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289B1 - 롤러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289B1
KR102468289B1 KR1020160066553A KR20160066553A KR102468289B1 KR 102468289 B1 KR102468289 B1 KR 102468289B1 KR 1020160066553 A KR1020160066553 A KR 1020160066553A KR 20160066553 A KR20160066553 A KR 20160066553A KR 102468289 B1 KR102468289 B1 KR 10246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rc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060A (ko
Inventor
강춘성
박근창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289B1/ko
Priority to CN201710384398.7A priority patent/CN107452282B/zh
Priority to US15/607,109 priority patent/US10877525B2/en
Publication of KR2017013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 BRC(Bistable Reeled Composite) 부재, 롤러 어셈블리, 및 패널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BRC 부재는, 그 상측 끝단이 연성 표시패널의 상단에 고정된다. 롤러 어셈블리는 BRC 부재의 하측 끝단이 고정된 롤러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다. 롤러 어셈블리는, 모터의 정방향 회전시에 롤러에 BRC 부재가 권취되면서 상승하고, 모터의 역방향 회전시에 롤러로부터 BRC 부재가 권출되면서 하강한다. 패널 가이드부는 롤러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롤러 어셈블리와 함께 승강한다. 롤러 어셈블리 및 패널 가이드부가 상승할 때, 연성 표시패널은 패널 가이드부에 권취된다. 롤러 어셈블리 및 패널 가이드부가 하강할 때, 연성 표시패널은 패널 가이드부로부터 권출된다.

Description

롤러블 표시장치{ROLL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롤러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대화면 양산 기술 수준까지 공정 기술이 발전되어 액정표시장치와 경쟁하면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재료의 종류, 발광방식, 발광구조, 구동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방식에 따라 형광발광, 인광발광으로 나뉠 수 있고, 발광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 Emission) 구조와 배면발광 (Bottom Emission) 구조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구동방식에 따라 PMOLED(Passive Matrix OLED)와 AMOLED(Active Matrix OLED)로 나뉘어질 수 있다.
최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상용화되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라스틱 OLED가 형성된 표시패널의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할 수 있다. 플라스틱 OLED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내구성에 장점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erable) 디스플레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 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표시패널을 감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펴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패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패널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표시패널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물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표시패널이 사용 중에 감길 수 있다. 이러한 기구물의 부재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문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표시패널의 권취, 권출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성 표시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 BRC(Bistable Reeled Composite) 부재, 롤러 어셈블리, 및 패널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BRC 부재는, 그 상측 끝단이 연성 표시패널의 상단에 고정된다. 롤러 어셈블리는 BRC 부재의 하측 끝단이 고정된 롤러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다. 롤러 어셈블리는, 모터의 정방향 회전시에 롤러에 BRC 부재가 권취되면서 상승하고, 모터의 역방향 회전시에 롤러로부터 BRC 부재가 권출되면서 하강한다. 패널 가이드부는 롤러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롤러 어셈블리와 함께 승강한다. 롤러 어셈블리 및 패널 가이드부가 상승할 때, 연성 표시패널은 패널 가이드부에 권취된다. 롤러 어셈블리 및 패널 가이드부가 하강할 때, 연성 표시패널은 패널 가이드부로부터 권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 BRC 부재, 롤러 어셈블리, 및 패널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BRC 부재는, 그 상측 끝단이 연성 표시패널의 상단에 고정된다. 롤러 어셈블리는 BRC 부재의 하측 끝단이 고정된 롤러와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다. 패널 가이드부는 연성 표시패널의 하단에 연결된다. 연성 표시패널은, 모터의 정방향 회전시에 롤러에 BRC 부재가 권취되면서 하강하고, 모터의 역방향 회전시에 롤러로부터 BRC 부재가 권출되면서 상승한다. 연성 표시패널은, 연성 표시패널이 하강할 때 패널 가이드부에 권취되고, 연성 표시패널이 상승할 때 패널 가이드부로부터 권출된다.
