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780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780B1
KR102149780B1 KR1020150095392A KR20150095392A KR102149780B1 KR 102149780 B1 KR102149780 B1 KR 102149780B1 KR 1020150095392 A KR1020150095392 A KR 1020150095392A KR 20150095392 A KR20150095392 A KR 20150095392A KR 102149780 B1 KR102149780 B1 KR 10214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ain body
unit
light
translu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694A (ko
Inventor
양현석
김재철
최태화
강종모
장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780B1/ko
Priority to US15/047,216 priority patent/US9794382B2/en
Priority to CN201610379953.2A priority patent/CN106331229B/zh
Priority to EP16174684.7A priority patent/EP3113464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면, 하단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는 상면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으면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후면부와, 상기 제1 후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후면부를 포함하는 후면부와, 상기 본체의 하단면을 덮는 하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 제1 후면부, 제2 후면부 및 하면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금속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비금속부재에는 외부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lighting portion)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후면 케이스를 분할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후면 케이스를 안테나로 활용하게 되면서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 확보를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를 안테나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도 13 및 도 14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50,90)의 후면 케이스를 안테나로 활용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50)의 후면은 제1 비전도성 부재(41)에 의해 제1 부분(10)과 제2 부분(20)이 전기적으로 구분되고, 제2 비전도성 부재(42)에 의해 제2 부분(20)과 제3 부분(30)이 구분되도록 하였다. 이때, 안테나의 방사체로 사용되는 부분은 제1 부분(10) 및 제3 부분(30)이다.
또한, 도 14는 이동 단말기(90)의 후면 케이스를 안테나로 활용되도록 메탈 케이스로 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90)의 측면에까지 절연성 부재(65a,66a)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1 및 제2 절연성 부재(65,66)에 의해 후면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60), 하부 케이스(70) 및 중간 케이스(80)으로 구분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측면 프레임(85)의 일부를 금속 재질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 프레임(85) 상에 하나 이상의 갭(65a,66a)을 갖도록 하고, 상기 갭(65a,66a)은 절연성 물질로 채워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 후면 케이스를 안테나의 일부로 활용하는 기술이 있었으나, 후면 케이스를 분할하여 이격시키는 부분은 단순히 금속 부재(후면 케이스)를 이격시키기 위한 용도로만 활용되는데 그쳤다.
따라서, 후면 케이스를 분할 형성함으로써 생기는 이격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그 활용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후면 케이스를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후면의 일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면, 하단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는 상면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으면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후면부와, 상기 제1 후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후면부를 포함하는 후면부와, 상기 본체의 하단면을 덮는 하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 제1 후면부, 제2 후면부 및 하면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금속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비금속부재에는 외부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lighting portion)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비금속부재는 상기 상면부와 제1 후면부를 전기적으로 제1 비금속부재와, 상기 제1 후면부와 제2 후면부를 이격시키는 제2 비금속부재와, 상기 제2 후면부와 하면부를 이격시키는 제3 비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비금속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반투명 재질의 반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명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반투명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반투명부에 전달하는 투명한 재질의 광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가이드부의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간격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이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후면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하면에 배치되는 후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윈도우 및 후면 디스플레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형상을 따라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와 본체의 사이에는 차광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반투명부의 양단은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후크부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반투명부에는 상기 한 쌍의 후크부 사이에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반투명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면부, 제1 후면부 및 하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방사체로 작동하고, 상기 제2 후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부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성 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성 회로기판에는 상기 상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면부를 급전시키는 제1 및 제2 급전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본체의 상단 후면에는 상기 제1 후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후면부를 급전시키는 제3 급전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4 급전 연결부와, 상기 제4 급전 연결부에 연결되고 금속 패턴이 형성되는 제4 캐리어와, 상기 제4 캐리어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와 접촉하는 제4 접촉 단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면부가 방사체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단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5 급전 연결부와, 상기 제5 급전 연결부에 연결되고 금속 패턴이 형성되는 제5 캐리어와, 상기 제5 캐리어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와 접촉하는 제5 접촉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및 제5 캐리어에는 각각 음향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비금속부재는 슬릿(slit)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후면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가 제2 후면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를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함과 동시에 분할되는 케이스들간의 이격 공간을 발광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를 금속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후면 케이스의 분할된 부분들이 안테나로 작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를 비금속부재들에 의해 분리 형성하고, 비금속부재를 후면 디스플레이부로 구현함으로써 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c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부 안테나 장치와 관련된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안테나 장치와 관련된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그라운드부와 관련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하부 