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367B1 - 카메라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367B1
KR100816367B1 KR1020070141441A KR20070141441A KR100816367B1 KR 100816367 B1 KR100816367 B1 KR 100816367B1 KR 1020070141441 A KR1020070141441 A KR 1020070141441A KR 20070141441 A KR20070141441 A KR 20070141441A KR 100816367 B1 KR100816367 B1 KR 10081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amera
shutter
cam member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7014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367B1/ko
Priority to PCT/KR2008/007819 priority patent/WO2009084908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가 개시된다.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는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이 내부에 배치되며 개인휴대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벽면에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링캠부재, 캠프로파일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임 상에 제공되어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종동캠부재, 종동캠부재가 캠프로파일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베이스 프레임을 감싸도록 링캠부재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노출공을 개폐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 링캠부재, 종동캠부재, 탄성부재, 커버하우징, 셔터부재

Description

카메라 커버장치{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각종 부가적인 기능 예를 들어,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한편,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특히, 카메라의 렌즈는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카메라 렌즈의 전방에는 보호창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보호창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사용중 또는 보관중 외부 접촉에 의해 보호창의 표면에 긁힘 등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 제점이 있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보호창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크래치 및 이물질에 의해 카메라의 선명한 화질을 보장하기 어렵고 카메라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 및 보호창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장치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편의성 및 신뢰성 측면에서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도하지 않은 비정상적인 개폐를 방지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는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이 내부에 배치되며 개인휴대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벽면에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링캠부재, 캠프로파일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임 상에 제공되어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종동캠부재, 종동캠부재가 캠프로파일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베이스 프레임을 감싸도록 링캠부재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노출공을 개폐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한다.
캠프로파일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캠프로파일은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동캠부재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 캠프로파일의 각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면 개인휴대단말 기에 대한 링캠부재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셔터부재의 개폐 방식 및 개폐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셔터부재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셔터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노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셔터부재가 베이스 프레임 상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셔터부재가 회전 운동하며 노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셔터부재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셔터부재는 노출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노출공을 개폐하는 제1셔터 및 제2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단 하나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3개 이상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 프레임에는 셔터부재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안내수단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돌기 또는 홈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버하우징와 셔터부재의 연동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하우징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고, 셔터부재에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 다. 가이드홈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의 구조에 의해 셔터부재의 개폐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홈은 커버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부, 인접부에 비해 커버하우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인접부에 연결되는 이격부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장치가 반자동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카메라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메라를 차단하는 커버장치의 차단 상태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커버장치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장치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대한 제약없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오른 손잡이 사용자뿐만 아니라 왼손잡이 사용자도 자세 및 배치상태에 따른 제약 없이 자유롭게 커버하우징을 회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200)는 카메라(300)가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로서는 최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로 전개 및 절첩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 및 폴더부를 포함하는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과 액정표시장치가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상기와 같은 바형 단말기의 입력버튼 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을 구비한 플립형 개인휴대단말기, 본체부에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등이 적용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100)의 구조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00)가 장착되어 있으며, 카메라(300)의 종류 및 장착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커버장치(200)는 개인휴대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300)를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바, 베이스 프레임(210), 링캠부재(220), 종동캠부재(230), 탄성부재(240), 커버하우징(250) 및 셔터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중앙부에 노출공(212)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카메라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노출공(212)을 통해서는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스크류와 같은 통상의 체결부재를 통해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210)의 체결 방식 및 체결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링캠부재(22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벽면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는 캠프로파일(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링캠부재(220)는 베이스 프레임(210)의 둘레 일부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링캠부재(220)는 내부에 베이스 프레임(210)을 수용한 상태로 개인휴대단말기(1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종동캠부재(230)는 링캠부재(2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캠프로파일(222) 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임(210) 상에 제공되어 캠프로파일(222)과 접촉되며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상에는 종동캠부재(23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종동캠부재(230)는 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캠프로파일(222)에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종동캠부재(230)가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프레임(210)의 두께 방향 즉, 베이스 프레임(210)의 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탈이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캠프로파일(222)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캠프로파일(222)은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종동캠부재(230)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 캠프로파일(222)의 각 모서리부위(E)에 배치되면 개인휴대단말기(100)에 대한 링캠부재(22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종동캠부재(230)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광범위한 