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35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35B1
KR101701835B1 KR1020100062136A KR20100062136A KR101701835B1 KR 101701835 B1 KR101701835 B1 KR 101701835B1 KR 1020100062136 A KR1020100062136 A KR 1020100062136A KR 20100062136 A KR20100062136 A KR 20100062136A KR 101701835 B1 KR101701835 B1 KR 10170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quantum dot
unit
color filt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387A (ko
Inventor
신승민
김미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1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colou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 및 컬러필터의 하부 사이에 양자점 시트를 배열함으로써, AMOLED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 AMOLED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100%까지 향상시키며, AMOLED에 비해 휘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양자점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휘도 및 색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등장으로 색재현성(color gamut)(NTSC 방송규격에 따라 녹화된 화면에 대해서 얼마나 정확하게 색을 재현해 내는지에 대한 비율)을 100%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AMOLED 디스플레이는 제조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유기물질 RGB를 사용하므로 사용수명이 짧으며, 휘도(brightness)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재현성 및 휘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필터에서의 광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빛이 선택적으로 투과 및 차단되는 액정부; 상기 액정부의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컬러필터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양자점 시트가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이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액정부; 상기 액정부의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컬러필터의 하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양자점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색재현성 및 휘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컬러필터에서의 광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 또는 부품 대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고,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 및 컬러필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발광과정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 및 컬러필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발광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00),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0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00)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다양한 제어변수들을 저장할 수 있고, 특히 메모리(16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배리어층의 제어변수로서 시청자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배리어층의 광차단부의 길이 결정값 및 간격 결정값과, 디스플레이부의 수직중심축에 대해 시청자의 양안 중심의 위치가 형성하는 편향각도에 대응되는 변위 결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101)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체(1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a)와 리어 케이스(101b)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a)와 리어 케이스(101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a)와 리어 케이스(101b)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101),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a)에는 디스플레이부(200),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프론트 케이스(101a)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200)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a) 및 리어 케이스(101b)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01)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1b)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10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본체(101)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101)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본체(101)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1)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101)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101)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1b)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200)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0)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1b)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a)의 디스플레이부(200)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200)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의 본체(101), 상기 본체(101)에 장착되어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W는 백색 또는 백색광을, R은 적색 또는 적색광을, G는 녹색 또는 녹색광을, B는 청색 또는 청색광을 의미하고, 도면에 도시된 양자점 입자들은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는 상부 편광필름(210), 액정부(220), 하부 편광필름(230), 컬러필터(240), 양자점 시트(250) 및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260)를 포함한다.
상부 편광필름(210) 및 하부 편광필름(230)은 각각 액정부(22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260)으로부터의 빛을 편광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편광필름(210)과 하부 편광필름(230)은 편광 방향이 서로 직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액정부(220)는 다수의 액정분자(221a)를 포함하는 액정층(221), 상기 액정층(2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유리기판(223) 및 하부 유리기판(225)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액정분자(221a)는 상기 액정층(221) 내에서 서로 꼬임(twist) 방식으로 배치되고 전압 인가시 액정 분자(221a)의 꼬임이 풀려 백라이트 유닛(260)으로부터의 빛이 직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액정부(220)는 전압 인가 여부에 따른 다수의 액정분자(221a)의 꼬임 및 풀림을 통하여 백라이트 유닛(260)으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키거나 또는 차단한다.
컬러필터(240)는 상기 상부 편광필름(210)의 하부에 또는 상기 하부 편광필름(2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컬러필터(240)는 백라이트 유닛(260)으로부터의 빛 중 R광만을 투과시키는 R영역(241), 백라이트 유닛(260)으로부터의 빛 중 G광만을 투과시키는 G영역(243), 백라이트 유닛(260)으로부터의 빛 중 B광만을 투과시키는 B영역(245) 및 상기 R영역(241), 상기 G영역(243), 상기 B영역(245)을 격리시켜 R광, G광, B광이 서로 합성되지 못하도록 하는 블랙매트릭스(247)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260)의 광원부(261)에서 방출되는 빛이 백색광(W)인 경우, 상기 컬러필터(240)의 R영역(241)은 상기 백색광 중 G광 및 B광을 차단하고 R광만 투과시키고, 상기 상기 컬러필터(240)의 G영역(243)은 상기 백색광 중 R광 및 B광을 차단하고 G광만 투과시키며, 상기 컬러필터(240)의 B영역은 상기 백색광 중 R광 및 G광을 차단하고 B광만 투과시킨다.
