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23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231A
KR20160036231A KR1020140128131A KR20140128131A KR20160036231A KR 20160036231 A KR20160036231 A KR 20160036231A KR 1020140128131 A KR1020140128131 A KR 1020140128131A KR 20140128131 A KR20140128131 A KR 20140128131A KR 20160036231 A KR20160036231 A KR 20160036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ngle
mobile terminal
groo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수
이재욱
권우용
김세용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231A/ko
Priority to US14/662,533 priority patent/US9591109B2/en
Publication of KR2016003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및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된 힌지축; 상기 제2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이 안착되는 원통형의 힌지 하우징;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곡률이 가변가능하므로, 휴대가 편리하며 사용자가 편한 곡률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곡률이 변화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미디어의 기능의 중시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큰 대화면의 이동 단말기가 등장하고, 8인치 이상의 타블렛도 등장하고 있다. 화면이 커지는 경우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곡면 형상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다만 곡면의 이동 단말기는 휴대의 불편함이 있고, 단부가 눌러지면 파손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가변곡률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및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된 힌지축; 상기 제2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이 안착되는 원통형의 힌지 하우징;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는 전면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배면 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케이스의 경계면에 형성된 각도제한 홈; 및 상기 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제2 케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된 멈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멈춤돌기는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각도제한 홈보다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멈춤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멈춤돌기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각도조절홈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에 가까운 가이드 돌기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케이스의 경계면에 형성된 각도제한 홈; 및 상기 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제2 케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된 멈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제한 홈의 일측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 케이스의 경계면과 단차를 이루고, 타측은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각도제한 홈의 일측에 걸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힌지축;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형성되며 힌지축이 수용되는 원통형의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축의 회전면에서 돌출된 멈춤돌기;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멈춤돌기의 돌출 높이와 같거나 더 큰 깊이로 인입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너비보다 상기 더 큰 각도제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경계면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은 돌기가 형성되거나 마찰력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프론트 케이스;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리어 케이스; 및 성가 제1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2 프론트 케이스를 체결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1 리어 케이스가 체결되며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1 힌지 하우징과 인접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는 제1 테이프; 상기 제2 케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는 제2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프와 상기 제2 테이프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경계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반대 측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에 메인기판이 실장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배터리가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면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며, 상기 메인기판과 상기 배터리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유기 발광소자(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곡률이 가변가능하므로, 휴대가 편리하며 사용자가 편한 곡률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부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프론트 케이스와 제2 프론트 케이스 경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A-A'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B-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리어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돋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a, 102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a, 102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a, 102b)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a, 102b)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a, 102b)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a, 102b)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a, 102b)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a, 102b)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a, 102b)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a, 102b)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a, 102b)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휘어진 곡면을 포함하며, 도면상으로는 중앙이 배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고 상하 단부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휘어진 곡면의 디스플레이부(151)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 본체다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곡면에 상응하게 휘어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휘어진 형태의 이동 단말기는 휴대의 불편함이 있고, 편평한 바닥에 놓인 채로 양단부가 동시에 눌리면 파손 위험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본체는 2개의 케이스으로 분할되고 힌지결합을 통해 2개 케이스의 각도를 조정하여, 이동 단말기의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로 구분된다. 