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300A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300A
KR20160041300A KR1020140134923A KR20140134923A KR20160041300A KR 20160041300 A KR20160041300 A KR 20160041300A KR 1020140134923 A KR1020140134923 A KR 1020140134923A KR 20140134923 A KR20140134923 A KR 20140134923A KR 20160041300 A KR20160041300 A KR 20160041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ase
case
leaf spring
display uni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710B1 (ko
Inventor
송인수
이재욱
조세영
권우용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710B1/ko
Priority to PCT/KR2015/006203 priority patent/WO2016056730A1/en
Priority to US15/516,375 priority patent/US9866661B2/en
Publication of KR2016004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안착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판 스프링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지지 및 기능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가변시키기 위해서, 특히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와 달리, 종이처럼 접거나 휘어지거나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까지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휘거나 접을 수 있는 기술이 보편화되지 않아, 디스플레이가 휘어진 상태로 유지된 곡면 디스플레이 구조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편의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조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안착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판 스프링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부에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곡률을 가진 디스플레이 형상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곡면 후크 구조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상호 유동시킬 수 있다.
셋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유동홈를 통해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프론트 케이스의 변형 시 리어 케이스에 대하여 유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차폐부를 구비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변형 시 발생되는 틈을 차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 스프링의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홀에 나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케이스의 전면에 판 스프링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 스프링을 평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의 리어 케이스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된 상태에서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이 평면이 된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측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중앙부가 배면을 향해 구부러진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리어 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상기 리어 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리어 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수부는 상기 윈도우(151a)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리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윈도우(151a)와 상기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상기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카메라(121b)는 상기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124)는 상기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124)는 상기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1)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상기 리어 커버(103)가 상기 배터리(191)를 덮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상기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리어 커버(103)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 내지 도 2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전면에 안착되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부(140) 및 배터리(191)가 장착되는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판 스프링(110)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리어 커버(103)가 포함된다.
상기 리어 커버(103)에는 음향 출력부(152b) 및 플래쉬(124)를 상기 리어 커버(103)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홀(103a, 103b, 103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는 나사 결합거나 또는 케이스 최외곽에 후크구조를 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103)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191)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프론트 케이스(10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발생되는 틈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8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중앙부가 배면을 향해 구부러진 유한의 곡률을 가지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상기 리어 커버(103)에 이르는 각 구성요소들이 중앙부가 배면을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판 스프링(110)은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곡률을 가진 소성 변형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외형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판 스프링(110)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되어 상기 판 스프링(110)의 곡률 변화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프론트 케이스(101)의 곡률이 변화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 스프링의 전면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홀에 나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케이스의 전면에 판 스프링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판 스프링(110)은 탄성력을 갖는 판 형상의 몸체(110a)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판 스프링(110)은 도 5 에서와 같이 중앙부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판 스프링(110)을 구부리거나 비틀 경우 상기 판 스프링(110)은 중앙부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판 스프링(110)의 양면이 곡면을 갖도록 구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판 스프링(110)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휘어지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판 스프링(110)에는 상기 몸체(110a)를 관통하는 체결홀(111, 11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11, 115)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제 1 체결홀(111)과,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결합되는 제 2 체결홀(115)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홀(111)은 상기 몸체(110a)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홀(115)은 상기 몸체(110a)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체결홀(111) 및 제 2 체결홀(115)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홀(111) 및 상기 제 2 체결홀(115)은 상기 판 스프링(11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체결홀(111) 및 제 2 체결홀(115)은 상기 판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체결홀(111)은 원형의 제 1 고정부(113)와 상기 제 1 고정부(113)의 일측에서 상기 판 스프링(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11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정부(113)는 단부쪽에 인접하여 체결 부재(126)의 단면 넓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넓이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112)는 상기 제 1 고정부(113)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정부(113)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112, 115)에는 체결 부재(126)가 삽입되어 상기 판 스프링(110)을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시킨다. 일 예로 상기 체결 부재(126)는 나사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홀(111)을 통해 상기 판 스프링(110)의 배면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판 스프링(110)의 전면(118)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상기 제 2 체결홀(115)을 통해 결합된다. 