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677B1 -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677B1
KR101951677B1 KR1020170105969A KR20170105969A KR101951677B1 KR 101951677 B1 KR101951677 B1 KR 101951677B1 KR 1020170105969 A KR1020170105969 A KR 1020170105969A KR 20170105969 A KR20170105969 A KR 20170105969A KR 101951677 B1 KR101951677 B1 KR 10195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onnector
frame
mobile termin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도
박진우
송현수
정찰기
조익현
차성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677B1/ko
Priority to US15/920,039 priority patent/US104688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측벽을 포함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프레임; 이중사출로 결합하며 상기 측벽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제1 방수부; 및 상기 측벽의 외측 둘레 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방수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은 케이스와 결합시 방수구조가 밀리거나 말려서 방수신뢰성이 떨어지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CONNECTOR WATER PROOF HOUSING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방수 기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수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활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욕실이나 수영장 등 물이 있는 장소에서도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방수기능을 부가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니즈가 있다.
수분은 조금만 새도 방수기능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는 바, 방수기능은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방수기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측벽을 포함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프레임; 이중사출로 결합하며 상기 측벽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제1 방수부; 및 상기 측벽의 외측 둘레 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방수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끼워진 주입돌기와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진 배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벽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부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부와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연결되며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일측에 꺾어진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의 일측은 동일한 면을 이루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이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의 전장부와 연결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방수 하우징은 측벽을 포함하고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프레임부; 이중사출로 결합하며 상기 측벽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제1 방수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측벽의 외측 둘레 또는 상기 일면의 개방부 둘레에 형성된 제2 방수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의 측벽은 일측은 동일한 면을 이루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제1 부분보다 제2 부분이 더 길고, 상기 제2 부분이 이동 단말기의 배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USB케이블의 단자가 결합되는 USB커넥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방수 하우징은 케이스와 결합시 방수구조가 밀리거나 말려서 방수신뢰성이 떨어지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 방수 하우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 커넥터 방수 하우징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 방수 하우징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 방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커넥터 방수 하우징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커넥터 방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위해 케이스(101)에 형성된 개구부로 노출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USB 단자가 삽입되는 USB커넥터(161)는 이동 단말기 측면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USB커넥터(161)가 위치하는 홀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구조가 필요하다.
도 7은 종래의 커넥터(161)의 방수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종래에는 커넥터(161)에 끼워지는 고무밴드 형태의 오링(O-ring)을 이용하였다. 오링은 탄성이 작으면 커넥터(161)에 끼우는데 어려움이 있고 탄성이 크면 케이스(101)에 커넥터(161)를 결합하는데 오링이 밀리거나 말려서 갭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오링과 같이 말리거나 형상이 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성이 있는 프레임(210)을 구비한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을 이용하여 커넥터(161)의 방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커넥터(161)가 실린더에 끼워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101) 내측에 결합하여 케이스(101, 102)의 개구부(101')로 유입되는 물이 케이스(101, 102)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은 강성을 가지는 프레임(210)과 커넥터(161)에 밀착되는 제1 방수부(220), 케이스(101)에 밀착되는 제2 방수부(230)로 구성된다. 프레임(210)은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물인나 금속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방수부(220)와 제2 방수부(230)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거나 점착성분을 포함하여 각 부재간의 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의 실시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에 이중사출 방식으로 결합한 탄성재질의 제1 방수부(220) 및 점착성분을 포함하는 제2 방수부(23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을 제조한다. 프레임(21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측벽을 구비한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측벽의 내측에 커넥터(161)가 삽입되므로 프레임(210)의 실린더 단면의 형상은 커넥터(16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USB커넥터(161)는 좌우 방향으로 길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장방형 또는 타원형을 가질 수 있다.
도 4 의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측벽의 길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부분(211)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커지고 이동 단말기(100)의 하부의 베젤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의 프레임(210) 길이를 짧게 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부분(212)은 사용자가 USB케이블 단자를 커넥터(161)에 삽입 시 커넥터(16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 의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 단부는 슬릿(214)을 형성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61)의 양측이 삽입되어 커넥터(161)와 커넥터 방수 프레임(210)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210)에는 제1 방수부(220)가 형성되는 위치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개구부(215a)를 통해 제1 방수부(220)를 형성하는 사출물질이 주입되고 제2 개구부(215b)를 통해 여분의 사출물질이 빠져 나온다. 따라서, 제1 방수부(220)는 프레임(2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며, 제1 개구부(215a)에 위치하는 주입돌기(222) 제2 개구부(215b)에 위치하는 배출돌기(223)를 포함한다. 제1 개구부(215a)와 제2 개구부(215b)는 제1 방수부(220)를 형성하기 위한 사출물질을 주입하는 주입구와 배출하는 배출구로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 방수부(220)가 프레임(21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제1 방수부(220)는 도 4의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측벽 내측면보다 돌출된 요철을 포함하며 커넥터(161)를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에 끼우면 상기 요철이 눌리면서 커넥터(161)와 제1 방수부(220)가 밀착되어 커넥터(161)와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 사이의 틈을 메운다.
도 4의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일측은 동일한 면을 형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1, 102)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도 4의 (3-1)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일측에 제2 방수부(230)가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제2 방수부(230)는 방수 테이프로 점착성분을 가진다. 방수 테이프의 점착 성분으로 케이스(101)와 밀착되어 케이스(101)와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 사이의 틈을 메워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프레임(210)에 제1 방수부(220)와 제2 방수부(230)가 연결되어 있고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방수부(220)와 제2 방수부(230)는 둘다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이중사출 방식으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방수부(220)와 제2 방수부(23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개구부가 불필요하다.
개구부가 없는 대신에 제1 방수부(220)와 제2 방수부(230)를 프레임(210)에 고정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일측 단부는 꺾어진 절곡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218)는 제1 방수부(220) 및 제2 방수부(230)가 프레임(210)프레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방수부(2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프레임(210)의 측벽 둘레 방향에 위치하며, 제1 방수부(220)와 같이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수부(230)가 프레임(210)의 측벽 방향에 위치하므로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의 두께가 두꺼워 질 수 있는 바, SUS와 같은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프레임(2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방수 하우징(200)은 케이스(101)와 결합시 방수구조가 밀리거나 말려서 방수신뢰성이 떨어지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61: 커넥터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200: 커넥터 방수 하우징
210: 프레임 218: 절곡부
215a: 제1 개구부 215b: 제2 개구부
220: 제1 방수부 222: 주입돌기
223: 배출돌기 230: 제2 방수부

