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42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425B1
KR102623425B1 KR1020180079787A KR20180079787A KR102623425B1 KR 102623425 B1 KR102623425 B1 KR 102623425B1 KR 1020180079787 A KR1020180079787 A KR 1020180079787A KR 20180079787 A KR20180079787 A KR 20180079787A KR 102623425 B1 KR102623425 B1 KR 10262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housing
display
roller
j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645A (ko
Inventor
하이크 카차트리안
구현우
김태웅
김정호
김형식
최동원
최진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425B1/ko
Priority to PCT/KR2018/012370 priority patent/WO2020013390A1/ko
Priority to US17/258,732 priority patent/US11842659B2/en
Priority to CN201880095403.5A priority patent/CN112384964B/zh
Publication of KR2020000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롤러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을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롤러로부터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가변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편의성이 증대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휨 특성을 갖고 편의성이 증대된 다양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로서 특정 곡률을 갖는 상태로 고정된 커브드 표시 장치(CURVED DISPLAY APPARATUS), 특정 곡률 반경 이상으로 휘거나 폴딩축을 기준으로 구부릴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및 특정 곡률 반경으로 말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 롤러블 표시 장치는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 및 우수한 휴대성을 갖는다. 롤러블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편의성이 증대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롤러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을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롤러로부터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가변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양쪽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평면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들로는 벤딩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벤딩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최외측에 수납된다.
상기 관절부들 각각은, 상기 관절부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관절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관절 유닛들 중 인접한 관절 유닛들을 연결하고,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연결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관절 유닛들 각각의 일측면에 상기 관절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홈에 삽입된다.
상기 홈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 각각은, 상기 보호 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되는 제1 홈, 및 상기 지지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되는 제2 홈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 물질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된다.
상기 롤러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보호 필름을 권취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합지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롤러보다 상기 제1 방향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에서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벤딩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롤러보다 내측에 수납된다.
상기 하우징에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상기 지지 패널을 권취하는 제3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보호 필름 및 상기 지지 패널이 합지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롤러에 의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권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지지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필름 또는 상기 지지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패널은 금속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패널은 복수의 관절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말단 및 상기 관절부들 각각의 말단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과 대향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롤링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펼쳐지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각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변들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변들을 고정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회전축,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 각각은 평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감싸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벤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하여 권취 또는 권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롤러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표시 영역의 면적이 가변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조 필름, 및 상기 보조 필름 하부에 배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닫힘 모드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열림 모드일 때의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관절부의 일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일 관절부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일 관절부가 벤딩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Ⅲ-Ⅲ'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하우징(100), 디스플레이부(200), 지지 관절부(300) 및 롤러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리지드(rigid) 특성을 갖는다. 하우징(100)은 후술될 디스플레이부(200), 지지 관절부(300) 및 롤러부(400)를 수납한다.
하우징(100)은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정의한다. 상부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에 결합하여, 수납 공간을 정의한다.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제2 방향(DR2) 측면에 제1 개구부(OP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를 통하여 후술될 디스플레이부(200) 및 지지 관절부(300)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는 평면 상에서 정의되고 서로 수직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과 평행한 변들을 갖는다.
제2 방향(DR2)에서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은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가요성을 갖는다. 즉, 디스플레이부(200)는 말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가 닫힘 모드(Closed mode)일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권취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되고,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Open mode)일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권출되어 하우징(100) 으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0) 상에서 중앙 영역에 정의된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00)가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0)가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의 표시 영역(DA)의 제2 방향(DR2)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어느 일 실시 예에 한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0)에는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을 통하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부재들(WD, DM, SP)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이하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지지 관절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관절부(300)는 표시 장치(1000)가 닫힘 모드일 경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납되고,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경우,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고정한다.
