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267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267A
KR20170108267A KR1020160031878A KR20160031878A KR20170108267A KR 20170108267 A KR20170108267 A KR 20170108267A KR 1020160031878 A KR1020160031878 A KR 1020160031878A KR 20160031878 A KR20160031878 A KR 20160031878A KR 20170108267 A KR20170108267 A KR 2017010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nit
magnet
slot
hi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김성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267A/ko
Publication of KR2017010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힌지 방식의 슬롯 커버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슬롯 커버를 여는데 큰 힘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 슬롯 커버가 열리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롯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슬롯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커버 유닛, 상기 커버 유닛의 힌지 측 일단에 구비된 회전 자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자석에 대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자석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고정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닫혔을 때는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제1 고정 자석이 인접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열렸을 때는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제2 고정 자석이 인접하도록 상기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제2 고정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슬롯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USIM/SD카드 등을 결합하기 위한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슬롯은 리어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이동 단말기의 프레임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의 후면에 슬롯이 구비되는 경우 후면 커버(또는 배터리 커버)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 경우 배터리 커버를 제거하고 슬롯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동 단말기의 프레임 측면에 슬롯이 형성되는 경우 슬롯은 카드가 고정되어 삽입되기 위한 별도의 트레이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트레이를 구비하는 경우 트레이를 슬롯으로부터 꺼내기 위한 방식으로 핀을 꽂아 착탈 시키는 방식이 있다. 다만, 이는 별도의 핀을 구비해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다.
반면에, 트레이를 꺼내기 용이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하는 구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의 파지 영역 및 슬롯 틈을 막기 위한 슬롯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슬롯 커버는 슬롯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는 트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슬롯을 외부로부터 막기 위해 슬롯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슬롯 커버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슬롯을 개폐할 수 있으나, 슬롯 커버 일 측이 슬롯에 힌지 결합하여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힌지 결합을 통해 슬롯을 개폐하는 경우, 슬롯 커버의 분실 위험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힌지 방식의 슬롯 커버의 경우 슬롯 커버를 여는데 큰 힘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 슬롯 커버가 열리는 단점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힌지 방식의 슬롯 커버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 슬롯 커버가 열리는 단점을 해결하고, 슬롯 커버를 열 때 적은 힘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롯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슬롯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커버 유닛, 상기 커버 유닛의 힌지 측 일단에 구비된 회전 자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자석에 대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자석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고정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닫혔을 때는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제1 고정 자석이 인접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열렸을 때는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제2 고정 자석이 인접하도록 상기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제2 고정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 상기 제1 고정 자석,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힌지는 동일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 자석은,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힌지를 잇는 직선상에서 벗어나 구비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제1 각도 열린 상태에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힌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회전 자석의 대향하는 면이 평행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제2 각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 자석 및 상기 회전 자석의 대향하는 면이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 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제2 고정 자석의 일면은 상기 회전 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제1 고정 자석의 일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슬롯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실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자석은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슬롯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서외측에 노출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유닛의 힌지는 상기 힌지 축 상에서 상기 커버 유닛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슬롯 외측면을 따라 상기 커버 유닛의 힌지가 슬라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유닛에 돌출 구비된 슬라이드 돌출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슬롯 경계 상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커버 유닛이 슬라이드 되기 전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의 힌지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슬라이드 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와의 구속에서 해제되어 상기 커버 유닛이 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유닛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후크 결합시키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 슬롯 커버를 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도하지 않게 슬롯 커버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롯 커버가 메인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롯 커버를 슬라이드 하는 동작만으로 슬롯 커버가 힌지 회전 되어 열린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a의 A영역 내부에 대한 세 가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유닛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a의 A영역 내부에 대한 세 가지 상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a의 A영역 내부에 대한 상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은 도 1a의 A영역 내부 정면에 대한 상태, 도 7(b)는 도 1a의 A영역 외부 측면에 대한 상태의 측면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1)은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101, 102, 103)들을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메인 프레임(1001)은 슬롯(220)을 형성할 수 있다. 