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153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153A
KR20160016153A KR1020140099707A KR20140099707A KR20160016153A KR 20160016153 A KR20160016153 A KR 20160016153A KR 1020140099707 A KR1020140099707 A KR 1020140099707A KR 20140099707 A KR20140099707 A KR 20140099707A KR 20160016153 A KR20160016153 A KR 20160016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mobile terminal
case
main board
fro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242B1 (ko
Inventor
이경환
조규태
강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242B1/ko
Priority to PCT/KR2014/011674 priority patent/WO2016021779A1/ko
Priority to US14/669,779 priority patent/US9609099B2/en
Publication of KR2016001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 F16B37/122Threaded inserts, e.g. "rampa bolts"
    • F16B37/125Threaded inserts, e.g. "rampa bolts" the external surface of the insert being thre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하는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면 배면을 향하는 나사홈이 형성된 보스; 상기 리어 케이스의 상기 나사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는 스크류 나사; 및 상기 보스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는 보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판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 및 상기 보스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보스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을 생략하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통해 케이스가 횡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생략한 프레임리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해 점점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지지구조를 최소화 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지지구조를 최소화 하면 이동 단말기의 강성이 약해지고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에, 지지구조를 최소화 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안정적인 체결구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생략한 프레임리스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프레이을 생략함으로 인해 취약해진 구조를 보완하고 케이스의 체결력을 보강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하는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면 배면을 향하는 나사홈이 형성된 보스; 상기 리어 케이스의 상기 나사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는 스크류 나사; 및 상기 보스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는 보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판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 및 상기 보스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보스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보스결합부는, 상기 보스의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메인기판의 좌우측에서 함몰된 보스홈 및 상기 보스돌기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보스홈에서 함몰된 돌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측면에서 가로 방향에서 비스듬한 위치 또는 상하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스돌기는 각각의 보스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와 이격되어 리어 케이스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보스결합부는 상기 보스가 위치하는 보스홈과 상기 보스돌기가 관통하는 돌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의 높이는 상기 메인기판보다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보스돌기는 곡선을 포함하거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기 복수개의 보스 사이에 형성된 체결후크; 상기 리어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후크와 결합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을 생략하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통해 케이스가 횡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와 메인기판의 일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와 메인기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프론트 케이스(101), 메인기판(185), 리어 케이스(102), 배터리, 후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형성하며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에 결합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보다 작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는 디스플레이부(151)보다 커서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을 전부 커버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둘레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윈도우(151')의 배면 둘레에 베젤을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론트 케이스(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부를 구성하며, 최근에는 프론트 케이스(101)가 전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윈도우(151')가 커버하고 측면 외각부분에 프론트 케이스(101)가 노출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는 가운데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51)가 안착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즉, 프론트 케이스(10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둘레 부분에 실장되는 카메라나, 근접센서 등이 위치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을 지지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강성을 위해 종래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배면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였다. 프레임이 이동 단말기(100)의 강성을 지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무게를 증가시키며,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는 바, 본 발명은 프레임을 생략하고 메인기판(185)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을 지지한다.
메인기판(185)은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부분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총괄한다. 종래에 프레임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인기판(185)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부를 커버하고, 메인기판(185)의 양면에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메인기판(18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과 접촉되며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상응하는 부분의 전면에는 부품이 실장되지 않는다.
메인기판(185)의 배면을 커버하며, 리어 케이스(102)가 결합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전면의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구성한다. 리어 케이스(102) 및 프론트 케이스(101)는 둘레 부분이 결합되며, 그 사이에 메인기판(185)을 비롯한 부품이 실장되는 전장부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에 메인기판(185)이 결합한 상태로,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론트 케이스(101) 둘레에는 스크류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홈(211)이 형성된 보스(210, boss)가 배치되며, 보스(210)는 프론트 케이스(101)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된다. 스크류 나사는 리어 케이스(102)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211)에 삽입된다.
이동 단말기(100) 케이스의 측면은 프론트 케이스(101)만으로 또는 리어 케이스(102)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측면의 전면에 인접한 부분은 프론트 케이스(101)로 구성되고, 배면에 인접한 부분은 리어 케이스(102)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둘레에서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 측벽과,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둘레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측벽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보스(210)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벽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측벽이 두꺼우면 전장부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스크류 나사가 체결되는 보스(210) 부분만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보스(210)는 메인기판(185)보다 더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스(210)는 리어 케이스(102)의 내측면과 닿도록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스(210)가 측벽에 비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메인기판(185)도 보스(210)가 형성된 위치는 보스(210)의 형상에 상응하게 내측으로 함입된 보스홈(2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보스(210)의 측면 둘레에 돌출된 보스돌기(2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스돌기(215)의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메인기판(185)은 상기 보스홈(221)에서 함입된 돌기홈(222)을 더 포함한다. 보스돌기(215)와 돌기홈(222)은 메인기판(185)과 케이스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며,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스홈(221)과 돌기홈(222)를 합쳐 보스결합부(210)를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101)와 메인기판(185)의 일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보스(210)는 보스돌기(215)를 포함하지 않는다.
보스(210)에서 돌출된 보스돌기(215)가 없는 경우 메인기판(185)과 프론트 케이스(101)의 둘레가 체결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스의 측면에 분리될 수 있다.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하나, 디스플레이부(151)는 강성이 없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케이스의 중간 부분이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메인기판(185)과 케이스의 측벽을 체결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도 8은 본 발명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101)와 메인기판(185)의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 보스(210)가 메인기판(185)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메인기판(185)과 체결되기 때문에 도 6의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9과 같이 메인기판(185)을 관통하는 형태의 보스(210)를 형성하면 보스(210)는 도 6의 실시예에 비해 내측으로 더 돌출되며(도 8 참조), 메인기판(185)에 단부에서 함입된 홈이 아닌 메인기판(185)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므로, 메인기판(185)에서 보스(210)와의 체결을 위해 할애하는 공간의 크기가 더 크게 된다.