지지 관절부(300)는 복수의 관절부들(310, 3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관절부(300)는 제1 관절부(310) 및 제2 관절부(32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관절부(310)는 제1 방향(DR1)에서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관절부(320)는 제1 방향(DR1)에서 디스플레이부(2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제1 관절부(310) 및 제2 관절부(320) 사이에 디스플레이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절부(310) 및 제2 관절부(320) 각각은 리지드(rigid)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된 디스플레이부(200)를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관절부(310) 및 제2 관절부(320) 각각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제1 관절부(310) 및 제2 관절부(320) 각각의 재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관절부(310) 및 제2 관절부(32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절부(310) 및 제2 관절부(32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 벤딩되며, 제3 방향(DR3)으로는 벤딩되지 않는다. 이에 관하여 도 8a 및 도 8b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롤러부(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롤러부(400)에 의하여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롤러부(400)는 복수의 롤러들(410, 420, 4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롤러부(400)는 제1 롤러(410), 제2 롤러(420) 및 제3 롤러(430)를 포함한다. 제1 롤러 내지 제3 롤러들(410, 420, 430)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하우징(100) 내부에서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제1 롤러 내지 제3 롤러들(410, 420, 430)은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롤러 내지 제3 롤러들(410, 420, 430)은 디스플레이부(200)가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들을 독립적으로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손잡이(M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MB)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갖는다. 손잡이(MB)는 디스플레이부(200) 및 지지 관절부(300)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단은 롤러부(400)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부(200)의 타단은 손잡이(M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절부들(310, 320) 각각의 일단은 하우징(100) 내에 수납되고, 관절부들(310, 320) 각각의 타단은 손잡이(MB)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방향(DR2)으로 손잡이(MB)를 당김으로써,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된 디스플레이부(200) 및 관절부들(310, 320)이 하우징(10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손잡이(MB)의 길이는 제1 개구부(OP1)의 제1 방향(DR1) 폭보다 길 수 있다. 또는, 손잡이(MB)의 제3 방향(DR3) 두께는 제1 개구부(OP1)의 제3 방향(DR3)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가 권취되어 하우징(100)에 수납되더라도, 손잡이(MB)는 하우징(100)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200)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및 구동 IC(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롤러부(400) 및 지지 관절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동력부(미도시)는 모터(Motor)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미도시), 구동 IC(미도시) 및 동력부(미도시)는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는 패널 어셈블리(DM), 보호 필름(WD) 및 지지 패널(SP)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된 패널 어셈블리(DM)는 보호 필름(WD) 및 지지 패널(SP) 사이에 배치된다.
패널 어셈블리(DM)는 표시 패널(PNL) 및 보조 필름(MF)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PNL) 및 보조 필름(MF)은 합지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PNL) 및 보조 필름(MF)은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합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PNL)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필름(MF)은 표시 패널(PNL)의 하부에 배치된다. 보조 필름(MF)은 시트 형태를 갖는다. 보조 필름(MF)은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보조 필름(MF)은 Invar(Ni-Fe)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된 보호 필름(WD)은 패널 어셈블리(DM)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호 필름(WD)은 표시 패널(PNL)의 표시면인 상면을 커버한다. 보호 필름(1000)은 투광성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보호 필름(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필름(1000)은 표시 패널(PNL)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투과하여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된 지지 패널(SP)은 패널 어셈블리(DM)의 하부에 배치된다. 지지 패널(SP)은 표시 패널(PNL)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다. 지지 패널(SP)은 금속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지지 패널(SP)은 철(F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필름(MF)이 포함하는 자성 물질에 의하여 지지 패널(SP) 및 보조 필름(MF) 사이에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지지 패널(SP)과 표시 패널(PNL)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1000)의 닫힘 모드 및 열림 모드가 반복됨에 따라, 표시 패널(PNL)에 인가되는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PNL)의 권취 및 권출이 반복됨에 따라,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 표시 패널(PNL)이 평판 형상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가 오픈 모드일 때, 표시 패널(PNL)의 일부 영역이 지지 패널(SP)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필름(MF)이 지지 패널(SP)과 표시 패널(PNL)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므로, 표시 장치(1000)가 오픈 모드일 때, 표시 패널(PNL)의 평판 형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조 필름(MF)이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지지 패널(SP)이 금속을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지지 패널(SP)이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보조 필름(MF)이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지지 패널(SP) 및 보조 필름(MF) 모두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롤러부(400, 도 2)는 제1 롤러(410), 제2 롤러(420) 및 제3 롤러(430)를 포함한다. 제1 롤러(410), 제2 롤러(420) 및 제3 롤러(430)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제1 롤러(410), 제2 롤러(420) 및 제3 롤러(430)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도 3에서는 하우징(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2 롤러(420), 제1 롤러(410) 및 제3 롤러(430) 순으로 배열되나, 본 발명은 롤러들(410~430)의 배열 순서, 각각의 크기 및 상하 관계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롤러(410)는 패널 어셈블리(DM)를 권취 또는 권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롤러(410)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롤러(420) 및 제3 롤러(43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롤러(410)는 제1 회전통(411), 제1 회전축(412) 및 제1 지지대(413)를 포함한다.
