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90B1 -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90B1
KR102404390B1 KR1020160065065A KR20160065065A KR102404390B1 KR 102404390 B1 KR102404390 B1 KR 102404390B1 KR 1020160065065 A KR1020160065065 A KR 1020160065065A KR 20160065065 A KR20160065065 A KR 20160065065A KR 102404390 B1 KR102404390 B1 KR 10240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weight
hold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844A (ko
Inventor
김상윤
양준혁
이영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9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표시패널, 패널 롤러부, 및 홀더를 포함한다. 연성 표시패널은 입력 영상이 구현된다. 패널 롤러부는 연성 표시패널의 일단에 접합되고, 연성 표시 패널이 외주면 상에서 권취된다. 홀더는 연성 표시패널의 타단에 고정되며, 소정의 하중을 갖는다. 홀더는 하우징, 슬롯, 중량체, 및 탄성체를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슬롯에는 연성 표시패널이 인입된다. 중량체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슬롯을 통해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에 접촉된다. 탄성체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연성 표시패널이 인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중량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연성 표시패널은 중량체와의 마찰력에 의해 홀더에 구속된다.

Description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연성 표시패널과 연성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연성 표시패널에 스캔신호(또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연성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연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연성 표시패널을 구부리거나 곡면을 갖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연성 표시패널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펴는 등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구 구조물을 더 구비하고, 다양한 형태로 설계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소정의 하중을 갖는 홀더를 구비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연성 표시패널, 패널 롤러부, 및 홀더를 포함한다. 연성 표시패널은 입력 영상이 구현된다. 패널 롤러부는 연성 표시패널의 일단에 접합되고, 연성 표시 패널이 외주면 상에서 권취된다. 홀더는 연성 표시패널의 타단에 고정되며, 소정의 하중을 갖는다. 홀더는 하우징, 슬롯, 중량체, 및 탄성체를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슬롯에는 연성 표시패널이 인입된다. 중량체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슬롯을 통해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에 접촉된다. 탄성체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연성 표시패널이 인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중량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연성 표시패널은 중량체와의 마찰력에 의해 홀더에 구속된다.
본 발명은 연성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소정의 하중을 갖는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펼쳐진 연성표시패널이 흔들리거나 비틀리지않고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하중을 갖는 기구물을 단순히 테이핑하는 구조에 비해, 얼라인(align)을 맞추는데 용이하며, 체결을 위한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표시패널의 평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표시패널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제1기판의 식각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의 합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도면이다.
도 10은 연성 표시패널과 패널 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홀더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홀더 내에 구비된 중량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연성 표시패널과 홀더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일례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하는 예를 실시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연성 표시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처리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40), 스캔 구동부(130) 및 연성 표시패널(150)이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스캔라인들(GL1 ~ GLm)을 통해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거나 연성 표시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데이터 구동부(140) 및 스캔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스캔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은 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된다. 서브 픽셀들(SP)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거나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발광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 다른 발광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보상회로(CC)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포함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스캔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제1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따라 제1전원라인(EVDD)과 제2전원라인(EVSS)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해 서브 픽셀 내에 추가된 회로이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바 이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에는 센싱 트랜지스터(ST)와 센싱라인(VREF)이 포함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소스라인과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이하 센싱노드)에 접속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센싱라인(VREF)을 통해 전달되는 초기화전압(또는 센싱전압)을 센싱노드에 공급하거나 센싱노드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데이터라인(DL1)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의 게이트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제1전원라인(EVDD)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게이트전극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제2전극에 애노드전극이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EVSS)에 캐소드전극이 연결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센싱라인(VREF)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센싱노드인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참고로, 제1전극과 제2전극은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따라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또는 드레인전극과 소스전극으로 정의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의 동작 시간은 보상 알고리즘(또는 보상 회로의 구성)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유사/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a스캔라인(GL1a)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제1b스캔라인(GL1b)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a스캔라인(GL1a)과 센싱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b스캔라인(GL1b)은 공통으로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센싱라인(VREF)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는 실시간, 영상의 비표시기간 또는 N 프레임(N은 1 이상 정수) 기간 동안 서브 픽셀의 센싱노드를 센싱하고 센싱결과에 따른 보상 구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센싱 트랜지스터(ST)는 동일한 시간에 턴온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시분할 방식에 의거 센싱라인(VREF)을 통한 센싱 동작과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동작은 상호 분리(구분) 된다.