슬롯(220)은 메인 프레임(1001)에 일정 깊이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슬롯(220)은 특히 유심 슬롯, SD카드 슬롯 또는 유심/SD카드 슬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220)은 카드만 삽입되는 공간(1003)을 마련할 수도 있고, 카드와 결합된 트레이(230) 형식으로 슬롯(22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슬롯(220)은 메인 프레임(1001)의 측면(1002)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은 슬롯(220)의 외측 경계 일단 부근에 힌지(211)를 통해 힌지 결합하여 슬롯(220)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은 슬롯(220)의 외측을 물리적으로 막아 외부로부터 슬롯(22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도 1a의 A영역 내부에 대한 세 가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 도 3(b)는 커버 유닛(210)이 제1 각도 열린 상태, 도 3(c)는 커버 유닛(210)이 제2 각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커버 유닛(210)은 슬롯(220)의 외측을 밀폐하는 결합부(212) 및 결합부(212)에 이어져 메인 프레임(1001)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측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을 개폐할 때 사용자는 외측부(213)를 잡고 회전시켜 슬롯(220)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외측부(213)는 메인 프레임(1001)의 외측면(1002)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슬롯 커버(210)가 메인 프레임(100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때, 메인 프레임(1001)의 커버 유닛(210)과의 경계 부근에 커버 유닛(210)을 용이하게 열기 위한 홈(221)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은 메인 프레임(1001)의 슬롯(220)에 힌지(211) 결합할 수 있다. 힌지(211)는 슬롯(220)의 외측 라인 중 일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힌지(211) 결합은 커버 유닛(210)의 일 단에 구비된 홀(2111) 및 홀(2111)에 대응되도록 슬롯(220)의 외측 라인 일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2112)를 통해 힌지(211)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커버 유닛(210)에 결합 돌기(2112)가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1001)에 홀(2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누름부(214)는 커버 유닛(210)에 구비되어 힌지(211)축을 기준으로 슬롯(220)의 반대편, 즉 결합부(212)의 반대편에서 돌출 형성되어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부(213)를 잡고 커버 유닛(210)을 열 수도 있고, 또는 누름부(214)를 눌러서 커버 유닛(210)이 열리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유닛(210)의 측면 사시도이다.
회전 자석(2403)은 커버 유닛(210)의 힌지(211) 측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은 회전 자석(2403)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215) 및 회전 자석(2403)은 힌지(211)축을 기준으로 커버 유닛(210)의 결합부(212)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5)는 메인 프레임(1001)의 내측 공간(1003)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결합부(212) 및 외측부(213)가 메인 프레임(1001) 외측으로 회전되어 열릴 때 안착부(215) 및 회전 자석(2403)은 메인 프레임(1001) 내측으로 회전되어 들어갈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레임(1001)은 안착부(215) 및 회전 자석(2403)의 회전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100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 자석(2401) 및 제2 고정 자석(2402)은 메인 프레임(1001)에 고정 구비되어 회전 자석(2403)과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자석(2401)은 커버 유닛(210)이 닫혔을 때의 회전 자석(2403)과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닫힌 상태의 커버 유닛(210)의 제1 고정 자석(2401), 회전 자석(2403) 및 힌지(211)는 동일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고정 자석(2401) 및 회전 자석(2403)은 서로 대향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면은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 자석(2403) 및 제1 고정 자석(2401) 간에 발생하는 척력의 방향은 힌지(211)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유닛(210)에 회전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일정 각도 열리는 경우,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간에 발생하는 척력의 일부 성분은 커버 유닛(210)이 열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커버 유닛(210)의 회전력은 회전 자석(2403)과 힌지(211)축을 잇는 직선에 수직 방향에 대한 힘 성분에 의해 정해지는데,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일정 각도 열리면서 상기 직선에 수직 방향의 힘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이 척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양자는 동일한 극의 자성을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은 모두 N극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모두 S극을 띨 수도 있다.
제2 고정 자석(2402)는 커버 유닛(210)이 제2 각도 열렸을 때의 회전 자석(2403)과 가장 가까이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 자석(2402), 회전 자석(2403) 및 힌지(211)는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이 제2 각도 열린 상태에서 제2 고정 자석(2402) 및 회전 자석(2403)은 서로 대향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면은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 자석(2402)과 회전 자석(2403)은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을 띨 수 있다. 제2 고정 자석(2402)과 회전 자석(2403) 사이에 발생한 인력은 커버 유닛(210)이 열리는 방향에 대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 고정 자석(2401)과 회전 자석(2403)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커버 유닛(210)이 열리면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과 거리가 가까워져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사이의 인력은 더욱 커져 커버 유닛(210)이 더 쉽게 열리도록 더 큰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인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은 각각 N극과 S극, 또는 S극과 N극이 될 수 있다.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이 최대로 가까운 경우 상호 인력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커버 유닛(210)은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의 인력이 최대인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점이 도 3(c)와 같은 제2 각도 열린 상태일 수 있다.
