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901B1 -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901B1
KR101534901B1 KR1020120097924A KR20120097924A KR101534901B1 KR 101534901 B1 KR101534901 B1 KR 101534901B1 KR 1020120097924 A KR1020120097924 A KR 1020120097924A KR 20120097924 A KR20120097924 A KR 20120097924A KR 101534901 B1 KR101534901 B1 KR 10153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color temperature
lighting
illuminating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045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901B1/ko
Priority to EP20140183965 priority patent/EP2819490A3/en
Priority to EP13176479.7A priority patent/EP2704534B1/en
Priority to JP2013158536A priority patent/JP5628976B2/ja
Priority to US14/017,902 priority patent/US9137877B2/en
Publication of KR2014003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45A/ko
Priority to US14/278,909 priority patent/US9173274B2/en
Priority to JP2014160188A priority patent/JP589423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901B1/ko
Priority to US14/867,807 priority patent/US9629217B2/en
Priority to JP2016034088A priority patent/JP633458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 H05B47/19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세기(RSSI)에 의거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신된 RSSI의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의 밝기와 색온도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자동조절이 가능하며, RSSI를 이용한 가장 근접거리의 조명장치의 Switch Application을 Display하여 사용자가 쉽게 제어하도록 하며, RSSI 신호 강도에 의거 조명장치가 온/오프 및 밝기가 제어된다.

Description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
실시 예는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의거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명장치 제어는 전원 스위치와 조명장치가 유선으로 일대 일로 연결되어서 원하는 조명장치의 스위치를 알아야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판단에 의거 각 조명장치의 색 온도 또는/및 밝기를 수동으로 제어해야 했다.
또한 외출이나 집에 들어오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각 조명장치를 오프(OFF)하거나 온(ON)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 방법은 일일이 사용자가 ACTION을 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른다.
한편, 최근의 친환경/저탄소 및 에너지 절감의 일환으로, LED 조명에 대한 사회적/국가적 Needs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그 효율성이나 기술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과 기존 조명장치 대비 가격적인 이슈를 뛰어 넘을 기술적 차별화의 한계로 널리 사용되지 않는 것도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실시 예는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의거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 예는 RSSI의 세기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조명장치의 밝기와 색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조명제어장치의 일종인 Smart phone의 Application Software에, RSSI세기에 따라 조명장치의 색 제어 신호, 색 온도 신호, 밝기 신호를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 취향에 의거 감성조명 제어를 구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제어장치를 가진 사용자가 조명장치가 설치된 곳에 입실하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가 자동적으로 온(ON)되도록 제어되고, 조명장치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우에, 밝기/색 온도 레벨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제어가능하며, 또한 퇴실하는 경우 조명장치가 꺼지는 감성조명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실시 예는 복수 개의 무선 조명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RSSI에 따른 가장 근접거리(신호 세기가 가장 큰 RSSI)의 조명장치의 Switch Application을 조명제어장치의 일종인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부에 Display하여 사용자가 쉽게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 예는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의거, 제어될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는 하나의 예로써,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메인 화면으로써 출력되고,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은 서브 화면으로써 출력되는 것을 제안한다. 물론 동일한 사이즈로도 출력 가능하다.