제1 회전통(41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제1 회전통(411)의 외측면에 패널 어셈블리(DM)가 권취될 수 있다.
제1 회전축(412)은 제1 회전통(411)의 중심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축(412)은 제1 회전통(411)을 관통한다. 제1 회전축(41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대(413)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1 지지대(413)는 회전축(412)의 양단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대(41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축(412)이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제2 롤러(420)는 보호 필름(WD)을 권취 또는 권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롤러(420)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롤러(410)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즉, 제2 롤러(420)는 제1 롤러(410)보다 제1 개구부(OP1, 도 1)와 멀게 배치된다.
제2 롤러(420)는 제2 회전통(421), 제2 회전축(422) 및 제2 지지대(423)를 포함한다.
제2 회전통(421)은 제2 방향(DR1)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제2 회전통(421)의 외측면에 보호 필름(WD)이 권취될 수 있다.
제2 회전축(422)은 제2 회전통(421)의 중심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축(422)은 제2 회전통(421)을 관통한다. 제2 회전축(422)은 제2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제2 지지대(423)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2 지지대(423)는 회전축(422)의 양단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대(42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회전축(422)이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제3 롤러(430)는 지지 패널(SP)을 권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롤러(430)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롤러(410)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즉, 제3 롤러(430)는 제1 롤러(410)보다 제1 개구부(OP1, 도 1)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3 롤러(430)는 제3 회전통(431), 제3 회전축(432) 및 제3 지지대(433)를 포함한다.
제3 회전통(431)은 제3 방향(DR1)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제3 회전통(431)의 외측면에 지지 패널(SP)가 권취될 수 있다.
제3 회전축(432)은 제3 회전통(431)의 중심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 회전축(432)은 제3 회전통(431)을 관통한다. 제3 회전축(432)은 제3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제3 지지대(433)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3 지지대(433)는 회전축(432)의 양단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지지대(43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회전축(432)이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제1 롤러(410)로부터 권출된 패널 어셈블리(DM)는 제2 롤러(420)로부터 권출된 보호 필름(WD)의 하부와 합지되어 제2 방향(DR2)으로 함께 권출된다. 제3 롤러(430)로부터 권출된 지지 패널(SP)은 보호 필름(WD) 및 패널 어셈블리(DM)의 결합체의 하부와 합지되어 제2 방향(DR2)으로 함께 권출된다.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보호 필름(WD), 패널 어셈블리(DM) 및 지지 패널(SP)이 합지된 형태의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들(GR)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들(GR)은 디스플레이부(200)의 부재들(WD, DM, SP)이 합지되는 과정 및 최종적으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각 부재들(WD, DM, DP)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들(GR)의 위치 및 개수는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한하며, 본 발명에서 가이드 롤러들(GR)의 크기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관절부(300, 도 1)의 관절부들(310, 320, 제1 관절부(310)만 도시됨)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최외측에 수납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닫힘 모드(Closed mode)일 때의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열림 모드(Open mode)일 때의 도시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 및 도 6에서는 상부 하우징(120)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 및 닫힘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200)의 표시 영역(DA)의 제2 방향(DR2)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패널 어셈블리(DM, 도 2)의 영역에 대응한다.