메인기판(185)은 많은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회로가 통과하기 때문에 공간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어나, 도 8과 같이 보스(210)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메인기판(185)과 체결되면, 메인기판(185)의 부품실장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스(210)가 측벽에서부터 이격될 수록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측벽의 체결력이 약해져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도 8의 실시예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케이스의 측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나,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가 벌어지는 현상을 해소하며, 더불어 메인기판(185)의 부품실장공간을 최소로 이용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스(210)의 외측면 둘레에 보스돌기(215)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돌기(215)는 보스(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횡방향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므로, 비스듬하게 형성한다. 또한, 보스돌기(215)는 2개 이상 형성되어 메인기판(185)과 프론트 케이스(101)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보스돌기(215)와 보스(210)의 단면은 반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기판(185)을 레이저로 절단하는 가공에서 외각둘레가 부드러운 곡선을 형성하면서 꺽어지는 경우 공차에 의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곡선의 보스돌기(215)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보스돌기(21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스(210)는 리어 케이스(102)와 체결되므로 리어 케이스(102)의 내측면과 닿을 수 잇는 높이로 돌출되나, 보스돌기(215)는 메인기판(185)과 체결되므로, 메인기판(185)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스(210) 사이에는 후크와 체결홈에 의한 체결구조를 더 구비하여 케이스 사이에 벌어지는 불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후크와 체결홈은 리어 케이스(102)와 프론트 케이스(101) 각각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보스돌기(216)는 보스(210)의 외측면 둘레와 결합된 것이 아니라 보스(210)와 이격되어 형성되되 메인 기판을 관통하도록 보스(210) 및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벽에서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다.
메인기판(185)에는 보스돌기(216)가 삽입되는 돌기홀(224)이 형성되며, 돌기홀(224)에 삽입된 보스돌기(216)에 의해 메인기판(185)과 프론트 케이스(101)의 체결력이 높아져 측방향으로 벌어지는 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스돌기(215)는 보스(210)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에 메인기판(185)상에 차지하는 공간이 도 8의 실시예에 비해 작으며,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가 벌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을 생략하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통해 케이스가 횡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85: 메인기판
190: 전원공급부 210: 보스
211: 나사홈 215, 216: 보스돌기
220: 보스 결합부 221: 보스홈
222: 돌기홈 224: 돌기홀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하는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면 배면을 향하는 나사홈이 형성된 보스;
    상기 리어 케이스의 상기 나사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는 스크류 나사;
    상기 보스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는 보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판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 및 상기 보스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보스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보스결합부는,
    상기 보스의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메인기판의 좌우측에서 함몰된 보스홈 및 상기 보스돌기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보스홈에서 함몰된 돌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측면에서 가로 방향에서 비스듬한 위치 또는 상하 방향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돌기는 각각의 보스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와 이격되어 리어 케이스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보스결합부는
    상기 보스가 위치하는 보스홈과 상기 보스돌기가 관통하는 돌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높이는 상기 메인기판보다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스돌기는 상기 보스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돌기는 곡선을 포함하거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기 복수개의 보스 사이에 형성된 체결후크;
    상기 리어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후크와 결합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99707A 2014-08-04 2014-08-04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07A KR102206242B1 (ko) 2014-08-04 2014-08-04 이동 단말기
PCT/KR2014/011674 WO2016021779A1 (ko) 2014-08-04 2014-12-02 이동 단말기
US14/669,779 US9609099B2 (en) 2014-08-04 2015-03-26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07A KR102206242B1 (ko) 2014-08-04 2014-08-0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53A true KR20160016153A (ko) 2016-02-15
KR102206242B1 KR102206242B1 (ko) 2021-01-22

Family

ID=5517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707A KR102206242B1 (ko) 2014-08-04 2014-08-0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09099B2 (ko)
KR (1) KR102206242B1 (ko)
WO (1) WO20160217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6913B2 (en) 2016-06-24 2019-10-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200101178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부품 배치 구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686B1 (ko) * 2014-08-11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JP6437338B2 (ja) * 2015-02-17 2018-12-12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筐体及び電子機器
KR102365738B1 (ko) * 2015-03-10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335421B1 (ko) * 2015-07-03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의 내부 구조
KR20170017081A (ko) * 2015-08-05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EP3163362B1 (en) * 2015-10-27 2019-03-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EP3413238B1 (en) * 2016-07-01 2020-1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Waterproof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6160097B (zh) * 2016-07-28 2018-07-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充电装置
JP6925797B2 (ja) * 2016-10-18 2021-08-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組立方法
TWI646881B (zh) * 2017-08-23 2019-01-0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手持裝置保護殼組
KR20190098607A (ko) *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메탈 케이스의 제조 방법
TWI680327B (zh) * 2018-10-16 2019-12-2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188A (ko) * 2008-08-21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보강 장치
KR2011002400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15019A (ko) * 2011-04-08 201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196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체결 장치
KR101984089B1 (ko) * 2012-09-17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188A (ko) * 2008-08-21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보강 장치
KR2011002400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15019A (ko) * 2011-04-08 201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6913B2 (en) 2016-06-24 2019-10-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200101178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부품 배치 구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42B1 (ko) 2021-01-22
US20160033996A1 (en) 2016-02-04
US9609099B2 (en) 2017-03-28
WO2016021779A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60071262A (ko) 이동 단말기
KR101612862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37738A (ko) 이동 단말기
KR10216683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444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812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2972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5013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957A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99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4092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