센싱결과에 따른 보상 대상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 또는 감마전압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결과를 기반으로 보상신호(또는 보상전압) 등을 생성하는 보상 회로는 데이터 구동부의 내부, 타이밍 제어부의 내부 또는 별도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센싱 트랜지스터(ST)를 포함하는 3T(Transistor)1C(Capacitor) 구조의 서브 픽셀을 일례로 설명한다. 하지만,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서브 픽셀은 3T2C, 4T2C, 5T1C, 6T2C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백라이트유닛이 필요 없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 대비 연성 표시패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두께가 얇은 만큼 연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연성 표시패널을 구부리거나 곡면을 갖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연성 표시패널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펴는 등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연성 표시패널과 더불어 이를 수납하는 기구 구조물을 다양한 형태로 설계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하,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수 있는 연성 표시패널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표시패널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표시패널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6은 제1기판의 식각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의 합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표시패널(150)에는 제1기판(GLS), 다수의 픽셀(P)로 이루어진 표시영역(AA)을 갖는 중간층(IL) 및 제2기판(MS)이 포함된다.
중간층(IL)은 표시영역(AA)을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P)과 더불어 접착층(ADL)을 갖는다. 다수의 펙셀(P)은 적색(R), 백색(W), 청색(B) 및 녹색(G)을 발광하는 서브 픽셀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층(ADL)은 제1기판(GLS)과 제2기판(MS) 간의 합착을 도모하고 제1기판(GLS)과 제2기판(MS)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IL)을 밀봉하는 접착재료로 이루어진다.
제1기판(GLS)은 유리나 수지로 이루어진다. 제1기판(GLS)의 두께는 0.01mm ~ 0.2mm로 선택될 수 있다. 실험결과, 제1기판(GLS)의 두께가 0.01mm ~ 0.1mm와 같이 얇으면 수지가 아닌 유리로 이루어지더라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수 있는 형태의 변형이 매우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1기판(GLS)은 식각영역(또는, 제1 두께부)(GLS1)과 비식각영역(또는, 제2 두께부)을 갖는다. 비식각영역(GLS2)은 외부 기판과 연결을 위한 패드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비식각영역(GLS2)은 가로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태이다. 비식각영역(GLS2)은 외부 기판과 연결되는 영역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다. 때문에, 비식각영역(GLS2)은 제1기판(GLS)의 전체 면적의 1% ~ 2%만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각영역(GLS1) 대비 높은 강성을 유지해야 하는바 비식각영역(GLS2)의 두께(t2)는 0.5mm ~ 0.7mm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식각영역(GLS2)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식각(에칭) 공정 등에 의해 제거되어 식각영역(GLS1)이 된다. 식각영역(GLS1)은 연성 표시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때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장력 스트레스(Tensile Stress)의 발생을 완화하기 위해 마련된다. 때문에, 식각영역(GLS1)의 두께(t1)는 0.01mm ~ 0.1mm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기판(MS)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제2기판(MS)의 두께는 0.01mm~0.2mm로 선택될 수 있다. 제2기판(MS)은 연성 표시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때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장력 스트레스(Tensile Stress)를 흡수, 분산 및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실험결과, 제2기판(MS)의 두께가 0.01mm ~ 0.2mm와 같이 얇으면 연성 표시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때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장력 스트레스(Tensile Stress)를 효율적으로 흡수, 분산 및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기판(MS)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제1기판(GLS) 대비 충격에 강한 저항성을 갖는다. 때문에, 제2기판(MS)은 제1기판(GLS)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즉, 제2기판(MS)은 제1기판(GLS) 대비 외곽으로 돌출된 돌출영역(GP)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마련된다. 그리고 제2기판(MS)의 돌출영역(GP)은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모서리 충격 등의 약한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성 표시패널(150)은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40), 스캔 구동부(130) 등(영상 처리부나 전원 공급부 등은 미도시함)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어 도 8과 같이 모듈화된다.
