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540B1 -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540B1
KR102306540B1 KR1020150120540A KR20150120540A KR102306540B1 KR 102306540 B1 KR102306540 B1 KR 102306540B1 KR 1020150120540 A KR1020150120540 A KR 1020150120540A KR 20150120540 A KR20150120540 A KR 20150120540A KR 102306540 B1 KR102306540 B1 KR 10230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able display
roller
support member
bodie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668A (ko
Inventor
신창봉
토시카주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15,41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47160B2/en
Priority to PCT/KR2016/001283 priority patent/WO2016175431A1/en
Publication of KR2016012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G09F11/29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of a band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상호 접근/이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몸체와,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외주에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감기는 롤러와, 롤러에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서 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장력 인가부를 포함한다. 제1,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롤러에 감겨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롤러로부터 풀려 길이방향으로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된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가 개시된다.
텔레비젼, 모니터,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전통적인 디스플레이는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없으므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의존된다. 따라서, 대면적의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경우 이에 맞추어 전자 기기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둥글게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가 개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롤러에 감아 두고, 필요에 따라 롤러로부터 디스플레이를 풀어서 펼칠 수 있는 전자 기기가 제안되었다. 디스플레이가 롤러로부터 풀려 전개된 때에 디스플레이가 평탄하게 펼쳐지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는 장력이 인가된다. 이를 위하여 롤러에는 디스플레이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탄성력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에 안정적인 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가 안정적으로 롤러에 감길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와 제어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호 접근/이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몸체;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외주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감기는 롤러; 상기 롤러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장력 인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롤러에 감겨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된다.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제1몸체에 지지되는 회전 지지부재;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롤러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몸체를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회동될수 있게 순차로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개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 지지부재;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롤러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로켓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스파이럴 형상으로 다수외 감긴 나선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연한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나선부의 감김수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러에의 최대 감김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나선부의 감김 방향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러에의 감김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1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1몸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제2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제2롤러에 감겨 상기 한 쌍의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제1, 제2롤러로부터 풀려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몸체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호 접근/이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에 감겨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일단부가 상기 롤러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회동될수 있게 순차로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개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로켓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호 접근/이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에 감겨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스파이럴 형상으로 다수외 감긴 나선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연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나선부의 감김수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러에의 최대 감김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나선부의 감김 방향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러에의 감김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에 탄성력의 인가하는 장력 인가부가 롤러와 함께 회전되므로,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인가되는 장력의 변화를 줄일 수 있어, 안정적인 장력을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으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롤러에 안정적으로 감길 수 있다.
또한, 나선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제어부와 롤러블 디스플레이와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은 디스플레이가 롤러에 감긴 상태를, 도 2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3은 가이드 롤러의 작용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제2지지부재의 작용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7은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와 제1지지부재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장력 인가부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와 롤러의 회전량 및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제어부와의 전기적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2는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롤러에 감긴 상태를, 도 13은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전개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가 롤러에 감긴 상태를, 도 2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제1몸체(1)와 제2몸체(2)를 구비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제1, 제2몸체(1)(2)를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일단부(31)는 제1몸체(1)에 지지되며, 타단부(32)는 제2몸체(2)에 지지된다. 제1몸체(1)에는 롤러(4a)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일단부(31)는 롤러(4a)에 연결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롤러(4a)의 외주에 감긴다. 제1, 제2몸체(1)(2)는 각각 제1, 제2하우징(11)(21)을 구비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롤러(4a)에 감긴 상태에서 제1하우징(11) 내에 수납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타단부(32)는 제2하우징(21)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타단부(32)는 제2하우징(21)에 고정될 수 있다.
롤러(4a)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롤러(4a)로부터 풀려서 제1하우징(11)에 마련된 개구부(11a)를 통하여 제1몸체(1)의 외부로 인출된다. 제1, 제2몸체(1)(2)를 서로 이격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서로 이격된 제1, 제2몸체(1)(2) 사이로 펼쳐진다. 반대로, 롤러(4a)가 제1방향(A1)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A2)으로 회전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에 감긴다. 제1, 제2몸체(1)(2)를 서로 접근시키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롤러(4a)에 감겨 제1몸체(1) 내부로 수납된다.