백라이트 유닛(26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261), 상기 광원부(261)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261)로부터의 빛을 균일하게 산란 또는 반사시켜 빛을 상기 액정부(220)로 안내하는 도광판(263), 상기 도광판(26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필름(265), 상기 도광판(263)의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 필름(267) 및 상기 확산 필름(267)의 상부에 배치되는 프리즘 시트(269)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60)은 광원부(261)가 도광판(263)의 측면에 배치되는 에지(edge)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이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60)의 광원부(261)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또는 블루 LED(BLUE LED) 또는 UV LED 중 하나일 수 있다.
양자점 시트(250)는 상기 컬러필터(240)의 하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6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며, 발광물질인 양자점(quantum dot)을 포함하는 시트이다. 여기서, 양자점 시트에 포함된 양자점의 특성을 살펴보면, 양자점은 양자제한(quantum confinement) 효과를 나타내는 나노 크기의 반도체 물질로서, 기존의 발광물질(phosphor)보다 강한 빛을 좁은 파장대에서 발생시키는 특성을 가진다(아래의 그래프 참고).
Figure 112010042034277-pat00001
또한 양자점의 발광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들뜬 상태의 전자가 전이하면서 발생되는데 같은 물질의 경우에도 입자 크기에 따라 파장이 달리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양자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짧은 파장의 빛(blue 계열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 영역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양자점은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임의로 선택해도 발광하므로 여러 종류의 양자점이 존재할 때 하나의 파장으로 여기시켜도 여러가지 색의 빛을 한번에 관찰할 수 있다. 게다가, 양자점은 전도대의 바닥진동상태에서 가전자대의 바닥진동상태로만 전이하므로 발광파장이 거의 단색광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양자점의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에 각각의 색깔(R, G, B)을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한 빛을 방출하므로 AMOLED에 비해 휘도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양자점을 포함하는 양자점 시트(250)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AMOLED에 비해 저가이지만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100%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좁은 파장대의 강한 빛을 방출하는 양자점의 특성으로 인해 AOLED보다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양자점 시트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350) 및 컬러필터(340)의 분해 사시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부(361)에서 제공되는 빛이 백색광(W)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350)는, 광투과성 베이스필름(351), 상기 광투과성 베이스 필름(351)의 상부에 도포된 광투과성 접착제(353) 및 상기 광투과성 접착제(353)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사되는 양자점 입자(355)를 포함한다.
베이스필름(351)에 분사되는 양자점 입자(355)는 각각 R광, G광, B광을 방출하는 세가지 크기의 양자점 입자(355a, 355b, 355c)이고, 상기 세가지 크기의 양자점 입자(355a, 355b, 355c)는 각각 양자점 시트(350) 전체적으로 균일한 밀도로 분포된다. 여기서, 양자점의 특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가지 크기의 양자점 입자(355a, 355b, 355c)는, R광을 방출하는 양자점 입자(355a), G광을 방출하는 양자점 입자(355b), B광을 방출하는 양자점 입자(355c) 순으로 입자의 평균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가지 양자점 입자가 양자점 시트(35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분사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양자점 시트(350)의 제조시간을 상당히 절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350) 및 칼라필터(36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00)의 발광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360)의 광원부(361)에서 백색광(W)이 방출되고, 상기 W광(즉, 백색광)은 도광판(363)의 출광면을 통해 균일하게 양자점 시트(350)로 안내된다. 좁은 파장대의 강한 빛을 방출하는 양자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양자점 시트(350)로 안내된 백색광(W)은 세가지 크기의 양자점 입자(355)에 의해 기존의 발광물질(예를 들어, YAG)에 비해 빛의 세기가 큰 R광, G광, B광으로 변환되며, 빛의 세기가 큰 R광, G광, B광이 합성되어 빛의 세기가 큰 W광을 형성한다. 상기 W광은 컬러필터(340)의 R영역(341), G영역(343), B영역(345)을 각각 통과하여 휘도가 큰 R광, G광, B광으로 방출된다. 