Claims (10)

  1. 측벽을 포함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프레임;
    이중사출로 결합하며 상기 측벽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방수부; 및
    상기 측벽의 외측 둘레 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방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끼워진 주입돌기와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진 배출돌기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벽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부는 방수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와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연결되며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측에 꺾어진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일측은 동일한 면을 이루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이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
  8. 내부의 전장부와 연결되는 개구부를 하부에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실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 방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방수 하우징은
    측벽을 포함하고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프레임부;
    이중사출로 결합하며 상기 측벽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된 제1 방수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개방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제2 방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측벽은 일측은 동일한 면을 이루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전면에 위치한 제1 부분보다 배면에 위치한 제2 부분이 더 길고,
    상기 측벽의 제1 부분의 상기 제2 부분보다 길이가 짧은 부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이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USB케이블의 단자가 결합되는 USB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70105969A 2017-08-22 2017-08-22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69A KR101951677B1 (ko) 2017-08-22 2017-08-22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US15/920,039 US10468816B2 (en) 2017-08-22 2018-03-13 Connector waterproof housing an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69A KR101951677B1 (ko) 2017-08-22 2017-08-22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677B1 true KR101951677B1 (ko) 2019-02-25

Family

ID=6543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69A KR101951677B1 (ko) 2017-08-22 2017-08-22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68816B2 (ko)
KR (1) KR101951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781990U (zh) * 2018-01-23 2018-08-28 富誉电子科技(淮安)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11081833B2 (en) * 2019-03-26 2021-08-03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20200124989A (ko) * 2019-04-25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CN111049958B (zh) * 2019-12-30 2021-03-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口组件及电子装置
US11509099B1 (en) * 2021-06-29 2022-11-22 Jess-Link Products Co., Ltd. Electric connector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649Y2 (ja) * 1990-04-02 1997-04-23 住友電装 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シール構造
KR20140046867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실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649B2 (ja) 1989-08-04 1996-09-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超伝導体薄膜用基板材料
US7779625B2 (en) * 2006-05-11 2010-08-24 Kalypto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WO2009066939A2 (en) * 2007-11-20 2009-05-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quality of water therefor
CN103208698B (zh) * 2012-01-12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9486094B2 (en) * 2012-04-04 2016-11-08 Travis Killian Notification board and labeling apparatus
KR20140061942A (ko) * 2012-11-14 2014-05-22 타이코에이엠피(유) 접속모듈
US10175829B2 (en) * 2013-03-15 2019-01-08 Applied Materials, Inc. Transparent body with single substrate and anti-reflection and/or anti-fingerprint coating at an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from a structur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14216280A (ja) * 2013-04-30 2014-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858183A3 (en) * 2013-10-03 2015-06-17 Yasaki Corporation Connector joining structure
TWI581529B (zh) * 2014-03-24 2017-05-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電連接器
CN103972719A (zh) * 2014-05-06 2014-08-06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防水电连接器
JP2015225712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防水接続器具及び電子機器
US20160072209A1 (en) * 2014-09-05 2016-03-10 Hzo, Inc. Waterproof sockets and ports
JP6890779B2 (ja) * 2017-03-30 2021-06-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335442B1 (ko) * 2017-04-06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649Y2 (ja) * 1990-04-02 1997-04-23 住友電装 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シール構造
KR20140046867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실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68816B2 (en) 2019-11-05
US20190067872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6005069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71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60127522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4092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0821A (ko) 이동단말기
KR101587178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3406A (ko) 이동 단말기
KR1017275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297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280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