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611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611A
KR20160109611A KR1020150034363A KR20150034363A KR20160109611A KR 20160109611 A KR20160109611 A KR 20160109611A KR 1020150034363 A KR1020150034363 A KR 1020150034363A KR 20150034363 A KR20150034363 A KR 20150034363A KR 20160109611 A KR20160109611 A KR 20160109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l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민
손준성
김미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611A/ko
Priority to US14/808,868 priority patent/US9971175B2/en
Priority to EP15002324.0A priority patent/EP3067737A1/en
Priority to CN201510524889.8A priority patent/CN105974660A/zh
Publication of KR2016010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02B6/0048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with stepwise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6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two modes of illumination, e.g. day-n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픽셀별로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어레이;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타측 측면에 도달한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면과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계단형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구동 광원의 개수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지고 이동 단말기 사용시간의 대부분은 디스플레이부를 켠 상태로 이용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에서 소모하는 전력량이 큰 문제가 있어 소모전력량을 줄인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니즈(needs)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 광원의 개수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픽셀별로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어레이;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타측 측면에 도달한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면과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계단형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계단형 요철의 각 면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띠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는 미러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좌우 대칭인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광원 어레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엘이디로부터 상기 미러까지의거리가 같은 프레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계단형 요철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제1 면과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제2 면이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미러를 향해 기울어진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의 경사면에 도달한 빛은 상기 도광판의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입사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과하여 상기 액정패널로 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띠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산란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픽셀별로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어레이;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타측 측면에 도달한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면과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계단형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계단형 요철의 각 면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띠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는 미러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좌우 대칭인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광원 어레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엘이디로부터 상기 미러까지의거리가 같은 프레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계단형 요철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제1 면과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제2 면이 번갈아 가며 배치할 수 잇다.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미러를 향해 기울어진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의 경사면에 도달한 빛은 상기 도광판의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입사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과하여 상기 액정패널로 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어레이는 상기 도광판 일측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엘이디; 및 상기 제1 엘이디의 좌우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엘이디만 켜고;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엘이디와 상기 제2 엘이디를 켜고, 제3 모드에서는 상기 광원 어레이의 엘이디 전체를 켤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시야각이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보이는 보안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시야각이 소정각도를 벗어나면 어둡게 보이는 절전모드이며, 상기 제3 모드는 시야각에 관계없이 동일한 밝기로 보이는 와이드 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은 수의 광원을 구동해서 정면의 화면 밝기를 확보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정보보안 필름을 추가하지 않고도 시크릿 모드로 사용가능하고, 사용 태양에 따라 정보보호용 또는 일반용 등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전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엘이디로부터 도광판의 일측에 입사된 빛이 도광판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제1 엘이디만 켠 경우 빛의 경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본 사용자의 시야각에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의 일부를 켠 경우 빛의 경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본 사용자의 시야각에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을 전부 켠 경우 빛의 경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본 사용자의 시야각에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패널(20), 백라이트 유닛(10)으로 구성된다. 액정패널(20)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글래스(21, 22) 사이에 액정(23)을 주입하여 형성하며, 투명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면 액정(23)의 분자 배열이 변화하며 투명도가 달라진다. 액정(23)이 투명해지면 액정패널(2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10)에서 공급되는 빛이 통과하며, 액정이 불투명하게 변화하면 백라이트 유닛(10)에서 공급되는 빛이 통과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일측의 글래스(21)에는 픽셀별디스플레이 장치(151)로 색상을 구현하기위한 컬러필터가 위치하며, 타측의 글래스(22)에는 픽셀별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트랜지스터가 구현된다. 액정패널(20)은 자체적으로 빛을 사출할 수 없기 때문에 액정패널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0)가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판(12)과 도광판(12)의 일측 측면에서 제1 방향으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은 도광판(12)의 일측에 인접하여 복수 개의 엘이디가 나란히 배치되어 광원 어레이(11)를 구성한다.