실시 예는 조명장치로부터 RSSI가 수신되는 경우, 조명장치가 온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RSSI 세기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집안의 조명장치 밝기 레벨이 외출 시에는 자동으로 점점 낮아지고, 입실 시에는 점점 높아지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RSSI세기에 따라 밝기/색 온도가 가변 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RSSI세기가 커질수록 밝기/색 온도 레벨이 점점 높아지고, RSSI세기가 작아질수록 밝기/색 온도 레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 예는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RSSI에 대해서만 조명장치가 제어되도록 설정하거나, 미리 정한 RSSI 세기에 상관없이 수신된 RSSI를 비교하여 크기에 따라 조명장치가 제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다양한 조명모드를 ICON 으로 설정하여, 제어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는,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User Interface (UI) 및 스위치 Application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부;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전송되는 통신부;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따라 조명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정보, 그에 대응되어 저장된 조명장치의 색 온도정보 및 밝기 제어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제어방법은,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단계;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RSSI)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RSSI와 그에 대응되어 저장된 조명장치의 제어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과에 의거, 조명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방법은,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단계;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및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RSSI)의 크기에 의거 제어될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방법은,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장치의 전원이 온 되는 단계;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및 조명장치로부터 수신신호 세기(RSSI)가 수신되는 경우, 조명장치가 온 되도록 제어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방법은, 조명제어정보인 색 온도 및 밝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한 복수의 조명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조명제어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조명모드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조명모드 중에서 출력될 모드가 선택되고, 그에 의거한 색 온도 및 밝기에 의거 조명장치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실시 예는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의거 조명장치의 색 온도 또는/및 밝기를 제어하고, 또한 제어될 조명장치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는 RSSI의 세기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조명장치의 밝기와 색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취향에 따라 조명 장치를 다양하게 제어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복수 개의 무선 조명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RSSI에 의한 가장 근접한 거리(신호 세기가 가장 큰 RSSI)의 조명장치의 Switch Application을 제어장치의 일종인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 부에 Display하여 사용자가 쉽게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의거, 제어될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는데 있어서,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메인 화면으로써 출력되고,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은 서브 화면으로써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복수의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는 RSSI의 세기에 따라 집안의 조명장치의 밝기레벨이 외출 시에는 자동으로 낮아지고, 입실 시에는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RSSI세기가 커질수록 밝기레벨이 점점 높아지고(밝아지고), RSSI세기가 작아질수록 밝기레벨이 점점 낮아(어두워)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RSSI의 세기에 따라 집안의 조명장치의 밝기가 외출 시에는 자동으로 꺼지고, 입실 시에는 켜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또한 RSSI세기가 커질수록 밝기레벨이 점점 높아지고(밝아지고), RSSI세기가 작아질수록 밝기레벨이 점점 낮아(어두워)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다양한 조명 모드를 ICON으로 구현하여, 쉽게 제어 및 그에 의거 밝기/색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일반적인 조명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2b는 조명시스템을 구성하는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조명제어장치 중에서 무선 스마폰 및 RSSI에 의거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조명제어장치의 User Interface (UI)를 나타낸 도면
도 5a, 5b 및 5c는 조명장치와 조명제어장치의 거리에 따라 수신되는 RSSI 세기가 서로 달라짐을 나타내는 실시 예 도면
도 6은 수신 RSSI 세기에 의한 근접거리 조명장치 (111)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제어장치 (101)에 디스플레이 되고, 그에 의거 색 온도 또는/및 밝기 레벨등이 제어 가능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복수의 조명장치(111,112,113,114,115)가 설치 또는 동작 중인 장소에서, RSSI 세기가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조명장치만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제어장치 (101)에 출력되게 하여 제어의 편리성을 구현하거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한 RSSI 신호 세기의 조명장치가 자동으로 온 되거나 상기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의 밝기 또는/및 색 온도가 가변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하나 이상의 제어될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 또는 UI가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수신된 RSSI에 의거 조명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UI화면을 나타내는 실시 예 도면
도 11은 조명모드 중에서 "Welcome"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표현되는 UI화면
도 12는 조명모드 중에서 "Energy"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표현되는 UI화면
도 13은 조명모드 중에서 "Focus"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표현되는 UI화면
도 14는 조명모드 중에서 "RELAX"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조절된 상태를 표현되는 UI화면