즉,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판 스프링(110)은 상기 판 스프링(110)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배면을 향하여 상기 체결 부재(126)가 삽입되며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판 스프링(110) 및 프론트 케이스(101)가 변형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 스프링을 평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의 리어 케이스의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된 상태에서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이 평면이 된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이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라 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유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되는 상태를 말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상태라 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평면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라 할 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곡면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사용자가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를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대하여 잡아당기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10)은 평면의 상태로 유지된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판 스프링(110)은 상기 제 2 체결홀(115)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당겨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판 스프링(110)의 중앙부도 전방으로 당겨지며 상기 판 스프링(110)은 평면의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후방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판 스프링(110)이 곡면 상태에서 평면 상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체결홀(111)에서 상기 제 1 고정부(113)에 위치하던 체결 부재(126)는, 상기 판 스프링(110)의 변형에 의해 도 9에서와 같이 제 2 고정부(112)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110)의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 2 체결홀(115)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126)는 상기 제 2 체결홀(115)에서 위치가 바뀌게 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로 가해진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판 스프링(110)에 전달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110)이 곡면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체결 부재(126)가 상기 제 1 고정부(113)에 위치하고, 상기 판 스프링(110)이 평면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체결 부재(126)가 제 2 고정부(112)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판 스프링(11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체결 부재(126)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판 스프링(110)이 평면에 상태가 될 때에는 다시 곡면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평면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제 2 체결홀(115)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126)가 상기 판 스프링(110)의 중앙부를 잡아줌으로써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판 스프링(110)이 평면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곡면의 상태로 사용하길 원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부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프론트 케이스(101), 판 스프링(110)을 곡면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평면인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부가 눌러지면 상기 판 스프링(110)이 곡면으로 변형되고, 상기 판 스프링(110)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곡면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리어 케이스(102) 및 리어 커버(103)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평면의 상태에서 중앙부가 전방으로 더욱 돌출되는 것은 방지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커버(103)는 후크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상단부 측면 및 하단부 측면에는 결합홈(101c)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커버(103)의 전면부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101c)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03c)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홈(101c)의 바닥부는 곡면 형태로 함몰되고, 상기 결합돌기(103c)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평면으로 변형 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상단 및 하단부가 상방 및 하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하므로, 상기 곡면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리어 커버(103)에 결합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유동할 수있다. 즉,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커버(103)는 상호 고정과 함께 상대물에 대해 상호 유동될 수 있는 후크 결합구조로써 결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단면도 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상기 판 스프링(110)의 결합 외에도 결합 부재(130)를 통해 결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상단에 접하여 세 개의 결합구조와 하단에 접하여 세 개의 결합구조로써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구조의 개수는 예시적일 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 1 안착홈(109)과,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 2 안착홈(10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제 1 안착홈(109)과 상기 제 2 안착홈(108)을 연결하는 끼움홈(10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는 배면부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체결 보스(10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 보스(107)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 부재(130)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 부재(130)에는, 상기 결합 부재(13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107)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13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체결 보스(107)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몸통부(135)와, 상기 몸통부(135)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통부(135)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안착홈(109)에 안착되는 제 1 걸림부(136)와, 상기 상기 몸통부(135)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통부(135)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걸림부(136)로부터 상기 몸통부(13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안착홈(108)에 안착되는 제 2 걸림부(13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135)는 상기 끼움홈(105)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 부재(132)는 상기 몸통부(135)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10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가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135)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변형에 따라 상기 끼움홈(105)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걸림부(136)은 상기 제 1 안착홈(109)상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단면적이 상기 제 1 안착홈(109)에 비하여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걸림부(134)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안착홈(108)에 비하여 단면적이 좁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곡면 및 평면으로 변형 시 상기 곡면의 리어 케이스(102)의 길이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곡면의 상태일 때에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길이와 같지만,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평면의 상태일 때에는 상단과 하단 사이의 길이 늘어남으로써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진다.
때문에, 상기 몸통부(135)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변형에 따라 상기 끼움홈(105)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대하여 유동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측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의 사시도 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변형에 따라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차폐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102)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8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양측면을 각각 연결하며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차폐부(180)의 일측(181)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배면 중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차폐부(180)의 타측(182)은 상기 배면 양측단을 마주하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전면 양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차폐부(180)는 신축 가능한 밴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 회 절곡된 주름판 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폐부(180)가 주름판일 경우,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곡면시에는 다수의 판들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평면으로 변형시 접혀진 판들이 펴짐으로써 상기 틈을 차폐하게 된다.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가 평면의 상태로 변형 시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중앙부가 멀어짐으로써 틈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180)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변형에 따라 늘어나거나 좁혀짐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를 차폐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될 경우 내부에 먼지등이 유입되어 고장의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차폐부(180)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방지한다.