광원 어레이(11)로부터 도광판(12)은 일측 측면에서 공급된 빛은 도광판(12) 내에서 반사하여 퍼지면서 전면의 액정패널(20)로 공급한다. 도광판(12)에서 빛이 고르게 퍼지고 도광판(12)에서 사출된 빛이 액정패널(20)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도광판(12)의 전면에 확산판(240), 프리즘 시트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광원 어레이(11)의 전체 엘이디를 구동해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모하는 전력량이 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일부 엘이디만 구동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5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광판(220)과 반사판(230)만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51)는 액정패널(250)과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하며, 액정패널(250) 부분은 종래와 유사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원어레이(210)과 도광판(220)을 포함하며, 도광판(22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230)과 전면에 위치하는 산란필름을 포함한다. 광원은 도광판(220)의 일측 측면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광원 어레이(210)를 이용할 수 있다. 광원 어레이(210)는 도광판(220)의 일측 측면에 빛을 조사하며,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211, 212, 213)는 가운데 위치하는 제1 엘이디(211), 제1 엘이디(211) 좌우에 위치하는 제2 엘이디(212), 광원 어레이(210)의 양 끝에 위치하는 제3 엘이디(213)로 구성되며, 제1 엘이디(211), 제2 엘이디(212) 및 제3 엘이디(21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원 어레이(210)는 가운데 엘이디(21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제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엘이디(211), 제2 엘이디(212) 및 제3 엘이디(213)는 각각 제어가능하며, 제1 엘이디(211)만 켠 상태를 제1 모드, 제1 엘이디(211)와 제2 엘이디(212)를 켠 상태를 제2 모드 및 전체 엘이디(211, 212, 213)를 켠 상태를 제3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점등한 엘이디(211, 212, 213)의 개수가 차이가 있으므로 제3 모드에서 소모전력이 가장 크고 제1 모드에서 소모 전력이 가장 작다.
도광판(220)은 측면에서 입사된 빛을 전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고르게 퍼트려 면광원으로 만들어 전면의 액정패널(25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전반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입사각이 0도인 경우 B와 C는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입사된 경우이며, D와 E는 임계각보다 큰 각도로 입사된 경우를 도시한다.
전반사란 굴절율이 큰 매질(매질 1)에서 굴절율이 작은 매질(매질 2)로 빛이 입사될 때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된 빛은 통과하지 않고 전부 반사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빛이 입사된 경우(A, B, C)에는 일부는 매질 1에서 매질 2로 통과하고 일부는 매질 1과 매질 2의 경계면에서 반사된다. 한편 임계각보다 큰 각도로 빛이 입사된 경우(D, E)에는 전부 매질 1과 매질 2의 경계면에서 반사된다.
도광판(220)의 일측 측면에서 입사된 빛은 임계각보다 큰 각도로 도광판(220)의 전면 또는 배면에 도달하고 전반사되며 타측까지 도달한다. 도광판(220)의 타측 측면에는 미러(225)가 인쇄되어 있어 도광판(220)의 타측 측면에 도달한 빛은 다시 반사되며, 도광판(220)의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도광판(220)의 전면 또는 배면에 도달하면 도광판(220)을 통과하여 사출된다.
즉,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도광판(220) 전면에 입사된 빛은 도광판(220)을 통과하여 사출되어 액정패널(250)로 공급되고,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230)에 의해 전면 방향으로 반사되어 도광판(220)을 통과하여 액정패널(250)로 공급된다.
특히 본 발명의 도광판(220)은 배면 방향에 복수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계단형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은 제1 방향(도광판(2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또는 광원 어레이(210)부터 미러(225)까지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상기 제1 방향에 수직방향)으로는 연속된 면을 갖는다. 즉, 계단처럼 제1 방향으로는 단차가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는 연석된 면을 가지며, 상기 계단형 요철(221)은 이웃하는 면끼리 각도가 상이하며, 각 면의 제1 방향의 길이도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단형 요철(221)의 제1 각도로 형성된 제1 면(221a)과 제2 각도로 형성된 제2 면(221b)이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면(221a)은 편평하게 또는 광원(도광판(220)의 일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 있고, 제2 면(221b)은 미러(225)(도광판(220)의 타측)를 향하고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판(220) 일측 측면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제1 면(221a)에 도달하면 임계각보다 작아 반사하며 도광판(220) 타측의 미러(225)에 도달하게 된다.