본 발명은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롤러 어셈블리 및 BRC(Bistable Reeled Composite)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을 플랫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BRC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의 흔들림, 비틀림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은 다른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BRC 부재들은 연성 표시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구조물들과의 기구적 간섭을 피해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RC 부재들을 승강시킴으로써, 적어도 두 개 이상의 BRC 부재들의 상호 간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BRC 부재들의 이동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롤러블 표시장치의 구동 안정성 및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픽셀 내 회로 구성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및 도 7은 롤러 어셈블리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BRC 부재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롤러 어셈블리의 구성예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패널 가이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롤러 어셈블리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및 도 17은 롤러 어셈블리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양자점 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QDD) 등의 표시장치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롤러블 표시장치가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픽셀 내 회로 구성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1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연성 표시패널(1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4) 및 타이밍 콘트롤러(16)를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연성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에 기입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6)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은 데이터 배선들(D1~Dm)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배선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을 선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6)는 호스트 시스템(19)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4)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데이터 구동회로(1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텔레비젼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9)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연성 표시패널(10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타이밍 콘트롤러(16)로 전송한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 배선들(D1~Dm, m은 양의 정수)과 게이트 배선들(G1~Gn, n은 양의 정수)에 의해 정의된 픽셀 영역에 형성된 픽셀들을 포함한다. 픽셀들 각각은 자발광 소자인 OLED를 포함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에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들(D)과, 다수의 게이트 배선들(G)이 교차되고, 이 교차영역마다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픽셀 각각은 OLED, 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DT),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셋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밍부(SC)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부(S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TFT는 게이트 배선(G)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 배선(D)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일측 전극에 인가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OLED의 발광량을 조절한다. OLED의 발광량은 구동 TFT(D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비례한다. 이러한 픽셀은 고전위 전압원(EVDD)과 저전위 전압원(EVSS)에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원 발생부로부터 각각 고전위 전원 전압과 저전위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픽셀을 구성하는 TFT들은 p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픽셀을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아몰포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OLED는 애노드 전극(ANO), 캐소드 전극(CAT), 및 애노드 전극(ANO)과 캐소드 전극(CAT) 사이에 개재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구동 TFT(DT)와 접속된다.
도 3를 더 참조하면, 픽셀은 6T (Transistor) 1C (Capacitor)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픽셀 구성이 6T 1C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구동 TFT를 이용하여 O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모든 OLED 픽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픽셀에 포함된 TFT가 p 타입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FT는 타입에 따라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위치가 다를 수 있는바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를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명명한다.
제1 TFT(T1)는 제1a 게이트 배선(GL1a)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데이터 배선(DL1)에 연결된 제1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일단에 연결된 제2전극을 포함한다. 제1 TFT(T1)는 제1a 게이트 신호(SCAN1)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배선(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TFT(T2)는 제1b 게이트 배선(GL1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구동 TFT(DT)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구동 TFT(DT)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TFT(T2)는 제1b 게이트 신호(SCAN2)에 응답하여 구동 TFT(DT)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전극 노드를 다이오드 커넥션 상태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제3 TFT(T3)는 제1c 게이트 배선(GL1c)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기준 전압 배선(VREF)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3 TFT(T3)는 제1c 게이트 신호(EM)에 응답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일단에 기준 전압(Vref)(또는, 보상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4 TFT(T4)는 제1c 게이트 배선(GL1c)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구동 TFT(DT)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4 TFT(T4)는 제1b 게이트 신호(SCAN2)에 응답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구동 전류를 전달하고, 이를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5 TFT(T5)는 제1b 게이트 배선(GL1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기준 전압 배선(VREF)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5 TFT(T5)는 제1b 게이트 신호(SCAN2)에 응답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의 타단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또는, 고전위 전압원)(EVDD)에 연결된 제1 전극, 제4 TFT(T4)의 제1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g)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전압에 응답하여 턴 온 되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할 구동 전류를 생성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4 TFT(T4)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제2 전원(또는, 저전위 전압원)(EVSS)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4 TFT(T4)를 통해 전달된 구동 전류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한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은 타이밍 콘트롤러(16), 데이터 구동회로(12), 스캔 구동회로(14) 등(전원 발생부 등은 미도시함)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어 모듈화된다.