제1 케이스(101a, 102a)에 대해 제2 케이스(101b, 102b)이 회동하며 이동 단말기 본체의 곡률을 변화시킨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1 케이스(101a, 102a), 제2 케이스(101b, 102b) 및 제3 케이스(101c, 102c)와 같이 3개 이상의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 케이스는 회동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더 세분화된 이동 단말기(100)의 곡률 조정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1a, 102a)의 크기가 제2 케이스(101b, 102b)의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같은 크기로 또는 제1 케이스(101a, 102a)가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각 케이스는 편평한 바 형상일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형상일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a, 102b)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a, 102b)와 후면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사용자 입력부(123),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사용자 입력부(123),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도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하여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각도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곡률도 변화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51)의 대표적이 예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를 들 수 있다.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얇은 박형으로 만들 수 있다.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고 있어 화면에 잔상이 남지 않으며, 소형 화면에서는 LCD이상의 화질과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인하여 유리한 가격경쟁력을 갖는다. 특히, 자체 발광하므로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 없어 박막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 입력부(123)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123)는 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으며,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사용자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 또는 측면의 사용자 입력부를 생략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a, 102b)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a, 102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101a, 101b), 리어 케이스(102a, 102b), 배터리(191) 및 배터리 커버(103a, 103b)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2개로 분할되어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곡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2개로 구분된 케이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케이스(101a, 102a)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1a), 제1 리어 케이스(102a)로 구성되고,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1 리어 케이스(102a) 사이의 제1 전장부에 상부에 위치하는 전자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101b, 102b)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와 제2 리어 케이스(102b)로 구성되고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와 제2 리어 케이스(102b)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전장부에 하부에 위치하는 전자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 등 리어 케이스(102a, 102b)의 배면에 실장되는 부품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를 더 구비하는 경우 후면커버도 제1 후면커버(103a)와 제2 후면커버(103b)로 분할될 수 있다(도 5 참조).
제1 전장부에 인쇄회로기판, 카메라(121), 리시버(152a) 등이 위치할 수 있고, 제2 전장부에 배터리(191)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장부에 내장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고 제2 리어 케이스(102b) 배면에 배터리(191)를 실장한 후에 후면커버를 결합하여 교체형 배터리와 내장형 배터리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02a, 102b) 중 제1 리어 케이스(102a)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2b)의 배면에만 교체 가능한 부품이 실장되는 경우 후면커버는 제1 리어 케이스(102a)와 제2 리어 케이스(102b) 중 하나에만 결합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a, 101b)와 리어 케이스(102a, 102b)는 외각쪽에 위치하는 체결 후크 및 나사를 통해 결합하며, 프론트 케이스(101a, 101b)와 디스플레이부는 양면테이프(101')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테이프 역시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에 결합되는 제1 양면테이프와 제2 프론트 케이스(101a)에 결합하는 제2 양면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101a, 101b)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101')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의 경계부분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양면 테이프(101')가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의 경계부분까지 위치하는 경우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의 경계부분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접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의 경계부분은 양면 테이프(101')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는 힌지 결합을 하며, 본 실시예는 제2 케이스(101b, 102b)에서 제1 케이스(101a, 102a) 쪽으로 돌출된 힌지축(1011)이 제2 케이스(101b, 102b)에 형성된 힌지 하우징(1014)에 삽입되어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힌지축(1011) 및 힌지 하우징(1014)은 프론트 케이스(101a, 101b)를 구성하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에 위치하나, 리어 케이스(102a, 102b)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2 프론트 케이스(101b) 경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힌지축(1011)은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에서 제1 케이스(101a, 102a)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에서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결합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힌지축(1011)은 제1 케이스(101a, 102a)에 구비된 힌지 하우징(1014)에 안착되고 힌지 하우징(1014) 내에서 회전한다. 힌지 하우징(1014)은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1 리어 케이스(102a)가 결합하여 힌지축(1011)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와 제1 리어 케이스(102a)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를 이용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에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보스(1015)가 형성되고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에는 스크류가 관통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된다.
보스(1015)와 스크류 홀은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스크류가 체결되는 부분은 프론트 케이스(101a, 101b)와 리어 케이스(102a, 102b)가 잘 벌어지지 않으나, 충격이 가해지면 스크류와 스크류 사이는 부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하우징(1014)에 인접하게 보스(1015)를 형성하여 힌지 하우징(1014)이 벌어져 힌지축(101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축(1011)과 힌지 하우징(1014)은 케이스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중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가 단부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사이에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는 한 쌍의 힌지축(1011) 사이에 2개가 위치한다.