안테나 장치와 관련된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c의 AA를 따르는 일부 단면도 및 일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M 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c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를 안테나로 활용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도인데,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최외곽 케이스(103)의 일부를 금속부재 및 비금속부재를 사용하여 외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금속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단면, 하단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감싸는 케이스(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3)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 케이스(103)로 구분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 및 후면 케이스(10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1b에서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케이스(103)가 분리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3)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는 상면부(103a)와,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으면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후면부(103b)와, 상기 본체의 후면을 덮으면서 제1 후면부(103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후면부(103c)를 포함하는 후면부와, 상기 본체의 하단면을 덮는 하면부(10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면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의 사이에 구비되는 면 중 상단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하단면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의 사이에 구비되는 면 중 하단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과 전면의 사이에 구비되는 면 중 상단면 및 하단면을 제외한 면은 상기 제1 후면부(103b) 및 제2 후면부(103c)의 일부이므로 상기 제1 및 제2 후면부(103b,103c)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은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이 두 개의 금속부재를 갖도록 분할 형성되는 경우, 제1 및 제2 후면부(103b,103c)로 명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부(103a), 제1 후면부(103b), 제2 후면부(103c) 및 하면부(103d)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비금속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비금속부재는 데코레이션 부재(decoration member)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03a), 제1 후면부(103b) 및 하면부(103d)는 후술하듯이 안테나의 방사체(radiator)로 작동하고, 상기 제2 후면부(103c)는 그라운드부(ground portion)로 작동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면부(103a), 제1 후면부(103b) 및 하면부(103d)는 인쇄회로기판(181, 도 6 참조)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후면부(103c)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부로 작동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면부(103a), 제1 후면부(103b), 제2 후면부(103c) 및 하면부(103d)는 모두 금속부재이고, 인쇄회로기판(1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면부(103a)를 상부 금속부재(top metal), 상기 하면부(103d)를 하부 금속부재(bottom metal), 상기 제1 후면부(103b)를 후면 금속부재(rear metal), 상기 제2 후면부(103c)를 바디 금속부재(body metal)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상면부(103a), 제1 및 제2 후면부(103b,103c), 하면부(103d)는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 및/또는 NC(numerical control) 가공에 의해 케이스(103)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면부(103a)에 의한 안테나를 상부 안테나 장치, 상기 하면부(103d)에 의한 안테나를 하부 안테나 장치, 상기 제1 후면부(103b)에 의한 안테나를 후면 안테나 장치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후면 안테나 장치는 제2 후면부(103c)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후면부(103b)가 그라운드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도 1c에서는 상면부(103a) 및 하면부(103d)를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일부 면이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후면부(103b)의 영역은 도 1c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부 영역 일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제2 후면부(103c)의 영역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영역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후면부(103b,103c)의 영역이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후면 입력부(125)가 제2 후면부(103c)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후면 입력부(125)는 상기 제1 후면부(103b)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후면부(103b,103c)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2 후면부(103c)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기능을 푸시 입력하는 제1 버튼부(125a)와 제2 기능을 푸시 입력하는 제2 버튼부(125b)를 포함하는 후면 입력부(125)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기능은 전원의 온오프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와 관련된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능은 단말기의 본체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크기조절과 관련된 기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정보에 대한 스크롤 기능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버튼부(125a)는 제2 버튼부(125b)의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후면 입력부는 도 12c에서와 같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c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후면부(103b)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D1)가 제2 후면부(103c)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D2)보다 두껍다. 이는 제1 후면부(103b)가 배치되는 부분에 후면 카메라(121b), 센서부(128) 등의 다수의 부품들이 실장되는데, 이들 부품들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외부에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최근에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후면 카메라(121b)는 고해상도를 갖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보다 두꺼운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 카메라(121b)가 후면으로 돌출된다. 후면 카메라(121b)에는 카메라 윈도우(미도시)가 최외곽에 배치되는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이 지면(ground)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놓여질 경우 카메라 윈도우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후면 카메라(121b)가 배치되는 부분의 두께(D1)를 보다 다른 부분의 두께(D2)보다 두껍게 할 수 있으며, 제1 후면부(103b)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2 후면부(103c)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두께 변화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면부(103a), 제1 및 제2 후면부(103b,103c), 하면부(103d)는 비금속부재들(104a,104b,104c)에 의해 이격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비금속부재들(104a,104b,104c)은 상기 상면부(103a)와 제1 후면부(103b)를 이격시키는 제1 비금속부재(104a)와, 상기 제1 후면부(103b)와 제2 후면부(103c)를 이격시키는 제2 비금속부재(104b)와, 상기 제2 후면부(103c)와 하면부(103d)를 이격시키는 제3 비금속부재(104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비금속부재(104a,104b,104c)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lighting portion)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비금속부재(104b)에 발광부가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부는 반드시 빛만 비추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빛과 함께 다양한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때, 제2 후면부(103c)가 형성되는 영역에 배터리(191)가 배치된다.