도 15는 각각의 조명모드를 UI화면으로 나타내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모드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는 해당되는 실시 예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동작 및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동작/의미로서 본 실시 예를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조명장치는 LED, 일반조명장치, 또는 다른 조명장치, 형광등, 백열등, downlight, 할로겐등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서, 조명장치 내의 통신부에 구성되는 통신모듈의 방식으로써 Zigbee나 Bluetooth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WiFi, NFC등 다른 통신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간에 연결, 접속 또는 접촉되었다 함은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 다른 매체 또는 다른 소자 등을 통한 기구적 연결, 전기적 연결 또는 유/무선 연결된 경우도 포함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RSSI의 세기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설정하여 조명장치의 밝기와 색 온도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자동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제어장치를 가진 사용자가 조명장치가 있는 곳에 입실하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가 자동적으로 온(ON)되어, 조명장치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우에, 밝기/색 온도 레벨이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하는 감성조명제어가 상기 미리 정한 RSSI 세기에 의거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조명제어 시스템을 갖춘 환경에서 복수 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User Interface (UI) 개선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의 하나로써 스마트 폰을 이용한 무선 조명제어와 같은 홈 환경이 구축된 환경에서, 사용자는 무선 조명제어를 포함하여 복수의 무선제어 Application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내 해당 제어 프로그램을 일일이 찾아서 제어권을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수신신호 세기 (RSSI)에 의거 조명장치를 제어하고자 한다. 즉 복수개의 무선 조명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제어장치인 스마트폰에 RSSI 세기에 의거 판단된 가장 근접거리의 조명장치의 Switch Application을 Display하여 사용자 제어 편리성을 확보하고, 미리 설정된 RSSI 신호 세기시 조명장치가 온 되어 밝기/색 온도가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근접거리라는 것은 가정이나 빌딩 내에 복수개의 무선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에 가까운 거리에 있는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Display될 수 있도록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제어장치의 일종인 스마트 폰을 휴대한 상태이고 스마트 폰에서는 조명장치와의 RSSI신호강도에 대한 미리 정한 Table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조명모드 별로 설정된 ICON 및 조명제어정보를 설정하여 제어의 편리성을 구현한다.
이하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일반적인 조명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제어방식에 의거 조명장치 제어를 위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101)와, 조명부(LED, 다른조명장치등) 및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조명장치(111)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사용자 제어명령을 무선/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11)의 제어는, 상기와 같은 무선이 아닌 별도의 유선으로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장치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메인장치(121)가 구성되고, 상기 메인장치에는 상기 조명장치를 온(ON)/오프(OFF) 제어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2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는 조명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벽에 붙어 있는 스위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에 의한 제어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무선(RF) 통신 방식, 예를 들어 Zigbee, WiFi, BLUETOOTH 등에 의거 동작 가능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방식에 의거 동작된다.
도 2a/2b는 조명시스템을 구성하는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먼저,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제어장치 (101)는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
전원부(203)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206)과 조명장치(111) 제어를 위한 UI 또는/및 스위치 Application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부 (207)와; 상기 통신 방식에 의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전송되는 통신부 (205)와;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따라 제어될 조명장치정보, 상기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 특성 중 제어될 색 온도 및 밝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된 저장 부(204); 및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정보와, 그에 대응되어 저장된 조명장치의 색 온도 정보 및 밝기 제어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202);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207)에는 조명장치 (111)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의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장치의 색 온도(401) 및 밝기(40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UI (400)가 출력된다.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207)에는 도 2b의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의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어될 조명장치에 대한 UI 또는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제어를 하도록 한다.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는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를 비교한 결과,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만이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인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만이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RSSI가 수신되는 모든 조명장치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는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를 비교한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메인 화면으로써 출력되고,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은 서브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메인 화면에 출력되는 조명장치는 아래 표 1을 참고 시, 가장 큰 RSSI (200 dBm)가 될 것이며, 이외 RSSI를 송신한 조명장치는 서브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RSSI를 송신한 조명장치가 제어장치에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비록 미약한 RSSI를 전송한 조명장치라도 제어장치에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의거, 제어될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된다.
상기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제어될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된다.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와 그에 대응되어 아래 표 1과 같이 저장된 조명장치의 색 온도 또는/및 밝기 정보에 의거 제어부가 자동 또는 사용자가 수동 제어한다.