미러(225)에서 반사된 빛은 제1 면(221a)에 도달하면 반사하나, 제2 면(221b)에 도달하면 임계각 이내로 입사한 경우 도광판(220)을 빠져나가 배면의 반사판(230)으로 사출되고, 제2 면(221b)의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한 경우 반사되어 도광판(220)의 전면으로 사출되며 액정패널(250)로 공급된다.
제1 면(221a)과 제2 면(221b)이 이루는 각도차이 때문에 상기 도광판(220)의 두께는 일측보다 타측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광판(220)의 배면이 도광판(220)의 타측으로 갈수록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계단형 요철(221)의 각 면의 제1 방향 길이와 각도에 따라 도광판(220)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종래의 도광판은 광원 어레이가 위치하는 일측부분이 더 두껍고 타측부분이 더 얇거나 거의 균일한 두께인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도광판은 광원 어레이에서 입사된 빛이 도광판의 배면에 반사되어 전면으로 사출되도록 형성한 것인 반면, 본원발명은 도광판(220)의 일측이 더 두꺼워 빛의 대부분이 도광판(220)의 타측에 위치하는 미러(225)까지 이동하고 상기 미러(225)에서 반사된 빛이 도광판(220)의 배면에 형성된 계단형 요철(221)에 반사되어 전면 방향으로 사출되는 것이다.
도 6은 제1 엘이디(211)로부터 도광판(220)의 일측에 입사된 빛이 도광판(220)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도광판(220)의 전면과 배면에서 전반사되며 도광판(220)의 타측으로 이동하고 타측에 도달한 빛은 반사되어 다시 도광판(22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광원에서 사출되어 도광판(22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빛 또는 미러(225)에서 반사되어 도광판(22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도광판(220)의 전면에 임계각 이하의 각도로 입사되면 도 6의 (a)와 같이 도광판(220)의 전면으로 사출되어 도광판(220)의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패널(250)로 입사된다. 이때 액정패널(250)로 입사되는 빛이 면광원으로 공급되도록 확산필름(240)을 도광판(220) 전면에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산필름(240)은 디스플레이 장치(151)의 휘도를 확보하기 위해 낮은 확산율을 갖는 확산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판(220)의 배면에 임계각 이내로 입사되면 도 6의 (b)와 같이 도광판(220)을 빠져나가 도광판(220)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230)에 도달한다. 상기 반사판(230)에서 반사된 빛은 도광판(220)을 통과하여 도광판(220)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패널(250)로 공급된다. 이때 반사판(230)에 요철을 형성하여 반사판(230)에 도달한 빛이 도광판(220)의 전면방향으로 사출시 입사각이 작은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광판(220)의 배면에 형성된 계단형 요철(221)에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입사된 빛만 도광판(220)을 빠져나가 반사판(230)에 도달한다. 즉, 반사판(230)으로 입사되는 빛의 각도는 소정 범위의 각도(θ)내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각도(θ) 내에서 입사된 빛이 반사판(230)에서 반사되어, 액정 패널로 거의 수직하게(입사각이 작게) 입사되도록 반사판(23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복수개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의 중앙 광원만 켠 경우 빛의 경로를 설명한 도면으로, 도 6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제1 방향은 y축방향이고, 제2 방향은 x축방향이며, 도광판(220)의 두께방향(제3 방향)은 z축 방향이다.
제1 엘이디(211)에서 사출된 빛은 부채꼴 형상으로 퍼지면서 도광판(220)의 일측 측면에 입사된다. 제1 엘이디(211)에서 입사된 빛은 도광판(220)의 전면과 배면에서 반사되며 미러(225)에 도달하며, 도광판(220)의 두께방향(제3 방향, 도면상 z축 방향)으로 반사되더라도 제1 방향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퍼지며, 제1 엘이디(211)는 제2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제2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빛이 진행한다. 이때, 제1 엘이디(211)에서 사출된 빛이 미러(225)에 입사될 때 각도가 비슷하도록 도 7과 같이 제2 방향으로 대칭인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러(225)가 형성되는 도광판(220)의 타측 측면은 프레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엘이디(211)를 중심으로 사출된 빛이 미러(225)에 동일한 각도로 도달하게 하려면 제1 엘이디(211)를 중심으로 하는 오목거울 형상의 미러(225)가 형성되어야 한다. 오목거울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오목거울의 분할하여 계단형으로 형성하여 두께를 줄인 거울를 프레넬이라 한다. 프레넬은 일반적으로 볼록렌즈에 적용되나 이를 오목거울형상인 본 발명의 미러(225)에도 적용할 수 있다.