스캔 구동회로(14)는 GIP 방식으로 연성 표시패널(100)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을 용이하게 권취 및 권출 하기 위해 표시영역(AA)의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스캔 구동회로(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20)은 제1 연결 부재(25)를 통해 연성 표시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부재(25)는 데이터 구동회로(12)가 실장된 COF(Chip On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25)는 TCP(Tape Carrier Package) 방식으로 구현되어 데이터 PCB(20)와 연성 표시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 PCB(20)는 제2 연결 부재(35)를 통해 콘트롤 보드(30)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부재(35)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콘트롤 보드(30)에는 타이밍 콘트롤러(16) 등이 실장된다. 제2 연결 부재(35)는 FFC(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트롤 보드(30)는 호스트 시스템(19), 전원 발생부 등과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및 도 7은 롤러 어셈블리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BRC 부재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롤러 어셈블리의 구성예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는 패널 가이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100),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200), BRC(Bistable Reeled Composite) 부재(300), 및 패널 가이드부(400)를 포함한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표시 영역을 통해 연성 표시패널(1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전면(前面)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면을 의미한다. 반대로,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背面)은 사용자가 표시 영역을 인식할 수 없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전면과 반대되는 방향의 일면을 의미한다.
도면에서는, 연성 표시패널의 평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성 표시패널의 평면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는 이형(free form) 일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권취, 권출될 수 있다. 즉, 연성 표시패널에는, 소정의 연성이 부여되어, 감거나(rolling, 또는 winding), 펴는(unrolling, 또는 unwinding) 동작이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권취(Inner rolling)될 수 있고,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 방향으로 권취(Outer rolling)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성 표시패널(100)이 전면 방향으로 권취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감기거나 풀려,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취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표시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외부에서 표시 영역을 인식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는, 표시 장치가 오프(OFF)되어, 입력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2 상태에서, 연성 표시패널(100)은 대략 플랫(flat)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연성 표시패널(100)의 표시 영역을 인지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표시 장치가 온(ON)되어,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연성 표시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백 커버(1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백 커버(11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을 지지하며, 연성 표시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한다. 백 커버(110)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롤러 어셈블리(2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하단에 구비된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구동부(210), 승강부(250)를 포함한다. 구동부(210)는 제1 롤러(215) 및 제1 롤러(215)를 구동하는 모터(211)를 포함한다. 모터(211)는 제1 롤러(215) 내부에 마련된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모터(211)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내장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211)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 롤러(215)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롤러(215)는 모터(2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부(250)는 하우징(251), 및 하우징(2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롤러(255)를 포함한다. 승강부(250)는 구동부(210)에 연결되어 구동부(2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즉, 제2 롤러(255)는 제1 롤러(215)와 연결되고, 제1 롤러(2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제2 롤러(255)는 제1 롤러(215)와 한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 제1 롤러(215)와 제2 롤러(255)는 분리 형성되어 서로 체결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BRC 부재(300)의 상측 끝단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단에 고정된다. BRC 부재(300)의 하측 끝단은 제2 롤러(255)에 고정된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단에는 BRC 부재(300)의 상측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프레임(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제2 롤러(255)의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펴질 수 있다. 