가이드 롤러(5a)는 롤러(4a)로부터 풀린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제1몸체(1)에 마련된 개구부(11a)로 안내한다. 도 3은 가이드 롤러(5a)의 작용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롤러(5a)가 없는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에 가장 많이 감긴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B1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개구부(11a)로 향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에 가장 적게 감긴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B2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개구부(11a)로 향한다. 즉,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롤러(4a)에의 감김량의 변화에 따라 개구부(11a)를 통하여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진행 방향이 변하게 된다. 가이드 롤러(5a)가 마련된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롤러(4a)에의 감김량의 변화에 따라 롤러(4a)와 가이드 롤러(5a) 사이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진행 방향은 참조부호 B3, B4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하지만, 가이드 롤러(5a)로부터 개구부(11a) 사이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진행 방향은 참조부호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다. 그러므로, 개구부(11a)를 통하여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진행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0)는 텔레비젼, 모니터,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자 기기(10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감긴 롤러(4a)가 수납된 제1몸체(1)와, 제2몸체(2)가 서로 접근/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어떠한 기기라도 무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전자 기기(1000)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01) 및 사용자 조작 입출력, 디스플레이 데이터 입력 등 외부와의 정보 교환을 위한 입출력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0)가 영상 및 음향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인 경우, 제어부(101)는 영상/음향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연결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제어한다. 전자 기기(1000)는 필요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유연하게 구부러져서 롤러(4a)에 감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되며, 그 구조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전기영동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일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굽힘 탄성을 가진다. 이 굽힘 탄성력은 롤러(4a)에 감긴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 펼쳐지려는 방향의 힘으로 작용되어, 롤러(4a)에 감긴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경향을 가진다. 그러므로, 롤러(4a)를 제2방향(A2)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롤러(4a)의 회전력이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 전달되지 않아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에 밀착되게 감기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롤러(4a)를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롤러(4a)의 회전력이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 전달되지 않아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로부터 풀리더라도 개구부(11a)를 통하여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되지 않고 제1몸체(1) 내부에서 느슨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몸체(1) 외부로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평탄하게 펼쳐지지 않고 휘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장력 인가부(6)를 구비한다. 장력 인가부(6)는 롤러(4a)에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의하여, 제1, 제2몸체(1)(2) 사이에서 연장된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휘어지지 않고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에 밀착되어 감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장력 인가부(6)는 예를 들어 일단이 롤러(4a)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몸체(1)에 지지된 비틀림 스프링(도 8: 63)을 포함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63)은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가 완전히 감긴 상태 즉,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F1의 탄성력의 롤러(4a)에 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가 서로 멀어지면, 롤러(4a)가 제1방향(A1)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비틀림 스프링(63) 역시 제1방향(A1)으로 비틀어지고, 비틀림 스프링(63)에는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이에 의하여 롤러(4a)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가 커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63)에 의하여 롤러(4a)에 제공되는 탄성력은 최대값인 F2가 된다.
이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롤러(4a)에의 감김량에 따라서 롤러(4a)에 제공되는 탄성력의 크기가 변하면, 롤러(4a)를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롤러(4a)의 회전량이 증가할수록 커지므로, 롤러(4a)를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큰 구동력을 가진 구동부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롤러(4a)를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제1, 제2몸체(1)(2)를 서로 이격시키는 경우에는, 제1, 제2몸체(1)(2)의 이격 거리가 커질수록 제1, 제2몸체(1)(2)를 이격시키는 데에 더 큰 힘이 필요하다. 비틀림 스프링(63)의 탄성력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 장력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장력이 커지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펼치고 감는 과정이 반복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일단부(31) 및 타단부(32)와 제1, 제2몸체(1)(2)와의 연결이 손상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장력 인가부(6)는 롤러(4a)의 회전량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장력 인가부(6)는 롤러(4a)와 함께 롤러(4a)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몸체(1)에 지지될 수 있다. 장력 인가부(6)는 제1, 제2몸체(1)(2) 사이로 전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장력 인가부(6)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1000)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전자 기기(1000)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기기(1000)의 일 실시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작용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서 제1, 제2하우징(11)(21)은 생략된다. 또한, 도 5와 도 6에서 고정대(210)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몸체(1)는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프레임(110)은 롤러블 디스프레이(3)의 폭방향(C1)으로 연장된 지지대(111)와, 지지대(111)로부터 롤러블 디스프레이(3)의 두께방향(C3)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112)(113)를 구비한다. 롤러(4a)와 가이드 롤러(5a)는 한 쌍의 플랜지(112)(113)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2몸체(2)는 롤러블 디스프레이(3)의 폭방향(C2)으로 연장된 고정대(210)를 구비한다. 고정대(210)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타단부(32)가 결합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0)는 스탠드(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탠드(7)는 전자 기기(1000)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0)가 천정 또는 벽에 걸리는 형태인 경우, 제1, 제2몸체(1)(2) 중 어느 하나가 천정 또는 벽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된 하나에 대하여 접근/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하우징(11)(21)의 폭방향(C1)의 하면(12)(22)이 거치면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스탠드(7)가 구비되는 경우, 프레임(110)과 고정대(210) 중 적어도 하나는 스탠드(7)에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길이방향(C2)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10)이 스탠드(7)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일 예로서, 스탠드(7)에는 슬라이드 레일(71)이 마련되고, 프레임(110)이 슬라이드 레일(71)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대(210)는 스탠드(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몸체(1)가 스탠드(7)에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길이방향(C2)을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롤러브 디스플레이(3)의 폭방향(C1)의 양측 가장자리(33)(34)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0)는 롤러브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3)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120) 및/또는 가장자리(34)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120)(1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제2지지부재(120)(130)는 다수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가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체인 형태이다. 다수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 중 최선단에 위치되는 선단 링크(121-1)(131-1)는 제2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몸체(1)에는 제1, 제2지지부재(120)를 제1몸체(1)로부터 인출하거나 제1몸체(1)에 수납하기 위한 제1스프로켓(122)(123)과 제2스프로켓(132)이 마련된다.