스캔 구동부(130)는 GIP 방식으로 연성 표시패널(150)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연성 표시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하기 위해 표시영역(AA)의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스캔 구동부(1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135)은 제1 연결 부재(145)를 통해 연성 표시패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부재(145)는 데이터 구동부(140)가 실장된 COF(Chip On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145)는 TCP(Tape Carrier Package) 방식으로 구현되어 데이터 PCB(135)와 연성 표시패널(1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 PCB(135)는 제2 연결 부재(127)를 통해 콘트롤 보드(125)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부재(127)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콘트롤 보드(125)에는 타이밍 제어부(120) 등이 실장된다. 제2 연결 부재(127)는 FFC(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트롤 보드(125)는 영상 처리부(110), 전원 공급부 등과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 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도면이고, 도 10은 연성 표시패널과 패널 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는 모듈화된 연성 표시패널(150)(이하 연성 표시패널로 약기함), 패널 롤러부(160) 및 수납부(170)가 포함된다.
패널 롤러부(160)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 롤러부(160)는 연성 표시패널(150)을 자신의 외주면에 원형 등으로 말았다가 펼 수 있는 기구 구조를 제공한다. 패널 롤러부(160)는 수납부(170)에 수납된다.
수납부(170)는 연성 표시패널(150)과 패널 롤러부(160)를 수납한다. 수납부(170)의 내부에는 패널 롤러부(160)를 전동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예컨대 모터, 기어 및 전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때문에, 수납부(170)는 구동장치의 구성이나 디자인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구동장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납부(170)의 외부로 나오거나 수납부(170)의 내부로 들어간다. 예컨대, 구동장치가 r1 방향으로 회전하면 패널 롤러부(160)는 연성 표시패널(150)을 풀게 된다. 이 경우, 연성 표시패널(150)은 y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납부(170)의 외부로 나오게 된다. 반대로, 구동장치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패널 롤러부(160)는 연성 표시패널(150)을 말게 된다. 이 경우, 연성 표시패널(150)은 y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납부(17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홀더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홀더 내에 구비된 중량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패널 롤러부(160), 연성 표시패널(150), 및 홀더(200)를 포함한다.
패널 롤러부(16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패널 롤러부(160)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롤러부(160)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권취가 용이한 형상들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패널 롤러부(160)에는 콘트롤 보드(125)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콘트롤 보드(125)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 구조물은 패널 롤러부(160) 내측에 구비되어 콘트롤 보드(125)를 고정시킴으로써, 콘트롤 보드(125)의 이탈을 방지하고 다른 구조물들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패널 롤러부(160) 내부에서 콘트롤 보드(125)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패널 롤러부(160) 내부에 콘트롤 보드(125)가 내장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에서 인식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깔끔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연성 표시패널(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영역을 통해 연성 표시패널(15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전면(前面)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면을 의미한다. 반대로, 연성 표시패널(150)의 배면(背面)은 사용자가 표시 영역을 인식할 수 없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전면과 반대되는 방향의 일면을 의미한다.
도면에서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평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평면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는 이형(free form) 형상일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권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패널 롤러부(160)의 외주면을 따라 연성 표시패널(150)을 감거나(rolling, 또는 winding), 펴는(unrolling, 또는 unwinding) 동작을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감기거나 풀려,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50)이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감긴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표시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외부에서 표시 영역을 인식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표시 영역과 패널 롤러부(160)의 외부면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는, 표시 장치가 오프(OFF)되어, 입력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연성 표시패널(150)이 펴진 상태를 의미한다. 제2 상태에서, 연성 표시패널(150)은 대략 플랫(flat)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연성 표시패널(150)의 표시 영역을 인식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표시 장치가 온(ON)되어,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연성 표시패널(15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상태 변화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물리적인 외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상태 변화는 기 설정된 특정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권취는 선택된 구동 장치 및 구동 회로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단은 패널 롤러부(16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단과 패널 롤러부(160) 사이에는,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 부재 혹은 고정 부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홀더(200)는 연성 표시패널(150)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된다. 홀더(200)가 구비되는 가장자리는, 패널 롤러부(160)가 고정되지 않는 영역이다. 홀더(200)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권취 동작에 의해 모양이 변하지 않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권취 동작이 홀더(200)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연성 표시패널(150)이 장방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가정하면, 홀더(200)는 패널 롤러부(160)가 고정된 제1 모서리와 대향하는 제2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홀더(200)는 소정의 하중을 갖는다.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50)은, 홀더(200)의 자중에 의해 중력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홀더(200)가 소정의 하중을 가짐으로써,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50)을 중력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연성 표시패널(150)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정의 하중을 갖는 홀더(200)가 연성 표시패널(150)의 가장자리에 구비됨으로써, 다른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50)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홀더(200)를 구비함으로써 펼쳐진 연성 표시패널(150)이 흔들리거나 비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홀더(200)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홀더(200)의 외형을 결정한다. 하우징은 사용자의 파지(grip)가 용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권취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홀더(200)는 사용자의 파지 기구물로써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더(200)를 구비함으로써 권취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홀더(2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하나의 모서리에는 복수 개의 홀더(200)들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200)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200)들은 서로 다른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복수 개의 홀더(200)들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은 프론트 바디(210), 리어 바디(220), 및 미들 바디(230)를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210)는 리어 바디(220)와 대향 배치된다. 프론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 사이에는 미들 바디(230)가 배치된다. 미들 바디(230)는 옆면을 커버하는 사이드 바디(233)와 바닥면을 커버하는 보텀 바디(231)를 포함한다.