즉, WiFi, Zigbee 또는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통신기술이 조명장치 내에 안테나를 포함하는 소형화 모듈로 탑재되어 있을 시에, 무선신호를 받아들이는 Target Device나 Master Device (예를 들어 조명제어장치)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가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을 이용하여, 조명장치가 온, 조명장치의 밝기/색 온도 정보 등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제어되는 감성조명제어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RSSI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의 밝기/색 온도가 사용자 취향에 따라 제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RSSI 세기 색 온도 밝기
200 6000 K 100 dimming
150 5000 K 80
100 4000 K 40
50 3000 K 20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에 의거, 제어부가 조명장치를 자동으로 온/오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를 참고하면, 미리 정한 RSSI 세기 이상인 경우(100dBm)에는 조명장치가 온 되도록 제어하고, 이하인 경우(50dBm)에는 조명장치가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SSI가 점점 증가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색 온도 및 밝기가 점점 증가되도록 제어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RSSI가 점점 작아지는 경우에는 색 온도 및 밝기가 점점 감소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b는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장치 (111)는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
전원부 (213)와, WiFi, Zigbee 또는 Bluetooth 통신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며 조명제어장치(101)에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 (215)와; 동작 프로그램 및 조명제어장치에 대한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214); 및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217);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조명제어 장치에는 Zigbee, Blutooth, WiFi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핸드폰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등의 무선 제어 장치이며, 조명장치도 상기에 대응되는 통신방식을 사용하며, LED등, 형광등, 백열등,할로겐등의 모든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도 3은 조명장치로부터 RSSI 수신과 그에 의거 조명제어장치가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제어장치(101) 및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 (302,303,304)의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 제어장치인 스마트 폰의 동작모드를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드를 선택한다.
그에 의거, 조명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것이며, 상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RSSI)를 비교 또는 확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음과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1) 수신 RSSI에 의한 각 조명장치의 밝기와 색 온도를 제어함.
2) 수신 RSSI 세기에 의한 근접거리 조명장치의 스위치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어함.
3) 수신 RSSI에 의거 조명장치를 온/오프 제어 또는 밝기 또는/및 색 온도레벨이 점점 높아지거나 낮아짐.
도 4는 조명제어장치의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조명장치의 색 온도(401) 및 밝기(40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UI(400)의 하나의 예이다.
도 5a, 5b 및 5c는 조명장치와 조명제어장치의 거리에 따라 수신되는 RSSI 세기가 서로 달라짐을 나타내는 실시 예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5a-> 도 5b -> 도 5c가 순서로 수신 RSSI (501,502,503)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수신 RSSI 세기에 의한 근접거리 조명장치 (111)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제어장치 (101)에 디스플레이 되고, 그에 의거 색 온도 또는/및 밝기레벨 등이 제어 가능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 제어장치를 가진 사용자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조명제어장치에 수신되는 RSSI 신호세기 중에서 신호세기가 가장 큰 근접거리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제어장치 (101)에 디스플레이 되고, 그에 의거 색 온도 및 밝기레벨 등이 제어 가능하다.
도 7은 복수의 조명장치(111,112,113,114,115)가 설치 또는 동작 중인 장소에서, RSSI 세기가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조명장치만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조명제어장치 (101)에 출력되게 하여 제어의 편리성을 구현하거나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한 RSSI 신호 세기의 조명장치가 자동으로 온 되거나 상기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의 밝기 또는/및 색 온도가 가변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영역 내에 존재하는 최소 개수 (1개 이상의 조명장치(111,115))의 스위치 Application이 제어장치(117)에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조명제어장치(117)를 가진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RSSI 세기에 의거 다른 조명장치에 대한 스위치 Application이 출력되고 또한 색 온도/밝기가 제어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미리 정한 RSSI 신호 세기 이상의 조명장치가 자동으로 온 되고, 상기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의 밝기 또는/및 색 온도가 가변 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장치를 가진 사용자가 조명장치가 있는 곳에 입실하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가 자동적으로 온 되고, 조명장치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우에, 밝기/색 온도 레벨이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하는 감성조명제어가 상기 미리 정한 RSSI세기에 의거 가능하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제어될 조명장치의 스위치 Application 또는 UI (801,802,803,804)가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는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세기(RSSI)를 비교한 결과,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 또는 스위치 Application (801)만이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UI 또는 스위치 Application (802,803,804)이 서브화면으로써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수신된 RSSI에 의거 조명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장치의 전원이 온 된다.(S 901).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드가 선택된다. (S 902).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RSSI)가 확인된다. (S 903)..
상기 수신된 RSSI와 그에 대응되어 저장된 조명장치의 제어정보 (색 온도/밝기)가 확인 및 그에 의거 제어된다. (S 904).
즉, 상기 확인된 결과에 의거, 조명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다.