제1지지부재(120)는 제1스프로켓(122)(123)에 지지되어 제1몸체(1)에 수납된다. 제1스프로켓(122)(123)의 갯수는 제1지지부재(120)의 수납 방향의 전환 횟수에 의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재(120)가 한 쌍의 제1스프로켓(122)(123)에 의하여 수납 방향이 두 번 전환되어 제1몸체(1)에 수납된다. 제1스프로켓(122)(123)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제1지지부재(120)는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제1몸체(1) 내부로 회수된다. 제1몸체(1)에는 필요에 따라서 둘 이상의 보조 스프로켓(124)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스프로켓(122)(12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지지부재(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길이방향(C2)으로 제1, 제2몸체(1)(2) 사이에 펼쳐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 내부로 회수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폭방향(C1)으로 수납된다.
제2지지부재(130)는 제2스프로켓(132)에 지지된다. 제2스프로켓(1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지지부재(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길이방향(C2)으로 제1, 제2몸체(1)(2) 사이에 펼쳐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 내부로 회수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폭방향(C1)으로 수납된다.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동기되어 제1몸체(1)에 대하여 인출/인입될 수 있도록 제1스프로켓(122)(123)과 제2스프로켓(132)은 동력연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동력연결수단은 예를 들어 기어, 벨트, 타이밍 벨트,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스프로켓(123)과 제2스프로켓(132)에는 기어(123a)(132a)가 각각 마련된다. 기어(123a)(132a)는 기어(141)(14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한 쌍의 제1스프로켓(122)(123)은 타이밍 벨트(14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7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3)와 제1지지부재(120)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4)와 제2지지부재(130)와의 연결관계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3)와 제1지지부재(120)와의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도 7에서 괄호안의 참조부호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4)와 제2지지부재(130)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장자리(33)(34)에는 다수의 클립(35)이 마련된다. 다수의 클립(35)은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다수의 분절 링크(121)(131)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의 클립(35)의 피치는 다수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의 피치와 동일할 수 있다. 클립(35)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3)(34)가 고정되는 고정부(35a)와, 고정부(35a)로부터 단차지고, 제1, 제2분절 링크(121)(131)의 삽입홈(121a)(131a)에 삽입되는 삽입부(35b)를 구비한다. 클립(35)의 삽입부(35b)가 삽입홈(121a)(131a)에 삽입됨으로써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함께 길이방향(C2)으로 이동되면서 제1, 제2몸체(1)(2) 사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3)(34)가 제1, 제2지지부재(120)(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몸체(1)(2)를 서로 이격시키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롤러(4a)로부터 풀리면서 가이드 롤러(5a)에 안내되어 개구부(11a)를 통하여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된다. 제1, 제2몸체(1)(2)를 서로 이격됨에 따라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되며, 제1스프로켓(122)(123)과 제2스프로켓(132)은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제1몸체(1)로부터의 인출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는 제1, 제2스프로켓(122)(132)에 의하여 그 이동 방향이 폭방향(C1)으로부터 길이방향(C2)로 바뀐다. 제1, 제2분절 링크(121)(131)의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가장자리(33)(34)에 고정된 클립(35)의 삽입부(35b)가 제1, 제2분절링크(121)(131)의 삽입홈(121a)(131a)에 삽입되고,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함께 개구부(11a)를 통하여 제1몸체(1)의 외부로 인출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다수의 클립(35)의 삽입부(35b)가 순차로 제1, 제2분절링크(121)(131)의 삽입홈(121a)(131a)에 삽입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함께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된다.
