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05B1 - 롤러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05B1
KR102484505B1 KR1020160076583A KR20160076583A KR102484505B1 KR 102484505 B1 KR102484505 B1 KR 102484505B1 KR 1020160076583 A KR1020160076583 A KR 1020160076583A KR 20160076583 A KR20160076583 A KR 20160076583A KR 102484505 B1 KR102484505 B1 KR 10248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back cover
flexibl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3112A (ko
Inventor
박정규
강춘성
박근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505B1/ko
Priority to US15/375,022 priority patent/US10617017B2/en
Priority to JP2016249206A priority patent/JP6251799B1/ja
Priority to TW105143679A priority patent/TWI648714B/zh
Priority to CN201611273055.5A priority patent/CN107527552B/zh
Priority to EP16207579.0A priority patent/EP3261084B1/en
Publication of KR2017014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 백 커버, 및 연성 자석을 포함한다. 연성 표시패널은 권취 및 권출이 가능하다. 백 커버는, 일측 끝단이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된다. 연성 자석은 연성 표시패널 및 백 커버 사이에서, 연성 표시패널 및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롤러블 표시장치{ROLL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롤러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대화면 양산 기술 수준까지 공정 기술이 발전되어 액정표시장치와 경쟁하면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재료의 종류, 발광방식, 발광구조, 구동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방식에 따라 형광발광, 인광발광으로 나뉠 수 있고, 발광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 Emission) 구조와 배면발광 (Bottom Emission) 구조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구동방식에 따라 PMOLED(Passive Matrix OLED)와 AMOLED(Active Matrix OLED)로 나뉘어질 수 있다.
최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상용화되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라스틱 OLED가 형성된 표시패널의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할 수 있다. 플라스틱 OLED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내구성에 장점이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 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롤러블 표시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표시패널을 감을 수 있고, 펼 수 있다. 감거나 펴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디자인적으로 개선된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패널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 및 가벼운 자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표시패널이 얇고 가벼워짐에 따라 물리적 내구성은 저하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은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이는 제품 신뢰성 및 제품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표시패널의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연성 표시패널의 권취, 권출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롤러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 백 커버, 및 연성 자석을 포함한다. 연성 표시패널은 권취 및 권출이 가능하다. 백 커버는, 일측 끝단이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된다. 연성 자석은 연성 표시패널 및 백 커버 사이에서, 연성 표시패널 및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일단이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백 커버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는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권취 및 권출 시,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된다.
제1 탄성부재는,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가 권취될 때 길이 편차의 증가에 대응하여 인장되고,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가 권출될 때 길이 편차의 감소에 대응하여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패널 롤러 및 탄성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롤러는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 및 백 커버의 일측 끝단에 고정된다. 패널 롤러에는, 연성 표시패널 및 백 커버가 권취 및 권출된다. 탄성 구조체는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다. 탄성 구조체는 고정 베이스 부재, 슬라이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베이스 부재는 기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슬라이더는 고정 베이스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이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 사이에서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에 고정된다. 제2 탄성부재는, 일단이 고정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된다. 제2 탄성부재는,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의 권취 및 권출 시,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된다.
연성 표시패널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전면(前面) 및 전면과 반대되는 배면(背面)을 가지며, 연성 표시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권취(Outer rolling)될 수 있다. 길이 편차는,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가 권취될수록 증가하고,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가 권출될수록 감소할 수 있다. 길이 편차의 증가에 대응하여 슬라이더는 하강하고 제2 탄성부재는 압축되며, 길이 편차의 감소에 대응하여 제2 탄성부재는 복원되고 슬라이더는 상승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전면 및 전면과 반대되는 배면을 가지며, 연성 표시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권취(Inner rolling)될 수 있다. 길이 편차는,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가 권취될수록 증가하고,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가 권출될수록 감소할 수 있다. 길이 편차의 증가에 대응하여 제2 탄성부재는 복원되고 슬라이더는 상승하며, 길이 편차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는 하강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백 커버를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의 배면을 지지하고 연성 표시패널의 강성을 보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연성 표시패널의 물리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자석을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면서, 연성 표시패널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연동하여 연성 표시패널이 백 커버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의 권취 및 권출 시,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길이 편차를 보상할 수 있어, 버클링, 박리, 균열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과 백 커버의 권취 및 권출 시 연성 표시패널의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연성 표시패널이 연성 자석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들뜨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픽셀 내 회로 구성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탄성 구조체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서두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양자점 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QDD) 등의 표시장치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롤러블 표시장치가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픽셀 내 회로 구성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1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연성 표시패널(1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4) 및 타이밍 콘트롤러(16)를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연성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에 기입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6)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은 데이터 배선들(D1~Dm)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배선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을 선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6)는 호스트 시스템(19)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4)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데이터 구동회로(1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텔레비젼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9)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연성 표시패널(10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타이밍 콘트롤러(16)로 전송한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 배선들(D1~Dm, m은 양의 정수)과 게이트 배선들(G1~Gn, n은 양의 정수)에 의해 정의된 픽셀 영역에 형성된 픽셀들을 포함한다. 픽셀들 각각은 자발광 소자인 OLED를 포함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에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들(D)과, 다수의 게이트 배선들(G)이 교차되고, 이 교차영역마다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픽셀 각각은 OLED, 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DT),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셋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밍부(SC)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부(S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TFT는 게이트 배선(G)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 배선(D)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일측 전극에 인가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OLED의 발광량을 조절한다. OLED의 발광량은 구동 TFT(D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비례한다. 이러한 픽셀은 고전위 전압원(EVDD)과 저전위 전압원(EVSS)에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원 발생부로부터 각각 고전위 전원 전압과 저전위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픽셀을 구성하는 TFT들은 p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픽셀을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아몰포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OLED는 애노드 전극(ANO), 캐소드 전극(CAT), 및 애노드 전극(ANO)과 캐소드 전극(CAT) 사이에 개재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구동 TFT(DT)와 접속된다.