도 9는 도 1c의 AA를 따르는 일부 단면도 및 일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후면부(103b)와 제2 후면부(103c)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금속부재(104b)가 발광부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발광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반투명 재질의 반투명부(146,translucent portion) 및 상기 반투명부(146)의 하부에 구비되는 광원(145)을 포함한다. 상기 반투명부(146)는 빛의 일부가 통과하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예로 PC(polycarbonate)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반투명부(146)는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내부를 은폐하면서도 발광되도록 한다.
상기 반투명부(146)의 하부에는 상기 광원(145)의 빛을 상기 반투명부(146)에 전달하는 투명한 재질의 광가이드부(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147)는 상기 광원(145)으로부터 빛을 받아 외부로 확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광가이드 플레이트(lighting guide plate,LGP) 또는 광가이드 필름(lighting guide film,LGF)일 수 있다. 상기 반투명부(146)는 상기 광가이드부(147)에 비해 얇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광가이드부(147)를 광가이드 필름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투명부(146)에 비해 더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145)은 엘이디(LED)일 수 있으며, 일예로 RGB 엘이디일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광원(145)이 상기 반투명부(146) 및 광가이드부(147)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145)을 상기 반투명부(146) 및 광가이드부(147)의 측면에 배치하고, 상기 광가이드부(147)에 의해 상기 반투명부(146)를 통하여 외부로 빛이 비춰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광원(145)의 빛이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형성되는 광가이드부(147)를 따라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원(145)을 배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반투명부(146)의 하부 일측에 상기 광가이드부(147)를 형성하고, 상기 반투명부(146)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되는 광원(145)의 빛을 광가이드부(147)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외부에 비춰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화살표는 광원(145)으로부터 반투명부(146)에 이르는 광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M 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반투명부(146) 및 광가이드부(147)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하나의 광원(145)만으로도 광가이드부(147)에 의해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광가이드부(147)가 광가이드 플레이트인 경우, 상기 광가이드 플레이트에 패턴을 구현하여 다양한 발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가이드부(146)의 하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146d)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146d)의 간격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b에서는 상기 홈(146d)의 간격을 등간격으로 도시하였으나, 일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좁아지거나 점점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홈(146d)의 근처에 빛이 모이거나 발산되도록 하여 빛의 음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발광부는 라이팅 인디케이터(lighting indicator)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는 광 출력부(154,도 1a 참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상기 광가이드부(147)가 상기 반투명부(146)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투명부(146)의 하부에 광가이드부(147)가 배치되어 광원(145)의 빛을 전달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반투명부(146)의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부들(146a,146b)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146a,146b)은 상기 반투명부(146) 및 광가이드부(147)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146a) 및 후크부(146b)이다.
상기 체결부(146a)는 상기 체결부(146a)에 고온을 가한 다음 압축하게 되면 케이스(103)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상태에서 열이 제거되면 굳어지면서 반투명부(146)를 본체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부(146a)는 반투명부(146)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고, 후크부(146b)는 반투명부(146)의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후크부(146b) 또한 상기 체결부(146a)와 같이 고온에 의해 상기 반투명부(146)를 단말기 본체의 양측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단말기 본체에 후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a에서는 광원(145)이 상기 반투명부(146)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 광 유입구(146c)를 통해 유입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광가이드부(147)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광원(145)이 반드시 발광부의 중앙 부분에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친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은 도 1c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인데, 상기 제2 비금속부재(104b)가 발광부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1)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외부에 빛을 비추면서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관련되거나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100)에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형상을 따라 휘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면으로 노출되는 후면 윈도우(161a)와, 상기 후면 윈도우(161a)의 하부에 배치되는 후면 디스플레이(161b)와, 상기 후면 윈도우(161a) 및 후면 디스플레이(161b)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62)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을 덮는 케이스(103)이거나 상기 케이스(103)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 윈도우(161a) 및 후면 디스플레이(161b)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디스플레이부(16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또는 케이스(103)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61)를 수용하는 케이스(103)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0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62)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와 본체의 사이에는 차광테이프(16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62)가 투명한 재질인 경우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에서 발생되는 빛과,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한 빛이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161b)와 단말기 본체의 사이에 빛을 차단시키는 차광부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두운 컬러의 차광테이프(163)를 형성하였다. 다만, 상기 지지부재(162)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광부재는 필요없게 된다.