즉, 제2 롤러(255)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정방향으로 회전(①)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에 권취(②)되고, 제2 롤러(255)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회전(③)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로부터 권출(④)된다.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의 회전 운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롤러(25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에 권취되고, 이에 연동하여 롤러 어셈블리(200)는 상승한다. 제2 롤러(25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로부터 권출되고, 이에 연동하여 롤러 어셈블리(200)는 하강한다. 즉, 롤러 어셈블리(200)는 BRC 부재(300)의 권취, 권출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BRC 부재(300)가 폭 방향(WD)으로 펴진(flat)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길이 방향(LD)으로 감겨진다. 반대로, BRC 부재(300)가 폭 방향(WD)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길이 방향(LD)으로 강성을 가지므로 길이 방향으로 펴진다. BRC 부재(300)의 길이 방향(LD)으로의 강성은, BRC 부재(300)의 폭 방향(WD)으로 구부러진 정도와 관계된다. 요구되는 강성을 얻기 위해, BRC 부재(300)가 폭 방향(WD)으로 구부러지는 정도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BRC 부재(300)를 폭 방향(WD)으로 펴거나 구부리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BRC 부재(300)의 길이 방향(LD)으로의 상태 변경(즉, 권취, 권출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BRC 부재(300)를 폭 방향으로 펴거나 구부리는 동작은 기구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동작은 제2 롤러(255), 및 상부 프레임(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BRC 부재(300)의 하측 끝단은 폭 방향으로 펴진 상태로 제2 롤러(255)에 고정되기 때문에,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의 둘레를 따라 권취되면서 폭 방향으로 펴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BRC 부재(300)의 상측 끝단을 폭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BRC부재는 제2 롤러(255)로부터 권출되면서 폭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2 롤러(255)로부터 권출되면서 폭 방향으로 구부러진 BRC 부재(300)의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을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00)은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 동작은 서포터(265)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포터(265)는 하우징(251)에 체결될 수 있다. 서포터(265)는, BRC 부재(300)가 하우징(25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서포터(265)는, BRC 부재(300)의 권출 시 BRC 부재(300)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질수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서포터(265)를 지나면서 폭 방향으로 구부러진 BRC 부재(300)의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을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00)은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서포터(265)는 BRC 부재(300)를 폭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265)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의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제2 롤러(255)로부터 BRC 부재(300)가 권출 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서포터(265)의 관통홀을 지나면서 폭 방향으로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BRC 부재(300)는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00)을 배면에서 지지하고,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00)의 모든 방향으로의 흔들림 및 비틀림을 구속 및 제한한다. 이에 따라, 연성 표시패널(100) 중 권출된 부분은 다른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도 9를 더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승강부(250)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의 승강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승강부(250)에 각각 연결된 BRC 부재(300)들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 방향에서 기 설정된 간격(D) 만큼 이격되어 구비된다. 기 설정된 간격(D)은,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00)의 흔들림, 비틀림을 구속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BRC 부재(300)들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구조물들과의 기구적 간섭을 피해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BRC 부재(300)만이 구비되는 경우에 BRC 부재(300)가 반드시 연성 표시패널(100)의 중앙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과는 달리,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의 모터(211)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RC 부재(300)들을 구동시킴으로써, BRC 부재(300)들의 상호 간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의 모터(211)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RC 부재(300)들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BRC 부재(300)들의 이동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블 표시장치의 구동 안정성 및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더 참조하면, 패널 가이드부(4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하단에 구비된다. 패널 가이드부(400)는 롤러 어셈블리(200)와 연결되어, 롤러 어셈블리(200)와 함께 승강한다. 롤러 어셈블리(200)와 패널 가이드부(400)는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의 베이스 부재(19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 및 패널 가이드부(400)가 상승할 때 연성 표시패널(100)이 패널 가이드부(400)에 권취되고, 롤러 어셈블리(200) 및 패널 가이드부(400)가 하강할 때 연성 표시패널(100)이 패널 가이드부(400)로부터 권출된다.