사용온도 범위에서도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갖는 윤활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40)는 종동캠부재(230)가 링캠부재(220)의 캠프로파일(22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240)의 구조 및 종 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240)로서는 종동캠부재(23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일스프링은 하나 또는 복수개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250)은 베이스 프레임(210)을 감싸도록 링캠부재(220)에 결합되며, 커버하우징(250)을 회전 조작하게 되면 커버하우징(250)과 함께 일체로 링캠부재(220)가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하우징(250)의 중앙부에는 노출공(212)과 대응되는 관통공(2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부재(260)는 베이스 프레임(210) 상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노출공(2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셔터부재(260)의 개폐 방식 및 개폐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셔터부재(260)는 베이스 프레임(21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셔터부재(260)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노출공(2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셔터부재가 베이스 프레임 상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셔터부재가 회전 운동하며 노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셔터부재(260)가 베이스 프레임(21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노출공(2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셔터부재(26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셔터부재(260)는 노출공(21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노출공(212)을 개폐하는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는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조작에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며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으며,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됨에 따라 노출공(212)이 개폐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단 하나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3개 이상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셔터부재(260)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안내수단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돌기 또는 홈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라이딩 안내수단은 셔터부재(26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안내홈(2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셔터부재(260)는 슬라이딩 안내홈(216)에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딩 안내홈(21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노출공(212)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커버하우징(250)와 셔터부재(260)의 연동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하우징(250)의 내면에는 소정 경로를 갖는 가이드홈(252)이 형성될 수 있고, 셔터부재(260)에는 가이드홈(252)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돌기(26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 조에 의해 커버하우징(250)을 회전 조작하게 되면 셔터부재(260)의 가이드돌기(266)가 가이드홈(252)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셔터부재(260)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노출공(212)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252)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252)의 구조에 의해 셔터부재(260)의 개폐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홈(252)은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부(252a), 상기 인접부(252a)에 비해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인접부(252a)의 양측에 연결되는 이격부(252b)를 포함하여 대략 8자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각 가이드돌기(266)가 인접부(252a)로 이동하게 되면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가 서로 접근되며 노출공(212)이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각 가이드돌기(266)가 이격부(252b)로 이동하게 되면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가 서로 이격되며 노출공(212)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하우징(250)의 주연부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홈(25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끄럼 방지홈(254)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커버하우징(250)을 회전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면에는 노출공(212)을 덮도록 보호창(27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창(270)이 베이스 프레 임(210)의 내면에 결합되며 커버장치와 함께 모듈화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창이 커버장치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단에는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확장부(2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부(214)는 링캠부재(220)와 커버하우징(25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하우징(250) 및 링캠부재(220)는 별도의 회전축 수단을 배제하고 확장부(214)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210)에 의해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단에 확장 형성된 확장부(214)가 커버하우징(250) 및 링캠부재(22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링캠부재(220)와 커버하우징(250)이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확장부(214)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210) 자체가 커버하우징(250) 및 링캠부재(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종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확장부를 배제하고 별도의 회전축 수단을 통해 커버하우징 및 링캠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슬라이딩 안내홈은 실질적으로 확장부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 및 슬라이딩 안내홈을 갖는 확장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최초 카메라 커버장치(200)는 도 5와 같이, 카메라(300)를 차단하는 상태로 제공된다. 즉,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210)의 노출공(212)은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캠부재(220)는 종동캠부재(230)가 캠프로파일(222)의 모서리부위(E)에 배치됨에 따라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커버하우징(250)을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게 되면, 커버하우징(250)과 결합된 링캠부재(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종동캠부재(230)는 캠프로파일(222)에 의해 탄성부재(240)를 압축하며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하우징(250)이 회전됨과 동시에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각 가이드돌기(266)는 가이드홈(252)을 따라 이동하며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커버하우징(250)이 회전됨과 동시에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각 가이드돌기(266)가 가이드홈(252)의 인접부(252a)에서 이격부(252b)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가 노출공(21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종동캠부재(230)가 캠프로파일(222)의 임계점을 지나 인접한 다른 모서리부위 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탄성력을 축적하는 상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240)가 복원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종동캠부재(2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링캠부재(220) 및 커버하우징(250)이 회전될 수 있다. 또, 커버 하우징(250)이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각 가이드돌기(266)는 이격부(252b)까지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개방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카메라를 사용한 후에는 개방시와 반대 방향으로 커버하우징(250)을 회전 조작하여 카메라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카메라를 차단하는 경우 역시 개방시와 마찬가지로 캠프로파일(222)과 종동캠부재(230) 간의 탄성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링캠부재(220)의 회전 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닫힘 동작 역시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되며 제1셔터(262) 및 제2셔터(264)의 개폐 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카메라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카메라를 차단하는 상태에서 링캠부재(220)는 종동캠부재(230) 및 탄성부재(24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셔터부재(260)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버하우징(250)의 회전 조작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대한 제약없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오른손잡이 사용자뿐만 아니라 왼손잡이 사용자도 자세 및 배치상태에 따른 제약 없이 자유롭게 커버하우징(250)을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개인휴대단말기 200 : 커버장치
210 : 베이스 프레임 220 : 링캠부재
230 : 종동캠부재 240 : 탄성부재
250 : 커버하우징 260 : 셔터부재
270 : 보호창