다수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는 길이방향(C2)으로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지만, 그 회동범위가 제한된다. 즉, 제1스프로켓(122)(123) 및 제2스프로켓(132)에 감기는 방향으로는 회동이 제한되지 않지만, 펼쳐진 상태가 되면 그 상태에서는 더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의 외부로 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제1, 제2지지부재(120)(130)에 의하여 평탄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제2몸체(1)(2)를 서로 접근시키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개구부(11a)를 통하여 제1몸체(1)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가 제1스프로켓(122) 및 제2스프로켓(132)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클립(35)의 삽입부(35b)가 삽입홈(121a)(131a)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삽입홈(121a)(131a)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가이드 롤러(5a)를 거쳐 롤러(4a)에 감긴다.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제1몸체(1)에 인입됨에 따라 제1스프로켓(122)(123)과 제2스프로켓(132)은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제1몸체(1)로의 인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지지부재(120)(130)는 제1몸체(1)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도 8은 장력 인가부(6)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롤러(4a)의 일단부(4a-1)는 플랜지(11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롤러(4a) 타단부(4a-2)는 장력 인가부(6)를 거쳐 플랜지(113)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장력 인가부(6)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에 인입/인출됨에 따라 롤러(4a)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제1몸체(1)에 지지된다. 장력 인가부(6)는 비틀림 스프링(63)과, 비틀림 스프링(63)의 일단부(63b)가 지지되고 플랜지(113)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부재(60)를 구비한다. 회전 지지부재(60)는 플랜지(113)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부쉬 부재(61)와, 롤러(4a)의 타단부(4a-2)가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지지축(62c)을 구비하는 축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쉬 부재(61)는 플랜지(113)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축부재(62)는 부쉬 부재(61)와 함께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부쉬 부재(61)와 축부재(62)에는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1, 제2결합부(61a)(62a)가 각각 마련된다. 지지축(62c)은 비틀림 스프링(63)의 내경부(63a)에 삽입된다. 비틀림 스프링(63)의 일단부(63b)는 축부재(62)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63)의 일단부(63b)는 축부재(62)에 마련된 고정홈(62b)에 삽입된다. 롤러(4a)에는 중공부(4a-3)가 마련된다. 비틀림 스프링(63)은 지지축(62c)에 삽입된 상태로 중공부(4a-3)에 삽입된다. 중공부(4a-3)에는 비틀림 스프링(63)의 타단부(63c)가 걸리는 걸림부(4a-4)가 마련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일단부(4a-1)가 플랜지(11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고, 타단부(4a-2)가 장력 인가부(6)를 거쳐 플랜지(113)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롤러(4a)가 구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60)를 화살표시(D1) 방향으로 회전시켜, 롤러(4a)에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초기 탄성력(F1)을 인가할 수 있다. 초기 탄성력(F1)에 의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는 평탄하게 펼쳐지는 방향의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초기 탄성력(F1)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재(60)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은 자유 상태라면, 회전 지지부재(60)가 화살표시(D1)의 반대 방향(D2)으로 회전되어 버리므로, 초기 탄성력(F1)이 인가될 수 없다. 그러므로, 회전 지지부재(60)는 초기 탄성력(F1)이 인가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될 필요가 있다.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초기 탄성력(F1)이 인가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재(60)는 제1, 제2지지부재(120)(1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즉, 회전 지지부재(60)는 제1, 제2지지부재(120)(1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초기 탄성력(F1)이 인가된 상태에서 로킹된다. 제1, 제2지지부재(120)(130) 중 적어도 하나가 움직이면, 그에 따라 회전 지지부재(60)가 회전된다. 예를 들어, 회전 지지부재(60)는 제1스프로켓(122)(123) 및/또는 제2스프로켓(132)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제2스프로켓(122)(123) 및/또는 제2스프로켓(132)가 회전되지 않으면, 회전 지지부재(60)도 회전되지 않고 로킹된다. 제1, 제2스프로켓(122)(123) 및/또는 제2스프로켓(132)이 회전되면, 회전 지지부재(60)가 회전된다.
회전 지지부재(60), 예를 들어, 부쉬 부재(61)에는 기어부(61b)가 마련된다. 기어부(61b)는 제1스프로켓(122)(123) 및/또는 제2스프로켓(132)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기어부(61b)는 기어(143~146)를 통하여 제1스프로켓(122)(123) 및 제2스프로켓(132)과 연결된다. 롤러(4a) 및 회전 지지부재(60)의 회전방향은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므로, 기어(143~146) 중 하나는 회전방향을 90도 변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기어(146)은 기어(145)와 연결된 평기어부(146a)와, 평기어부(146a)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베벨 기어부(146b)를 구비한다. 기어부(61b)는 베벨 기어부(146b)와 맞물리는 베벨 기어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회전 지지부재(60)는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이동에 따른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60)를 화살표시(D1) 방향으로 회전시켜 롤러(4a)에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초기 탄성력(F1)을 인가한 상태에서 기어부(61b)가 베벨 기어부(146b)와 맞물리면, 회전 지지부재(60)는 그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몸체(1)(2)가 서로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로부터/에 인출/인입되면, 롤러(4a)는 D1방향 또는 D2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과 연결된 회전 지지부재(60) 역시 D1방향 또는 D2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전개 거리와 롤러(4a)의 회전량 및 회전 지지부재(60)의 회전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개 거리가 "0"인 때에, 롤러(4a)의 초기 회전량은 d1이다. 초기 회전량(d1)은 롤러(4a)가 실제로 회전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 탄성력(F1)을 인가하기 위한 회전 지지부재(60)에 대한 상대 회전량을 의미한다.