표시 장치(1000)가 닫힘 모드일 때, 관절부들(310, 320)은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된다. 관절부들(310, 320)은 하우징(100) 내의 소정의 영역에서 벤딩되어 연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0)가 열림 모드일 때, 관절부들(310, 320) 각각은 디스플레이부(200)의 제1 방향(DR1)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200)와 함께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되며, 이 때, 관절부들(310, 320) 각각은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0)가 닫힘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200)는 롤러부(400)에 권취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인입되며,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되어 있던 관절부들(310, 320)은 하우징(100) 내부에서 디스플레이부(200)와 이격된다.
표시 장치(1000)가 닫힘 모드일 때, 관절부들(310, 320) 각각은 하우징(100) 내의 소정의 영역에서 벤딩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소정의 영역은 롤러부(400)보다 하우징(100) 내부에서 최외측에 정의된다. 즉, 관절부들(310, 320) 각각은 롤러부(400)가 배치된 영역보다 개구부(OP1)로부터 멀게 정의된 영역에서 벤딩될 수 있다.
관절부들(310, 320) 각각은 제1 방향(DR1)에서 하우징(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된다. 따라서, 관절부들(310, 320) 각각의 양단들 중 손잡이(MB)에 연결된 일단들과 대향하는 관절부들(310, 320) 각각의 타단들은 하우징(100) 내부의 상기 소정의 영역에 함께 수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들(310, 320) 각각의 상기 타단들은 롤러부(400)의 제2 방향(DR2) 외측 영역에서 서로 중첩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관절부들(310, 320) 각각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기어들(G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기어들(GG)은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된다. 가이드 기어들(GG)은 관절부들(310, 320)이 벤딩되는 상기 소정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기어들(GG)은 관절부들(310, 320)이 벤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기어들(GG)은 제1 개구부(OP1, 도 1)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0)가 인출 및 인입될 시, 관절부들(310, 320)과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이드 기어들(GG) 또는 관절부들(310, 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미도시) 또는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기어들(GG)은 암수 체결 형태로 관절부들(310, 320)의 내측면과 맞물릴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미도시)은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미도시)은 관절부들(310, 3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가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포함하는 경우, 전술된 가이드 기어(GG)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관절부의 일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일 관절부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일 관절부가 벤딩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제2 관절부(320)의 구성은 제1 관절부(3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및 제2 관절부들(310, 320) 중 제1 관절부(310) 만이 도시되었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관절부들 각각(310)은 복수의 관절 유닛들(311, 312)을 포함한다.
복수의 관절 유닛들(311, 312)은 제1 관절 유닛들(311) 및 제2 관절 유닛들(312)을 포함한다. 제1 관절 유닛들(311) 및 제2 관절 유닛들(312)은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제1 관절 유닛(311)은 서로 인접한 제2 관절 유닛들(31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관절 유닛(312)은 서로 인접한 제1 관절 유닛들(31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관절 유닛들(311) 및 제2 관절 유닛들(312)은 서로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형상을 갖는다.
관절부들 각각(310)은 복수의 연결 부재들(CT)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 부재들(CT)은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3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312)을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들(CT) 각각은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이 연결 부재들(CT)의 각각의 형상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 도 1) 내에서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312) 각각은 연결 부재(CT)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312)이 회전함에 따라 관절부(310)가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절부(310)는 상기 소정의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는 벤딩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절 유닛들(311, 312) 각각은 제3 방향(DR3)으로 장변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관절 유닛들(311, 312) 각각의 높이(h1)는 약 6mm 이상 15m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mm일 수 있다. 관절부(310)의 연장 방향에서 관절 유닛들(311, 312) 각각의 길이(W1, W2)는 약 3mm 이상 약 6mm 이하이며, 두께(T1, T2)는 약 2mm 이상 3mm 이하일 수 있다.