패널 가이드부(400)는 하우징(401), 가이드 레일(403), 가이드 샤프트(405), 및 가이드 롤러(415)를 포함한다. 하우징(401)은 패널 가이드부의 외형을 결정한다. 가이드 레일(403)은 패널 가이드부(40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03)은 나선 형상(또는, 코일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403)은 가이드 샤프트(405)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
가이드 샤프트(405)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권취되는 중심축(AX1)(이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 샤프트(405)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하단에 고정된다. 가이드 샤프트(405)의 양단은 각각 가이드 레일(403)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가이드 샤프트(405)의 양단에는 가이드 레일(403)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405a)이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405)는 가이드 레일(403)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샤프트(405)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가이드 레일(403)의 궤적을 따라 권취, 권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 레일(403)에는, 가이드 샤프트(405)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베어링(405a)만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403)에는 베어링(405a)이 인입되어 가이드 레일(403)의 궤적에 따라 연성 표시패널(100)을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403)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컴팩트한 패널 가이드부(400)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패널 가이드부(400)는 롤러 어셈블리(200)의 상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승강되며, 이에 연동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은 가이드 레일(403)의 궤적을 따라 권취, 권출된다. 즉, 롤러 어셈블리(200)와 패널 가이드부(400)가 상승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가이드 레일(403)의 궤적을 따라 권취되고, 롤러 어셈블리(200)와 패널 가이드부(400)가 하강하는 경우 연성 표시패널(100)은 가이드 레일(403)의 궤적을 따라 권출된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중심축(AX1) 방향으로 가이드 샤프트(405)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405)보다 중심축(AX1) 방향으로 더 돌출된 연성 표시패널(100)의 하단 양측은 가이드 롤러(415)와 접촉된다. 가이드 롤러(415)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권출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가이드 롤러(415)의 회전축과 중심축(AX1)은 나란하다. 가이드 롤러(415)는, 연성 표시패널(100)이 가이드 레일(403)을 따라 원활하게 권취, 권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가이드 레일(403)이 나선형 구조를 가지므로, 연성 표시패널(100)이 가이드 레일(403)을 따라 권취 및 권출될 때, 연성 표시패널(100)의 하단과 중심축(AX1)과의 거리가 변한다. 패널 가이드부(400) 내에 콘트롤 보드(40, 도 4)가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면,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단과 중심축(AX1)과의 거리 변화는 연성 표시패널(100)과 콘트롤 보드(40, 도 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오픈(open) 불량과 같은 의도치 않은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콘트롤 보드(40, 도 4)와 연성 표시패널(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더(4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더(411)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일단과 중심축(AX1)과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권취, 권출 동작이 원활하도록 연성 표시패널(100)에 일정한 텐션(tension)을 가할 수 있는 토션(torsion) 스프링(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413)은 중심축(AX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롤러 어셈블리의 체결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롤러 어셈블리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부(210)는 모터(211) 및 제1 롤러(215)를 포함한다. 모터(211)는 튜블러 모터(211)(tubular mo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터(211)는 제1 롤러(2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모터(211)와 제1 롤러(215)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213)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롤러(215)는 모터(2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롤러(215)의 양측에는 구동부(210)와 승강부(2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bracket)(217)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210)가 완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승강부(250)는 하우징(251), 제2 롤러(255), BRC 부재(300), 서브 롤러(261), 및 서포터(265)를 포함한다. 하우징(251)은 베이스 부재(190) 상에 구비된다. 하우징(251)의 내측에는 제2 롤러(255)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2 롤러(255)의 회전 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2 롤러(255)와 하우징(25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257)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롤러(255)의 적어도 일측은 제1 롤러(215)와 체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제2 롤러(255)는 제1 롤러(215)와 한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 제1 롤러(215)와 제2 롤러(255)는 분리 형성되어 서로 체결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BRC 부재(300)의 일단은 제2 롤러(255)의 권취면에 고정된다. 