방한다.
여기서, 다시 상기 렌즈홀(201a)(202a)을 닫을 경우 상기 핸드롤(206)을 역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도 27과 같이, 상기 핸드롤(206)과 함께 기어부(205)가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기어부(205)는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를 상기 도어 힌지부(203a)(204a)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렌즈홀(201a)(202a)을 다시 닫는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도어(203)(204)는 상기 렌즈홀(201a)(202a)을 개방할 경우 상기 렌즈홀(201a)(202a)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 힌지부(203a)(204a)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좌, 우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분할되고, 닫을 경우 다시 반대로 회전하여 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폰에서 핸드롤을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 도어를 개폐시켜 렌즈홀을 개방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렌즈의 표면에 끼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폰에서 외관에 구비된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한쌍의 카메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카메라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아니라,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며, 카메라 렌즈의 표면에 끼는 먼지나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폰 미사용시 기존의 카메라 렌즈 개방에 따른 타인 촬영의 오해 소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회전캠과 핸드롤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하부 플레이트와 한쌍의 도어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한쌍의 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상부 플레이트의 후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부 확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회전캠과 핸드롤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하부 플레이트와 한쌍의 도어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한쌍의 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A-A' 선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C부 확대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B-B' 선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 중 회전캠과 핸드롤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D부 확대 측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개폐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Claims (35)

  1.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도어;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정, 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를 상, 하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렌즈홀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홀의 상,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의 좌, 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홀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레일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레일홈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레일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 플레이트의 상단면 소정 위치에는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에는 상기 렌즈홀을 닫을 경우 상기 각각의 도어가 결합되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홀을 개방할 경우 상, 하 양방향으로 분할되어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은 상기 회전캠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롤을 정, 역회전시킴에 따라서 각각의 도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상, 하 양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켜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가이드 홀과,
    상기 결합홀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돌기와 관통 결합되는 나사돌기 홀과,
    상기 회전캠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롤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일정각도의 곡선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돌기 홀은 상기 결합홀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렌즈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면에는 상기 렌즈홀을 중심으로 좌, 우에 나사홀이 형성된 나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캠의 결합홀과 관통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롤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캠의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1.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샤프트;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상기 도어 샤프트와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샤프트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캠의 정, 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를 상, 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도어; 및
    상기 회전캠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렌즈홀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홀의 상,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플레이트측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힌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의 좌, 우에는 돌기홀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힌지 돌기는 상기 렌즈홀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 샤프트에는 상기 회전캠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결합되는 제 1 이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도어에 형성된 회전홀에 결합되는 제 2 이동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돌기는 상기 회전캠의 캠측 돌기홀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 2 이동돌기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에는 상기 제 2 이동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도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힌지 돌기와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도어 힌지부가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는 상기 렌즈홀을 개방할 경우 상기 렌즈홀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 힌지부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분할되고, 닫을 경우 다시 역으로 회전하여 서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는 " ㄱ "자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은, 상기 회전캠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도어를 구비하는 캠측 결합홀과,
    상기 캠측 결합홀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롤을 정, 역회전시킴에 따라서 각각의 도어 샤프트에 형성된 제 1 이동돌기를 상, 하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켜 상기 렌즈홀를 개폐시키는 한쌍의 캠측 가이드 홀과,
    상기 캠측 결합홀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캠측 돌기홀과,
    상기 회전캠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롤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측 고정돌기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일정각도의 곡선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캠측 돌기홀은 상기 결합홀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렌즈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캠의 캠측 돌기홀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롤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캠의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4.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치합됨과 동시에 정, 역회전에 따라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기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렌즈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의 좌, 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홀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홀은 상기 결합홀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힌지 돌기와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도어 힌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도어의 끝단에는 상기 회전 기어부와 치합되도록 도어측 톱니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부는, 상기 회전 기어부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구비하는 기어측 결합홀과,
    상기 기어측 결합홀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형성된 도어측 기어부와 치합되는 톱니부와,
    상기 회전 기어부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롤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핸드롤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측 고정돌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렌즈홀을 개방할 경우 상기 렌즈홀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 힌지부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닫을 경우 다시 역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렌즈홀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의 상, 하부에는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롤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 기어부의 기어측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2.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렌즈홀이 형성된 상,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홀을 개폐시키는 한쌍의 도어;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내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도어와 치합됨과 동시에 정, 역회전에 따라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렌즈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각각의 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도어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의 좌, 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홀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힌지 돌기와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도어 힌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도어의 끝단에는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도록 도어측 톱니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어는 상기 렌즈홀을 개방할 경우 상기 렌즈홀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 힌지부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좌, 우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분할되고, 닫을 경우 다시 역으로 회전하여 서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20040003458A 2004-01-16 2004-01-16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50075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58A KR20050075241A (ko) 2004-01-16 2004-01-16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58A KR20050075241A (ko) 2004-01-16 2004-01-16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241A true KR20050075241A (ko) 2005-07-20

Family

ID=3726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458A KR20050075241A (ko) 2004-01-16 2004-01-16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241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17B1 (ko) * 2004-08-1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676676B1 (ko) * 2006-04-26 2007-02-01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KR100704975B1 (ko) * 2005-07-15 2007-04-10 주식회사 엠투시스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WO2007123372A1 (en) * 2006-04-26 2007-11-01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A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KR100780433B1 (ko) * 2006-12-29 2007-11-28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자동 보호장치
KR100790156B1 (ko) *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816367B1 (ko) * 2007-12-31 2008-03-24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KR100901382B1 (ko) * 2006-07-19 2009-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덮개장치 및 카메라 렌즈 덮개장치를 구비한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19264B1 (ko) * 2009-02-03 2009-09-30 정도상 중앙 개폐기
KR100958445B1 (ko) * 2008-09-09 2010-05-18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KR101027838B1 (ko) * 2009-02-23 2011-04-07 자화전자(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렌즈 개폐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17B1 (ko) * 2004-08-1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704975B1 (ko) * 2005-07-15 2007-04-10 주식회사 엠투시스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KR100676676B1 (ko) * 2006-04-26 2007-02-01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WO2007123372A1 (en) * 2006-04-26 2007-11-01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A protect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US7798728B2 (en) 2006-07-19 2010-09-21 Lg Electronics Inc. Camera lens cover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901382B1 (ko) * 2006-07-19 2009-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덮개장치 및 카메라 렌즈 덮개장치를 구비한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90156B1 (ko) *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780433B1 (ko) * 2006-12-29 2007-11-28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자동 보호장치
KR100816367B1 (ko) * 2007-12-31 2008-03-24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WO2009084908A3 (en) * 2007-12-31 2009-10-15 Shell-Line 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WO2009084908A2 (en) * 2007-12-31 2009-07-09 Shell-Line 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KR100958445B1 (ko) * 2008-09-09 2010-05-18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KR100919264B1 (ko) * 2009-02-03 2009-09-30 정도상 중앙 개폐기
KR101027838B1 (ko) * 2009-02-23 2011-04-07 자화전자(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렌즈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3038B2 (ja)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US7450979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EP1499094B1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EP1559859B1 (en) Rotary-type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7246955B2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JP3722780B2 (ja) マルチアングルヒンジカムを設けた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KR20050075241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40342B1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10079015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US20050264984A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17817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EP1501261A2 (en)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KR100671694B1 (ko)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4652B1 (ko) 카메라 덮개가 장착된 휴대폰
KR10113133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70071B1 (ko) 폴더형 휴대폰
KR20040102483A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63125B1 (ko) 슬라이드장치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200374460Y1 (ko)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10067824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410327Y1 (ko) 마찰방지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94091B1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