제1 관절 유닛(311)의 길이(W1) 및 제2 관절 유닛(312)의 길이(W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절 유닛(311)의 두께(T1) 및 제2 관절 유닛(312)의 두께(T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절부(310)는 제3 방향(DR3)으로는 벤딩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관절 유닛들(311, 312)이 약 6mm 이상의 높이(h1)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므로, 또한, 제1 및 제2 관절 유닛들(311, 312)이 포함하는 변들 중 제3 방향(DR3) 변이 가장 긴 변에 해당하므로, 제3 방향(DR3)으로 관절부(31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관절부(310)가 제3 방향(DR3)으로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절부(310)는 제2 방향(DR2)에서 하우징(100, 도 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며, 제2 방향(DR2)에서 하우징(10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벤딩되지 않는다. 즉, 하우징(100, 도 1) 내에서 관절부(310)는 평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부(200, 도 1)를 감싸는 방향으로 벤딩되며, 상기 감싸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벤딩되지 않는다(도 5 참조).
예시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312) 사이에 제1 이격 공간(RS1)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관절부(310)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일 때, 제1 이격 공간(RS1)은 표시 장치(1000, 도 5)의 내측을 향하는 관절부(310)의 측면 상에 정의될 수 있다. 관절부(310)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장치(1000, 도 5)의 외측을 향하는 관절부(310)의 측면 상에는 제1 이격 공간(RS1)이 정의되지 않는다. 제1 이격 공간(RS1) 안에서,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312)은 소정의 각도 범위(θ)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관절부(310)가 표시 장치(1000)의 내측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 이격 공간(RS1)의 크기는 관절부(310)가 벤딩되는 정도에 반비례한다. 즉, 제1 이격 공간(RS1)이 정의되지 않는 표시 장치(1000, 도 5)의 외측으로는 벤딩되지 않는다.
관절부(310)가 벤딩된 상태일 때, 제2 이격 공간(RS2)이 표시 장치(1000, 도 5)의 외측을 향하는 관절부(310)의 측면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이격 공간(RS2) 안에서,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312)이 회전됨에 따라, 벤딩된 관절부(310)가 펼쳐질 수 있다. 제2 이격 공간(RS2)의 크기는 관절부(310)가 벤딩된 정도에 비례한다.
도 9a도 9b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들이다.
도 9a를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절부들(310, 320)의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들(312) 각각에 복수의 홈들(G1, G2)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홈들(G1, G2)은 제1 관절 유닛(311) 및 제2 관절 유닛들(312) 각각의 측면들 중 표시 장치(1000, 도 5)의 내측을 향하는 측면 상에 정의된다.
복수의 홈들(G1, G2) 각각은 관절부들(310, 320)의 상기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홈들(G1, G2)은 제1 홈(G1) 및 제2 홈(G2)을 포함한다.
제1 홈(G1)은 제2 홈(G2)보다 상부에 정의된다. 제1 홈(G1)은 제2 홈(G2)과 이격된다. 제2 홈(G2)의 제3 방향(DR3) 길이는 제1 홈(G1)의 제3 방향(DR3) 길이보다 크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00)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 영역이 홈들(G1, G2)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WD)의 제1 방향(DR1) 가장자리 영역들이 제1 관절부(310)의 제1 홈(G1) 및 제2 관절부(320)의 제1 홈(G1)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패널(SP)의 제1 방향(DR1) 가장자리 영역들이 제1 관절부(310)의 제2 홈(G2) 및 제2 관절부(320)의 제2 홈(G2)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DM)는 관절부들(310, 320)의 홈들(G1, G2)에 삽입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홈들(G1, G2)이 관절부들(310, 320) 각각에 정의되나, 본 발명은 관절부들(310, 320) 각각에 정의되는 홈들(G1, G2)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르면, 관절부들(310, 320) 각각에 하나의 홈(미도시)이 정의되어, 상기 홈(미도시)에 디스플레이부(200)가 포함하는 모든 부재들(WD, DM, SP)의 가장자리 영역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제1 방향(DR1)에서 보호 필름(WD-1)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 및 제1 방향(DR1)에서 지지 패널(SP-1)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 부재들(M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들(MT)은 보호 필름(WD) 및 지지 패널(SP) 각각의 제1 방향(DR) 양측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MT)는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보호 필름(WD-1) 및 지지 패널(SP-1) 각각이 관절부들(310, 320)의 제1 홈(G1) 및 제2 홈(G2)에 삽입될 경우, 결합 부재들(MT)에 의하여 관절부들(310, 320)과 디스플레이부(WD-1, SP-1)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관절부들(310, 320)이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관절부들(310, 320)의 제1 홈(G1) 및 제2 홈(G2)의 내측면에 별도의 자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MT)가 자성을 갖지 않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관절부들(310, 320)이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관절부들(310, 320)과 디스플레이부(WD-1, SP-1)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롤러블 디스플레이부(200)의 가장자리 영역을 관절부들(310, 320)이 지지 및 고정함에 따라, 표시 장치(10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관절부들(310, 320)이 하우징(100)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므로 표시 장치(1000)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2)의 지지 패널(SP-2)은 체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패널(SP-2)은 복수의 지지 관절 유닛들(SS)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들(SJ)을 포함한다. 지지 관절 유닛들(SS)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의 막대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00, 도 1)로부터 노출된 지지 관절 유닛들(SS)은 지지 패널(SP-2)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연결 부재들(SJ)은 서로 인접한 지지 관절 유닛들(SS)을 연결한다. 연결 부재들(SJ) 각각은 힌지(Hinge)일 수 있다. 