롤러(4a)의 회전량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전개 거리와 선형 비례관계가 아니다. 왜냐하면, 롤러(4a)에 감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양에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포함하는 롤러(4a)의 외경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롤러(4a)에 감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양이 적을 때에는 롤러(4a)에 감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양이 많을 때에 비하여 동일한 전개 거리의 변화에 대한 롤러(4a)의 회전량이 더 크다. 그러므로, 전개 거리와 롤러(4a)의 회전량과의 관계는 도 10에 E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개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서 기울기가 점차 커지는 곡선 형태가 된다.
만일, 회전 지지부재(60)가 회전되지 않는 구조라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롤러(4a)의 회전량은 d2가 된다. 비틀림 스프링(63)에 의하여 롤러(4a)에 제공되는 탄성력(F2)의 크기는 회전량(d2)에 비례한다.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롤러(4a)에는 매우 강한 탄성력(F2)이 작용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전개 거리가 커질수록 제1, 제2몸체(1)(2)를 이격시키는 데에 큰 힘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에 대하여 인출/인입됨에 따라 회전 지지부재(60)가 롤러(4a)와 함께 회전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제1몸체(1)에 대한 전개 거리는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이동량과 동일하므로, 회전 지지부재(60)의 회전량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제1몸체(1)에 대한 전개 거리와 선형 비례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전개 거리와 회전 지지부재(60)의 회전량과의 관계는 도 10에 E2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E2a)를 가진 직선 형태가 된다.
비틀림 스프링(63)에 의하여 롤러(4a)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는 롤러(4a)의 회전량과 회전 지지부재(60)의 회전량의 차이에 비례한다. 즉,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때의 비틀림 스프링(63)에 의하여 롤러(4a)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는 d4에 비례한다. 따라서, 회전 지지부재(60)가 롤러(4a)와 함께 회전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때의 탄성력(F2')은 회전 지지부재(60)가 회전되지 않은 구조에서의 탄성력(F2)보다 작다.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롤러(4a)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크기의 변화, 즉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의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힘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일단부(31) 및 타단부(32)와 제1, 제2몸체(1)(2)와의 연결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직선(E2)의 기울기(E2a)는 기어부(61b)와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과의 연결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143~146) 중 하나 이상을 감속기어로 함으로써 직선(E2)의 기울기(E2a)를 조절할 수 있다. 감속 기어의 기어비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롤러(4a)의 회전량과 회전 지지부재(60)의 회전량의 차이의 최소값(dmin)이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평탄하게 유지되고 또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펼치거나 감아들일 때에 롤러(4a)가 전개 거리에 따라 필요한 만큼 회전되는 데에 필요한 최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값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직선(E2)의 기울기(E2a)는 롤러(4a)의 초기 회전량과 최종 회전량을 연결하는 직선(E3)의 기울기(E3a)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전개 거리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63)에 의하여 롤러(4a)에 작용되는 탄성력의 크기의 변동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동으로 제1, 제2몸체(1)(2)를 접근/이격시켜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제1몸체(1)에/로부터 인입/인출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모터를 이용하여 제1, 제2몸체(1)(2)를 접근/이격시켜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제1몸체(1)에/로부터 인입/인출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모터는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을 회전시켜 제1, 제2지지부재(120)(130)를 구동함으로써 제1, 제2몸체(1)(2)를 접근/이격시키고,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제1몸체(1)에/로부터 인입/인출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제1, 제2몸체(1)(2)를 접근/이격시키는 모터(150)를 구비한다. 모터(150)는 기어(144)를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144)는 기어(143)에 의하여 제2스프로켓(132)의 기어(132a)와 연결된다. 또한, 기어(132a)는 기어(141)(142) 및 기어(123a)에 의하여 제1스프로켓(123)과 연결된다. 제1스프로켓(123)은 타이밍 벨트(147)에 의하여 제1스프로켓(122)과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150)를 구동함으로서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을 회전시켜 제1, 제2지지부재(120)(130)를 제1몸체(1)의 외부로 전개하면, 제1몸체(1)가 제2몸체(2)에 대하여 또는 제2몸체(2)가 제1몸체(1)에 대하여 멀어지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로부터 인출되어 제1, 제2몸체(1)(2) 사이로 전개될 수 있다.