도 3를 더 참조하면, 픽셀은 6T (Transistor) 1C (Capacitor)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픽셀 구성이 6T 1C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구동 TFT를 이용하여 O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모든 OLED 픽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픽셀에 포함된 TFT가 p 타입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FT는 타입에 따라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위치가 다를 수 있는바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를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명명한다.
제1 TFT(T1)는 제1a 게이트 배선(GL1a)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데이터 배선(DL1)에 연결된 제1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일단에 연결된 제2전극을 포함한다. 제1 TFT(T1)는 제1a 게이트 신호(SCAN1)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배선(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TFT(T2)는 제1b 게이트 배선(GL1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구동 TFT(DT)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구동 TFT(DT)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TFT(T2)는 제1b 게이트 신호(SCAN2)에 응답하여 구동 TFT(DT)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전극 노드를 다이오드 커넥션 상태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제3 TFT(T3)는 제1c 게이트 배선(GL1c)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기준 전압 배선(VREF)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3 TFT(T3)는 제1c 게이트 신호(EM)에 응답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일단에 기준 전압(Vref)(또는, 보상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4 TFT(T4)는 제1c 게이트 배선(GL1c)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구동 TFT(DT)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4 TFT(T4)는 제1b 게이트 신호(SCAN2)에 응답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구동 전류를 전달하고, 이를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5 TFT(T5)는 제1b 게이트 배선(GL1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기준 전압 배선(VREF)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5 TFT(T5)는 제1b 게이트 신호(SCAN2)에 응답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타단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또는, 고전위 전압원)(EVDD)에 연결된 제1 전극, 제4 TFT(T4)의 제1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전압에 응답하여 턴 온 되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할 구동 전류를 생성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4 TFT(T4)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또는, 저전위 전압원)(EVSS)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4 TFT(T4)를 통해 전달된 구동 전류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한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은 타이밍 컨트롤러(도 1의 16),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4) 등(호스트 시스템(도 1의 19) 및 전원 발생부 등은 미도시함)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어 모듈화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는 GIP 방식으로 연성 표시패널(100)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을 용이하게 권취 및 권출 하기 위해 표시영역(AA)의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게이트 구동회로(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20)은 제1 연결 부재(25)를 통해 연성 표시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부재(25)는 데이터 구동회로(12)가 실장된 COF(Chip On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25)는 TCP(Tape Carrier Package) 방식으로 구현되어 데이터 PCB(20)와 연성 표시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 PCB(20)는 제2 연결 부재(35)를 통해 콘트롤 보드(30)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부재(35)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콘트롤 보드(3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6) 등이 실장된다. 제2 연결 부재(35)는 FFC(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트롤 보드(30)는 호스트 시스템(도 1의 19), 전원 발생부 등과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이하, 연성 표시패널로 약기함)(100)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표시 영역을 통해 연성 표시패널(1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전면(前面)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면을 의미한다. 반대로,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背面)은 사용자가 표시 영역을 인식할 수 없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전면과 반대되는 방향의 일면을 의미한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권취, 권출될 수 있다. 즉, 연성 표시패널에는, 소정의 연성이 부여되어, 감거나(rolling, 또는 winding), 펴는(unrolling, 또는 unwinding) 동작이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권취(Inner rolling)될 수 있고,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 방향으로 권취(Outer rolling)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연성 표시패널이 배면 방향으로 권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태 변화(권취 및 권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물리적인 외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단을 파지하고 이에 힘을 제공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태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도 6의 (a))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태 변화는 기 설정된 특정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태 변화는 선택된 구동 장치 및 구동 회로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패널 롤러(150)와 같은 기구물의 둘레를 따라 권취될 수 있다. 패널 롤러(15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패널 롤러(150)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롤러(15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가 용이한 형상들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패널 롤러(150)는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튜블러 모터(Tubular Motor)일 수 있고, 이 경우 구동 장치는 패널 롤러(15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장치는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동기하여,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고, 기계 에너지를 패널 롤러(150)에 제공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패널 롤러(150)에 연동하여 권취, 권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성 표시패널(100)은 구동 장치로부터 제공된 기계 에너지에 동기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나선 형상(또는, 코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가이드 레일의 궤적을 따라 가이드된다. 가이드 레일을 따라 권취된 상태의 연성 표시패널(100)은, 면 대 면이 서로 맞닿지 않고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권취 시, 연성 표시패널(100)의 면 대 면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롤러블 표시장치는, 패널 롤러(150) 또는 가이드 레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연성 표시패널(100)이 승강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패널 롤러(150) 또는 가이드 레일이 승강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100) 및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구비된 백 커버(200)를 포함한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감기거나 풀려,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취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표시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외부에서 표시 영역을 인식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는, 표시 장치가 오프(OFF)되어, 입력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2 상태에서, 연성 표시패널(100)은 대략 플랫(flat)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연성 표시패널(100)의 표시 영역을 인지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표시 장치가 온(ON)되어,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연성 표시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백 커버(2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을 지지하며, 연성 표시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한다. 백 커버(200)를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의 물리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백 커버(200)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200)는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알루미늄,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백 커버(200)의 일단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단에 고정된다. 즉, 백 커버(200) 및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가 시작되는 영역에서 백 커버(200)와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은 고정된다. 이는 백 커버(200)와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상호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백 커버(200)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백 커버(200)의 크기 및 형상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자유로운 변형을 구속,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권취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서 회전축으로부터의 권취 반경(r1, r2) 차이에 의한 길이 편차(D)가 발생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접착제를 통해 전체면이 상호 고정된 백 커버(200)와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취되는 경우, 전술한 길이 편차에 기인하여 버클링(buckling), 박리(delamination), 균열(crac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컴팩트(compact)한 디자인을 갖는 롤러블 표시장치를 구현할 때 더욱 문제될 수 있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의 길이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권취 반경이 줄어들수록 권취 횟수는 증가하고, 권취 횟수가 증가할수록 길이 편차는 더욱 커진다. 백 커버(200)와 연성 표시패널(100)이 단순 접착된 상태에서는, 길이 편차가 커질수록 버클링, 박리, 균열 등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문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 자석(250)을 더 포함한다. 연성 자석(250)은, 소정의 연성이 부여되어,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권출 시 함께 권취, 권출될 수 있다.