스토퍼는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각도가 일정 수준 이상 꺽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면의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가 이루는 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전면방향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1012, 1013)와 배면의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가 이루는 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배면방향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1022, 10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B-B'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스토퍼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에서 제1 프론트 케이스(101a) 쪽으로 돌출된 제1 멈춤돌기(1012)와, 제1 프론트 케이스(101a)에는 상기 제1 멈춤돌기(1012)가 삽입되는 제1 각도제한 홈(1013)을 포함한다.
제1 멈춤돌기(1012)는 단부 방향으로 갈 수록 제1 각도제한 홈(1013)보다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 멈춤돌기(1012)의 경사면 각도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멈춤돌기(1012)와 상기 제1 각도제한 홈(1013)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면 배면방향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각도제한 홈(1013)의 전면부분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면 방향도 막혀져 있으면 배면 방향으로 꺽이는 각도도 제한할 수 있어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배면 방향으로 꺽이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1a, 102a)에서 돌출된 제2 멈춤돌기(1022)와 제2 케이스(101b, 102b)에 형성된 제2 각도제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제한 홈은 일측은 상기 제1 케이스(101a, 102a)외 제2 케이스(101b, 102b)의 경계면(104)에서 꺽어진 단차를 이루고, 타측은 제1 케이스(101a, 102a)외 제2 케이스(101b, 102b)의 경계면(104)에서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각도제한 홈의 단차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1b)의 배면의 일부이고, 경사면은 제2 리어 케이스(102b)에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 단차에 제1 케이스(101a, 102a)에서 돌출된 제2 멈춤돌기(1022)가 걸려 배면방향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1a, 102a)외 제2 케이스(101b, 102b)의 경계면(104)은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곡면은 힌지축(1011)을 중심으로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각도 변화시 경계면(104)이 부딪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경계면(104)에 마찰계수가 큰 소재가 개재되거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 102a)와 제2 케이스(101b, 102b)의 각도는 사용자가 힘을 인가할 때에만 변화하고, 힘을 가하지 않았는 데도 중력 또는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서는 변화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 돌기나 마찰계수가 큰 소재를 이용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리어 케이스(102a, 102b)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제1 케이스(101a, 102a)에는 인쇄회로기판, 카메라(121), 리시버(152a) 등의 부품이 실장되고, 제2 케이스(101b, 102b)에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제2 케이스(101b, 102b)에 외장 배터리가 실장되고 제1 케이스(101a, 102a)에는 내장 배터리가 실장되어 외장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에도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론트 케이스(201a, 201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힌지축(2011)과 힌지 하우징(2014)에 스토퍼가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퍼는 힌지 하우징(2014)에 안착된 원통형상의 힌지축(2011)의 외측면에 돌출된 멈춤돌기(2012)와, 힌지 하우징(2014)의 내측면에 상기 멈춤돌기(2012)와 상응하는 위치에 멈춤돌기(2012)와 높이가 같거나 더 큰 깊이로 인입된 각도제한 홈(2014)으로 구성된다.