또는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 세기(RSSI)의 크기에 의거 제어될 근접거리의 조명장치의 Switch Application이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에 출력되며 그에 의거 제어된다. (S 905).
또는 조명장치로부터 수신신호 세기(RSSI)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가 온 또는 오프 되도록 제어된다. (S 906).
예를 들어 미리 정한 RSSI이상인 조명장치가 온 되도록 제어되거나 조명장치로부터 수신신호 세기(RSSI)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명장치가 오프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RSSI 세기에 의한 조명장치의 색 온도/밝기가 점점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UI (1001) 화면을 나타내는 실시 예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제어정보는 적어도 색 온도(1003) 또는/및 밝기(1005)를 포함하고 현재 값을 표시 부(1004, 1006)를 통해 나타내며, 복수의 조명 모드(1007, 1007a~1007e)가 아이콘 (icon형태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표시부인 스코롤 바(1004,1006)를 좌/우로 움직여, 각 조명모드 별로 설정된 색 온도 및/또는 밝기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각 조명모드 별로 설정된 조명제어정보는 다음과 같다.
조명 모드 색온도 밝기
WELCOME 2700K ~ 6500K (서서히 색온도가 가변되도록 함) 100 %
Energy 6500 K 100 %
FOCUS 5700 K 100 %
RELAX 2700 K 100 %
General 4000 k (default값) 100 % (default값)
상기와 같이 설정된 각 조명모드, 조명제어 정보 값 및 그에 대응되는 각 ICON(1007a~1007e)에서, 처음 조명제어모드로 진행될 때의 default 값은 4000K, 100% light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값 또는 상기 다른 모드로 진행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조명모드를 위한 아이콘을 누르는 경우, 그에 따라 설정된 조명제어 정보 값으로 동작 및 그 선택된 아이콘은 활성화된다.
또한 스크롤 바(1004,1006)를 제어하여 원하는 색 온도나 밝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런 경우, 원래의 동작되고 있던 아이콘은 비 활성화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것은 설정에 의거 계속 활성화 상태로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 10은 처음 조명제어모드로 진행될 때의 default 값 (색 온도 4000K 및 밝기 100% 상태로 light )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은 조명모드 중에서 "Welcome"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표현되는 UI화면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색 온도가 가변 (2700K-> 6500K)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몰론 밝기도 가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조명모드 중에서 "Energy"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표현되는 UI화면이다.
도 12의 색 온도/밝기는 도면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일반적이다.
도 13은 조명모드 중에서 "Focus"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표현되는 UI화면이다.
도 14는 조명모드 중에서 "RELAX"모드가 선택된 경우에서 색 온도/밝기가 조절된 상태를 표현되는 UI화면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Relax 모드에서의 색 온도 2700K는 1500K로 조절되었으며, 밝기는 100%-> 50%로 조절되었다. 그에 의거 활성화 되어 있었던 RELAX 아이콘이 비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것이다.
도 15는 각각의 조명모드를 UI화면으로 나타내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모드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제어정보인 색 온도 및 밝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한 복수의 조명모드가 설정되어 조명제어장치/조명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S 1501).
조명제어장치에서 조명제어모드가 선택된다. (S 1502)
상기 미리 설정된 조명모드가 UI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며, 도 11과 같이 기본(DEFAULT)으로 설정된 조명제어정보에 의거 조명장치가 제어된다. (S 1503, S 1504).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조명모드 중에서 출력될 모드가 선택되고, 그에 의거한 색 온도 및 밝기에 의거 조명장치가 출력된다. (S 1505, S 1506).
한편,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출력되는 상태에서, 조명제어 정보 값을 스코롤 바를 움직이거나 다른 모드를 선택하는 것에 의거 변경되어 동작할 수 있다. (S 1507, S 1509, S 1510).
상기 조명제어정보의 변경으로 인해, 활성화 되어 있었던 조명제어모드의 아이콘(icon)은 비 활성화로 변경될 것이다. (S 1508)
상기 조명제어정보의 변경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색 온도 및 밝기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수단(예를 들어 스코롤 바, 커서등)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스코롤 바 이동, 또는 다른 조명모드를 선택하는 것에 의거, 활성화 되어 있었던 조명모드의 아이콘이 비 활성화될 것이고, 상기 새로 선택된 조명모드의 아이콘은 활성화된다.