프론트 바디(210), 리어 바디(220), 및 미들 바디(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 분리 형성된 후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10), 리어 바디(220), 및 미들 바디(23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10), 리어 바디(220), 및 미들 바디(230)는 소정의 강성 및 하중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10), 리어 바디(220), 및 미들 바디(23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10), 리어 바디(220), 및 미들 바디(23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공간에는 탄성체(250), 중량체(240),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부가 수용된다. 즉, 하우징에는, 탄성체(250), 중량체(240), 연성 표시패널(150)을 수용하고, 탄성체(250)와 중량체(240)의 운동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5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충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개방하는 슬롯(270)을 포함한다. 슬롯(270)은 하우징에서 개방된 일 영역을 의미하며, 연성 표시패널(150)이 인입되는 입구로써 기능한다. 슬롯(270)은 연성 표시패널(150)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2를 더 참조하면, 보텀 바디(231)는, x 평면 상에서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으로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보텀 바디(231)의 제1 영역(A1)은 연성 표시패널(150)이 슬롯(270)을 통해 인입된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A2)은 탄성체(250)가 고정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이다.
탄성체(25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250)는, 외력이 가해지면 일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탄성체(250)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 개의 탄성체(25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중량체(240)는 슬롯(270)을 통해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150)에 접촉된다. 즉, 중량체(240)는 연성 표시패널(150)에 연동되어 연성 표시패널(150)의 인입 방향(-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중량체(240)와 탄성체(250)는 서로 연동된다. 중량체(240)가 탄성체(250)의 탄성력(또는,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에서 승강하는 등, 중량체(240)는 탄성체(250)의 운동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즉, 탄성체(250)는 연성 표시패널(150)이 인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중량체(240)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중량체(240)는 제공받은 탄성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탄성체(250)가 중량체(240)의 자중을 포함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는 등, 탄성체(250)는 중량체(240)의 운동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중량체(240)의 표면은, 중량체(240)와 연성 표시패널(150)과의 접촉 시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중량체(240)와 연성 표시패널(15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분한 접촉면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중량체(240)의 형상을 결정하는 면들 중 연성 표시패널(150)과 접촉하는 일면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프론트 바디(210)로부터 리어 바디(220)까지의 거리가 y축 방향을 따라 변하는 일부 영역(B)을 포함한다. 즉,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인입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프론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B)이 존재한다.
