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53Y1 -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53Y1
KR200486453Y1 KR2020170001652U KR20170001652U KR200486453Y1 KR 200486453 Y1 KR200486453 Y1 KR 200486453Y1 KR 2020170001652 U KR2020170001652 U KR 2020170001652U KR 20170001652 U KR20170001652 U KR 20170001652U KR 200486453 Y1 KR200486453 Y1 KR 200486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se member
exposure hole
smartphone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범
Original Assignee
최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범 filed Critical 최상범
Priority to KR2020170001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가 설치된 스마트폰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노출구멍이 형성된 케이스부재; 상기 카메라 노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면에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림부재;을 마련하여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 앱 등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카메라 촬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림판을 간편하게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어 원하지 않는 카메라 동작을 방지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Camera Closure Apparutus for Smart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가 해킹 등에 의해 동작되지 않도록 카메라를 사용자 임의로 가릴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사용되는 휴대폰은 터치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종래의 플립형폰과 폴더형폰과는 달리 전면 개방부 없이 터치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경질의 하드 케이스로서, 이러한 하드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제조회사와 모델별로 크기와 모양에 맞게 금형에 의해 제작되어 스마트폰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스마트폰은 다수의 제조회사에서 출시하는 모델마다 그 형태가 다르므로, 본체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는데, 수 많은 모델별로 금형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비용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교체할 때마다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등록특허 10-1205556(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서는 휴대폰이 장착된 휴대폰 케이스의 뚜껑 내측면에 소정의 수납부가 구비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로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 내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고정기판이 상기 본체와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판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더가 상하 이동되고 내측면에 휴대폰 또는 휴대폰 지지기판이 탑재되는 이동기판이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판의 좌측 단부의 중심선상에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기판의 우측 단부의 중심선상에 각각 고정 연결되어, 이동기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휴대폰 지지기판은 휴대폰을 탑재하기 위하여 단단한 플라스틱이나 젤리형의 연성 플라스틱 또는 벌크로 테입이나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휴대폰 즉 스마트폰을 지지기판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기판이 탑재된 이동기판을 상측으로 밀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상측으로 카메라 부위를 슬라이딩시켜 노출시키도록 하며, 이때 스프링에 의해 이동기판이 탄성력을 가져서 원터치 방식으로 상하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이동기판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링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 수율이 매우 낮고, 또한 그만큼 제조비용이 증가되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기판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탄성력에 의해 자칫 휴대폰 케이스가 손에서 이탈하여 떨어뜨릴 수 있어서 휴대폰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잦은 탄성력의 충격에 의해 지지기판에 부착된 휴대폰이 지지기판으로부터 이탈하여 휴대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이 또한 휴대폰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애플리케이션) 또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등에 의해 카메라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개인정보 등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0408호(2016년 5월 20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0407호(2016년 5월 20일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의 전면이 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가림장치를 스마트폰 케이스 일체로 설치되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카메라가 설치된 스마트폰의 외측에 결합되며,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노출구멍이 형성된 케이스부재; 상기 카메라 노출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면에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내프레임; 상기 안내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판; 상기 가림판이 파지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프레임에는 상기 안내프레임의 선단에 상기 가림판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로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에는 유동되지 않게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 앱 등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카메라 촬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림판을 간편하게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어 원하지 않는 카메라 동작을 방지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카메라가 설치된 스마트폰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노출구멍(11)이 형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부재(10), 상기 카메라 노출구멍(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면에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림부재(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스마트폰(미도시)에 장착된 카메라를 필요에 따라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 또는 의도하지 않게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스마트폰의 외면에 씌워지는 케이스부재(10)와 상기 케이스부재(10)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스마트폰의 후면 및 각 측면에 씌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부재(10)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스마트폰의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스부재(10)는 스마트폰의 후면과 각 측면에 씌워지는 후면케이스와 스마트폰의 전면을 덮는 전면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부재(10)에는 후면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사진 촬영 또는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카메라노출구멍(11)이 형성되고, 카메라노출구멍(11)과 함께 야간이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영이 이루어지게 조명이 노출되도록 조명노출구멍(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카메라노출구멍(11)과 조명노출구멍(12)은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램프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달리 형성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케이스부재(10)에는 스마트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버튼(미도시)이 노출되도록 전원버튼구멍(13)이 형성되며, 스마트폰의 전원 연결 및 컴퓨터 등의 주변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5핀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부재(10)에는 