즉,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이 제일 근접한 경우에 커버 유닛(210)은 안정 상태(Stable Condition)이 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이 인접한 제1 각도 열린 상태의 경우 각각의 넓은 쪽 일면이 서로 대향하여 구비될 수 있고, 도 3(c)와 같이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이 가장 인접한 제2 각도 열린 상태의 경우 각각의 넓은 쪽 일면이 서로 대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각 자석의 넓은 쪽 일면이 서로 대향하는 경우 인력 또는 척력의 발생 크기를 최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전 자석(2403)과 대향하는 제2 고정 자석(2402)의 일면은 회전 자석(2403)과 대향하는 제1 고정 자석(2401)의 일면 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커버 유닛(210)의 회전 반경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경우 더 넓고 큰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쉽게 열리도록 할 수 있고, 열린 후에도 안정적으로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a의 A영역 내부에 대한 세 가지 상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 도 5(b)는 커버 유닛(210)이 제1 각도 열린 상태, 도 5(c)는 커버 유닛(210)이 제2 각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와 같이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의 중심축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 자석(2401)은 회전 자석(2403) 및 힌지(211)를 잇는 직선상에서 벗어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은 도 3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호 척력을 발생시키는 극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간의 척력이 커버 유닛(210)이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제1 고정 자석(2401)은 회전 자석(2403)과 힌지(211)축을 직선상에서 어긋나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이 가장 가까운 것이 아니라, 제1 각도 열린 상태에 이르러야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의 거리가 가장 가깝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각도 열린 상태에서 제1 고정 자석(2401), 회전 자석(2403) 및 힌지(211)는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각도로 열리는 과정에서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 상호간 척력으로 인해 사용자는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도 5(b)에서 도 5(c)로 변환되는 과정인 커버 유닛(210)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열리는 과정은 3(b)에서 도 3(c)로 변환되는 과정과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회전 자석(2403)과 제1 고정 자석(2401)의 척력, 회전 자석(2403)과 제2 고정 자석(2402)의 인력으로 인해 사용자는 작은 힘 또는 아무런 힘 작용 없이 제2 각도 상태까지 열 수 있다.
즉, 도 5(a) 및 도 5(c)는 안정 상태(Stable Condition)이 되고, 도 5(b)는 불안정 상태(Unstable Condition)이 될 수 있다.
도 6은 도 1a의 A영역 내부에 대한 상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후크부(104)는 커버 유닛(210)에 구비되어 커버 유닛(210)과 메인 프레임(1001)을 후크 결합시킬 수 있다. 후크부(104)의 구비로 인해 커버 유닛(2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작용하는 경우 후크부(104)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 유닛(210)이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크부(104)는 커버 유닛(2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1)에 구비될 수도 있다. 후크부(104)에 구비되는 경우 메인 프레임(1001)과의 내측 경계에 후크부(104)를 위치시켜 이동 단말기(100)(100)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후크부(104)가 구비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회전 자석(2403), 제1 고정 자석(2401) 및 힌지(211)축이 동일선상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크부(104)에서 커버 유닛(210)을 이탈 시키는데 드는 힘과 도 5의 실시 예에서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각도 열린 상태로 만드는데 드는 힘이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후크부(104)가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부(104)의 결합을 해제시켜 커버 유닛(210)을 이탈 시키면, 곧바로 제2 각도 열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7(a)는 도 1a의 A영역 내부 정면에 대한 상태, 도 7(b)는 도 1의 A영역 외부 측면에 대한 상태의 측면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와 달리 슬라이드 돌출부(216) 및 걸림부(104)를 통해 커버 유닛(210)이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의 힌지(211)는 힌지(211) 축 상에서 커버 유닛(2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은 닫힌 상태에서 슬롯(220)의 외측면에 평행한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슬라이드 돌출부(216)는 커버 유닛(210)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04)는 슬롯(220) 경계 상에 내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드 돌출부(216)는 슬라이드 되기 전에는 걸림부(104)에 구속되어 외측으로 힌지 회전 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이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경우, 커버 유닛(210)의 슬라이드 돌출부(216)는 걸림부(104)와의 구속에서 해제되고 제1 고정 자석(2401)에 의한 척력에 의해 커버 유닛(210)은 자동적으로 힌지 회전하여 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롯 커버(210)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동작만으로 슬롯 커버(210)가 힌지 회전 되어 자동적으로 열릴 수 있다.