연성 자석(250)은 고무 자석일 수 있다. 고무 자석은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지며, 가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연성 자석(250)은 연성 표시패널(100) 및/또는 백 커버(200)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성 자석(250)의 크기 및 형상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자유로운 변형을 구속,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연성 자석(250)은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연성 자석(250)이 백 커버(200)에 고정된 경우, 연성 자석(250)은 연성 자석(250)과 연성 표시패널(100) 사이의 인력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00)에 슬라이딩(sliding, 또는 slipping) 가능하게 접촉된다.
예를 들어, 연성 표시패널(100)이 OLED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에는 OLED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이나 산소를 차단하기 위한 FSM(Face Seal Material)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FSM층은 인바(invar)를 포함할 수 있다. 인바는 열 팽창계수가 낮은 철(Fe), 니켈(Ni) 합금이다. 따라서, 연성 자석(250)은, 연성 자석(250)과 FSM층 사이의 인력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다.
연성 자석(250)이 연성 표시패널(100)에 고정된 경우, 연성 자석(250)은 연성 자석(250)과 백 커버(200) 사이의 인력에 의해 백 커버(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 경우, 백 커버(200)는 금속, 플라스틱 자석(plastic magnetic)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강성을 가지는 부재에 금속 및 플라스틱 자석 등이 부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수의 레이어들을 갖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및 권출 시 특정 레이어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중립면(neutral plane)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중립면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연성 표시패널(100)에 연성 자석(250)을 고정시키면, 연성 표시패널(100)의 중립면이 변화하여 상기 특정 레이어에 원치 않는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성 자석(250)은 백 커버(2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성 자석(250)이 백 커버(200)에 고정되고, 백 커버(200)에 고정된 연성 자석(250)이 연성 표시패널(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도 10을 더 참조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따른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 사이의 상호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은, 권취(①)되면서 연성 자석(250)이 고정된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②)된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은, 그 일측 끝단이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되기 때문에, 권취 정도에 따라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의 길이 편차가 발생한다. 길이 편차 증가에 대응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이 고정된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도 10의 (a))
연성 표시패널(100)은, 권출(③)되면서 연성 자석(250)이 고정된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④)된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은, 그 일측 끝단이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권출되기 때문에, 권취 정도에 따라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 발생했던 길이 편차가 점차 줄어든다. 길이 편차 감소에 대응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이 고정된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도 10의 (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성 자석(2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면서,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연동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이 백 커버(200)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의 길이 편차가 증감하고, 길이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이 고정된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시 발생하는 길이 편차를 보상함으로써, 버클링, 박리, 균열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길이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를 각각 구동하는 별도의 롤러들을 구비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안은 롤러들을 동기화시키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다수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컴팩트한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의 구현이 곤란한 문제점 등을 갖는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성 자석(250)만을 이용하여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사이의 길이 편차를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컴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및 권출 시,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 상에서 슬라이딩 된다. 다만, 연성 자석(250)의 자력이 강한 경우, 소정의 연성이 부여된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연성 자석(250)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들뜨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대면적의 롤러블 표시장치에서 더욱 문제된다. 반대로, 연성 자석(250)의 자력이 약한 경우, 백 커버(200)는, 연성 표시패널(100)로부터 분리 이격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을 지지하고 연성 표시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연성 자석(250)의 자력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연성 자석(250)의 자력은 자력선의 방향과 간격, 연성 자성의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연성 자석(250)의 자력은 그 위치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에는 복수 개의 연성 자석(250)들이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위치에 따라, 이웃하는 연성 자석(250)들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하는 연성 자석(250)들의 간격은, 강한 자력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 대비 강한 자력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좁을 수 있다. 위치에 따라, 배치된 연성 자석(250)들의 자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강한 자력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 대비 강한 자력이 요구되는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자력을 갖는 연성 자석(25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한 자력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은 등방성 고무 자석이 구비되고, 강한 자력이 요구되는 영역은 이방성 고무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위치에 따라, 구비되는 연성 자석(250)들의 배치 밀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자석(250)들의 배치 밀도는, 강한 자력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 대비 강한 자력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높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이 연성 자석(250)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들뜨는 불량 및 연성 표시패널(100)이 연성 자석(250)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패널 롤러(150), 연성 표시패널(100), 백 커버(200), 연성 자석(250), 및 제1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패널 롤러(15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패널 롤러(150)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롤러(15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가 용이한 형상들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패널 롤러(150)에는 콘트롤 보드(3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콘트롤 보드(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 구조물은 패널 롤러(150) 내측에 구비되어 콘트롤 보드(30)를 고정시킴으로써, 콘트롤 보드(30)의 이탈을 방지하고 다른 구조물들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패널 롤러(150) 내부에서 콘트롤 보드(30)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콘트롤 보드(30)가 패널 롤러(150) 내부에 내장되는 경우,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에서 인식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깔끔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트롤 보드(30)는 패널 롤러(15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트롤 보드는 패널 롤러(150)에 고정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콘트롤 보드(30)가 패널 롤러(150)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패널 롤러(15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컴팩트한 디자인을 갖는 롤러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패널 롤러(150)의 내부 공간에는 패널 롤러(150)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는 튜블러 모터(tubular mo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내장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패널 롤러(150)는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는 패널 롤러(15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평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평면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는 이형(free form) 형상일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 권출된다. 