하우징(100, 도 1) 내에서 지지 관절 유닛들(SS)은 각 지지 관절 유닛(SS)에 연결된 연결 부재(SJ)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된 지지 관절 유닛들(SS)은 하우징(100)에 수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3)의 롤러부(410, 420)는 제1 롤러(410) 및 제2 롤러(420)만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롤러부(410, 420)는 전술된 제3 롤러(430)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 패널(SP-3)은 롤러에 권취된 상태가 아닌 하우징(100) 내의 소정의 영역에서 자유롭게 폴딩된 형태로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Ⅲ-Ⅲ'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롤러들(410, 420, 430) 중 제1 롤러(410)는 제2 방향(DR2)에서 최외측에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들(410, 420, 430)은 하우징(100-4)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롤러(410), 제3 롤러(430), 제2 롤러(420) 순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롤러(420)와 제3 롤러(430) 각각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롤러(410)와 제1 개구부(OP1)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므로, 권출된 패널 어셈블리(DM)의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120-4)의 제2 방향(DR2) 일측에 제2 개구부(O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하부 하우징(110-4)의 일부와 평면 상에서 중첩한다. 따라서, 제2 개구부(OP2)에 의하여 하우징(100-4) 내부에 수납된 일부 부재들이 노출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OP2)에 의하여 제1 개구부(OP1)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패널 어셈블리(DM)의 일부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패널 어셈블리(DM)의 일부 영역은 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00)의 표시 영역(DA)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개구부(OP2)가 변형 불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표시 장치(1000-4)가 닫힘 모드일 때도,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부가 노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120-4)이 별도의 커버 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표시 장치(1000-4)가 닫힘 모드일 때, 제2 개구부(OP2)가 커버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벤딩된 관절부들(310, 320)의 부분들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롤러(410)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벤딩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관절부들(310, 320)의 부분들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롤러(410)보다 제1 개구부(OP1)와 인접한 영역에 수납된다. 예시적으로, 관절부들(310, 320)은 제1 롤러(410) 및 제3 롤러(430) 또는 제3 롤러(430) 및 제2 롤러(42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절부들(310, 320)이 수납되는 공간이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DM)를 권취하는 제1 롤러(410)와 제1 개구부(OP1) 사이에 배치되므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감소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하우징
110: 하부 하우징 120: 상부 하우징
200: 디스플레이부 WD: 보호 필름
DM: 패널 어셈블리 PNL: 표시 패널
MF: 보조 필름 SP: 지지 패널
300: 지지 관절부 310: 제1 관절부
320: 제2 관절부 400: 회전부
410: 제1 롤러 411: 제1 회전통
412: 제1 회전축 413: 제1 지지대
420: 제2 롤러 430: 제3 롤러
420: 제2 롤러부 430: 제3 롤러부
MB: 손잡이 GG: 가이드 기어
GR: 가이드 롤러 CT: 연결 부재
311: 제1 관절 유닛 312: 제2 관절 유닛
G1: 제1 홈 G2: 제2 홈
MT: 결합 부재 SS: 지지 관절 유닛
SJ: 연결 부재

Claims (32)

  1. 가요성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3 롤러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내지 제3 롤러들,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을 갖고, 상기 제1 롤러로부터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가변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롤러로부터 권취 또는 권출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롤러로부터 권취 또는 권출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보호 필름, 및 상기 지지 패널이 합지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양쪽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평면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들로는 벤딩되지 않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벤딩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최외측에 수납되는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들 각각은,
    상기 관절부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관절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관절 유닛들 중 인접한 관절 유닛들을 연결하고,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 유닛들 각각은 상기 연결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유닛들 각각의 일측면에 상기 관절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홈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 각각은,
    상기 보호 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되는 제1 홈; 및
    상기 지지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 물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롤러들은 상기 제1 방향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하우징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벤딩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롤러보다 내측에 수납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롤러에 의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권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지지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필름 또는 상기 지지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은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은 복수의 관절들을 포함하는 체인 형태를 갖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말단 및 상기 관절부들 각각의 말단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과 대향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가요성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롤러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을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롤러로부터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가변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들은,
