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456B1 -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456B1
KR102204456B1 KR1020190139379A KR20190139379A KR102204456B1 KR 102204456 B1 KR102204456 B1 KR 102204456B1 KR 1020190139379 A KR1020190139379 A KR 1020190139379A KR 20190139379 A KR20190139379 A KR 20190139379A KR 102204456 B1 KR102204456 B1 KR 10220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einforcing plate
roller
grooves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을 개시한다. 롤러블 표시장치는 가요성(flexible)을 가지는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의 양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표시패널을 이동시키는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지상관제시스템은 가요성이 있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양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표시패널을 이동시키는 롤러를 구비하고, 무인기의 조종에 관련된 운용정보가 표시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및 무인기를 조종하는 조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ROLLABLE DISPLAY APPARATUS AND GROUND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와 관련하여, 보다 크고 선명한 표시 장치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한 표시 장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가요성(flexible) 표시패널은 단단한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가요성 기판 위에 복수의 화소를 배치한 표시패널로서, 쉽게 휘어지는 성질을 가진다.
최근 들어, 가요성 표시패널을 이용한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확장형(expandable)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롤러블 표시 장치는 사용 시에 가요성 표시패널을 넓게 펼쳐 시인성을 높이고, 이동 및 보관 시에는 가요성 표시패널을 롤러를 통해 감아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표시패널이 확장되면 가요성 패널에 부하가 발생하여 패널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가요성 표시패널을 확장시키 위한 구조는 접촉에 의한 가요성 패널이 이동시키는 구조였기 때문에 이동간 패널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특허 제10-2013-0099449호 "회전식 터치 스크린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표시패널을 확장하여 더 많은 시각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패널의 확장 시 표시패널의 굽힘응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판을 구비하여 표시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패널을 이동시킬 때 접촉을 최소화하여 표시패널에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롤러블 표시장치는 가요성(flexible)을 가지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양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표시패널을 이동시키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롤러 쪽 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되는 종방향으로 소정간격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결합되는 제1보강판, 상기 제1보강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될 때 상기 롤러 쪽으로 펼쳐지는 제2보강판 및 상기 제2보강판이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제1보강판으로부터 예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롤러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보강판과 접촉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외주면 일측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복수의 홈에 소정부분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홈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에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따라 둘러싸는 탄성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복수의 보강부가 배치되는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와 대응되어 자성을 형성하도록,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지상관제시스템을 개시한다.
지상관제 시스템은 가요성이 있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양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표시패널을 이동시키는 롤러를 구비하고, 무인기의 조종에 관련된 운용정보가 표시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상기 무인기를 조종하는 조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롤러 쪽 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되는 종방향으로 소정간격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결합되는 제1보강판, 상기 제1보강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될 때 상기 롤러 쪽으로 펼쳐지는 제2보강판 및 상기 제2보강판이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제1보강판으로부터 예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롤러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보강판과 접촉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외주면 일측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복수의 홈에 소정부분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홈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에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따라 둘러싸는 탄성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복수의 보강부가 배치되는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와 대응되어 자성을 형성하도록,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표시패널을 확장하여 더 많은 시각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의 확장 시 표시패널의 굽힘응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판을 구비하여 표시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을 이동시킬 때 접촉을 최소화하여 표시패널에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지상관제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의 확장 시 정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의 확장 시, 후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 4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 4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지상관제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상관제시스템(1)은 지상에 위치한 사용자가 원거리의 무인기를 원격제어를 위한 시스템이다. 지상관제시스템(1)은 무인기(D)의 운용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장치(10) 및 무인기(D)를 제어하기 위한 조이스틱(21), 조종간(22)및 제어를 위한 복수의 스위치(23)로 구성되는 조종기 본체(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상관제시스템(1)은 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무인기(D)와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때, 무인기(D)는 이미지센서, GPS, 고도센서, 속도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등 무인기(D)에 구비되는 복수의 감지 장치를 통해 무인기(D)의 비행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지상관제시스템(1)에 송신하게 된다. 지상관제시스템(1)은 이러한 운용정보들을 취득하여 표시장치(10)에 표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10)는 이러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표시할 때, 표시패널(120)의 크기의 한계 때문에 팝업의 형태로 표시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일 실시 예의 표시장치(10)는 지상관제시스템(1)의 운용 시, 가요성이 있는 표시패널(120)을 확장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휴대성을 높이고 정보를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의 확장 시 정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의 확장 시, 후면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롤러블 표시장치(10)는 시각적으로 표시될 정보를 전기신호로 제공하는 회로기판(110), 표시패널(120), 롤러(130), 보강부(140) 및 완충부(15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20)은 회로기판(110)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표시패널(120)은 가요성이 있어서, 회로기판(110)의 하부에서 접혀져 회로기판(110)의 감싸는 형태로 양면으로 굽혀져 배치된다. 표시패널(120)은 하부에 구비된 롤러(130)를 통해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되어 화면이 확대될 수 있다.