백 커버(2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 방향에 구비되어 연성 표시패널(100)을 지지한다. 백 커버(200)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함께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 권출된다.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의 권취가 시작되는 영역에서,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과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은 상호 고정된다. 이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백 커버(200)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상호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은 패널 롤러(150)에 고정된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이 고정된 패널 롤러(150)의 일 영역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가 시작되는 영역이다. 이를 위해,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패널 롤러(150) 사이 또는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과 패널 롤러(150) 사이에는,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 부재 혹은 고정 부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연성 자석(250)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대향하는 백 커버(200)의 일면에 고정된다. 연성 자석(250)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 구비되어,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시 발생하는 길이 편차에 대응한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로부터 권출되는 경우, 연성 자석(250)의 자력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0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않고, 연성 표시패널(100)이 백 커버(200) 표면 상에서 국부적으로 들뜨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탄성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제1 탄성부재(3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길이 편차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에서 벗어난 정도(또는, 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재(300)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인장 스프링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길이 편차가 증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인장되며,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의 길이 편차가 감소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00)의 일단은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다. 일 예로,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에는 하중 바(310)(weighting bar)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1 탄성부재(300)의 일단은 하중 바(3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중 바(310)는 소정의 하중을 갖는다.
하중 바(310)는 파지(grip)가 용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중 바(310)는 사용자의 파지 기구물로써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중 바(310)를 구비함으로써 권취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패널 롤러(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성 표시패널(100)이 롤 다운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권출된 연성 표시패널(100)은, 하중 바(310)의 자중에 의해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하중 바(310)가 소정의 하중을 가짐으로써, 권출된 연성 표시패널(100)을 중력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연성 표시패널(100)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정의 하중을 갖는 하중 바(310)가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됨으로써, 다른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권출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된다.
제1 탄성부재(300)의 타단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다. 일 예로,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에는 보조 바(320)(auxiliary bar)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1 탄성부재(300)의 타단은 보조 바(320)에 고정될 수 있다. 보조 바(320)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다. 제1 탄성부재(300)가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에 직접 고정된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에는 제1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기인한 응력이 제공되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보조 바(320)를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에 제공되는 응력을 분산, 완화시켜 연성 표시패널(1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3을 더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300)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연동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 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1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될수록,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가 점차 커진다. 제1 탄성부재(3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점차 인장된다.(도 13의 (a)→(b)→(c))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로부터 권출 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2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로부터 권출될수록,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가 점차 줄어든다. 제1 탄성부재(3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점차 복원된다.(도 13의 (c)→(b)→(a)) 이는, 제1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00)을 당기는 힘이 연성 표시패널(100)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탄성부재(300)를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시 연성 표시패널(100)의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연성 자석(250)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들뜨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탄성 구조체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패널 롤러(150), 연성 표시패널(100), 백 커버(200), 연성 자석(250), 및 탄성 구조체(400)를 포함한다.
패널 롤러(15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패널 롤러(150)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롤러(15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가 용이한 형상들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패널 롤러(150)에는 콘트롤 보드(3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콘트롤 보드(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 구조물은 패널 롤러(150) 내측에 구비되어 콘트롤 보드(30)를 고정시킴으로써, 콘트롤 보드(30)의 이탈을 방지하고 다른 구조물들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패널 롤러(150) 내부에서 콘트롤 보드(30)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보드(30)는 패널 롤러(15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트롤 보드는 패널 롤러(150)에 고정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패널 롤러(150)의 내부 공간에는 패널 롤러(150)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는 튜블러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내장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패널 롤러(150)는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는 패널 롤러(15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평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평면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는 이형(free form) 형상일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 권출된다. 백 커버(2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 방향에 구비되어 연성 표시패널(100)을 지지한다. 백 커버(200)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함께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 권출된다.
