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607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9607B1 KR101689607B1 KR1020100055845A KR20100055845A KR101689607B1 KR 101689607 B1 KR101689607 B1 KR 101689607B1 KR 1020100055845 A KR1020100055845 A KR 1020100055845A KR 20100055845 A KR20100055845 A KR 20100055845A KR 101689607 B1 KR101689607 B1 KR 101689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nit
- mobile terminal
- hollow pipe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94 photoredox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G02F1/017—Structures with periodic or quasi periodic potential variation, e.g. superlattices, quantum wells
- G02F1/01716—Optically controlled superlattice or quantum well devi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7—Illumin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uminescent elements or materials associated to the cel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광원부 측면에 양자점 필터부를 배열함으로써, AMOLED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 AMOLED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100%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자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등장으로 색재현성(color gamut)(NTSC 방송규격에 따라 녹화된 화면에 대해서 얼마나 정확하게 색을 재현해 내는지에 대한 비율)을 100%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AMOLED 디스플레이는 제조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유기물질 RGB를 사용하므로 사용수명이 짧으며, 휘도(brightness)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이 저가이면서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LCD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색편차를 제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액정패널; 복수 개의 이격된 LED 소자;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LED 소자에서 제공된 빛이 그 측면으로 입사되는 도광판; 상기 LED 소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양자점 필터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에서 제공된 빛을 입자의 크기에 따라 R광, G광, B광으로 방출하는 발광물질이 충진되는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 상기 중공 파이프 부재가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 파이프 부재를 투과하여 입사된 빛을 안내하거나 반사시키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액정패널; 복수 개의 이격된 LED 소자; 상기 LED 소자에서 제공된 빛을 확산시키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필터부에서 제공된 빛이 투과되며, 내부에 양자점을 포함하는 제2필터부; 상기 제2필터부를 통과한 빛이 측면으로 입사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는 액정패널; 상기 LED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AMOLED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가이면서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존의 LCD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색편차를 제거할 수 있어 색재현성의 감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고,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4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5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ㄱ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6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4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5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ㄱ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6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00),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0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00)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00)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00,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200),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200)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200)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0)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200)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200)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 및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는 액정패널(210), 상기 액정패널(210) 하부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220)(diffuser sheet), 상기 확산 시트(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패널(210)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230), 상기 백라이트 유닛(23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230)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280)(reflector sheet) 및 상기 반사 시트(280) 하부에 배치되어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프레임(290)으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30)의 개략적인 분해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패널(210)(즉, LCD)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액정패널(210)의 뒷면 전체에 배열되는 직하 방식과 광원이 액정패널(210)의 가장자리(즉, 에지(edge))에 배열되는 에지 방식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부(200)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30)은 상기 액정패널(210)의 하부에 배열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231), 상기 도광판(231)의 측면 가장자리에 배열되는 양자점 필터부(233) 및 상기 양자점 필터부(233)의 측면에 배열되어 복수의 광원부(236)를 지지하는 광원부 지지체(235)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광판(231), 양자점 필터부(233) 및 광원부 지지체(235)는 서로 광투과성 수지에 의해 접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31)은 광원부(236)에서 제공된 빛이 입사하는 입광면(231a) 및 액정패널(210)로 빛을 방출하는 출광면(231b)을 포함하고, 상기 입광면(231a)과 상기 출광면(231b)은 직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231)은 액정패널(210)의 화면의 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광원부(236)에서 가까운 쪽(즉, 입광면(231a) 쪽)은 산란제의 양을 적게 하고 광원부(236)에서 멀수록 산란제의 양을 늘림으로서 액정패널(210)의 화면 상에 균일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점 필터부(233)는 발광물질인 양자점(quantum dot)이 충진된 필터부로서, 광원부(236)에서 제공된 빛이 입사하는 입광면(233a) 및 상기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으로 상기 빛을 방출하는 출광면(233b)을 포함한다. 여기서, 양자점 필터부(233)에 포함된 양자점의 특성을 살펴보면, 양자점은 양자제한(quantum confinement) 효과를 나타내는 나노 크기의 반도체 물질로서, 기존의 발광물질(phosphor)보다 강한 빛을 좁은 파장대에서 발생시키는 특성을 가진다(아래의 그래프 참고).