롤러(130)는 표시패널(120)의 양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표시패널(120)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롤러(130)는 원판형상으로 구비되어 회로기판의 하부의 표시패널(120)이 접혀진 부분에 구비되어 외주면을 회전시킴으로써 표시패널(120)을 일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롤러(130)는 하나의 샤프트(131)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되고, 롤러(130)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회전될 수 있다. 롤러(130)는 표시패널(120)의 양단에 구비되어 표시패널(120)과 롤러(130)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를 도 4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롤러(130)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자성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패널(120)은 복수의 제1자성체(132)와 대응되어 자성을 형성하는 제2자성체(121)를 포함한다. 제2자성체(121)는 제1자성체(132)가 이격되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표시패널(120)의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제1자성체(132) 및 제2자성체(121)는 사마륨, 스칸듐, 이트륨, 네오디뮴 및 전자석일 수 있다. 제1자성체(132) 및 제2자성체(121)는 인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롤러(130)가 회전될 때 제1자성체(132) 및 제2자성체(121)는 인력에 의해 표시패널(120)이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패널(120)과 롤러(130) 사이에 접촉을 방지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유지부재는 베어링일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는 표시패널(120)에 이동간 부하가 발생하여 롤러(130)와 표시패널(120)의 이동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여, 표시패널(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로 돌아와서 설명하면, 보강부(140)는 표시패널(120)의 롤러(130) 쪽 면에 표시패널(120)이 전개되는 종방향으로 소정간격을 형성하며 복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보강부(140)는 표시패널(120)이 전개되었을 때 가요성에 의한 국부적인 변형, 시각적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패널(120)에 배치된다. 보강부(140)는 제2자성체(121)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양단에 위치된 제2자성체(1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140)는 2중의 보강판(141,142)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펼쳐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보강부(140)는 제1보강판(141), 제2보강판(142) 및 제1탄성부재(143)를 포함한다.
제1보강판(141)은 표시패널(120)에 횡방향을 길이방향을 가지며 배치되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2보강판(142)은 제1보강판(141)에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지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제1보강판(141) 및 제2보강판(142)은 본래의 형상을 복원하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보강판(142)은 종방향 단부가 제1보강판(141)의 종방향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제1보강판(141)에서 회전되어 펼쳐지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보강판(142)은 표시패널(120)이 전개될 때 롤러(130)와 멀어지는 쪽이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펼쳐진 제2보강판(142)은 표시패널(120)이 다시 축소될 때 다시 접힐 수 있도록 제1보강판(141)과 예각으로 펼쳐지게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로기판(110)과 표시패널(120)사이에 회로기판(110)을 보호하고, 제2보강판(142)이 접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43)는 제1보강판(141)과 제2보강판(142) 사이의 힌지축에 결합된다. 제1탄성부재(143)는 상기 제2보강판(142)이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보강부(140)는 2중의 보강판(141,142)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펼쳐지는 형태로 구성되어서, 펼쳐진 표시패널(120)의 후면에서 삼각형태를 형성하여 얇은 두께의 보강판(141,142)으로 굽힘강성을 더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완충부(150)는 롤러(130)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롤러(130)에 의해 회전되는 제2보강판(142)과 접촉하여 제2보강판(142)의 펼쳐짐을 완충한다. 롤러(130)의 의해 회전되는 보강부의 폭이 표시패널(120)의 곡률보다 넓을 때, 롤러(130)와 인접하게 위치한 표시패널(120)이 원할하게 회전되지 않으며, 표시패널(120) 또는 보강부(140)의 기계적인 변형 또는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완충부(150)는 회전구간에서 제2보강판(142)이 펼쳐질 때, 제2보강판(142)에 의해 변형되며 보강부(140) 및 표시패널(120)의 국부적 변형을 방지한다. 완충부(150)는 실린더(151), 돌출부재(153), 제2탄성부재(154) 및 탄성벨트(15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51)는 샤프트(131)에 배치되는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실린더(151)는 롤러(130)에 의해 회전되어 접혀진 표시패널(120)의 절곡부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151)는 외주면 일측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홈(152)이 형성된다.