반대로, 모터(150)를 구동하여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제2지지부재(120)(130)를 제1몸체(1)의 내부로 인입시키면, 제1, 제2몸체(1)(2)가 접근되고, 비틀림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하여 롤러(4a)가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에 수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모터(15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 지지부재(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제어부(101)와의 전기적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유연한 연결부재(8)에 의하여 제어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유연한 연결부재(8)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연결부재(8)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81)와 제어부(101)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8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연결부(81)는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단자부(36)에 납땜 등의 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81)는 예를 들어 커넥터 방식에 의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단자부(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8)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와 일체일 수도 있다. 제2연결부(82)는 예를 들어 커넥터 방식에 의하여 제어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회로 기판의 형태로서 제1몸체(1)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4a)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전개됨에 따라 회전된다. 그러므로, 연결부재(8)는 롤러(4a)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롤러블 디스플레이(3) 및 제어부(101)와의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연결부(81)와 제2연결부(82) 사이에 다수 회 감긴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나선부(83)가 마련된다. 나선부(83)의 감김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롤러(4a)에의 최대 감김수와 같거나 그보다 많다. 나선부(83)의 감김 방향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롤러(4a)에의 감김 방향과 같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재(8)는 롤러(4a)의 중공부(4a-3)에 삽입되고, 제1연결부(81)는 롤러(4a)에 마련된 연결공(4a-5)을 통하여 롤러(4a)의 외부로 인출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단자부(36)에 연결된다. 제2연결부(82)는 롤러(4a)의 일측 단부를 통하여 중공부(4a-3)로부터 인출되어 제어부(10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롤러(4a)가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감아들이는 방향 또는 전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롤러(4a)의 회전이 나선부(83)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제1연결부(81)와 단자부(36) 및 제2연결부(82)와 제어부(101)와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1몸체(1)를 구비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와 도 13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10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 제2롤러(4a)(4b)에 감긴 상태를, 도 13은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전개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한 쌍의 제1몸체(1-1)(1-2)와 제2몸체(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1몸체(1-1)(1-2)는 제2몸체(2)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길이방향(C2)으로 한 쌍의 제1몸체(1-1)(1-2) 사이에 제2몸체(2)가 위치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제1, 제2몸체(1)(2)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일단부(31)는 제1몸체(1-1)에 마련된 제1롤러(4a)에 연결되며, 타단부(32)는 제1몸체(1-2)에 마련된 제2롤러(4b)에 연결된다. 제1, 제2롤러(4a)(4b)는 각각 제1몸체(1-1)(1-2)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는 제1, 제2롤러(4a)(4b)의 외주에 감긴다.
도 4에 도시된 스탠드(7)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자 기기(10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몸체(2)는 스탠드(7)에 고정된다. 제1몸체(1-1)(1-2)는 각각 제2몸체(2)에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스탠드(7)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몸체(1-1)(1-2)와 스탠드(7) 사이에는 슬라이딩 레일(71)이 적용될 수 있다.
제1롤러(4a)가 제1몸체(1-1)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구조와 제2롤러(4b)가 제1몸체(1-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구조는, 도 4, 도 8, 및 도 9에서 롤러(4a)가 제1몸체(1)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제2롤러(4a)(4b)에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된 장력 인가부(6)가 적용된다.
제1몸체(1-1)(1-2) 각각에는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제2지지부재(120)(130) 및 이들을 전개하기 위한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이 마련된다. 제1, 제2스프로켓(122)(123)(132)은 전술한 구조에 의하여 동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1몸체(1-1)에 마련된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다수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 중에서 선단 링크(121-1)(131-1)는 제2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몸체(1-2)에 마련된 제1, 제2지지부재(120)(130)의 다수의 제1, 제2분절 링크(121)(131) 중에서 선단 링크(121-1)(131-1)는 제2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몸체(1-1)(1-2)에 각각 마련된 제1, 제2지지부재(120)(130)는 모터(150)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장력인가부(6)는 전술한 구조에 의하여 제1, 제2지지부재(120)(130)와 연결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전개 거리에 따라 제1, 제2 롤러(4a)(4b)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장력 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장력 인가부 각각은 장력 인가부(6)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된 롤러브 디스플레이(3)와 제어부(101)와의 전기적 연결구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전자 기기(10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8)는 제1, 제2롤러(4a)(4b) 중 어느 하나의 중공부(4a-3)에 삽입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3)의 단자부(4a-4)에 제1연결부(81)가 연결되고, 제2연결부(82)는 제어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150)를 회전시키거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1몸체(1-1)(1-2)를 제2몸체(2)로부터 이격시키면,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제1몸체(1-1)(1-2)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도 제1몸체(1-1)(1-2)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11a)(11b)를 통하여 제1몸체(1-1)(1-2)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2몸체(2)를 거쳐 제1몸체(1-1)(1-2) 사이로 펼쳐진다.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전개됨에 따라 제1, 제2롤러(4a)(4b)는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모터(150)를 회전시키거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1몸체(1-1)(1-2)를 제2몸체(2)에 접근시키면, 제1, 제2지지부재(120)(130)가 제1몸체(1-1)(1-2) 내부로 수납되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3)도 제1몸체(1-1)(1-2) 내부로 인입된다. 제1, 제2롤러(4a)(4b)는 비틀림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3)가 제1몸체(1-1)(1-2) 내부로 수납된다.