또한 양자점의 발광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들뜬 상태의 전자가 전이하면서 발생되는데 같은 물질의 경우에도 입자 크기에 따라 파장이 달리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양자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짧은 파장의 빛(blue 계열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 영역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양자점은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임의로 선택해도 발광하므로 여러 종류의 양자점이 존재할 때 하나의 파장으로 여기시켜도 여러가지 색의 빛을 한번에 관찰할 수 있다. 게다가, 양자점은 전도대의 바닥진동상태에서 가전자대의 바닥진동상태로만 전이하므로 발광파장이 거의 단색광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양자점의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에 각각의 색깔을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MOLED에 비해 휘도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양자점을 충진시킨 양자점 필터부(233)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AMOLED에 비해 저가이지만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100%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좁은 파장대의 강한 빛을 방출하는 양자점의 특성으로 인해 AOLED보다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양자점 필터부(233)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광원부 지지체(235)는 일측면은 양자점 필터부(233)의 측면(즉, 양자점 필터터부의 입광면(233a) 측에 위치하는 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전원 공급부(190)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 지지체(235)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광원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236)는 빛이 방출되는 출광면(236a)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부(236)는 LED 소자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부(236)는 BLUE LED 또는 UV LED이다.
백라이트 유닛(230)의 발광 과정을 살펴보면, LED 소자인 광원부(236)에서 발생된 빛이 광원부의 출광면(236a)에서 방출되고, 상기 빛은 양자점 필터부의 입광면(233a)으로 입사되어 양자점 필터부(233)를 통과하면서 양자점에 의해 좁은 파장대의 강한 빛인 R광, G광, B광으로 변환되어 상기 R광, G광, B광이 양자점 필터부의 출광면(233b)에서 방출되어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으로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광원부(236)와 양자점 필터부(233)를 발광 모듈이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발광 모듈(240)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240)은 양자점 필터부(241) 및 광원부(24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40)에서, 광원부(236)에서 발생한 빛은 광원부(247)의 출광면(247a), 양자점 필터부(241)의 입광면(241a) 및 출광면(241b) 및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 및 출광면(231b)의 순서로 진행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40)는 광투과성인 하나의 중공 파이프 부재(243) 및 상기 중공 파이프 부재(243) 내에 충진된 양자점(245)을 포함한다. 이렇게, 광원부(247) 측면에 양자점 필터부(241)를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 양자점 필터부(241)만을 추가하여 AMOLED처럼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및 구성을 전반적으로 대체하지 않아도 AMOLED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100% 이상 향상시킬 수 있고, 짧은 파장대의 강한 빛을 발광하는 양자점의 특성으로 인해 휘도도 같이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41)는 하나의 중공 파이프 부재(245)로 구성되어 있어 광원부(247)에서 제공된 빛이 양자점 필터부(241)의 입광면에 큰 입사각(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는 임계각 이상의 입사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고 중공 파이프 부재(243)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양자점 필터부(241) 내에서 R광 및 G광의 산란 또는 반사가 과도하게 일어나므로, 빛이 양자점 필터부(241) 내에서 산란, 반사 또는 전반사되기가 용이하여 그 영향으로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에서 발광모듈(240)에 인접한 영역(도 6에서 도광판(231)의 우측에 해당하는 영역)과 발광모듈에서 떨어져 있는 영역(도 6에서 도광판(231)의 좌측에 해당하는 영역) 사이에 색편차가 생길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40)은 기존의 LED 소자를 사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색재현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구조 및 형상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200) 전체적으로 색재현성의 향상성을 다소 감쇠시킬 우려가 존재한다. 이하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이러한 제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우 색편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250)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250)은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253) 및 상기 중공 파이프 부재 내에 충진된 양자점(255)을 포함하는 양자점 필터부(251), 상기 양자점 필터부(251)의 출광면(251b)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 불투과성 필름(259) 및 광원부(25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50)에서, 광원부(257)에서 발생한 빛은 광원부(257)의 출광면(257a), 양자점 필터부(251)의 입광면(251a) 및 출광면(251b) 및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 및 출광면(231b)의 순서로 진행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41)와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광 불투과성 필름(259)이 양자점 필터부(25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광 불투과성 필름(259)은 양자점 필터부(251)의 출광면(251b) 쪽에서 복수개의 광원부(257) 사이의 간격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광 불투과성 필름(259) 사이의 간격은 상기 광원부(257)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광원부(257)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광 불투과성 필름(259) 사이의 간격은 상기 광원부(257)에서 제공된 빛이 상기 중공 파이프 부재(253) 