본 실시 예의 기술적은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1 : 조명제어장치, 111 : 조명장치

Claims (24)

  1. 복수의 조명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의 제어를 위해 조명 제어 장치의 터치 스크린 위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 1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현재 설정 상태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현재 설정 값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제 2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시 영역 및 제 2 표시 영역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 신호 세기를 확인하며,
    상기 제 1 조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중 가장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조명 장치이며,
    상기 제 2 조명 장치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를 제외한 복수의 조명 장치 중 기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수신신호 세기를 가지는 조명 장치이며,
    상기 기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제 2 조명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 2 표시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제 2 조명 장치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분된 복수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현재 설정 값에 대응되게 각각 표시되는
    조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메인 화면이고,
    상기 제 2 표시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서브 화면인
    조명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에는,
    수신 신호 세기에 대응하는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는,
    상기 저장된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의해 색 온도 및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영역 및 제 2 표시 영역에는,
    스크롤 바가 각각 표시되며,
    상기 각각 표시되는 스크롤 바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설정 값에 대응하게 표시되는
    조명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 1 및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색 온도 및 밝기는,
    상기 수신신호 세기의 변화에 비례하여 증감하는
    조명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중 기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조명 장치의 전원을 온 하고, 상기 기설정된 레벨보다 낮은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조명 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는
    조명 시스템.
  10. 조명 제어 장치에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상기 제 1 및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조정된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 1 및 2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 1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현재 설정 상태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현재 설정 값에 대응되게 표시되는 제 2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시 영역 및 제 2 표시 영역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복수의 조명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 신호 세기를 확인하며,
    상기 제 1 조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중 가장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조명 장치이며,
    상기 제 2 조명 장치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를 제외한 복수의 조명 장치 중 기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수신신호 세기를 가지는 조명 장치이며,
    상기 기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제 2 조명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 2 표시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제 2 조명 장치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분된 복수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현재 설정 값에 대응되게 각각 표시되는 조명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메인 화면이고,
    상기 제 2 표시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서브 화면인
    조명 제어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에는,
    수신 신호 세기에 대응하는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는,
    상기 저장된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의해 색 온도 및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 제어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영역 및 제 2 표시 영역에는,
    스크롤 바가 각각 표시되며,
    상기 각각 표시되는 스크롤 바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설정 값에 대응하게 표시되는
    조명 제어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 1 및 2 조명 장치의 색 온도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색 온도 및 밝기는,
    상기 수신신호 세기의 변화에 비례하여 증감하는
    조명 제어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20097924A 2012-09-04 2012-09-04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3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24A KR101534901B1 (ko) 2012-09-04 2012-09-04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EP20140183965 EP2819490A3 (en) 2012-09-04 2013-07-15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EP13176479.7A EP2704534B1 (en) 2012-09-04 2013-07-15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13158536A JP5628976B2 (ja) 2012-09-04 2013-07-31 照明装置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US14/017,902 US9137877B2 (en) 2012-09-04 2013-09-04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4/278,909 US9173274B2 (en) 2012-09-04 2014-05-15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14160188A JP5894235B2 (ja) 2012-09-04 2014-08-06 照明装置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US14/867,807 US9629217B2 (en) 2012-09-04 2015-09-28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16034088A JP6334585B2 (ja) 2012-09-04 2016-02-25 照明装置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24A KR101534901B1 (ko) 2012-09-04 2012-09-04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144A Division KR101664539B1 (ko) 2014-02-17 2014-02-17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45A KR20140031045A (ko) 2014-03-12