이렇게, 백라이트 유닛(360)의 상부에 양자점 시트(350)를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은 기존의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양자점 시트만을 추가로 삽입하여 AMOLED처럼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및 구성을 전반적으로 대체하지 않아도 AMOLED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 AMOLED와 같이 색재현성을 100% 이상 향상시킬 수 있고, 짧은 파장대의 강한 빛을 발광하는 양자점의 특성으로 인해 휘도도 같이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450) 및 컬러필터(440)의 분해 사시도이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광원부(461)가 블루 LED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461)는 B광을 직접 방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450)는 백라이트 유닛(460)의 상부 및 컬러필터(440)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자점 시트(450)는 컬러필터(440)의 R영역(441), G영역(443), B영역(445)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R광섹션(455a), G광섹션(455b), B광섹션(455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양자점 시트(450)의 R광섹션(455a) 및 G광섹션(455b)은 각각 컬러필터(440)의 R영역(441), G영역(44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이한 크기의 양자점 입자를 균일한 밀도로 포함하고 있다. G광보다 파장이 긴 R광을 방출하는 R광섹션(455a)의 양자점 입자는 G광섹션(455b)의 양자점 입자보다 크기가 큰 양자점 입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부(461)로부터의 B광을 좁은 파장대에서 빛의 세기가 큰 R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R광섹션(455a)의 양자점 입자의 크기는 4.1 nm 내지 4.3 n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21 nm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광원부(461)로부터의 B광을 좁은 파장대에서 빛의 세기가 큰 G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G광섹션(455b)의 양자점 입자의 크기는 2.7 nm 내지 2.9 n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87 nm이다.
양자점 시트(450)의 B광섹션(455c)은 양자점 입자가 전혀 분사되어 있지 않은 광투과섹션이다. 즉, 양자점 시트(450)의 B광섹션(455c)은 블루 LED(461a)로부터의 B광이 양자점 시트(450)의 B광섹션(455c)에서 어떠한 양자점에도 흡수 또는 충돌되지 않고 양자점 시트(450)를 그대로 투과하여 컬러필터(550)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양자점 시트의 변형 실시예로서, 양자점 시트는 컬러필터의 R영역, G영역, B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이한 크기의 양자점 입자를 균일한 밀도로 포함하는 R광섹션(455a), G광섹션(455b), B광섹션(455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R광섹션(455a)의 양자점 입자의 평균크기는 G광섹션(455b)의 양자점의 평균크기보다 크고, G광섹션(455b)의 양자점의 평균크기는 B광섹션(455c)의 양자점 입자의 평균크기보다 상당히 크다. 즉, B광섹션(455c)의 양자점 입자의 평균크기는 B광섹션(455c)에서 B광을 발광하기에 충분히 작은 평균크기 또는 크기가 극소하여 백라이트 유닛(460)으로부터 양자점 시트(450)를 그대로 투과하는 B광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의 평균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B광섹션(455c)에서의 양자점 입자의 밀도는 상기 R광섹션(455a) 또는 상기 G광섹션(455b)의 양자점 입자의 밀도보다 훨씬 작다. 즉, B광섹션(455c)에서의 양자점 입자의 밀도는 크기가 극소하여 백라이트 유닛(460)으로부터 양자점 시트(450)를 그대로 투과하는 B광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의 밀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자점 시트의 제조과정 중 양자점 분사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극소량의 양자점이 B광섹션(455c)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양자점 시트의 B광섹션(455c)은 컬러필터의 B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자점을 R광섹션 및 G광센션의 밀도보다 극소량인 밀도로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양자점 시트의 B광섹션(455c)에는 양자점이 거의 포함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B광섹션(455c)에 극소량의 양자점이 포함되어 있어도, 양자점 시트의 B광섹션(455c)에서 방출되는 B광 이외의 광은 그 세기는 미미할 뿐만 아니라 컬러필터의 B영역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여전히 색재현성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450)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자점 시트(450)는, 광투과성 베이스필름(451), 상기 광투과성 베이스 필름(451)의 상부에 도포된 광투과성 접착제(453), 상기 광투과성 접착제(453)의 상부 중 상기 칼라필터(440)의 R영역(441), G영역(443)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R광섹션(455a), G광섹션(455b) 및 상기 광투과성 접착제(453)의 상부 중 상기 컬러필터(440)의 B영역(44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B광섹션(455c)으로 구성된다.