프론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B)에서, 리어 바디(220)는 중량체(24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탄성체(250)의 탄성력을 전달받은 중량체(240)는 리어 바디(220)의 형상을 따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중량체(240)는 탄성체(250)의 탄성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다. 중량체(240)는 리어 바디(220)의 형상에 의해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다. 중량체(240)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150)과의 마찰력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부는, 접촉된 중량체(240)와의 마찰력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부는 프론트 바디(210)와의 마찰력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 제한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10) 및 리어 바디(220)의 x축 방향으로의 최소 거리는 슬롯(270)의 폭(t1)과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프론트 바디(210) 및 리어 바디(220)의 x축 방향으로의 최대 거리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두께(t2) 및 중량체(240) 단면의 최대 직경(t3)의 합과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하우징의 외부로 중량체(24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량체(240) 단면의 최대 직경(t3)은 슬롯(270)의 폭(t1)보다 큰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중량체(240)의 단면 형상이 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을 더 참조하면, 중량체(240)의 단면 형상은 원형 및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을 포함하는 평면도형 형상일 수 있다. 중량체(240)의 단면 형상 중 일변(l1)은 이와 접촉되는 리어 바디(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타변(l2)은 이와 접촉되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체(240)의 단면 형상은 쐐기(wedge) 형상일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연성 표시패널(150)과 홀더(200)의 체결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는 연성 표시패널과 홀더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 내부에는 탄성체(250)와 중량체(240)가 수용된다. 중량체(2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거나, 탄성체(250)로부터 탄성력만을 전달받는 상태이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50)은 슬롯(270)을 통해 -y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인입된다.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150)은 중량체(240)와 접촉된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자중을 포함하는 외력은 중량체(240)에 전달되며, 중량체(240)에 제공된 외력에 의해 탄성체(250)는 압축된다. 중량체(240)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인입 동작과 상호 연동된다. 중량체(240)는 리어 바디(220)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50)이 하우징 내에 인입된 후, 연성 표시패널(150)에 제공되는 외력은 해제된다. 연성 표시패널(150)에 제공되는 외력이 해제되면, 중량체(240)는 연성 표시패널(150)과 리어 바디(220) 사이에 고정된다. 중량체(240)는 그 형상의 특이성에 의해 +y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된다. 중량체(240)는 탄성체(250)의 탄성력에 의해 -y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 제한된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중량체(240)와 프론트 바디(210) 사이에 고정된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연성 표시패널(150)과 중량체(24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 제한된다. 연성 표시패널(150)은, 연성 표시패널(150)과 프론트 바디(21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 제한된다. 이에 따라, 연성 표시패널(150)은 홀더(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중량체(240)는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301)를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301)는 사이드 바디(233)와 대향하는 중량체(240)의 옆면에 형성된다. 사이드 바디(233)는, 가이드 돌기(301)가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가이드 홈(303)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303)은 보텀 바디(231)의 제2 영역(A2)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01)는 가이드 홈(303)의 궤적을 따라 가이드된다. 즉, 가이드 홈(303)과 가이드 돌기(301)는 중량체(240)의 최초 위치(①)를 결정하며, 중량체(240)의 이동 경로(②)를 결정한다. 가이드 홈(303)과 가이드 돌기(301)에 의해 결정되는 중량체(240)의 최초 위치(①)는, 중량체(240)가 슬롯(270)을 통해 인입된 연성 표시패널(150)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이다. 중량체(240)는 인입되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자중을 포함하는 외력을 전달받아 가이드 홈(303)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중량체(240)는 탄성체(250)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가이드 홈(303)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가이드 홈(303)과 가이드 돌기(301)를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도 17을 더 참조하면, 중량체(240)의 이동 경로가 기 설정되지 않은 경우, 연성 표시패널(150)의 인입 시 중량체(240)가 리어 바디(220)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연성 표시패널(150)의 하단에 잔류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200)의 체결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성 표시패널(150)과 중량체(240) 사이의 기구적 간섭에 의해 연성 표시패널(150)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량체(240)의 이동 경로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궤적을 갖는 가이드 홈(303)을 형성한다. 중량체(240)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301)는 가이드 홈(30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량체(240)가 연성 표시패널(150)의 하단부에 잔류하여 홀더(200)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연성 표시패널(150)이 중량체(240)와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품 신뢰성이 향상된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연성 표시패널(150)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면(35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표시면(350)을 통해 연성 표시패널(15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연성 표시패널(150)의 표시면(350)은 프론트 바디(210)와 접촉되는 면일 수 있다. 표시면(350) 중 홀더(200)에 인입되어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은, 프론트 바디(210)에 의해 차폐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비표시 영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프론트 바디(210)를 투명 물질로 형성하여, 표시면(350) 중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홀더(200)에 의해 베젤 영역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를 더 참조하면, 표시면(350) 중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과 그렇지 않은 영역(NPA)에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도 19의 (a))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과 그렇지 않은 영역(NPA) 모두에서 정보를 출력하되,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과 그렇지 않은 영역(NPA)에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에는, 사용자가 자주 보는 데이터 예를 들면, 통신 상태, 배터리 전원 상태,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시계 등의 간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는 영역(PA)은, 프론트 바디(210)와 중첩되지 않은 영역(NPA)의 구동과 관계없이 상시 구동되는 상시 구동 모드(Always on Display mode)로 구현될 수 있다.