KR101534901B1 true KR101534901B1 (ko) 2015-07-24

Family

ID=4878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924A KR101534901B1 (ko) 2012-09-04 2012-09-04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137877B2 (ko)
EP (2) EP2704534B1 (ko)
JP (3) JP5628976B2 (ko)
KR (1) KR101534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79B1 (ko) * 2015-01-07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3371B (zh) * 2013-07-08 2015-12-11 Lextar Electronics Corp 整合無線暨有線的照明控制系統
US10149369B2 (en) 2013-11-21 2018-12-04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of associating wireless control devices
CN105208702B (zh) * 2014-05-29 2018-02-02 赛尔富电子有限公司 一种led灯具照明控制系统
KR102325326B1 (ko) * 2014-06-16 2021-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194827A1 (en) * 2014-06-16 2015-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in electronic device
US9900091B2 (en) * 2014-06-24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CN104053286B (zh) * 2014-07-02 2015-12-30 成都零点六一八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灯光亮度和颜色调节的智能开关
KR20160021576A (ko) 2014-08-18 2016-0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
US20160120001A1 (en) * 2014-10-27 2016-04-28 Finelite Inc. Color temperature tuning
CN104320880B (zh) * 2014-10-28 2017-01-1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台灯
US20160128158A1 (en) * 2014-11-05 2016-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environment engine
JP6207762B2 (ja) 2014-11-25 2017-10-04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近接ベースの照明制御
JP5842072B1 (ja) * 2015-02-25 2016-01-13 オーデリ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KR20160109611A (ko) * 2015-03-12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10478261B2 (en) 2015-05-29 2019-11-1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atient care
JP6367499B1 (ja) * 2015-06-11 2018-08-01 ミスアプライド・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ビュー建築照明システム
KR101727549B1 (ko) * 2015-06-18 2017-04-17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EP3332612B1 (en) * 2015-08-05 2019-12-1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the location of an occupant and/or mobile device
JP6655810B2 (ja) * 2015-08-21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制御装置
CN105307352B (zh) * 2015-11-20 2018-09-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照明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919314B (zh) * 2015-12-24 2021-04-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及亮屏方法
US9655214B1 (en) * 2016-02-11 2017-05-16 Ketra,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ual content loaded into a grouped set of illumination devices configured within a wireless network
US9655215B1 (en) 2016-02-11 2017-05-16 Ketra, Inc.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minimal control delay to grouped illumination devices configured within a wireless network
WO2017189571A1 (en) * 2016-04-25 2017-11-02 Osram Sylvania Inc. Tunable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KR102640657B1 (ko) 2016-06-13 202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KR102536864B1 (ko) * 2016-06-22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67959B2 (en) * 2016-07-07 2018-05-08 Noon Home, Inc.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learning exclus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N106227047A (zh) * 2016-08-05 2016-12-14 广西瀚特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技术的双联智能开关设备及方法
US10645777B2 (en) 2016-12-05 2020-05-05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intensity and color of a lighting load
US10813197B2 (en) * 2017-04-10 2020-10-20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Wireless solid state lighting controller
CN114128407A (zh) 2019-07-25 2022-03-01 昕诺飞控股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照明单元组的方法和控制器
JP7426579B2 (ja) * 2019-07-30 2024-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
JP7349664B2 (ja) * 2019-10-23 2023-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照明システム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照明器具
US11330396B2 (en) 2020-05-19 2022-05-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Wireless based presence det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866A (ja) * 1994-03-31 199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調色照明器具及びその調色照明器具を用いた照明制御装置
JP2009017267A (ja) * 2007-07-05 2009-01-22 Ricoh Co Ltd 照明システム、照明制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09521089A (ja) * 2005-12-23 2009-05-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位置認識機能を備え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192A (ja) * 1993-11-24 1995-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装置
US7730401B2 (en)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ATE356528T1 (de) 2003-05-07 2007-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enutzerschnittstelle zur kontrolle von leuchtdioden
KR100719504B1 (ko) 2005-08-10 2007-05-17 심현섭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07052195A1 (en) * 2005-11-01 2007-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controller for a variable color lighting system