양자점 시트(450)의 광투과성 접착제(453)의 상부 중 R광섹션(455a) 및 G광섹션(455b)에는 각각 상이한 두 가지 크기의 양자점 입자가 각각 균일하게 분사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자점 시트(450)의 광투과성 접착제(453)의 상부 중 R광섹션(455a)에는 G광섹션(455b)에 분사되어 있는 양자점 입자보다 크기가 큰 양자점이 분사되어 있다.
반면, 양자점 시트(450)의 광투과성 접착제(453)의 상부 중 B광섹션(455c)에는 양자점 입자가 전혀 분사되어 있지 않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의 발광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46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461)(즉, 블루 LED)로부터 방출되는 B광은 도광판(463)의 출광면을 통해 균일하게 양자점 시트(450)로 안내된다. 좁은 파장대의 강한 빛을 방출하는 양자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양자점 시트(450)의 R광섹션(455a) 및 G광섹션(455b)으로 안내된 B광은 각각 R광섹션(455a) 및 G광섹션(455b)에 포함되어 있는 양자점에 의해 기존의 발광물질(예를 들어, YAG)에 비해 빛의 세기가 큰 R광 및 G광으로 변환되어 방출되고, 상기 양자점 시트(450)의 B광섹션(455c)으로 안내된 B광은 양자점에 의해 전혀 변환되지 않고 원래 빛의 세기 그대로 또는 거의 광손실되지 않은 상태로 양자점 시트(450)를 통과한다. 즉, 상기 양자점 시트(450)의 R광섹션(455a) 및 G광섹션(455b)에서 방출되는 빛은 블루 LED(461)의 B광이 각각 양자점에 의해 좁은 파장대로 빛의 세기가 크게 파장변환된 R광 및 G광이고, 상기 양자점 시트(450)의 B광섹션(455c)에서 방출되는 빛은 블루 LED(즉, 광원부(461))의 빛의 세기를 그대로 가지거나 또는 거의 광손실되지 않은 B광이다.
이렇게, 양자점 시트(450)의 R광섹션(455a), G광섹션(455b), B광섹션(455c)에서 방출된 R광, G광, B광은 각각 컬러필터(440)의 R영역(441), G영역(443), B영역(445)을 통과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컬러필터(440)의 R영역(441)의 입광면으로 입사되고 출광면에서 방출되는 빛은 양자점 시트(450)의 R광섹션(455a)에서 방출된 R광뿐이고, 상기 컬러필터(440)의 G영역(443)의 입광면으로 입사되고 출광면에서 방출되는 빛은 양자점 시트(450)의 G광섹션(455b)에서 방출된 G광뿐이며, 상기 컬러필터(440)의 B영역(445)의 입광면으로 입사되고 출광면에서 방출되는 빛은 양자점 시트(450)의 B광섹션(455c)을 통과한 B광뿐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필터(440)의 R영역(441)으로는 빛의 세기가 큰 R광만이 입사되고, 컬러필터(440)의 G영역(443)으로는 빛의 세기가 큰 G광만이 입사며, 컬러필터(440)의 B영역(445)으로는 빛의 세기가 큰 R광만이 입사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서와 같이 R광, G광 및 B광의 합성광인 백색광이 컬러필터의 R영역, G영역, B영역에서 해당 영역을 통과하는 빛의 성분 이외의 빛의 성분(예를 들어, 컬러필터의 R영역을 통과하는 백색광의 성분 중 G광 성분 및 B광 성분)이 모두 차단되는 과정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450)는 전술한 나머지 빛의 성분의 차단 과정으로 인해 컬러필터의 입사광 및 방출광 사이에 약 40% 내지 50% 정도로 발생하는 광손실을 방지하거나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컬러필터(440)의 출사광의 세기를 컬러필터(440)의 입사광의 세기의 약 40% 내지 50%로 감소시키는 광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의 휘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 뿐만 아니라 양자점의 특성에 의해 색재현성도 AMOLED와 같이 100%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 대체 비용 및 제조비용이 고가인 AMOLED와 달리 기존의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또는 백라이트 유닛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시트의 삽입만으로 위와 같은 휘도 및 색재현성의 향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또는 부품 대체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명칭) 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 공급부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상부 편광필름
220 : 액정부 230 : 하부 편광필름
240, 340, 440 : 컬러필터 250, 350, 450 : 양자점 시트
260, 360, 460 : 백라이트 유닛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빛이 선택적으로 투과 및 차단되는 액정부와, 상기 액정부의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와, 상기 컬러필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컬러필터의 하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양자점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블루 LED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 시트는, 상기 컬러필터의 R영역, G영역 및 B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이한 크기의 양자점 입자를 균일한 밀도로 포함하는 R광섹션, G광섹션 및 B광섹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B광섹션에서의 양자점 입자의 밀도는, 상기 R광섹션 또는 상기 G광섹션의 양자점 입자의 밀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 시트의 B광섹션은 양자점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광투과섹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광섹션의 양자점 입자의 크기는 4.1 nm 내지 4.3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광섹션의 양자점 입자의 크기는 2.7 nm 내지 2.9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 시트는, 광투과성 베이스필름과, 상기 광투과성 베이스 필름의 상부에 도포된 광투과성 접착제와, 상기 광투과성 접착제에서 상기 컬러필터의 