제1, 제2가이드 롤러(5a)(5b)는 제1, 제2롤러(4a)(4b)로부터 풀린 롤러블 디스플레이(3)를 개구부(11a)(11b)로 안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1-1, 1-2...제1몸체 2...제2몸체
11a, 11b...개구부 3...롤러블 디스플레이
4a, 4b...롤러(제1, 제2롤러)
5a, 5b...가이드 롤러(제1, 제2가이드 롤러)
6...장력 인가부 60...회전 지지부재
61...부쉬 부재 62...지지축
63...비틀림 스프링 7...스탠드
8...연결부재 81...제1연결부
82...제2연결부 83...나선부
110...프레임 111...지지대
112, 113...플랜지 120, 130...제1, 제2지지부재
121, 131...제1, 제2분절 링크 121a, 131a...삽입홈
122, 123...제1스프로켓 132...제2스프로켓
141~146...기어 147...타이밍 벨트
150...모터 210...고정대

Claims (21)

  1. 상호 접근/이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몸체;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외주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감기는 롤러;
    장력 인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롤러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줄이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롤러에 감겨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되며,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순차로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 링크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 지지부재; 및
    상기 롤러에 연결된 일단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연결된 타단부를 가지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되는 전자 기기.
  3. 상호 접근/이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몸체;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외주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감기는 롤러; 및
    장력 인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롤러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에 인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롤러에 감겨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되며,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력 인가부는,
    제1몸체에 지지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 지지부재; 및
    상기 롤러에 연결된 일단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연결된 타단부를 가지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를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전자 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개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장력 인가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자 기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로켓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10.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스파이럴 형상으로 다수외 감긴 나선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나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연한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의 감김수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러에의 최대 감김수 이상인 전자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의 감김 방향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롤러에의 감김방향과 동일한 전자 기기.
  13.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1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1몸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제2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제2롤러에 감겨 상기 한 쌍의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제1, 제2롤러로부터 풀려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몸체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되는 전자 기기.
  14. 상호 접근/이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접근/이격됨에 따라 상기 롤러에 감겨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제2몸체 사이로 전개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일단부가 상기 롤러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에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전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회동될수 있게 순차로 연결되는 다수의 분절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제1몸체에 수납되거나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전개되어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프로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로켓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자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50120540A 2015-04-30 2015-08-26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30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15,412 US10347160B2 (en) 2015-04-30 2016-02-04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PCT/KR2016/001283 WO2016175431A1 (en) 2015-04-30 2016-02-05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5033P 2015-04-30 2015-04-30
US62/155,033 2015-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668A KR20160129668A (ko) 2016-11-09
KR102306540B1 true KR102306540B1 (ko) 2021-09-29

Family

ID=575293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541A KR102252322B1 (ko) 2015-04-30 2015-08-26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20540A KR102306540B1 (ko) 2015-04-30 2015-08-26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541A KR102252322B1 (ko) 2015-04-30 2015-08-26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252322B1 (ko)
CN (1) CN106097896B (ko)
TW (1) TWI699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75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549534A (zh) * 2016-12-07 2017-03-29 盐城工学院 一种具有磁性绷紧分隔装置的电动幕布
CN107980157A (zh) * 2016-12-30 2018-05-0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支撑组件及显示装置
CN107170370A (zh) 2017-05-12 2017-09-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
CN107424517B (zh) * 2017-05-24 2019-10-29 黎德智 一种可收展的柔性显示器
CN107195250A (zh) * 2017-06-02 2017-09-22 合肥市惠科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自动折叠的显示屏
CN107170371B (zh) * 2017-06-20 2020-08-07 柳州博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收展柔性显示器
CN107369384A (zh) * 2017-06-21 2017-11-21 合肥市惠科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显示屏自动折叠系统
CN107221260B (zh) * 2017-07-25 2019-04-02 广东希尔文化传媒投资股份有限公司 一种广告灯箱
KR102332710B1 (ko) 2017-07-31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US11270612B2 (en) 2017-08-25 2022-03-0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CN107731158A (zh) * 2017-10-31 2018-02-23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446200B1 (ko) * 2017-12-22 2022-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4138B1 (ko)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200487368Y1 (ko) * 2018-01-08 2018-09-07 정대선 스크롤 방식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595918B1 (ko) 2018-01-18 2023-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금속 화합물,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 유기 발광 장치
CN111819615B (zh) * 2018-02-09 2022-05-1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623425B1 (ko)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5322B1 (ko) 2018-07-30 202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27272B1 (ko) * 2018-07-31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578915B1 (ko) 2018-08-17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670696B (zh) 2018-09-28 2019-09-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顯示裝置