EP1967050B1 (en) 2005-12-22 2011-1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 of light systems
CN101347050A (zh) * 2005-12-23 2009-01-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照明系统的用户接口
US8669716B2 (en) 2007-08-30 2014-03-11 Wireless Environment, Llc Wireless light bulb
KR100807345B1 (ko) 2006-04-27 2008-02-28 현대건설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TW200846589A (en) 2007-05-22 2008-12-01 Prodisc Technology Inc Illumination device
KR100919866B1 (ko) * 2007-08-08 2009-09-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리정보를 이용한 절전방법 및 장치
JP2009087834A (ja) * 2007-10-02 2009-04-23 Panasonic Corp 照度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9052654A1 (en) * 2007-10-26 2009-04-30 Lite-On It Corporation Robust id gesture light control algorithm
US20090156251A1 (en) 2007-12-12 2009-06-18 Alan Cannistraro Remote control protocol for media systems controlled by portable devices
RU2526863C2 (ru) * 2008-06-10 2014-08-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нагрузкой потребителя и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использую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EP2327063B1 (en) 2008-08-11 2020-10-07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KR101611304B1 (ko) 2009-04-09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드조명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8342714B1 (en) 2009-05-06 2013-01-01 Stray Light Optical Technologies Mobile lighting apparatus
CN102422717B (zh) 2009-05-13 2015-09-3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自适应外观依赖于功能的圆形光导环的用户界面
KR101888374B1 (ko) * 2009-06-05 2018-09-20 필립스 라이팅 홀딩 비.브이. 조명 제어 장치
JP2011014341A (ja) 2009-07-01 2011-01-20 Itoki Corp 調光可能な照明システム
US8581707B2 (en) * 2009-12-16 2013-11-12 Pyramid Meride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distributed devices
JP2011175757A (ja) * 2010-02-23 2011-09-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制御システム
US8816848B2 (en) * 2010-06-22 2014-08-26 Sling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ocation from wireless signals
CN103141160B (zh) 2010-10-08 2016-09-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光照系统、光照方法和照明控制器
KR20120064457A (ko) 2010-12-09 2012-06-19 정구민 이동 단말기에서 조명 장치를 통해 감성을 표현하는 방법
KR101196249B1 (ko) 2011-01-04 2012-11-05 곽칠성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US8912905B2 (en) * 2011-02-28 2014-12-16 Chon Meng Wong LED lighting system
KR20120139390A (ko) 2011-06-17 201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영을 위한 광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8710770B2 (en) 2011-07-26 2014-04-29 Hunter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and data to lighting devices
EP2587361A3 (en) * 2011-10-25 201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book i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e-book rea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866A (ja) * 1994-03-31 199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調色照明器具及びその調色照明器具を用いた照明制御装置
JP2009521089A (ja) * 2005-12-23 2009-05-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位置認識機能を備え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2009017267A (ja) * 2007-07-05 2009-01-22 Ricoh Co Ltd 照明システム、照明制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79B1 (ko) * 2015-01-07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73274B2 (en) 2015-10-27
EP2704534A1 (en) 2014-03-05
KR20140031045A (ko) 2014-03-12
JP2014225471A (ja) 2014-12-04
US20160021716A1 (en) 2016-01-21
US9629217B2 (en) 2017-04-18
EP2819490A3 (en) 2015-01-21
EP2819490A2 (en) 2014-12-31
JP6334585B2 (ja) 2018-05-30
US20140062309A1 (en) 2014-03-06
JP5628976B2 (ja) 2014-11-19
EP2704534B1 (en) 2019-09-04
JP5894235B2 (ja) 2016-03-23
US9137877B2 (en) 2015-09-15
JP2014053294A (ja) 2014-03-20
US20140246991A1 (en) 2014-09-04
JP2016096161A (ja)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901B1 (ko)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US11917513B2 (en) Associating wireless control devices
CN114375437A (zh) 为照明装置配置色彩控制
CN115868251A (zh) 与负载控制系统通信并控制负载控制系统
KR101472656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182856A1 (en) Image-based lighting controller
KR101946879B1 (ko)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664539B1 (ko)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144282A (ko)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A3210725A1 (en) System having dimmers and lighting devices configured for phase-control dimming and digital communication
JP202115805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2847A (ko)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 제어방법
CN204631486U (zh) 一种智能的电器控制装置
US202100149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ght level and daylight harvesting calibration using mobile handheld devices
WO2017222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ght level and daylight harvesting calibration using mobile handheld devices
KR20140023487A (ko)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조명장치를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30288890A1 (en) Method of Identifying a Lighting Fixture
JP2015198077A (ja) 光環境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H0266880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