내에서 거의 산란되지 않도록 그리고 거의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즉, 제2 실시예의 양자점 필터부에 따르면, 양자점 필터부(251)의 출광면(251b) 쪽에 복수개의 광 투과성 필름(259) 사이의 간격이 광원부(257)의 너비와 동일하게 또는 광원부(257)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광원부(257)에서 양자점 필터부(251)의 양 측면 중 광원부 반대쪽에 위치하는 측면(즉, 양자점 필터부의 출광면(251b))에서 반사되는 빛의 반사 경로 및 빛의 산란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R광 및 G광이 과도하게 산란 및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51)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우 색편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50)은 색재현성의 감쇠 현상 없이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260)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260)은 양자점 필터부(261) 및 광원부(26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60)에서, 광원부(267)에서 발생한 빛은 광원부(267)의 출광면(267a), 양자점 필터부(261)의 입광면(261a) 및 출광면(261b) 및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 및 출광면(231b)의 순서로 진행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41)와 달리, 제3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6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263) 및 상기 파이프 부재(263) 내부에 충진된 양자점(26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중공 파이프 부재(263)는 복수개의 광원부(267)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 파이프 부재(263)는 자신의 너비가 상기 광원부(267)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광원부(267)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중공 파이프 부재(263)의 너비는 상기 광원부(267)에서 제공된 빛이 상기 중공 파이프 부재(263) 내에서 거의 전반사되지 않도록, 거의 산란되지 않도록 그리고 거의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즉, 제3 실시예의 양자점 필터부에 따르면, 양자점 필터부(261)의 중공 파이프 부재(263)를 복수개의 소형 파이프 부재로 분할하고, 상기 소형 파이프 부재의 너비를 상기 소형 파이프 부재에 대응되는 광원부(267)의 너비와 동일하게 또는 광원부(267)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광원부(267)에서 양자점 필터부(261)로 진행하는 빛의 입사각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양자점 필터부(261)의 양 측면 중 광원부 반대쪽에 위치하는 측면(즉, 양자점 필터부의 출광면(261b))에서 반사되는 빛의 반사 경로 및 빛의 산란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부로부터의 양자점 필터부(261)로의 빛의 입사각이 임계각 미만이 되어 광원부(267)로부터의 빛이 전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R광 및 G광이 과도하게 산란 및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61)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우 색편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60)은 색재현성의 감쇠 현상 없이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270)의 제4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270)은 양자점 필터부(271) 및 광원부(279)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70)에서, 광원부(279)에서 발생한 빛은 광원부(279)의 출광면(279a), 양자점 필터부(271)의 입광면(271a) 및 출광면(271b) 및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 및 출광면(231b)의 순서로 진행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41)와 달리, 제4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7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충진구간(275)이 형성된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273) 및 상기 충진구간(275) 내부에 충진된 양자점(277)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충진구간(275)은 복수개의 광원부(279)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충진구간(275)은 자신의 너비가 상기 광원부(279)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광원부(279)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진구간(275)의 너비는 상기 광원부(279)에서 제공된 빛이 상기 충진구간(275) 내에서 거의 전반사되지 않도록, 거의 반사되지 않도록 및 거의 산란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즉, 전반사, 반사 및 산란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즉, 제4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71)에 따르면, 양자점 필터부(271)의 중공 파이프 부재(273) 내에 복수개의 충진구간(275)을 형성하고, 상기 충진구간(275)의 너비를 상기 충진구간(275)에 대응되는 광원부(279)의 너비와 동일하게 또는 광원부(279)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광원부(279)에서 양자점 필터부(271)로 진행하는 빛의 입사각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양자점 필터부(271)의 양 측면 중 광원부(279) 반대쪽에 위치하는 측면도(즉, 양자점 필터부의 출광면(271b))에서 반사되는 빛의 반사 경로 및 빛의 차단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부(279)로부터의 양자점 필터부(271)로의 빛의 입사각이 임계각 미만이 되어 광원부(279)로부터의 빛이 전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R광 및 G광이 과도하게 산란 및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71)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우 색편차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70)은 색재현성의 감쇠 현상 없이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280)의 제5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280)은 복수개의 광원부(281),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281)의 측면(즉, 광원부의 출광면(281a))에 배열되는 제1 필터부(283) 및 상기 제1 필터부(283)의 측면(즉, 제1 필터부의 출광면(283b))에 배열되는 제2 필터부(28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80)에서, 광원부(281)에서 발생한 빛은 광원부(281)의 출광면(281a), 제1 필터부(283)의 입광면(283a) 및 출광면(283b), 제2 필터부(285)의 입광면(285a) 및 출광면(285b) 및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 및 출광면(231b)의 순서로 진행한다.