WO2020143015A1 (zh) * 2019-01-11 2020-07-16 江阴康瑞成型技术科技有限公司 延展式显示屏幕之结构
KR20200093821A (ko) * 2019-01-29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033702B (zh) * 2019-04-12 2021-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994053A (zh) * 2019-04-17 2019-07-09 嘉兴缔华贸易有限公司 一种智能led显示器
CN109872639B (zh) * 2019-04-25 2021-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09979329B (zh) * 2019-04-29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0333754B (zh) * 2019-05-09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264882B (zh) * 2019-06-26 2021-09-2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模组和电子设备
CN110211501A (zh) * 2019-06-27 2019-09-0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TWI685454B (zh) * 2019-07-19 2020-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
WO2021045263A1 (ko) * 2019-09-05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045262A1 (ko) * 2019-09-05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0570767A (zh) * 2019-09-10 2019-12-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其制作方法和使用方法以及终端设备
CN110544437A (zh) * 2019-09-16 2019-12-06 朱玲 一种基于高伸展比展开收纳机构的柔性屏显示器装置
CN110738930A (zh) * 2019-10-10 2020-01-3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卷曲式柔性显示装置
CN110807993B (zh) * 2019-11-19 2021-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WO2021132782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48130A1 (en) * 2020-01-24 2021-07-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upport structure for a slidable display
CN112767840B (zh) * 2021-01-29 2023-01-2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10099680A (ko) * 2020-02-04 2021-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62143A1 (ko) * 2020-02-13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210693A1 (ko) *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1508362B (zh) * 2020-04-28 2022-08-0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20029148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TWI789841B (zh) * 2020-09-09 2023-01-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設備
CN112078497A (zh) * 2020-09-10 2020-12-15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具有其的车辆
KR20220064517A (ko) * 2020-11-12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396962B (zh) * 2020-11-16 2022-1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卷曲显示装置、控制柔性显示屏卷曲的方法及电子设备
CN112435579B (zh) * 2020-11-24 2022-1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弯折方法
KR20220084698A (ko) * 2020-12-14 2022-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787898B (zh) * 2020-12-28 2023-12-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KR20220108279A (ko) 2021-01-26 2022-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908179B (zh) * 2021-02-05 2022-08-2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3530959B (zh) * 2021-06-24 2022-05-1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943882B2 (en) 2021-08-24 2024-03-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13744644B (zh) * 2021-08-24 2022-10-0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14038322B (zh) * 2021-11-22 2023-08-0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可卷曲显示模组及显示装置
TWI796937B (zh) * 2022-01-19 2023-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面板裝載結構
TWI814633B (zh) * 2022-05-31 2023-09-0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捲收式支撐結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962A1 (en) * 2003-08-11 2005-02-24 Phillip Funkhouser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US20120204453A1 (en) * 2011-02-15 2012-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140211399A1 (en) * 2011-09-02 2014-07-31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20150009636A1 (en) * 2013-07-03 2015-01-0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7738B2 (en) * 1998-01-07 2003-12-23 Vtech Communications, Ltd.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EP1800280B1 (en) * 2004-10-05 2011-12-28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WO2007072234A1 (en) * 2005-12-20 2007-06-28 Polymer Vision Limited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able flexible screen rollable around a batter
KR101472154B1 (ko) * 2007-04-25 2014-12-12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0020270A (ja) * 2008-06-09 2010-01-28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KR101077146B1 (ko) * 2010-01-12 2011-10-27 삼현테크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379377B2 (en) *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JP5471582B2 (ja) * 2010-02-24 2014-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端末装置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605421B2 (en) * 2011-08-17 2013-12-10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04537950B (zh) * 2014-11-28 2017-01-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962A1 (en) * 2003-08-11 2005-02-24 Phillip Funkhouser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US20120204453A1 (en) * 2011-02-15 2012-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140211399A1 (en) * 2011-09-02 2014-07-31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20150009636A1 (en) * 2013-07-03 2015-01-0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99693B (zh) 2020-07-21
CN111161637A (zh) 2020-05-15
TW201643680A (zh) 2016-12-16
KR20160129668A (ko) 2016-11-09
KR102252322B1 (ko) 2021-05-14
KR20160129669A (ko) 2016-11-09
CN106097896A (zh) 2016-11-09
CN106097896B (zh)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540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0347160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US11785726B2 (en) Display device
CN113411420A (zh) 移动终端
US11357117B2 (en) Display device
KR10239602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6193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05687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KR102384576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30042122A (ko) 지지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
CN111510538A (zh) 显示装置
CN111684509B (zh) 延展式显示屏幕之结构
US20160179133A1 (en) Folding Display Panels For Large-Format Displays
CN114500704A (zh) 电子设备
WO2020065828A1 (ja) 表示装置
CN113852703B (zh) 电子设备
CN113851040B (zh) 电子设备
CN114550580A (zh) 移动终端及其壳体
CN116110287A (zh)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2023000258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82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76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