    각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일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복수의 관절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관절 유닛들 중 인접한 관절 유닛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 및 상기 지지 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관절 유닛들은 상기 연결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양쪽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평면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벤딩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최외측에 수납되는 표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 각각은,
    상기 보호 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되는 제1 홈; 및
    상기 지지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 물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되는 표시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보호 필름을 권취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이 합지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표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상기 지지 패널을 권취하는 제3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보호 필름 및 상기 지지 패널이 합지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표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롤러들은 상기 제1 방향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하우징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은 벤딩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롤러보다 내측에 수납되는 표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롤러에 의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권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지지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필름 또는 상기 지지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은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은 복수의 관절들을 포함하는 체인 형태를 갖는 표시 장치.
  31.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롤링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펼쳐지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각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변들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변들을 고정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회전축,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각각에 수직하는 제3 방향에서 높이를 갖는 복수의 관절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는 상기 길이보다 크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관절부들 각각은 평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방향을 따라 벤딩되고, 상기 감싸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벤딩되지 않는 표시 장치.
  32.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의하여 권취 또는 권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고정하는 복수의 관절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롤러 및 상기 관절부들을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관절부들이 인입 및 인출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표시 영역의 면적이 가변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대향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조 필름; 및
    상기 보조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 전체에 중첩하는 일체의 시트 형태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0180079787A 2018-07-10 2018-07-10 표시 장치 KR10262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87A KR102623425B1 (ko) 2018-07-10 2018-07-10 표시 장치
PCT/KR2018/012370 WO2020013390A1 (ko) 2018-07-10 2018-10-19 표시 장치
US17/258,732 US11842659B2 (en) 2018-07-10 2018-10-19 Display apparatus
CN201880095403.5A CN112384964B (zh) 2018-07-10 2018-10-19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87A KR102623425B1 (ko) 2018-07-10 2018-07-1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645A KR20200006645A (ko) 2020-01-21
KR102623425B1 true KR102623425B1 (ko) 2024-01-11

Family

ID=6914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787A KR102623425B1 (ko) 2018-07-10 2018-07-1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42659B2 (ko)
KR (1) KR102623425B1 (ko)
CN (1) CN112384964B (ko)
WO (1) WO2020013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46025S (ko) * 2019-04-10 2021-11-08
WO2021003672A1 (zh) * 2019-07-09 2021-0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10014801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10041665A (ko) *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모듈 지지부의 제조 방법
CN112150931B (zh) * 2020-09-28 2022-08-2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支撑结构件及显示装置
WO2022114790A1 (ko) * 2020-11-26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43379B2 (en) 2020-11-26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77685A (ko) * 2020-12-02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172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WO2023170769A1 (ja) * 2022-03-08 2023-09-14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巻取り式表示装置、及び、巻取り式表示装置の補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72828A2 (en) * 2000-08-09 2002-03-04 Si Han Kim Case for portable display devices