제2 롤러(255)의 권취면에 고정된 BRC 부재(300)의 일단은, 폭 방향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제2 롤러(255)의 둘레를 따라 권취, 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롤러(261)는 BRC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제2 롤러(255)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BRC 부재(300)의 일면은 제2 롤러(255)의 권취면과 접촉되고, BRC 부재(300)의 타면은 서브 롤러(261)의 권취면과 접촉된다. 제2 롤러(255)의 회전 운동에 의해 BRC 부재(300)가 제2 롤러(255)의 둘레를 따라 권취되며, BRC 부재(300)의 권취 동작에 연동하여 서브 롤러(261)는 회전한다. 제2 롤러(255)의 회전축과 서브 롤러(261)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하며, 제2 롤러(255)와 서브 롤러(26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서브 롤러(261)는 BRC 부재(300)가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롤러(255)를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서브 롤러(261)는 BRC 부재(300)가 제2 롤러(255)의 둘레를 따라 원활하게 권취, 권출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서포터(265)는 하우징(251)에 체결되어, BRC 부재(300)의 연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서포터(265)는, BRC 부재(300)가 선택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서포터(265)는 BRC 부재(300)의 권출 시 BRC 부재(300)가 폭 방향으로 구부러질수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RC 부재(300)는 서포터(265)를 통과하면서, 길이 방향으로의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고 선택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250)가 완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완성된 구동부(210)와 승강부(250)는 서로 체결된다. 즉, 구동부(210)의 제1 롤러(215)는 승강부(250)의 제2 롤러(255)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승강부(250)들이 하나의 구동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BRC 부재(300)가 연결된 롤러 어셈블리(200)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롤러 어셈블리(200)를 구성 별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롤러 어셈블리(200), 패널 가이드부(400), 연성 표시패널(100)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 관리, 보수에 유리한 이점이 있으며,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동부(210)에 구비되는 승강부(250)의 개수 변경이 용이하고, 복수의 승강부(250)들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및 도 17은 롤러 어셈블리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표시장치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BRC 부재(300)의 승강에 따라 롤러 어셈블리(200) 및 패널 가이드부(400)가 승강하는 구조로 구현(제1 실시예)될 수 있으나, 롤러 어셈블리(200) 및 패널 가이드부(400)가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BRC 부재(300)의 승강에 따라 연성 표시패널(100)이 승강하는 구조로 구현(제2 실시예)될 수도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은 감기거나 풀려,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연성 표시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하단에 구비된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19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구동부(210), 승강부(250)를 포함한다. 구동부(210)는 제1 롤러(215) 및 제1 롤러(215)를 구동하는 모터(211)를 포함한다. 모터(211)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 롤러(215)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롤러(215)는 모터(2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부(250)는 하우징(251), 및 하우징(2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롤러(255)를 포함한다. 승강부(250)는 구동부(210)에 연결되어 구동부(2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즉, 제2 롤러(255)는 제1 롤러(215)와 연결되고, 제1 롤러(2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BRC 부재(300)의 상측 끝단은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단에 고정된다. BRC 부재(300)의 하측 끝단은 제2 롤러(255)에 고정된다. 연성 표시패널(100)의 상단에는 BRC 부재(300)의 상측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프레임(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제2 롤러(255)의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펴질 수 있다. 즉, 제2 롤러(255)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정방향으로 회전(①)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에 권취(②)되고, 제2 롤러(255)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회전(③)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로부터 권출(④)된다.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의 회전 운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롤러(25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에 권취되고, 이에 연동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은 하강한다. 제2 롤러(25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BRC 부재(300)는 제2 롤러(255)로부터 권출되고, 이에 연동하여 연성 표시패널(100)은 상승한다. 즉, 연성 표시패널(100)는 BRC 부재(300)의 권취, 권출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할 수 있다.