미러(225)에 반사된 빛은 도광판(220) 배면의 계단형 요철(221)의 제2 면(221b)에 도달하면 반사되거나, 배면의 반사판(230)에서 반사되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사출된다. 사출되는 빛의 각도는 법선에서 이루는 각도가 작으므로 거의 정면(正面) 방향으로 사출된다.
이때 미러(250)에서 반사된 빛이 정면 방향으로 사출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거리에 동일한 각도로 계단형 요철(221)의 경사면이 위치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20)의 타측 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엘이디(211)에서 사출한 빛은 도광판(220)의 수직방향에 가까운 각도로 사출되는 바, 정면에 위치하는 사람은 쉽게 볼 수 있으나, 측방향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보는 사람은 백라이트 유닛(200)에서 공급되는 빛의 양이 작아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도 9는 도 7의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본 사용자의 시야각에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 엘이디(211)만 구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수직방향으로 놓고 보는 경우(100a)에는 선명한 화면을 감상할 수 있으나, 비스듬하게 기울인 경우(100b, 100c, 100d, 100e). 화면이 보이지 않는다.
제1 엘이디(211)만 구동한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서 비스듬한 각도에 위치하는 사람은 화면을 볼 수 없는 바, 보안모드(secret display mode, 제1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보안모드는 제1 엘이디(211)만 구동하면 되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원의 일부를 켠 경우 빛의 경로를 설명한 도면으로, 제1 엘이디(211)의 좌우에 위치하는 제2 엘이디(212)도 같이 점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엘이디(211)는 도 7의 경우와 같은 경로로 빛이 이동하나, 제2 엘이디(212)는 제2 방향의 중심이 아니므로 각 제2 엘이디(212)가 위치하는 위치로부터 부채꼴 형상으로 빛이 사출된다.
따라서, 상기 미러(225)에 도달한 제2 엘이디(212)에서 사출된 빛은 위치에 따라 각도가 조금씩 달라지며, 따라서, 도광판(220) 배면의 제2 면(221b) 또는 반사판(230)에서 반사되어 도광판(220)의 전면으로 사출된 빛은 도 7의 경우보다 더 큰 각도범위에서 사출된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正面) 방향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보는 경우에도 소정크기 이상의 휘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즉, 도 12는 도 10의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51)를 바라본 사용자의 시야각에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를 기울인 상태에서도 화면을 볼 수 있다. 다만, 비스듬한 방향에서는 휘도가 떨어지며, 일부 광원만 구동하는 바, 절전모드(power save mode: 제2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원을 전부 켠 경우 빛의 경로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의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51)를 바라본 사용자의 시야각에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엘이디(211), 제2 엘이디(212) 및 제2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3 엘이디(213)까지 모두 켠 경우, 제1 엘이디(211) 및 제2 엘이디(212) 만을 켠 경우보다 미러(225)에 입사되는 각도가 더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 그 결과 전면으로 사출되는 빛의 각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방향에 대해 넓은 범위의 각도로 사출된다.