연성 표시패널(100) 및 백 커버(200)의 권취가 시작되는 영역에서,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과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은 상호 고정된다. 이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백 커버(200)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상호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은 패널 롤러(150)에 고정된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이 고정된 패널 롤러(150)의 일 영역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가 시작되는 영역이다. 이를 위해,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측 끝단과 패널 롤러(150) 사이 또는 백 커버(200)의 일측 끝단과 패널 롤러(150) 사이에는,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 부재 혹은 고정 부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연성 자석(250)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대향하는 백 커버(200)의 일면에 고정된다. 연성 자석(250)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 구비되어,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시 발생하는 길이 편차에 대응한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로부터 권출되는 경우, 연성 자석(250)의 자력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0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않고, 연성 표시패널(100)이 백 커버(200) 표면 상에서 국부적으로 들뜨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탄성 구조체(400)를 더 포함한다.
도 15를 더 참조하면, 탄성 구조체(400)는 고정 베이스 부재(401), 슬라이더(410), 제2 탄성부재(420)를 포함한다. 탄성 구조체(4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탄성 구조체(400)들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탄성 구조체(400)의 개수 및/또는 이웃하는 탄성 구조체(400)들의 간격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크기 및 자중, 제2 탄성부재(420)의 허용 하중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탄성 구조체(400)들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한다.
고정 베이스 부재(401)는 벽과 같이 움직이지 않는 고정체(50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 베이스 부재(401)는 벽면, 지면 등 임의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베이스 부재(401)는 벽에 고정된 프레임(503)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베이스 부재(401)는 슬라이더(4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 홈(403)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403)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더(410)의 슬라이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더(410)는 가이드부(411) 및 체결부(415)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11) 및 체결부(415)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411)는 고정 베이스 부재(401)에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가이드부(411)는 가이드 홈(403)에 이동 가능하게 인입되는 가이드 돌기(413)를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413)는 가이드 홈(403)에 인입되어, 가이드 홈(40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더(410)의 움직임이 가이드 홈(403)의 연장 방향으로 제한됨을 의미한다.
체결부(415)의 일단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 배치되며, 연성 표시패널(100)에 고정된다. 이는, 슬라이더(410)와 연성 표시패널(100)이 연결되어, 서로 연동됨을 의미한다.
체결부(415)의 타단에는 데이터 PCB(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415)의 일단에 고정된 연성 표시패널(100)과 체결부(415)의 타단에 고정된 데이터 PCB(20)가 서로 연동되기 때문에, 연성 표시패널(100)과 데이터 PCB(20)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2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데이터 PCB(20)와 연결되는 콘트롤 보드(30)는 고정체(50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20)는 Z축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420)는 가이드부(411)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4)에 이동 및 변형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414)는 고정 베이스 부재(401)에 구비된 인입홈(404)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체결된다. 인입홈(404)은 고정 베이스 부재(401)의 어느 일 영역에서 돌출부(4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Z축 방향으로 함몰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고, Z축 방향으로 관통된 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탄성부재(420)가 돌출부(41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414) 및/또는 인입홈(404)의 어느 일 영역에는 스토퍼(stopp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인입홈(404)으로부터 돌출부(414)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부(414)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제2 탄성부재(420)는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슬라이더(410)가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압축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20)는 슬라이더(410)에 제공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410)는 제2 탄성부재(42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 16 및 도 17은 Outer rolling의 경우, 롤러블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 및 도 19는 Inner rolling의 경우, 롤러블 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장치는 Outer rolling 방식으로 구현된다. 탄성 구조체(400)는 제2 탄성부재(420)를 포함하며, 제2 탄성부재(42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길이 편차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에서 벗어난 정도(또는, 크기)를 의미한다.
일 예로, 제2 탄성부재(42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압축 스프링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의 길이 편차가 증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압축되며,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의 길이 편차가 감소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420)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연동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①) 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1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②) 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될수록,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가 점차 커진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슬라이더(410)는 점차 하강(③)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2 탄성부재(420)는 점차 압축(④)된다.(도 16)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로부터 권출(①') 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2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②') 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로부터 권출될수록,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가 점차 줄어든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슬라이더(410)는 점차 상승(③')하고, 제2 탄성부재(420)는 점차 복원(④')된다. 이는, 제2 탄성부재(42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410)가 상승하고, 이에 연동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을 당기는 힘이 연성 표시패널(100)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도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장치는 Inner rolling 방식으로 구현된다. 탄성 구조체(400)는 제2 탄성부재(420)를 포함하며, 제2 탄성부재(42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탄성부재(42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압축 스프링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의 길이 편차가 증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탄성 복원되며,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의 길이 편차가 감소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압축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420)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연동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①) 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2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②) 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를 따라 권취될수록,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가 점차 커진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슬라이더(410)는 점차 상승(③)하고, 제2 탄성부재(420)는 복원(④)된다. 이는, 제2 탄성부재(42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410)가 상승하고, 이에 연동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을 당기는 힘이 연성 표시패널(100)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도 18)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의 둘레로부터 권출(①') 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자석(250)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200)의 표면을 따라 제1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②') 된다.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패널 롤러(150)로부터 권출될수록,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가 점차 줄어든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타측 끝단과 백 커버(200)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슬라이더(410)는 점차 하강(③')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2 탄성부재(420)는 점차 압축(④')된다.(도 19)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탄성 구조체(400)를 더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권취 및 권출 시 연성 표시패널(100)의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연성 자석(250)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들뜨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2는 AR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지지 구조체(700)를 더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700)는 백 커버(200)의 측변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측변은, 연성 표시패널(100)과 백 커버(200)가 권취 및 권출 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변을 의미한다.