WO2006038171A1 (en) 2004-10-05 2006-04-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ollable display device
TWI370419B (en) 2006-10-31 2012-08-11 Creator Technology Bv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hinged frame
KR20080049300A (ko) 2006-11-30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386927B1 (ko) * 2007-11-08 2014-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
US20120314399A1 (en) 2011-06-07 2012-12-1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oldable assembly
US9007350B2 (en) * 2011-08-10 2015-04-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dundant display assembly
LU91997B1 (en) 2012-05-10 2013-11-11 Iee Sarl Seat suspension mat, especially for vehicle seat
FR2994802A1 (fr) * 2012-08-28 2014-03-07 Cellulaires Tech Soc D Etui de protection notamment pour une tablette numerique ou similaire
WO2014200466A1 (en) * 2013-06-11 2014-12-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363342B2 (en) * 2014-03-05 2016-06-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arrangement to generate a bending force on a display
KR102221214B1 (ko) 2014-05-20 2021-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U2015312720B2 (en) * 2014-09-02 2020-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55710B1 (ko) * 2014-10-07 202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319543B1 (ko) * 2014-10-22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00024B1 (ko) * 2014-10-23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6453B1 (ko) 2014-11-12 2021-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439040B1 (ko) 2014-12-01 2022-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57174B1 (ko) * 2014-12-03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342761B1 (ko) * 2014-12-0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2462B1 (ko) * 2014-12-08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1570869B1 (ko)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5328B1 (ko) * 2015-01-15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732890B (zh) * 2015-03-31 2017-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卷轴显示装置
KR102306540B1 (ko) * 2015-04-30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9772657B2 (en)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430787B1 (ko) 2015-05-29 2022-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더블 디스플레이
KR102365173B1 (ko) 2015-06-10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EP3761293B1 (en) * 2015-07-07 2023-01-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489011B1 (ko) 2016-02-15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4505B1 (ko) 2016-06-20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472091B1 (ko) * 2016-06-24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3295A (ko)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리니어 체인에 의한 롤 개폐 유닛이 가변 적용되게 한 스크린 장치
KR102493528B1 (ko) * 2016-08-11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5358A (ko) 2016-08-29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630108B1 (ko) * 2016-10-04 2024-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8024B1 (ko)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27801B1 (ko) 2016-10-10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28222B1 (ko) * 2016-10-17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638982B1 (ko) 2016-11-25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96025B1 (ko) * 2017-11-07 2022-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4138B1 (ko) *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390A1 (ko) 2020-01-16
CN112384964B (zh) 2023-06-30
KR20200006645A (ko) 2020-01-21
US20210272486A1 (en) 2021-09-02
US11842659B2 (en) 2023-12-12
CN112384964A (zh)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3425B1 (ko) 표시 장치
KR20200013821A (ko)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89699B2 (en) Rollable display
CN108874040B (zh) 显示系统
CN112530286B (zh) 可卷曲柔性屏的展平模组以及显示装置
EP3591643B1 (en) Display device
EP3951753B1 (en) Display device
KR1026506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0108B1 (ko) 표시 장치
TWI421608B (zh) 包含有具有第一部位及第二部位之多層結構的裝置
US1103292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210151214A (ko)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롤링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80027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CN112562504A (zh) 可折叠显示装置
JP2007529776A (ja) 巻くことができる電子パネル装置
KR102524651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TW201816253A (zh) 用於建築特徵之覆蓋物及相關系統、操作及製造方法
TWI793923B (zh) 顯示裝置
CN113539090B (zh) 折叠机构和显示装置
US20220346249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WO2008047970A1 (en) Advertisement vehicle
CN114446181B (zh) 显示装置
CN111063264B (zh) 可挠式显示装置
US20060039098A1 (en) Multi-panel display device
CN114627761B (zh) 折叠屏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