도 10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반투명부(146)의 양단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146b)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후크부(146b)에는 전면 디스플레이(151)가 안착된다.
상기 반투명부(146)에는 상기 한 쌍의 후크부(146b) 사이에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체결부(146a)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비금속부재(104b)를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46a)는 열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상기 제2 비금속부재(104b)가 본체에 체결되도록 하는 열융착부일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즉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에서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의 크기가 작아서 간단한 정보만 표시되나, 도 12b 및 도 12c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의 크기가 커질수록 점점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호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도 12a에서는 전화를 건 상대방의 이름만 서브 디스플레이부(161)에 표시되나, 도 12b에서는 전화를 건 상대방 이름 및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도 함께 표시되고, 도 12c에서는 전화를 건 상대방 이름, 이벤트 발생 시간 및 상대방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161)의 표시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도 12c에서와 같이, 후면 입력부(125)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상면부(103a), 하면부(103d) 및 제1 후면부(103b)는 안테나로서 작동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비금속부재(104a,104b,104c)는 안테나의 측면에서 보면 슬릿(slit)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슬릿의 기능은 상기 상면부(103a), 하면부(103d) 및 제1 후면부(103b)와 같은 안테나 방사체들을 이격 배치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안테나 장치와 관련된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후면 안테나 장치와 관련된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중간에 형성되는 그라운드부와 관련된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테나 장치와 관련된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인쇄회로기판(181)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성 회로기판(131a,132a)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성 회로기판(131a,132a)에는 상기 상면부(10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면부(103a)를 급전시키는 제1 및 제2 급전 연결부(131b,132b)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상면부(103a)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방사체(radiator)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연성 회로기판(131a,132a)은 상단면에 구비되는 상면부(103a)에 전류 및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급전 연결부(131b,132b)는 상면부(103a)의 양측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이격 배치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급전 연결부(131b)는 GPS 안테나로 활용하기 위한 급전 연결부이고, 상기 제2 급전 연결부(132b)는 WiFi 안테나로 활용하기 위한 급전 연결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GPS 안테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81), 제1 연성 회로기판(131a) 및 제1 급전 연결부(1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81), 제1 연성 회로기판(131a) 및 제1 급전 연결부(131b)를 순서대로 거쳐 상면부(103a)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상면부(103a)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면서 GPS 안테나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는 WiFi 안테나의 경우도 유사하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81), 제2 연성 회로기판(132a) 및 제2 급전 연결부(132b)를 순서대로 거쳐 상면부(103a)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상면부(103a)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면서 WiFi 안테나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안테나 장치는 스피커 어셈블리(133)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급전 연결부(131b)에는 제1 캐리어(131c)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급전 연결부(132b)에는 제2 캐리어(132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 어셈블리(133)에는 상기 스피커 어셈블리(133)를 인쇄회로기판(18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피커 어셈블리(133)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피커 어셈블리 회로기판(133c)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급전 연결부들(131b,132b,133a,133b,134a,135a)는 두 개의 금속부재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일예로 C-clip, 포고핀(pogo pin) 또는 EMI 시트(sheet)일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81) 중 본체의 상단 후면에는 상기 제1 후면부(10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후면부(103b)를 급전시키는 제3 급전 연결부(133a,133b)가 구비된다. 상기 제3 급전 연결부(133a,133b)는 상기 제1 후면부(103b)에 전류를 공급하여 후면 안테나 장치로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의 후면 안테나 장치는 일예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후면 안테나 장치는 스피커 어셈블리(133)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부분 중 스피커 어셈블리(133)를 분리한 이동 단말기(100)의 일부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상측에는 센서부(128)가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부(128)는 스피커 어셈블리(133)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센서부 안착부(128a)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128)는 플래시(124), RGB 센서(126), 자동초점조절장치(127,laser detection auto focusing,LDAF)를 포함한다. 상기 RGB 센서(126)는 카메라 작동시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자동초점조절장치(127)는 카메라 촬영시 레이저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초점조절장치(127)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발광부와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송신하는 출력 신호와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함과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때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종래의 자동초점장치(Auto Focusing,AF)는 레이저 없이 이미지 처리로 포커스하여 화면 전체를 커버하는데 시간이 걸렸으나, 상기 자동초점조절장치(127)는 레이저를 통해 위상차로 거리를 측정하여 0~50cm까지는 레이저로 빠르게 처리하고, 그 이외에서는 기존의 AF방식으로 처리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81)에 다수의 접지 연결부(136)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접지 연결부(136)는 제2 후면부(103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부 안테나, 후면 안테나 및 하부 안테나에서의 다중 대역을 갖는 주파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지 연결부(136)의 접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진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에서의 전기적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부를 도시하였는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면을 방사체로 하는 하부 안테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 안테나 장치는 상기 상부 안테나 장치와 유사하게 한 쌍의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는 제4 급전 연결부(134a), 제4 캐리어(134c) 및 제4 접촉 단자(134b)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가 배치되고, 도 7의 우측에는 제5 급전 연결부(135a), 제5 캐리어(135c) 및 제5 접촉 단자(135b)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제4 급전 연결부(134a)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81)에 연결된다. 