지지 구조체(700)와 백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에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측변이 인입된다. 즉, 지지 구조체(7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전면 가장자리와 연성 표시패널(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연성 표시패널(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움직임이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및 권출 방향으로 제한됨을 의미한다.
지지 구조체(700)는 프론트 바디(701)와, 미들 바디(705)를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701)는 연성 표시패널(100)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200)와 대향 배치된다. 미들 바디(705)는 프론트 바디(701)와 백 커버(200) 사이에 배치되어, 프론트 바디(701)를 백 커버(200)에 고정시킨다. 프론트 바디(701), 미들 바디(705), 백 커버(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 분리 형성된 후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프론트 바디(701), 미들 바디(705), 백 커버(200)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바디(701), 미들 바디(705), 백 커버(20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바디(701)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Superelastic Nitinol Alloy)을 포함할 수 있다.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시 탄성 계수가 낮아져 연성 표시패널(100)과 함께 권취가 용이하다. 또한,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출 시 탄성 계수가 커져 복원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연성 표시패널(100)과 함께 플랫한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다.
도 22를 더 참조하면. 지지 구조체(700)는 n(n은 2 이상의 정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702)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세그먼트(702)들은 권취 방향(z축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702)들은 권취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세그먼트 형태로 분할된 지지 구조체(700)를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및 권출 동작이 제한되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3의 (a)를 더 참조하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 사이에는 제3 탄성부재(707)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707)는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제3 탄성부재(707)의 일단은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707)는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탄성 운동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707)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1> 좀더 구체적으로,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 사이의 간격은 연성 표시패널(100)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할수록 좁아진다. 즉,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 사이의 간격은,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취될수록 넓어지고,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출될수록 좁아진다.
연성 표시패널(100)이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3 탄성부재(707)는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제3 탄성부재(707)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연성 표시패널(100)이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3 탄성부재(707)는 탄성 변형된다. 이는, 제공된 외력에 의해 제3 탄성부재(707)가 인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제3 탄성부재(707)에는 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원력이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서로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을 제3 탄성부재(707)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하는 경우 혹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이 수월하게 플랫한 상태를 갖거나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하는 경우 혹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웃하는 세그먼트들(702a, 702b) 사이에 정확한 얼라인(align)이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3의 (b) 및 (c)를 더 참조하면, 모든 세그먼트(702)들이 적어도 하나의 제3 탄성부재(707)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탄성부재(707)는 어느 일부 영역의 이웃하는 세그먼트(702)들 사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어느 일부 영역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일부 영역들은 공간적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장치는 하우징(600)을 갖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하우징(600)은 수납부의 외형을 결정한다. 하우징(600)의 내부에는 패널 롤러(15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600)의 내부 공간에는 패널 롤러(1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600)은 내부 공간을 개방하는 슬롯(600a)을 더 포함한다. 슬롯(600a)은 하우징(600)에서 개방된 일 영역을 의미하며, 연성 표시패널(100)이 인입, 인출되는 입구로써 기능한다. 슬롯(600a)은 연성 표시패널(100)이 용이하게 인입, 인출될 수 있는 기 설정된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6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600)은 그 내부 공간에 패널 롤러(150)와 같은 구조물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패널 롤러(150)에 권취 및 권출되는 연성 표시패널(100)은, 슬롯(600a)을 통해 외부로 나오거나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연성 표시패널(100)에는 슬롯(600a)을 정의하는 절단면들 중 적어도 일부와의 충돌 및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슬롯(600a)을 정의하는 절단면들 중 연성 표시패널(100)의 인입 및 인출 시 연성 표시패널(100)과 접촉되는 절단면(601)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인입 및 인출 시 연성 표시패널(100)과 하우징(600)의 절단면(601)이 충돌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수납부는 국부적 강성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공되는 외력에 취약한 하우징(6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다른 영역 대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하우징(600)이 깨지거나, 휘거나, 비틀리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600)의 일부 영역에 제공되는 외력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인입 및 인출 시 연성 표시패널(100)이 하우징(600)에 접촉되면서 하우징(600)에 제공하는 압축, 굽힘, 비틀림 등의 외력일 수 있다.
하우징(60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1 부분(P1)(portion)과, 제2 부분(P2)을 포함한다. 제1 부분(P1)은 슬롯(600a)을 정의하는 절단면들 중 연성 표시패널(100)과 접촉되는 절단면(601)과 인접한 일부 영역이다. 제1 부분(P1)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인입 및 인출 시 연성 표시패널(100)을 통해 제공되는 외력에 취약한 영역이다. 제2 부분(P2)은 연성 표시패널(100)에 의한 외력에 취약하지 않은 영역이다.
국부적 강성 구조는 제1 부분(P1)의 두께(t1)를 제2 부분(P2)의 두께(t2) 대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국부적 강성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연성 표시패널(100)을 통해 제공되는 압축, 굽힘, 비틀림 등의 외력에 의해, 하우징(600)이 깨지거나, 휘거나, 비틀리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연성 표시패널 150 : 패널 롤러
200 : 백 커버 250 : 연성 자석
300 : 제1 탄성부재 400 : 탄성 구조체

Claims (16)

  1. 권취 및 권출 가능한 연성 표시패널;
    일측 끝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연성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자석은 상기 백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백 커버에 고정된 상기 연성 자석은 상기 연성 표시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2. 권취 및 권출 가능한 연성 표시패널;
    일측 끝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연성 자석을 포함하고,상기 연성 자석은,
    복수 개로 분할되고,
    상기 이웃하는 연성 자석들 사이의 간격, 상기 연성 자석들의 자력 세기, 및 상기 연성 자석들의 배치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롤러블 표시장치.