제1 필터부(283)는 광원부(281)(즉, 점광원)에서 제공된 빛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필터이다. 이때, 상기 제1 필터부(283)는 바람직하게는 박막형 도광체이다. 즉, 상기 제1 필터부(283)는 전술한 도광판(231)과 유사하게, 광원부(281)에서 가까운 쪽(즉, 도광판의 입광면(231b) 쪽)은 산란제의 양을 적게 하고 광원부(281)에서 멀수록 산란제의 양을 늘림으로서 제2 필터부(285)의 입광면(285a)에 균일한 빛이 입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부(283)는 광원부(281)로부터의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부로부터의 빛은 제1 필터부에 의해 빛을 면광원화하므로 제2 필터부 내에서 R광, G광 뿐만 아니라 B광도 균일하게 산란 및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R광, G광만이 과도하게 반사 또는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색편차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필터부(285)는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289) 및 상기 파이프 부재(289) 내부에 충진된 양자점(287)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281)로부터의 빛을 흡수한 양자점(287)이 R광, G광, B광을 방출한다.
광원부(281)로부터의 빛이 제1 필터부(283)에서 균일하게 산란 또는 반사되어 제2 필터부(285)의 입광면(285a)에는 제1 필터부(283)에서 산란 또는 반사된 빛이 면광원 방식으로 입사되고, 이로 인해 제2 필터부(285)에서는 R광 및 G광만 산란되는 것이 아니라 제1 필터부(283)에서 산란된 B광도 제2 필터부(285)에서 산란되므로,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40)과 같은 R광 및 G광이 과도하게 산란되어 발생하는 좌우 색편차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80)은 색재현성의 감쇠 현상 없이 저가의 제조 비용으로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10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290)의 제6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290)은 복수개의 광원부(291),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291)의 측면(즉, 광원부의 출광면(291a))에 배열되는 양자점 필터부(29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90)에서, 광원부(291)에서 발생한 빛은 광원부(291)의 출광면(291a), 양자점 필터부(293)의 입광면(293a) 및 출광면(293b) 및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 및 출광면(231b)의 순서로 진행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43)와 달리, 제6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필터부(293)는 상기 도광판(231)과 유사한 구성 및 구조로 되어 있어 광원부의 빛을 면광원화하고, 동시에 상기 양자점 필터부(293)는 내부에 양자점(297)을 함유하고 있어 양자점 필터부(293) 내에서 반사 및 산란되어 면광원화된 빛이 출광면(293b)을 통하여 R광, G광, B광으로 방출된다. 즉, 상기 양자점 필터부(293)는, 일반적으로 도광판의 소재로 사용되는 PMMA(또는 아크릴) 수지, 또는 COP(cyclic olefin polymer) 수지, PC(polycarbonate)를 용융 성형할 때 분말 형태의 양자점을 혼합하여 도광판과 같이 면광원화하는 구성 및 구조로 제조된 필터이다.
제6 실시예의 양자점 필터부에 따르면, 광원부로부터의 빛은 양자점 필터부내에서 균일하게 산란 및 반사되어 면광원화됨과 동시에 상기 양자점 필터부 내에서 양자점에 의해 R광, G광, B광으로 변환되어 출광면(293b)을 통하여 균일한 면광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R광, G광만이 과도하게 반사 또는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색편차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6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290)은 색재현성의 감쇠 현상 없이 저가의 제조 비용으로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10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백라이트 유닛에 발광 모듈의 구조 및 형상을 추가하거나 또는 변형시킴으로써 기존의 LED에 비해 색재현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어, 기존의 제조 공정 및 제조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 설비 및 추가 공정에 대한 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가인 기존의 LED로도 AMOLED와 거의 동일한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AMOLED의 단점인 저 휘도를 양자점의 발광 특성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게다가, 발광 모듈의 구조 및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광원부의 빛 중 R광과 G광의 과도한 산란, 반사 및 전반사 현상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우 색편차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색재현성이 감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명칭) 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01 : 프론트 케이스
102 : 리어 케이스 110 : 무선 통신부
111 : 방송 수신 모듈 112 : 이동통신 모듈
113 : 무선 인터넷 모듈 114 : 근거리 통신 모듈
115 : 위치 정보 모듈 120 : A/V 입력부
121 : 카메라 122 : 마이크
130, 131, 132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41 : 근접센서 142 : 거리센서
150 : 출력부 152 : 음향 출력 모듈
153 : 알람부 154 : 햅틱모듈
155 : 조명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멀티미디어 모듈 190 : 전원 공급부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액정패널
220 : 확산 시트
230, 240, 250, 260, 270, 280, 290 : 백라이트 유닛
231 : 도광판
233, 241, 251, 261, 271, 293 : 양자점 필터부
235 : 광원부 지지체
236, 247, 257, 267, 279, 281, 291 : 광원부
243, 253, 263, 273, 289 : 중공 파이프 부재
245, 255, 265, 277, 287, 297 : 양자점
259 : 광 불투과성 필름 267 : 충진구간
283 : 제1 필터부 285 : 제2 필터부
280 : 반사 시트 290 : 프레임
102 : 리어 케이스 110 : 무선 통신부
111 : 방송 수신 모듈 112 : 이동통신 모듈
113 : 무선 인터넷 모듈 114 : 근거리 통신 모듈
115 : 위치 정보 모듈 120 : A/V 입력부
121 : 카메라 122 : 마이크
130, 131, 132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41 : 근접센서 142 : 거리센서
150 : 출력부 152 : 음향 출력 모듈
153 : 알람부 154 : 햅틱모듈
155 : 조명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멀티미디어 모듈 190 : 전원 공급부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액정패널
220 : 확산 시트
230, 240, 250, 260, 270, 280, 290 : 백라이트 유닛
231 : 도광판