따라서, 화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한 사람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밝기의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넓은 각도에서 화면을 감상할 수 있으므로, 와이드 뷰 모드(wide view mode: 제3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동하는 엘이디의 개수를 조절하여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고,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구동하는 엘이디의 개수를 줄이면 시크릿 모드가 되고, 구동하는 엘이디의 개수를 늘릴수록 절전모드에서 와이드 뷰 모드로 변화된다. 3개의 모드 중에 선택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여러 단계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세분화된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트 바(state bar: 1512)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의 아이콘(1511)을 이용하여 시크릿 모드, 절전모드 또는 와이드 뷰 모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창(1513)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은 수의 광원을 구동해서 정면의 화면 밝기를 확보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정보보안 필름을 추가하지 않고도 시크릿 모드로 사용가능하고, 사용 태양에 따라 정보보호용 또는 일반용 등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 장치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210: 광원 어레이 220: 도광판
221: 계단형 요철 225: 미러

Claims (20)

  1. 픽셀별로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어레이;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타측 측면에 도달한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면과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계단형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제1 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요철의 각 면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는 미러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좌우 대칭인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광원 어레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엘이디로부터 상기 미러까지의거리가 같은 프레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계단형 요철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제1 면과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제2 면이 번갈아가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미러를 향해 기울어진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경사면에 도달한 빛은 상기 도광판의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입사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과하여 상기 액정패널로 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산란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픽셀별로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일측 측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어레이;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타측 측면에 도달한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면과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면을 포함하는 계단형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제1 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요철의 각 면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타측 측면에 위치하는 미러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좌우 대칭인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광원 어레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엘이디로부터 상기 미러까지의거리가 같은 프레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계단형 요철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제1 면과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제2 면이 번갈아가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미러를 향해 기울어진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경사면에 도달한 빛은 상기 도광판의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입사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과하여 상기 액정패널로 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어레이는
    상기 도광판 일측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엘이디; 및
    상기 제1 엘이디의 좌우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엘이디만 켜고;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엘이디와 상기 제2 엘이디를 켜고,
    제3 모드에서는 상기 광원 어레이의 엘이디 전체를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시야각이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보이는 보안모드(Secret Display Mode)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시야각이 소정각도를 벗어나면 어둡게 보이는 절전모드(Power Save Mode)이며,
    상기 제3 모드는 시야각에 관계없이 동일한 밝기로 보이는 와이드 뷰 모드(Wide View M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034363A 2015-03-12 2015-03-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60109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63A KR20160109611A (ko) 2015-03-12 2015-03-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14/808,868 US9971175B2 (en) 2015-03-12 2015-07-24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EP15002324.0A EP3067737A1 (en) 2015-03-12 2015-08-04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CN201510524889.8A CN105974660A (zh) 2015-03-12 2015-08-25 显示装置和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63A KR20160109611A (ko) 2015-03-12 2015-03-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611A true KR20160109611A (ko) 2016-09-21

Family

ID=5388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363A KR20160109611A (ko) 2015-03-12 2015-03-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1175B2 (ko)
EP (1) EP3067737A1 (ko)
KR (1) KR20160109611A (ko)
CN (1) CN1059746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689B (zh) * 2014-05-30 2018-04-10 扬升照明股份有限公司 导光单元以及光源模块
EP3374822B1 (en) * 2015-11-13 2023-12-27 RealD Spark, LLC Surface features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10606124B2 (en) * 2016-06-10 2020-03-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cycling backlight including structured reflector
US10789910B2 (en) * 2016-07-20 2020-09-29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dynamic privacy mode display
CN106653787A (zh) * 2016-11-21 2017-05-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基板组件及终端
CN109027766A (zh) * 2018-04-26 2018-12-18 江西联创致光科技有限公司 手机用全屏异形led背光源
WO2019230515A1 (ja) * 2018-05-31 2019-12-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09195385A (zh) * 2018-10-12 2019-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及其制备方法及电子设备
CN111381398B (zh) * 2018-12-29 2023-05-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3075816A (zh) * 2021-03-17 2021-07-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2023063088A (ja) * 2021-10-22 2023-05-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174B1 (ko) * 2004-11-13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TWI428906B (zh) * 2009-09-30 2014-03-01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 自動調整光學觸摸面板裝置之亮度的方法及其裝置
KR101689607B1 (ko) * 2010-06-14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34810B1 (ko) * 2011-06-07 201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JP5663434B2 (ja) * 2011-08-15 2015-02-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30071808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34901B1 (ko) * 2012-09-04 2015-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EA031850B1 (ru) * 2013-02-22 2019-03-29 РеалД Спарк, ЛЛК Устройство направленной подсветки
JP6032708B2 (ja) * 2013-03-08 2016-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2145577B1 (ko) * 2013-04-01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08620B1 (ko) * 2014-03-12 2021-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장치의 절전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71175B2 (en) 2018-05-15
EP3067737A1 (en) 2016-09-14
CN105974660A (zh) 2016-09-28
US20160266302A1 (en)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8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동 단말기
KR101645495B1 (ko) 컬러센서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201601096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US10007381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5069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4694A (ko) 이동 단말기
KR10161286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36231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10180913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60036230A (ko)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10225763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762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1355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2972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628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99B1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