카메라노출구멍(11)을 개폐시키는 가림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가림부재(20)는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림부재(20)는 카메라노출구멍(11)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노출구멍(1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데, 카메라노출구멍(11)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에 적절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가림부재(20)는 케이스부재(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림부재(20)는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내프레임(21), 상기 안내프레임(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판(25), 상기 가림판(25)이 파지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지부(2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프레임(21)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가림판(25)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 안내프레임(21)에는 가림판(25)이 결합되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단턱홈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홈부(22)는 가림판(25)이 케이스부재(10)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함은 물론 가림판(25)이 케이스부재(10)와 안내프레임(21)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안내프레임(21)에는 상기 안내프레임(21)의 선단에 상기 가림판(25)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로 안착홈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25)에는 유동되지 않게 상기 안착홈부(23)에 안착되도록 걸림돌기(27)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프레임(21)에는 가림판(25)이 폐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카메라노출구멍(11) 측에 안착홈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부(23)는 가림판(25)의 걸림돌기(27)가 자연스럽게 결합 및 분리되게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림판(25)은 카메라노출구멍(11)을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가림판(25)에는 가림판(25)을 파지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파지부(26)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부(26)는 카메라노출구멍(11)을 통해 케이스부재(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26)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카메라노출구멍(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림판(25)에는 안내프레임(21)의 안착홈부(23)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7)가 형성되며, 걸림돌기(27)는 안착홈부(23)와 동일하게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실시 예>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상기 카메라노출구멍(11)의 일측에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8),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부(28)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가림판(25),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홈부(15)에 끼워지도록 상기 가림판(25)의 배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29)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케이스부재(10)의 카메라노출구멍(11)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6)에 가림판(25)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가림판(25)은 카메라노출구멍(11)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8)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연결부(28)의 일측은 케이스부재(10)의 카메라노출구멍(11)에 연결되고, 연결부(28)의 타측은 가림판(25)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28)는 가림판(25)이 회전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림판(2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림판(25)에는 연결부(28)와 대칭되는 위치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고정돌기(29)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29)는 손으로 파지하도록 함은 물론 가림판(25)이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케이스부재(10)에 고정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9)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가림판(25)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스부재(10)의 배면에는 고정돌기(29)가 결합되도록 고정홈부(15)가 형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스마트폰(미도시)의 외면에 씌워지도록 스마트폰과 동일한 형상으로 케이스부재(10)를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부재(10)에는 카메라로 사진 촬영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노출구멍(11)을 형성한다.
이와 함께 카메라 촬영 시 필요한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조명노출구멍(12)을 형성하며, 스마트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버튼이 조작되도록 전원버튼구멍(13)을 형성하고, 스마트폰에 전원 공급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구멍(14)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가림부재(20)를 설치한다. 상기 가림부재(20)는 케이스부재(10)에 안내프레임(21)을 고정하며, 상기 안내프레임(21)은 가림판(25)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단턱홈부(22)를 형성한다.
상기 단턱홈부(22)에는 가림판(25)이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안착홈부(23)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홈부(23)는 가림판(25)의 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가림판(25)은 카메라노출구멍(11)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가림판(25)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파지부(26)를 형성한다.
상기 파지부(26)는 사용자가 가림판(25)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카메라노출구멍(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스마트폰(미도시)의 외면에 씌워지도록 케이스부재(10)를 구비하며, 케이스부재(10)에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카메라노출구멍(11), 조명노출구멍(12), 전원버튼구멍(13) 및 케이블구멍(14)을 형성한다.
아울러 케이스부재(10)에는 가림판(25)이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고정홈부(15)를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홈부(15)는 가림판(25)의 고정돌기(29)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가림부재(20)는 케이스부재(10)의 카메라노출구멍(11)에 일체로 형성한다. 이러한 가림부재(20)는 카메라노출구멍(11)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8)와 상기 연결부(28)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가림판(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림판(25)의 배면에는 케이스부재(10)의 고정홈부(15)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29)를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돌기(29)는 고정홈부(15)에 끼워져 가림판(25)을 안정되게 고정시킴과 함께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카메라노출구멍(11)을 차폐시키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가림부재(20)는 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카메라노출구멍(11)을 가리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프레임(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림판(25)을 이동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카메라노출구멍(11)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가림판(25)의 파지부(26)를 잡고서 도 2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가림판(25)은 안내프레임(21)의 단턱홈부(22)를 따라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며, 가림판(25)의 이동이 완료되면 가림판(25)의 걸림돌기(27)는 단턱홈부(22)에 형성된 안착홈부(23)에 안착된다.