이는 제5 급전 연결부(135a)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하부 안테나 장치는 제5 급전 연결부(135a), 제5 캐리어(135c) 및 제5 접촉 단자(135b)를 포함하고, 제5 급전 연결부(135a)는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4 급전 연결부(134a)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5 캐리어(135c) 및 제5 접촉 단자(135b)도 각각 제4 캐리어(134c) 및 제4 접촉 단자(134b)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부 안테나는 각각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4 및 제5 캐리어(134c,135c)는 각각 상기 제4 및 제5 급전 연결부(134a,135a)에 연결되고 금속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 및 제5 접촉 단자(134b,135b)는 각각 상기 제4 및 제5 캐리어(134c,135c)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103d)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안테나 장치는 모두 상기 하면부(103d)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고주파 및/또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134c,135c)는 두 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하부 안테나 장치가 다중 대역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7의 좌측에 배치되는 안테나가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구현한다면, 도 7의 우측에 배치되는 안테나는 저주파 또는 중간 대역의 주파수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제4 및 제5 캐리어(134c,135c)에 형성되는 금속 패턴들에 의해 다양한 대역의 공진주파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 패턴을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의 예로는 미앤더(meander) 패턴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사업자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서로 상이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각국에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을 구현하기 위한 금속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여러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하부 안테나 장치 뿐만 아니라, 상부 안테나 장치 및 후면 안테나 장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테나 변동부를 캐리어에 구현할 수 있다. 이때의 안테나 변동부는 매칭 모듈(matching modul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안테나가 형성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137a,137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부에 2개의 음향 입력부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인식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단면, 하단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덮는 상면부;
    상기 후면의 적어도 제1 부분을 덮으면서 상기 후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후면부와, 상기 후면의 적어도 제2 부분을 덮으면서 상기 제1 후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후면부를 포함하는 후면부; 및
    상기 본체의 하단면을 덮는 하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부, 제1 후면부, 제2 후면부 및 하면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금속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비금속부재에는 외부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lighting portion)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반투명 재질의 반투명부;
    상기 반투명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반투명부의 양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진 곡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곡면부의 내측에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후크부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부재는,
    상기 상면부와 제1 후면부를 이격시키는 제1 비금속부재;
    상기 제1 후면부와 제2 후면부를 이격시키는 제2 비금속부재; 및
    상기 제2 후면부와 하면부를 이격시키는 제3 비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반투명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반투명부에 전달하는 투명한 재질의 광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의 하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사이의 간격에 의해 다양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이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후면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면에 배치되는 후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후면 윈도우 및 후면 디스플레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형상을 따라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와 본체의 사이에는 차광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부에는 상기 한 쌍의 후크부 사이에 배열된 체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들은 상기 제2 비금속부재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제1 후면부 및 하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각각 제1 안테나 방사체, 제2 안테나 방사체, 및 제3 안테나 방사체로 작동하고, 상기 제2 후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부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면 근처에 제공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성 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성 회로기판에는 상기 상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면부를 급전시키는 제1 및 제2 급전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상기 후면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후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후면부를 급전시키는 제3 급전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4 급전 연결부;
    상기 제4 급전 연결부에 연결되고 금속 패턴이 형성되는 제4 캐리어; 및
    상기 제4 캐리어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와 접촉하는 제4 접촉 단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면부가 방사체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5 급전 연결부;
    상기 제5 급전 연결부에 연결되고 금속 패턴이 형성되는 제5 캐리어; 및