  3. 권취 및 권출 가능한 연성 표시패널;
    일측 끝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연성 자석을 포함하고,일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백 커버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권취 및 권출 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과 상기 백 커버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취될 때 상기 길이 편차의 증가에 대응하여 인장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출될 때 상기 길이 편차의 감소에 대응하여 복원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타측 끝단에 고정된 하중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중 바에 연결된 롤러블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에 고정된 보조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보조 바에 연결된 롤러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취 및 권출되는 패널 롤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8. 권취 및 권출 가능한 연성 표시패널;
    일측 끝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연성 자석을 포함하고,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 및 상기 백 커버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가 권취 및 권출되는 패널 롤러;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탄성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탄성 구조체는,
    기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 부재;
    상기 고정 베이스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에 고정된 슬라이더;
    일단이 상기 고정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권취 및 권출 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타측 끝단과 상기 백 커버의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편차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전면(前面) 및 전면과 반대되는 배면(背面)을 가지며, 연성 표시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권취(Outer rolling)되고,
    상기 길이 편차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취될수록 증가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출될수록 감소하며,
    상기 길이 편차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는 하강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압축되며,
    상기 길이 편차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복원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승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전면 및 전면과 반대되는 배면을 가지며, 연성 표시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권취(Inner rolling)되고,
    상기 길이 편차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취될수록 증가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출될수록 감소하며,
    상기 길이 편차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복원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승하며,
    상기 길이 편차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는 하강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압축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11. 권취 및 권출 가능한 연성 표시패널;
    일측 끝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연성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권취 및 권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백 커버의 측변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전면 가장자리와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측면을 감싸는 지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백 커버와 대향하는 프론트 바디; 및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미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바디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Superelastic Nitinol Alloy)을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분할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들은,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권취 및 권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열된 롤러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이웃하는 세그먼트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웃하는 세그먼트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5. 권취 및 권출 가능한 연성 표시패널;
    일측 끝단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함께 권취 및 권출되는 백 커버;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연성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가 권취 및 권출되는 패널 롤러; 및
    상기 패널 롤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방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 및 상기 백 커버가 인입 및 인출되는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을 정의하는 절단면들 중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인입 및 인출 시 상기 연성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절단면은 기 설정된 곡률을 갖는 롤러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롯을 정의하는 절단면들 중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인입 및 인출 시 상기 연성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상기 절단면과 인접한 영역이고, 상기 제2 부분 보다 두꺼운 롤러블 표시장치.
KR1020160076583A 2016-06-20 2016-06-20 롤러블 표시장치 KR10248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583A KR102484505B1 (ko) 2016-06-20 2016-06-20 롤러블 표시장치
US15/375,022 US10617017B2 (en) 2016-06-20 2016-12-09 Rollable display
JP2016249206A JP6251799B1 (ja) 2016-06-20 2016-12-22 ローラブル表示装置
TW105143679A TWI648714B (zh) 2016-06-20 2016-12-28 可捲式顯示器
CN201611273055.5A CN107527552B (zh) 2016-06-20 2016-12-30 显示器
EP16207579.0A EP3261084B1 (en) 2016-06-20 2016-12-30 Rolla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583A KR102484505B1 (ko) 2016-06-20 2016-06-20 롤러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112A KR20170143112A (ko) 2017-12-29
KR102484505B1 true KR102484505B1 (ko) 2023-01-05

Family

ID=5779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583A KR102484505B1 (ko) 2016-06-20 2016-06-20 롤러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17017B2 (ko)
EP (1) EP3261084B1 (ko)
JP (1) JP6251799B1 (ko)
KR (1) KR102484505B1 (ko)
CN (1) CN107527552B (ko)
TW (1) TWI6487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262B2 (en) * 2013-03-14 2019-11-19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iRI Systems and methods for replicating vehicular illumination
KR102436558B1 (ko) * 2016-04-28 2022-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527213B1 (ko) * 2016-07-05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726748B2 (en) * 2016-07-21 2020-07-28 Sharp Kabushiki Kaisha Organic EL display device
USD857645S1 (en) * 2016-08-23 2019-08-2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N106711349B (zh) * 2017-01-20 2018-08-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
WO2018179034A1 (ja) * 2017-03-27 2018-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7067981A (zh) * 2017-04-17 2017-08-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移动终端
JP2019132981A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34800B1 (ko) * 2018-02-13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460323B1 (ko) * 2018-03-08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지정된 핀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19180759A1 (ja) * 2018-03-19 2019-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2501909B1 (ko) * 2018-04-20 2023-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8444B1 (ko) * 2018-07-03 2022-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3425B1 (ko)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7484B1 (ko) * 2019-03-15 2023-12-26 주식회사 루멘스 플렉서블 엘이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0347B1 (ko) * 2018-08-09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US11140790B2 (en) 2018-08-20 2021-10-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900761S1 (en) * 2018-08-27 2020-11-0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monitor
US11928989B2 (en) * 2018-09-27 2024-03-12 Sharp Kabushiki Kaisha Rollable display device
JP6828727B2 (ja) * 2018-09-27 2021-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N110956903B (zh) * 2018-09-27 2022-07-22 宏碁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WO2020065990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収容体