이에 가림판(25)은 악성 앱 등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카메라의 전면을 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의 전면이 가려진 상태에서 악성 앱 등에 의해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촬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카메라로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가림판(25)의 파지부(26)를 잡고서 도 1의 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가림판(25)의 걸림돌기(27)는 안착홈부(23)로부터 이탈되어 안내프레임(21)의 단턱홈부(22)를 따라 이동되며, 카메라노출구멍(11)이 개방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림부재(20)는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림판(25)이 카메라노출구멍(11)에 위치하게 되어 악성 앱 등에 의해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사용자는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카메라노출구멍(11)을 개방시키게 되는데, 사용자는 카메라노출구멍(11)에 끼워져 있는 가림판(25)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가림판(25)은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8)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부(28)는 변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또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가림판(25)의 회전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회전된 가림판(25)은 케이스부재(10)의 고정홈부(15)에 끼워져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즉, 가림판(25)의 고정돌기(29)는 케이스부재(10)의 고정홈부(15)에 끼워져 가림판(25)이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가림판(25)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등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케이스부재 11: 카메라노출구멍
12: 조명노출구멍 13: 전원버튼구멍
14: 케이블구멍 15: 고정홈부
20: 가림부재 21: 안내프레임
22: 단턱홈부 23: 안착홈부
25: 가림판 26: 파지부
27: 걸림돌기 28: 연결부
29: 고정돌기

Claims (4)

  1. 카메라가 설치된 스마트폰의 외측에 결합되며,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노출구멍(11)이 형성되고, 야간이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영이 이루어지게 조명이 노출되도록 조명노출구멍(12)이 형성된 케이스부재(10);
    상기 카메라 노출구멍(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케이스부재(10)의 내면에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림부재(20)로 구성된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20)는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ㄱ'자 형상으로 단턱홈부(22)가 형성된 안내프레임(21);
    상기 안내프레임(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판(25);
    상기 가림판(25)이 파지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지부(26);
    상기 안내프레임(21)에는 선단에 상기 가림판(25)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홈부(23);
    상기 가림판(25)에는 유동되지 않게 상기 안착홈부(23)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1652U 2017-04-03 2017-04-03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KR200486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52U KR200486453Y1 (ko) 2017-04-03 2017-04-03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52U KR200486453Y1 (ko) 2017-04-03 2017-04-03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453Y1 true KR200486453Y1 (ko) 2018-05-21

Family

ID=6229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52U KR200486453Y1 (ko) 2017-04-03 2017-04-03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2629A (zh) * 2019-07-29 2019-09-20 无锡睿勤科技有限公司 一种笔记本电脑
KR102048237B1 (ko) * 2019-02-13 2019-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렌즈보호 및 여성안심용 핸드폰케이스
KR102203642B1 (ko) 2019-12-09 2021-01-15 이서호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210036036A (ko) * 2019-09-25 2021-04-02 강경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408A (ko) 2004-08-19 2004-09-18 손영석 테러방지용 최첨단 하이테크 디지털 기능성 정수기와 생수기
KR20040080407A (ko) 2004-08-19 2004-09-18 손영석 테러방지용 최첨단 하이테크 디지털 기능성 거울
KR100474035B1 (ko) * 2002-10-29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945086B1 (ko) * 2003-05-12 2010-03-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20160146262A (ko) * 2015-06-12 2016-12-21 고영균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35B1 (ko) * 2002-10-29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945086B1 (ko) * 2003-05-12 2010-03-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KR20040080408A (ko) 2004-08-19 2004-09-18 손영석 테러방지용 최첨단 하이테크 디지털 기능성 정수기와 생수기
KR20040080407A (ko) 2004-08-19 2004-09-18 손영석 테러방지용 최첨단 하이테크 디지털 기능성 거울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20160146262A (ko) * 2015-06-12 2016-12-21 고영균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37B1 (ko) * 2019-02-13 2019-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렌즈보호 및 여성안심용 핸드폰케이스
CN110262629A (zh) * 2019-07-29 2019-09-20 无锡睿勤科技有限公司 一种笔记本电脑
KR20210036036A (ko) * 2019-09-25 2021-04-02 강경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337746B1 (ko) * 2019-09-25 2021-12-08 강경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203642B1 (ko) 2019-12-09 2021-01-15 이서호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453Y1 (ko)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US9369170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movable camera cover
KR101196608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50002950A1 (en) Removable len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40226300A1 (en) Accessori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0480281Y1 (ko) 가변적 휴대폰 장착 위치 조절 구조의 착탈식 범용 휴대폰 케이스
US858202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torage case and lid which is openable/closable and lockable with storage case
KR101636668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80408Y1 (ko) 카메라 노출공의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JP7114360B2 (ja) 撮像装置
KR200480407Y1 (ko)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US7811012B2 (en) Sliding mechanism for use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4135330A (ja) 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用遮光組立体
JP4330462B2 (ja) 液晶機器用遮光フード
KR20170108267A (ko) 이동 단말기
TWI729998B (zh) 使用於數位裝置之防水外殼及其方法
US20180097989A1 (en) Smartphone camera case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50025536A (ko)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067337B1 (ko)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JP6537047B1 (ja) スマートフォンカバー
KR101636667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JP4014427B2 (ja) 接写用凸レンズを具えた撮像機器
KR101921872B1 (ko) 슬라이딩회전식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31998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