    상기 제5 캐리어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와 접촉하는 제5 접촉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및 제5 캐리어에는 각각 음향 입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금속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방사체와 상기 제2 안테나 방사체 사이의 슬릿(slit)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비금속부재는 상기 제2 안테나 방사체와 그라운드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제3 비금속부재는 그라운드와 상기 제3 안테나 방사체 사이의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가 제2 후면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서로 다른 형태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095392A 2015-07-03 2015-07-03 이동 단말기 KR10214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92A KR102149780B1 (ko) 2015-07-03 2015-07-03 이동 단말기
US15/047,216 US9794382B2 (en) 2015-07-03 2016-02-18 Mobile terminal
CN201610379953.2A CN106331229B (zh) 2015-07-03 2016-06-01 移动终端
EP16174684.7A EP3113464B1 (en) 2015-07-03 2016-06-16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92A KR102149780B1 (ko) 2015-07-03 2015-07-03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694A KR20170004694A (ko) 2017-01-11
KR102149780B1 true KR102149780B1 (ko) 2020-08-31

Family

ID=5619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392A KR102149780B1 (ko) 2015-07-03 2015-07-0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4382B2 (ko)
EP (1) EP3113464B1 (ko)
KR (1) KR102149780B1 (ko)
CN (1) CN1063312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13A (ko) * 2015-04-15 201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485294B2 (ja) * 2015-09-09 2019-03-20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N105655706B (zh) * 2016-03-18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金属终端后盖及终端
CN206259983U (zh) * 2016-12-15 2017-06-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外壳及移动终端
ES2729806T3 (es) * 2017-01-09 2019-11-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njunto de pantalla de visualización,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y dispositivo electrónico
CN106847865B (zh) * 2017-01-23 2019-08-2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06603772B (zh) * 2017-01-26 2019-12-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图像获取方法
CN108702402B (zh) * 2017-03-16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红外温度传感器及终端
CN107426369A (zh) * 2017-09-06 2017-12-01 金雅豪精密金属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具有分段式外框的手机中板
US10620913B2 (en) * 2017-12-04 2020-04-14 Amazon Technologies, Inc. Portable voice assistant device with linear lighting elements
CN109005254B (zh) * 2018-06-08 2020-06-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滑动机构的信息指示方法、控制组件和电子设备
CN109586026B (zh) * 2018-11-28 2022-0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9309742A (zh) * 2018-12-14 2019-02-05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骨架及移动终端
CN209233879U (zh) 2018-12-14 2019-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组件和移动终端
CN110809077B (zh) * 2019-11-12 2020-10-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系统、终端以及发光终端背壳
CN115706309A (zh) * 2021-08-05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2695A1 (en) 2004-12-17 2006-06-22 Ne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S20070052906A1 (en) 2003-10-16 2007-03-08 Rohm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165916A1 (en) 2010-01-04 2011-07-07 Park Seok Yong Mobile terminal
US20140125528A1 (en) 2012-11-08 2014-05-08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202012004684U8 (pt) 2011-07-13 2016-11-22 Motorola Mobility In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um banco melhorado de antenas
US9655261B2 (en) 2013-03-21 2017-05-16 Htc Corporatio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517770A (en) 2013-09-02 2015-03-0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FR3021134B1 (fr) *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CN204216211U (zh) 2014-11-12 2015-03-18 瑞声声学科技(苏州)有限公司 移动通讯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2906A1 (en) 2003-10-16 2007-03-08 Rohm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60132695A1 (en) 2004-12-17 2006-06-22 Ne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S20110165916A1 (en) 2010-01-04 2011-07-07 Park Seok Yong Mobile terminal
US20140125528A1 (en) 2012-11-08 2014-05-08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3464A1 (en) 2017-01-04
KR20170004694A (ko) 2017-01-11
US20170006143A1 (en) 2017-01-05
EP3113464B1 (en) 2018-01-17
US9794382B2 (en) 2017-10-17
CN106331229A (zh) 2017-01-11
CN106331229B (zh)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780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9513B1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2384640B1 (ko) 이동 단말기
EP3169046A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etal case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9336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204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102255710B1 (ko) 이동단말기
US20180288201A1 (en) Mobile terminal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US20190086968A1 (en) Mobile terminal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88046A (ko) 회로구조 및 이동 단말기
KR20200089330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643355B1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67025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03B1 (ko) 이동 단말기
KR102192820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4484A (ko) 이동단말기 및 전자디바이스
KR20170083406A (ko) 이동 단말기
KR10163503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