패널 가이드부(400)는 연성 표시패널(100)의 하단에 구비된다. 패널 가이드부(400)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19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00)이 하강할 때, 연성 표시패널(100)은 패널 가이드부(400)에 권취되고, 연성 표시패널(100)이 상승할 때 연성 표시패널(100)은 패널 가이드부(400)로부터 권출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연성 표시패널 200 : 롤러 어셈블리
210 : 구동부 211 : 모터
215 : 제1 롤러 250 : 승강부
255 : 제2 롤러 261 : 서브 롤러
300 : BRC 부재 400 : 패널 가이드부
403 : 가이드 레일 405 : 가이드 샤프트
405a : 베어링 415 : 가이드 롤러

Claims (13)

  1. 연성 표시패널;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폭보다 작은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상단에 상측 끝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BRC(Bistable Reeled Composite) 부재;
    상기 BRC 부재의 하측 끝단이 고정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가지며,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시에 상기 롤러에 상기 BRC 부재가 권취되면서 상승하고 상기 모터의 역방향 회전시에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BRC 부재가 권출되면서 하강하는 롤러 어셈블리; 및
    상기 롤러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 어셈블리와 함께 승강하는 패널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가이드부가 상승할 때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상기 패널 가이드부에 권취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가이드부가 하강할 때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상기 패널 가이드부로부터 권출되며,
    상기 BRC 부재는 상기 롤러에 폭방향으로 펴진 상태로 권취되고 상기 롤러로부터 폭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권출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2. 연성 표시패널;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폭보다 작은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상단에 상측 끝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BRC 부재;
    상기 BRC 부재의 하측 끝단이 고정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롤러 어셈블리;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하단에 연결된 패널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은,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시에 상기 롤러에 상기 BRC 부재가 권취되면서 하강하고 상기 모터의 역방향 회전시에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BRC 부재가 권출되면서 상승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은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하강할 때 상기 패널 가이드부에 권취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상승할 때 상기 패널 가이드부로부터 권출되며,
    상기 BRC 부재는 상기 롤러에 폭방향으로 펴진 상태로 권취되고 상기 롤러로부터 폭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권출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RC 부재는 복수 개이고,
    어느 하나의 BRC 부재는 다른 하나의 BRC 부재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롤러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BRC 부재들은,
    하나의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RC 부재의 하측 끝단은,
    상기 롤러에 폭방향으로 펴진 상태로 고정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상단에 구비된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BRC 부재의 상측 끝단을 폭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연성 표시패널의 상단에 고정시키는 롤러블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BRC 부재의 상측 끝단이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그 형상이 기 설정된 곡률을 갖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BRC 부재는,
    상기 서포터를 지나면서, 폭방향으로 상기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구부러지는 롤러블 표시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와 상기 BRC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BRC 부재의 권취, 권출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롤러의 회전 축은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서로 나란한 롤러블 표시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가이드부는,
    나선형의 궤적을 갖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권취되는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궤적을 따라 상기 연성 표시패널을 가이드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보다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더 길게 구비되고,
    상기 패널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보다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연성 표시패널의 하단과 접촉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중심축은 나란한 롤러블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 양단에 구비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궤적에 따라 상기 연성 표시패널을 가이드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와 상기 패널 가이드부가 고정된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BRC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강성을 유지하여 연성 표시패널을 배면에서 지지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KR1020160066553A 2016-05-30 2016-05-30 롤러블 표시장치 KR10246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53A KR102468289B1 (ko) 2016-05-30 2016-05-30 롤러블 표시장치
CN201710384398.7A CN107452282B (zh) 2016-05-30 2017-05-26 可卷绕显示器
US15/607,109 US10877525B2 (en) 2016-05-30 2017-05-26 Rolla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53A KR102468289B1 (ko) 2016-05-30 2016-05-30 롤러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060A KR20170136060A (ko) 2017-12-11
KR102468289B1 true KR102468289B1 (ko) 2022-11-17

Family

ID=6041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553A KR102468289B1 (ko) 2016-05-30 2016-05-30 롤러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77525B2 (ko)
KR (1) KR102468289B1 (ko)
CN (1) CN107452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7958B4 (de) * 2017-04-12 2018-11-15 AIFC Unternehmensförderungsgesellschaft mbH & Co. KG Lautsprecher mit aufrollbarer Membrane
KR102540136B1 (ko) 2018-09-21 2023-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CN109520714B (zh) * 2018-11-13 2020-11-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卷曲设备及柔性屏卷曲装置
KR102657039B1 (ko) * 2018-12-19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6466B1 (ko) * 2018-12-26 2024-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80665A (ko)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78726B1 (ko) * 2018-12-30 2020-02-19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장치