233, 241, 251, 261, 271, 293 : 양자점 필터부
235 : 광원부 지지체
236, 247, 257, 267, 279, 281, 291 : 광원부
243, 253, 263, 273, 289 : 중공 파이프 부재
245, 255, 265, 277, 287, 297 : 양자점
259 : 광 불투과성 필름 267 : 충진구간
283 : 제1 필터부 285 : 제2 필터부
280 : 반사 시트 290 : 프레임
Claims (22)
- 액정패널;
복수 개의 이격된 LED 소자;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LED 소자에서 제공된 빛이 그 측면으로 입사되는 도광판;
상기 LED 소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상기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내부에 충진된 양자점;
상기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의 출광면 쪽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며, 상기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의 출광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반사 경로 및 빛의 산란 경로를 차단하는 복수개의 광 불투과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 불투과성 필름 사이의 간격은, 상기 LED 소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 불투과성 필름 사이의 간격은, 상기 LED 소자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LED 소자의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소형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소형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는 상기 LED 소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소형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의 너비는, 상기 LED 소자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LED 소자의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충진구간이 형성된 광투과성 중공 파이프 부재 및 상기 충진구간 내부에 충진된 양자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구간은 상기 LED 소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구간의 너비는 상기 LED 소자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LED 소자의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845A KR101689607B1 (ko) | 2010-06-14 | 2010-06-14 | 이동 단말기 |
US13/077,215 US20110304524A1 (en) | 2010-06-14 | 2011-03-31 | Mobile terminal |
EP11002937.8A EP2395733A3 (en) | 2010-06-14 | 2011-04-07 | Mobile terminal |
CN201110119360.XA CN102281341B (zh) | 2010-06-14 | 2011-05-04 | 移动终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845A KR101689607B1 (ko) | 2010-06-14 | 2010-06-14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069A KR20110136069A (ko) | 2011-12-21 |
KR101689607B1 true KR101689607B1 (ko) | 2016-12-26 |
Family
ID=4451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5845A KR101689607B1 (ko) | 2010-06-14 | 2010-06-14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304524A1 (ko) |
EP (1) | EP2395733A3 (ko) |
KR (1) | KR101689607B1 (ko) |
CN (1) | CN10228134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1921B1 (ko) * | 2011-07-05 | 2013-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1913213B1 (ko) * | 2012-04-10 | 2018-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JP6192897B2 (ja) | 2012-04-11 | 2017-09-06 |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
KR20130140462A (ko) | 2012-06-14 | 2013-12-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포토루미네슨스 표시 장치 |
US20140139791A1 (en) * | 2012-11-20 | 2014-05-22 | Motorola Mobility Llc | Method and device with enhanced display efficiency |
KR102108994B1 (ko) * | 2013-08-30 | 2020-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 변환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
TWI503608B (zh) * | 2013-10-30 | 2015-10-11 | Au Optronics Corp | 平面光源產生裝置 |
JP6265055B2 (ja) | 2014-01-14 | 2018-01-24 | ソニー株式会社 |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
KR101657954B1 (ko) | 2014-02-05 | 2016-09-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20150227167A1 (en) * | 2014-02-10 | 2015-08-13 | Ming Yi CHIANG | Back cover assembly of electronic mobil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 effect |
CN104006331A (zh) * | 2014-05-12 | 2014-08-27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
CN104019406B (zh) * | 2014-06-04 | 2016-07-06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
KR102181888B1 (ko) | 2014-09-03 | 2020-11-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160042226A (ko) * | 2014-10-07 | 2016-04-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CN104456191B (zh) * | 2014-11-14 | 2017-02-22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
KR20160060230A (ko) | 2014-11-19 | 2016-05-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백라이트 유닛 |
CN105717698A (zh) * | 2014-12-04 | 2016-06-29 |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 量子管、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
KR20160109611A (ko) * | 2015-03-12 | 2016-09-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
CN104808386B (zh) * | 2015-04-28 | 2018-05-29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光源单元、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器 |