WO2020065988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ーラブル電子装置
US20210358346A1 (en) * 2018-09-28 2021-11-18 Sharp Kabushiki Kaisha Rollable electronic device
KR102573780B1 (ko) * 2018-09-28 2023-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TWD200861S (zh) * 2018-10-16 2019-11-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x9 電視機
KR20200046336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9817B1 (ko) * 2018-11-08 2023-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3255B1 (ko) * 2018-11-15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97411B1 (ko) * 2018-11-28 202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6466B1 (ko) * 2018-12-26 2024-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6852B1 (ko) * 2018-12-26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80665A (ko)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48006B1 (ko) * 2019-02-15 202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204214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047384B (zh) * 2019-04-30 2024-02-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0189634B (zh) * 2019-05-27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USD960118S1 (en) * 2019-05-30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KR20210007082A (ko) 2019-07-09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2737A (ko) * 2019-07-26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7058A (ko) * 2019-08-06 2021-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3165A (ko) * 2019-08-22 2021-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9428A (ko) * 2019-09-06 202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049785A1 (ko)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동작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634407B (zh) * 2019-09-26 2021-09-0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卷绕机构和卷绕式显示终端
DE102019126205A1 (de) * 2019-09-27 2021-04-01 Audi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20210041409A (ko) * 2019-10-07 2021-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EP4050589A4 (en) * 2019-10-25 2023-11-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10059329A (ko) * 2019-11-15 202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004898A4 (en) 2019-12-30 2022-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37324A1 (ko) * 2019-12-31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49851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83540B (zh) * 2020-04-30 2022-04-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卷曲显示装置
KR102324562B1 (ko) * 2020-05-07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462633B (zh) * 2020-05-13 2022-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卷曲柔性屏的展平结构和显示装置
USD971865S1 (en) * 2020-07-16 2022-12-06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with frame
CN112002222B (zh) * 2020-08-11 2022-1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32742A (ko) 2020-09-08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52772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86104A (ko) * 2020-12-16 2022-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D977447S1 (en) * 2020-12-22 2023-02-07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with rollable display
CN112802398B (zh) * 2021-01-28 2023-01-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屏及其展开大小的检测方法和电子设备
CN113506512A (zh) * 2021-06-09 2021-10-15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柔性卷绕显示面板架构
JP7340277B2 (ja) 2021-06-18 2023-09-07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TWI807422B (zh) * 2021-09-16 2023-07-01 葉淑惠 工具置放單元
CN114275638B (zh) * 2022-01-19 2023-04-25 无锡星智数服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物流仓储实时监测显示设备
KR20230155148A (ko) * 2022-05-03 2023-1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918A (ja) * 2002-12-20 2004-12-02 Magx Co Ltd シャッター用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807B2 (ja) * 1996-08-22 2000-10-23 株式会社マグエックス シャッター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3532415B2 (ja) * 1998-07-06 2004-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
US7196692B2 (en) * 2002-09-30 2007-03-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put device provided with windable display and foldable keyboard, and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JP2005249828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2006113504A (ja) * 2004-10-12 2006-04-27 Kazunari Tanaka 平面または曲面の収納装置
TWI283377B (en) * 2006-04-18 2007-07-0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KR100781708B1 (ko) 2006-10-1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JP5108293B2 (ja) * 2006-12-20 2012-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KR101472154B1 (ko) * 2007-04-25 2014-12-12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9053649A (ja) * 2007-08-01 2009-03-12 Magx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952873B (zh) 2007-11-21 2014-11-12 创造者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20140237913A1 (en) 2011-09-22 2014-08-28 Shaner Industries, Llc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WM429929U (en) 2011-12-02 2012-05-21 Mastouch Optoelectronics Technologies Co Ltd Touch panel assembly structure and connecting module thereof
KR101903742B1 (ko) 2012-05-22 2018-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80913B1 (ko) * 2012-07-03 2018-07-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912650B1 (en) 2012-10-25 2018-12-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1452871B1 (ko)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348362B2 (en)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CN104378936A (zh) * 2013-08-16 2015-02-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TWI502241B (zh) 2014-04-17 2015-10-01 Wistron Corp 顯示模組及電子裝置
TWI692272B (zh) 2014-05-28 2020-04-21 美商飛利斯有限公司 在多數表面上具有可撓性電子組件之裝置
KR102015398B1 (ko)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TWM494473U (zh) 2014-10-24 2015-01-21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具有散熱結構之顯示模組及手持裝置
KR102342761B1 (ko) 2014-12-0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0869B1 (ko)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0437B1 (ko) 2015-01-13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918A (ja) * 2002-12-20 2004-12-02 Magx Co Ltd シャッター用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1084B1 (en) 2021-09-15
CN107527552B (zh) 2019-11-12
TWI648714B (zh) 2019-01-21
US10617017B2 (en) 2020-04-07
CN107527552A (zh) 2017-12-29
TW201810213A (zh) 2018-03-16
US20170367198A1 (en) 2017-12-21
JP2017227863A (ja) 2017-12-28
EP3261084A1 (en) 2017-12-27
KR20170143112A (ko) 2017-12-29
JP6251799B1 (ja)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505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468289B1 (ko) 롤러블 표시장치
CN107993574B (zh) 可卷绕式显示装置
KR1025785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306752B2 (ja) ローラブル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102120467B1 (ko) 선택적 센싱을 구동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619250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20190036049A1 (en) Display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panel
US10535836B2 (en) Display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panel
KR102404390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20210054822A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1887532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20230070020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79561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