각도제한 홈(2014)의 너비는 멈춤돌기(2012)의 너비보다 더 크게 연장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제한 홈(2014)의 부채꼴 각도 범위내에서만 힌지축(2011)을 중심으로 제1 케이스(201a, 202a)와 제2 케이스(201b, 202b)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멈춤돌기(3012)는 제1 프론트 케이스(301a)에서 돌출되어 제2 프론트 케이스(301b)에 형성된 각도제한 홈(3013)에 삽입된다. 멈춤돌기(3012)는 테이퍼 형상(단부로 갈 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멈춤돌기(3012)의 경사면 각도만큼 제1 프론트 케이스(301a)가 제2 프론트 케이스(301b)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힌지축는 멈춤돌기(3012)의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각도제한 홈(3013)의 내측에 함입된 힌지 하우징(3014)가 형성된다. 멈춤돌기(3012)의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3017a, 307b)는 각도제한 홈(3013)에 단계적으로 걸려 추가적으로 힘을 줄 때 이동 단말기(100)의 각도를 추가적으로 변경 가능하여 각도 조절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곡률이 가변가능하므로, 휴대가 편리하며 사용자가 편한 곡률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단부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1a: 제1 프론트 케이스 101b: 제2 프론트 케이스
1011: 힌지축 1012: 제1 멈춤돌기
1013: 제1 각도제한 홈 1014, 2014: 힌지 하우징
1015: 보스 101': 접착 테이프
102a: 제1 리어 케이스 102b: 제2 리어 케이스
103a, 103b: 후면커버 151: 디스플레이부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4)

  1.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된 힌지축;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이 안착되는 원통형의 힌지 하우징;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전면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배면 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케이스의 경계면에 형성된 각도제한 홈; 및
    상기 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제2 케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된 멈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멈춤돌기는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각도제한 홈보다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멈춤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각도조절홈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에 가까운 가이드 돌기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케이스의 경계면에 형성된 각도제한 홈; 및
    상기 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제2 케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된 멈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제한 홈의 일측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 케이스의 경계면과 단차를 이루고, 타측은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각도제한 홈의 일측에 걸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힌지축;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형성되며 힌지축이 수용되는 원통형의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축의 회전면에서 돌출된 멈춤돌기;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멈춤돌기의 돌출 높이와 같거나 더 큰 깊이로 인입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너비보다 상기 더 큰 각도제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경계면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면은
    돌기가 형성되거나 마찰력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프론트 케이스;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리어 케이스; 및
    성가 제1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2 프론트 케이스를 체결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제1 리어 케이스가 체결되며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1 힌지 하우징과 인접한 위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는 제1 테이프;
    상기 제2 케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는 제2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프와 상기 제2 테이프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경계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의 반대 측에 각각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에 메인기판이 실장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배터리가 실장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면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며, 상기 메인기판과 상기 배터리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유기 발광소자(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128131A 2014-09-25 2014-09-25 이동 단말기 KR20160036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131A KR20160036231A (ko) 2014-09-25 2014-09-25 이동 단말기
US14/662,533 US9591109B2 (en) 2014-09-25 2015-03-19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131A KR20160036231A (ko) 2014-09-25 2014-09-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231A true KR20160036231A (ko) 2016-04-04

Family

ID=5558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131A KR20160036231A (ko) 2014-09-25 2014-09-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91109B2 (ko)
KR (1) KR201600362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0733S1 (en) * 2014-07-30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80732S1 (en) * 2014-07-30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79451S1 (en) * 2014-07-30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N104269109B (zh) * 2014-09-25 2017-02-15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后壳和显示装置
US10432778B2 (en) * 2016-12-20 2019-10-01 Elliptic Laboratories As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TWI678959B (zh) * 2018-03-09 2019-12-01 創王光電股份有限公司 鉸鏈、殼體結構與可撓式顯示裝置
CN108600449B (zh) * 2018-04-23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EP3813342B1 (en) 2018-07-17 2022-08-03 Honor Device Co., Ltd. Terminal
CN110728910B (zh) * 2019-10-10 2022-07-0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可弯折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3328A1 (ja) * 2005-03-02 2006-09-08 Nec Corporation 携帯端末
US7653422B2 (en) * 2006-02-28 2010-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ing hinge
US8264823B2 (en) * 2009-06-25 2012-09-11 Lg Electronics Inc. Foldable mobile terminal
KR20130045108A (ko) * 2011-10-25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9013864B2 (en) * 2012-11-0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1917396B1 (ko) * 2012-11-27 2018-11-1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한 빙해선박의 방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1109B2 (en) 2017-03-07
US20160094693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6231A (ko) 이동 단말기
KR101645495B1 (ko) 컬러센서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71262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172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286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6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KR102689437B1 (ko) 홈스크린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8871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60036230A (ko)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10180913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84811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135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