돌출부재(153)는 복수의 홈(152)에서 소정부분 돌출되되, 복수의 홈(152)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재(153)는 복수의 홈(152)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2탄성부재(154)는 복수의 홈(152) 내부에 배치되어, 돌출부재(153)가 복수의 홈(152)에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형성한다. 제2탄성부재(154)는 일반적인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재(153)와 제2탄성부재(154)는 볼 플런저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탄성벨트(155)는 돌출부재(153)를 실린더(151)의 둘레를 따라 둘러싼다. 탄성벨트(155)는 충격의 완충이 가능한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일 수 있다.
완충부(150)는 표시패널(120)의 회전구간에서 보강부(140)가 일부 펼쳐질 때 제2보강판(142)에 밀려 돌출부재(153)가 홈안으로 삽입되며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완충부(150)는 탄성벨트(155)가 제2보강판(142)의 접촉각도, 접촉면적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보강부(140) 및 보강부(140)에 의한 표시패널(120)의 국부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표시패널(120)이 손상없이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지상관제시스템 10: 표시장치
110: 회로기판 120: 표시패널
121: 제2자성체 130: 롤러
131: 샤프트 132: 제1자성체
140: 보강부 141: 제1보강판
141,142: 보강판 142: 제2보강판
143: 제1탄성부재 150: 완충부
151: 실린더 152: 복수의 홈
153: 돌출부재 154: 제2탄성부재
155: 탄성벨트 20: 조종기 본체
21: 조이스틱 22: 조종간
23: 스위치 D: 무인기

Claims (18)

  1. 가요성(flexible)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양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표시패널을 이동시키는 롤러;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롤러 쪽 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되는 종방향으로 소정간격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결합되는 제1보강판;
    상기 제1보강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될 때 상기 롤러 쪽으로 펼쳐지는 제2보강판; 및
    상기 제2보강판이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1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제1보강판으로부터 예각으로 펼쳐지는,
    롤러블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보강판과 접촉하는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외주면 일측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복수의 홈에 소정부분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홈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에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따라 둘러싸는 탄성벨트;
    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복수의 보강부가 배치되는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와 대응되어 자성을 형성하도록,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롤러블 표시장치.
  10. 가요성이 있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양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표시패널을 이동시키는 롤러를 구비하고, 무인기의 조종에 관련된 운용정보가 표시되는 롤러블 표시장치;
    상기 무인기를 조종하는 조종장치;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롤러 쪽 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되는 종방향으로 소정간격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결합되는 제1보강판;
    상기 제1보강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전개될 때 상기 롤러 쪽으로 펼쳐지는 제2보강판; 및
    상기 제2보강판이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1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제1보강판으로부터 예각으로 펼쳐지는,
    지상관제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보강판과 접촉하는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지상관제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외주면 일측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복수의 홈에 소정부분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홈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에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형성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지상관제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실린더의 둘레를 따라 둘러싸는 탄성벨트;
    를 더 포함하는 지상관제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복수의 보강부가 배치되는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지상관제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와 대응되어 자성을 형성하도록,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지상관제시스템.
KR1020190139379A 2019-11-04 2019-11-04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KR10220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79A KR102204456B1 (ko) 2019-11-04 2019-11-04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79A KR102204456B1 (ko) 2019-11-04 2019-11-04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456B1 true KR102204456B1 (ko) 2021-01-18

Family

ID=7423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79A KR102204456B1 (ko) 2019-11-04 2019-11-04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0821A1 (zh) * 2021-01-29 2022-08-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253A (ko) * 2015-06-19 2016-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70136060A (ko) * 2016-05-30 2017-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1955544B1 (ko) * 2018-06-26 2019-03-08 황민호 광고장치가 탑재된 무인 비행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253A (ko) * 2015-06-19 2016-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70136060A (ko) * 2016-05-30 2017-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1955544B1 (ko) * 2018-06-26 2019-03-08 황민호 광고장치가 탑재된 무인 비행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0821A1 (zh) * 2021-01-29 2022-08-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229B1 (ko)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83608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057998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16873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KR10253457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27940B (zh) 可折叠的柔性显示装置
US10394282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2837990A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7731098B (zh) 滑动式显示装置
CN110138916B (zh) 一种旋转装置以及移动终端
CN111128016B (zh) 电子设备
KR100818170B1 (ko)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CN113037896B (zh) 柔性屏组件及电子设备
EP30058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components in a folded device
KR1020345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371675B1 (en) Folding angle sensing of a foldable device
KR102204456B1 (ko) 롤러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상관제시스템
EP3311377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flexible display panel
CN112243052B (zh)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20160035146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9913B1 (ko)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2562504A (zh) 可折叠显示装置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CN113037895B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10545342A (zh) 一种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