(도 19의 (b))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홀더(200)의 하우징 내부에는,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 부재(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200)에 인입되는 연성 표시패널(150)의 일단은 제1 연결 부재(145)를 통해 데이터 PCB(135)와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PCB(135)와 제1 연결 부재(145)는 홀더(2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PCB(135) 및/또는 제1 연결 부재(145)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 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홀더(200)의 하우징 내부에 방열 부재(400)를 더 구비함으로써, 홀더(200) 내부 구조물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방열 부재(400)는 데이터 PCB(135) 및/또는 제1 연결 부재(145)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과도한 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20: 타이밍 제어부 125: 콘트롤 보드
140: 데이터 구동부 135: 데이터 PCB
150: 연성 표시패널 GLS: 제1기판
MS: 제2기판 GLS1: 식각영역
GLS2: 비식각영역 145 : 제1 연결 부재
127 : 제2 연결 부재 200 : 홀더
210 : 프론트 바디 220 : 리어 바디
230 : 미들 바디 231 : 보텀 바디
233 : 사이드 바디 240 : 중량체
250 : 탄성체 270: 슬롯
301 : 가이드 돌기 303 : 가이드 홈
400 : 방열 부재

Claims (12)

  1.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연성 표시패널;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일단에 접합되고,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이 외주면 상에서 권취되는 패널 롤러부; 및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타단에 고정되며, 소정의 하중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인입되는 슬롯;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슬롯을 통해 인입된 상기 연성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중량체;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인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중량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표시패널은 상기 중량체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홀더에 구속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대향 배치된 프론트 바디, 리어 바디; 및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에 배치된 미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연성 표시패널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바디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커버하고, 상기 탄성체가 고정되는 보텀 바디; 및
    상기 하우징의 옆면을 커버하는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상기 중량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바디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의 궤적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중량체의 최초 위치 및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표시패널은 상기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면의 일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접촉되며,
    상기 프론트 바디는 투명 물질을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 중 상기 프론트 바디와 중첩된 영역에서, 제1 입력 영상이 구현되고,
    상기 표시면 중 상기 프론트 바디와 미 중첩된 영역에서, 제2 입력 영상이 구현되며,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은 서로 다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된 정보인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출력 여부와 관계없이, 상시 구동되는 상시 구동 모드(Always on Display mode)로 구현된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 및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최대 거리는, 상기 연성 표시패널의 두께 및 상기 중량체 단면의 최대 직경의 합과 동일하거나 긴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 단면의 최대 직경은, 상기 슬롯의 폭보다 긴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내부에 구비된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을 포함하는 평면도형 형상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0160065065A 2016-05-26 2016-05-26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0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65A KR102404390B1 (ko) 2016-05-26 2016-05-26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65A KR102404390B1 (ko) 2016-05-26 2016-05-26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844A KR20170134844A (ko) 2017-12-07
KR102404390B1 true KR102404390B1 (ko) 2022-06-03

Family

ID=6092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065A KR102404390B1 (ko) 2016-05-26 2016-05-26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9331A (zh) * 2019-04-29 2019-07-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1462633B (zh) 2020-05-13 2022-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卷曲柔性屏的展平结构和显示装置
CN111583802B (zh) * 2020-05-22 2022-03-2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224097B1 (ko) 2020-08-07 2021-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24096B1 (ko) 2020-08-07 2021-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52772B1 (ko)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N113066381A (zh) * 2021-03-29 2021-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保护装置及显示设备
CN113628547B (zh) * 2021-07-15 2022-08-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888974B (zh) * 2021-10-14 2023-09-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09B1 (ko) * 2014-05-20 2022-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844A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390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54386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27742B1 (ko) 롤러블 연성표시장치
US9684340B2 (en) 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
US10439154B2 (en) Display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panel
KR102484505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468289B1 (ko) 롤러블 표시장치
EP2733912B1 (en) Display device having bent non-display area for reduced bezel width
US10535836B2 (en) Display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panel
KR102332710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54086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26420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003215B2 (en) Display device
KR20170040864A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