Claims (18)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안착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판 스프링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곡률 변화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프론트 케이스의 곡률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가 후방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판 스프링이 곡면 상태에서 평면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가 평면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부가 눌러지면 상기 판 스프링이 곡면으로 변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가 곡면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체결홀; 및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2 체결홀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홀 및 상기 제 2 체결홀은 상기 판 스프링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홀 및 제 2 체결홀은 상기 판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홀은,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이 곡면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 1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제 1 고정부에 위치하고,
    상기 판 스프링이 평면 상태일 때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 2 고정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리어 케이스의 배면을 덮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단부 측면 및 하단부 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커버의 전면부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바닥부는 곡면 형태로 함몰되고,
    상기 결합 돌기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부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체결 보스;
    상기 체결 보스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 1 안착홈;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 2 안착홈; 및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2 안착홈을 연결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체결 보스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통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1 걸림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통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걸림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톰부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에 삽입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변형에 따라 상기 끼움홈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양측면과 상기 리어 케이스의 양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 회 절곡된 주름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신축 가능한 밴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134923A 2014-10-07 2014-10-07 이동단말기 KR10225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923A KR102255710B1 (ko) 2014-10-07 2014-10-07 이동단말기
PCT/KR2015/006203 WO2016056730A1 (en) 2014-10-07 2015-06-18 Mobile terminal
US15/516,375 US9866661B2 (en) 2014-10-07 2015-06-18 Deformabl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923A KR102255710B1 (ko) 2014-10-07 2014-10-07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300A true KR20160041300A (ko) 2016-04-18
KR102255710B1 KR102255710B1 (ko) 2021-05-26

Family

ID=5565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923A KR102255710B1 (ko) 2014-10-07 2014-10-07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66661B2 (ko)
KR (1) KR102255710B1 (ko)
WO (1) WO2016056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4576B2 (en) * 2017-01-26 2023-01-17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Energy harvesting methods for providing autonomous electrical power to mobile devices
KR102604018B1 (ko) * 2016-07-07 202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424512A (zh) * 2017-04-13 2017-12-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背板组件及曲面显示器
KR102446200B1 (ko) * 2017-12-22 2022-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3425B1 (ko) *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899640B (zh) * 2019-05-06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曲面显示屏的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640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20140049911A (ko) * 2012-10-18 2014-04-28 이유구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4680B2 (en) * 2008-12-23 2013-02-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JP2011107989A (ja) * 2009-11-17 2011-06-02 Fujitsu Ltd 携帯機器
KR101978206B1 (ko)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66739B1 (ko) * 2012-11-09 201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67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72B1 (ko) * 2013-01-11 2014-11-03 (주) 프렉코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장치
KR102165442B1 (ko) * 2013-02-01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101404628B1 (ko) * 2013-05-29 2014-06-11 김선종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KR102086507B1 (ko) * 2013-07-02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US9098240B2 (en) * 2013-07-04 2015-08-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20150026028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20150138699A1 (en) * 2013-11-15 2015-05-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15100333A1 (en) *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n attachable, two-dimensional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145191B1 (ko) * 2014-01-24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208114B1 (ko) * 2014-02-27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91892B2 (en) * 2014-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20160025830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60050698A (ko) * 2014-10-30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98473B1 (ko) * 2014-12-30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41918B2 (en) *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US10664020B2 (en) * 2015-04-23 2020-05-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414855B1 (ko) * 2015-04-30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전자 장치
US10254795B2 (en) * 2015-05-06 2019-04-09 Flexterra, Inc. Attachable,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tail
US9690330B2 (en) * 2015-06-01 2017-06-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640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20140049911A (ko) * 2012-10-18 2014-04-28 이유구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66661B2 (en) 2018-01-09
KR102255710B1 (ko) 2021-05-26
US20170310798A1 (en) 2017-10-26
WO2016056730A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780B1 (ko) 이동 단말기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60041300A (ko) 이동단말기
KR20180138009A (ko) 전자장치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6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7542A (ko) 이동단말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9A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0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80096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1295A (ko) 이동단말기
KR2017007947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121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4484A (ko) 이동단말기 및 전자디바이스
KR101593322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463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06209A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