CN104865631B (zh) * | 2015-05-19 | 2018-03-13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器 |
CN104820311B (zh) | 2015-05-21 | 2018-02-27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背光模块和液晶显示器 |
KR20170124680A (ko) * | 2016-05-02 | 2017-11-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광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WO2020157230A1 (en) * | 2019-01-31 | 2020-08-06 | Ams International Ag | Optical proximity sensor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2703A (ja) * | 2005-01-24 | 2006-08-03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面光源装置 |
JP2007149665A (ja) * | 2005-10-17 | 2007-06-14 | Philips Lumileds Lightng Co Llc | 光源から離れた蛍光体を用いる照明システム |
JP2007265716A (ja) * | 2006-03-28 | 2007-10-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面状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
US20090034292A1 (en) * | 2007-07-31 | 2009-02-05 | Luminus Devices, Inc. | Illumination assembly including wavelength converting material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64626B1 (en) * | 1998-06-03 | 2005-03-08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Electronic displays using optically pumped luminescent semiconductor nanocrystals |
KR100661571B1 (ko) * | 2004-11-17 | 2006-1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110071B1 (ko) * | 2005-04-29 | 2012-0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발광 lcd |
US8272758B2 (en) * | 2005-06-07 | 2012-09-25 | Oree, Inc. |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KR101240265B1 (ko) * | 2006-08-10 | 2013-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키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
US8120239B2 (en) * | 2006-08-16 | 2012-0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frared display with luminescent quantum dots |
US7708441B2 (en) * | 2008-01-29 | 2010-05-04 | Avago Technologies Fiber Ip (Singapore) Pte. Ltd. | Moving light spots in illumination fibers |
GB2461689A (en) * | 2008-07-07 | 2010-01-13 | Sharp Kk | Illumination panel for display back light |
-
2010
- 2010-06-14 KR KR1020100055845A patent/KR1016896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3-31 US US13/077,215 patent/US2011030452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4-07 EP EP11002937.8A patent/EP2395733A3/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5-04 CN CN201110119360.XA patent/CN10228134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2703A (ja) * | 2005-01-24 | 2006-08-03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面光源装置 |
JP2007149665A (ja) * | 2005-10-17 | 2007-06-14 | Philips Lumileds Lightng Co Llc | 光源から離れた蛍光体を用いる照明システム |
JP2007265716A (ja) * | 2006-03-28 | 2007-10-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面状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
US20090034292A1 (en) * | 2007-07-31 | 2009-02-05 | Luminus Devices, Inc. | Illumination assembly including wavelength converting materi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304524A1 (en) | 2011-12-15 |
CN102281341B (zh) | 2016-01-20 |
KR20110136069A (ko) | 2011-12-21 |
EP2395733A2 (en) | 2011-12-14 |
EP2395733A3 (en) | 2014-04-30 |
CN102281341A (zh) | 2011-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960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22192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0183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5358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5994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8471810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63332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56161B1 (ko) | 휴대용 단말기 | |
KR10123559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01361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7052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45586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00046595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960304B1 (ko)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10080022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10131437A (ko) | 휴대용 단말기 | |
KR20130048915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32209B1 (ko) |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30062100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37121A (ko) | 이동 단말기 | |
CN211786209U (zh) | 导光组件、机壳及移动终端 | |
KR102158213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
CN219039525U (zh) | 发光组件和终端 | |
KR101658546B1 (ko) |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
KR101816579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