커버 유닛(210)의 슬라이드 거동은 커버 유닛(210)에 돌출 구비된 힌지(211)와 메인 프레임(1001)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부(10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부(105)는 슬롯(220) 외측면을 따라 커버 유닛(210)의 힌지(211)가 슬라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5의 실시 예의 차이는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의 특징과 각각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의 특징인 후크부(217)의 구비는 도 3의 실시 예 및 도 5의 실시 예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특징인 커버 유닛(210)의 슬라이드 특징 또한 도 3의 실시 예 및 도 5의 실시 예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고정 자석(2401)이 커버 유닛(210)이 닫힌 상태에서의 회전 자석(2403)과 힌지(211)를 잇는 직선 상에 또는 제2 고정 자석(2402) 측에 치우쳐 있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반대편에 치우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100: 이동 단말기 1001: 메인 프레임
1002: 메인 프레임 측면 1003: 메인 프레임 공간
104: 걸림부 105: 슬라이드 가이드부
210: 커버 유닛 211: 힌지
2111: 홀 2112: 결합 돌기
212: 결합부 213: 파지부
214: 누름부 215: 안착부
216: 슬라이드 돌출부 217: 후크부
220: 슬롯 221: 홈
230: 트레이 2401: 제1 고정 자석
2402: 제2 고정 자석 2403: 회전 자석

Claims (10)

  1. 슬롯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슬롯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커버 유닛;
    상기 커버 유닛의 힌지 측 일단에 구비된 회전 자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자석에 대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자석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고정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닫혔을 때는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제1 고정 자석이 인접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열렸을 때는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제2 고정 자석이 인접하도록 상기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제2 고정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 상기 제1 고정 자석,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힌지는 동일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자석은,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힌지를 잇는 직선상에서 벗어나 구비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제1 각도 열린 상태에 상기 회전 자석 및 상기 힌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 자석 및 상기 회전 자석의 대향하는 면이 평행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제2 각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 자석 및 상기 회전 자석의 대향하는 면이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제2 고정 자석의 일면은 상기 회전 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제1 고정 자석의 일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슬롯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실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자석은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슬롯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유닛이 닫힌 상태에서외측에 노출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의 힌지는 상기 힌지 축 상에서 상기 커버 유닛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슬롯 외측면을 따라 상기 커버 유닛의 힌지가 슬라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에 돌출 구비된 슬라이드 돌출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슬롯 경계 상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커버 유닛이 슬라이드 되기 전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의 힌지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이 슬라이드 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와의 구속에서 해제되어 상기 커버 유닛이 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유닛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후크 결합시키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31878A 2016-03-17 2016-03-17 이동 단말기 KR2017010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78A KR20170108267A (ko) 2016-03-17 2016-03-17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78A KR20170108267A (ko) 2016-03-17 2016-03-1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267A true KR20170108267A (ko) 2017-09-27

Family

ID=6003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878A KR20170108267A (ko) 2016-03-17 2016-03-1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2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6664A1 (zh) * 2019-09-25 2021-04-01 万魔声学科技有限公司 盒子及可移动终端
CN113464807A (zh) * 2021-07-29 2021-10-01 河南科特尔机械制造有限公司 石墨化可自动调节一体化操作平台
CN114754066A (zh) * 2022-06-15 2022-07-15 荣耀终端有限公司 阻尼机构及电子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6664A1 (zh) * 2019-09-25 2021-04-01 万魔声学科技有限公司 盒子及可移动终端
WO2021056663A1 (zh) * 2019-09-25 2021-04-01 万魔声学科技有限公司 盒子及可移动终端
CN113994709A (zh) * 2019-09-25 2022-01-28 万魔声学股份有限公司 盒子及可移动终端
CN113994709B (zh) * 2019-09-25 2022-11-18 万魔声学股份有限公司 盒子及可移动终端
CN113464807A (zh) * 2021-07-29 2021-10-01 河南科特尔机械制造有限公司 石墨化可自动调节一体化操作平台
CN114754066A (zh) * 2022-06-15 2022-07-15 荣耀终端有限公司 阻尼机构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101783773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0826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1300A (ko) 이동단말기
KR101629267B1 (ko) 슬라이드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60016412A (ko) 폴리오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487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7522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10157550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6374B1 (ko) 와치형 단말기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9475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4630A (ko) 이동 단말기
KR1017275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934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2102A (ko)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1575599B1 (ko) 이동 단말기
KR101641488B1 (ko) 다방향 촬영용 광학장치
KR20170035681A (ko)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5012158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