R영역, G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상이한 크기의 양자점 입자가 각각 균일하게 분사되는 R광섹션, G광섹션 및 상기 광투과성 접착제에서 상기 컬러필터의 B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양자점 입자가 분사되지 않는 B광섹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편광필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62136A 2010-06-29 2010-06-29 이동 단말기 KR10170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36A KR101701835B1 (ko) 2010-06-29 2010-06-29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36A KR101701835B1 (ko) 2010-06-29 2010-06-2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87A KR20120001387A (ko) 2012-01-04
KR101701835B1 true KR101701835B1 (ko) 2017-02-02

Family

ID=4560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136A KR101701835B1 (ko) 2010-06-29 2010-06-2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066B1 (ko) 2011-01-31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30009020A (ko) 2011-07-14 2013-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5696B1 (ko) 2011-07-14 2013-09-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광학 부재
KR101262520B1 (ko) 2011-07-18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93494B1 (ko) * 2011-07-18 2018-08-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41549B1 (ko) 2011-07-18 2013-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4415B1 (ko) 2011-07-20 2013-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51815B1 (ko) 2011-11-07 2013-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47896B1 (ko) 2012-06-26 2014-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퀀텀 로드 발광 표시장치
CN103474451A (zh) * 2013-09-12 2013-1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色oled器件及其制作方法
CN105607344B (zh) * 2016-03-24 2019-06-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液晶显示装置
KR102661846B1 (ko) 2016-06-29 2024-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변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1483B1 (ko) 2016-09-21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855199B (zh) * 2017-02-04 2019-12-17 苏州星烁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量子点膜及背光模组
CN108333833B (zh) * 2018-03-08 2020-08-1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3724A (ja) * 2004-03-29 2005-10-13 Toyoda Gosei Co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1252B (zh) * 2005-04-01 2014-03-19 Prysm公司 具有包含光学荧光材料的屏幕的显示装置
KR101820777B1 (ko) * 2007-07-18 2018-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 조명에 유용한 양자점-기반 광 시트
KR101460155B1 (ko) * 2008-01-15 2014-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3724A (ja) * 2004-03-29 2005-10-13 Toyoda Gosei Co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87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835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9607B1 (ko) 이동 단말기
KR101221921B1 (ko) 이동 단말기
KR101753587B1 (ko) 이동 단말기
KR1016333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99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611B1 (ko) 이동 단말기
KR101235594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5586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10595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196030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10080022A (ko) 이동 단말기
KR1017720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32209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7653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115010A (ko) 이동 단말기
KR101919781B1 (ko) 이동단말기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37121A (ko) 이동 단말기
KR10196212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6212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658546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981095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26823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