CN109448633B (zh) * 2019-01-07 2020-12-08 卡莱特(深圳)云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led显示屏显示实现控制方法及实现系统
US11880240B2 (en) * 2019-01-25 2024-01-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09584727B (zh) * 2019-01-29 2021-1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KR20200114915A (ko) * 2019-03-29 2020-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996019B (zh) * 2019-04-03 2021-07-27 创维光电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可升降oled电视
CN111831058A (zh) * 2019-04-19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010007B (zh) * 2019-04-25 2024-03-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显示设备
KR20200141773A (ko) * 2019-06-1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685454B (zh) * 2019-07-19 2020-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
US20220346249A1 (en) * 2019-07-29 2022-10-27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DE102019120766A1 (de) * 2019-08-01 2021-0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ollbares Display für ein Fahrzeug
KR102340514B1 (ko) * 2020-04-13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E102019127170A1 (de) * 2019-10-09 2021-04-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ortbewegungsmittel und Anordnung zur Information eines Anwenders eines Fortbewegungsmittels
KR20210049313A (ko) * 2019-10-25 2021-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04456B1 (ko) * 2019-11-04 2021-01-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CN110910771B (zh) * 2019-11-30 2021-07-09 深圳市深汕特别合作区智慧城市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升降旋转式智慧灯杆信息显示交互设备
KR20210076760A (ko) * 2019-12-16 2021-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86794A (ko) 2019-12-30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30073974A1 (en) * 2020-02-13 2023-03-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3643609B (zh) * 2020-04-27 2022-1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508362B (zh) * 2020-04-28 2022-08-0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17145B1 (ko) * 2020-06-01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4596772B (zh) * 2020-12-07 2024-05-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伸缩驱动机构和电子设备
KR20220091857A (ko) * 2020-12-24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02625A (ko)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1271B1 (en) * 2000-09-20 2002-08-1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bistable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oil and gas wells
US7184086B2 (en) * 2002-02-25 2007-02-27 Konica Corporation Camera having flexible display
US8286377B2 (en) * 2008-03-13 2012-10-16 Media Pool Incorporated Dynamic display signage system
GB2491822B (en) * 2011-06-09 2015-12-02 Rtl Materials Ltd Coilable extendible member and methods
KR102069191B1 (ko) * 2013-04-02 2020-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절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GB2546662B (en) * 2013-09-09 2018-02-21 Rtl Mat Ltd Antenna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102413109B1 (ko) * 2014-05-20 2022-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19543B1 (ko) * 2014-10-22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EP3239965A4 (en) * 2014-12-25 2018-07-11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20437B1 (ko) * 2015-01-13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55328B1 (ko) * 2015-01-15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5085B1 (ko) * 2015-04-30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625948B2 (en) * 2015-08-24 2017-04-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retractable displays
US10366583B2 (en) * 2015-08-25 2019-07-30 Immersion Corporation Bistable haptic feedback generator
GB2545223A (en) * 2015-12-09 2017-06-14 Rtl Mat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joining in a tube
KR102104731B1 (ko) * 2015-12-30 2020-05-29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권축식 가요성 입력 장치
KR102482330B1 (ko) * 2016-04-26 2022-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영상 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52282A (zh) 2017-12-08
US10877525B2 (en) 2020-12-29
US20170344073A1 (en) 2017-11-30
KR20170136060A (ko) 2017-12-11
CN107452282B (zh)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289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581776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484505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6310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JP6306752B2 (ja) ローラブル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1025785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0431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19250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50601B1 (ko) 회로 소자의 특성을 센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324266B2 (en)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US853135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brightness
JP6612938B2 (ja) ローラブル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US2012013989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230480B2 (en) Organic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70134844A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20210054822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93331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