Claims (15)

  1.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벽면에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링캠부재;
    상기 캠프로파일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제공되어 상기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종동캠부재;
    상기 종동캠부재가 상기 캠프로파일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감싸도록 상기 링캠부재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노출공을 개폐하는 셔터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셔터부재는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노출공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셔터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노출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노출공을 개폐하는 제1셔터 및 제2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셔터부재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부, 상기 인접부에 비해 상기 커버하우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인접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면에 결합되는 보호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프로파일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종동캠부재가 상기 캠프로파일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면 상기 링캠부재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일단에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링캠부재와 상기 커버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1.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벽면에 마름모 형상의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링캠부재;
    상기 캠프로파일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제공되어 상기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종동캠부재;
    상기 종동캠부재가 상기 캠프로파일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감싸도록 상기 링캠부재에 결합되며,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커버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돌기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커버하우징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노출공을 개폐하는 제1셔터 및 제2셔터를 포함하는 셔터부재;
    를 구비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부, 상기 인접부에 비해 상기 커버하우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인접부 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면에 결합되는 보호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일단에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링캠부재와 상기 커버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KR1020070141441A 2007-12-31 2007-12-31 카메라 커버장치 KR10081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441A KR100816367B1 (ko) 2007-12-31 2007-12-31 카메라 커버장치
PCT/KR2008/007819 WO2009084908A2 (en) 2007-12-31 2008-12-31 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441A KR100816367B1 (ko) 2007-12-31 2007-12-31 카메라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367B1 true KR100816367B1 (ko) 2008-03-24

Family

ID=3941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441A KR100816367B1 (ko) 2007-12-31 2007-12-31 카메라 커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6367B1 (ko)
WO (1) WO200908490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45B1 (ko) * 2008-09-09 2010-05-18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7620B1 (fr) * 2020-12-15 2022-10-28 Thomas Perisson Dispositif d’amélioration de profondeur de champ pour appareil de vision noctur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41A (ko) * 2004-01-16 200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17B1 (ko) * 2004-08-1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780433B1 (ko) * 2006-12-29 2007-11-28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자동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41A (ko) * 2004-01-16 200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45B1 (ko) * 2008-09-09 2010-05-18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4908A3 (en) 2009-10-15
WO2009084908A2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286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39783B2 (en) Slide and tilt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20060183369A1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terminal
JP3822583B2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8279333B2 (en)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16367B1 (ko) 카메라 커버장치
US8248766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902638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US20090268389A1 (en) Rotar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433062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958445B1 (ko) 카메라 커버장치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369178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51942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100999105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703352B1 (ko) 돌출식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599878B1 (ko) 회전형 렌즈 캡을 갖춘 카메라
KR20100054430A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451104Y1 (ko) 거치 기능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0716758B1 (ko)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60086230A (ko) 자동 돌출 카메라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TWI407880B (zh) 便攜式電子裝置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802562B1 (ko)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