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20B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20B1
KR102426420B1 KR1020160076795A KR20160076795A KR102426420B1 KR 102426420 B1 KR102426420 B1 KR 102426420B1 KR 1020160076795 A KR1020160076795 A KR 1020160076795A KR 20160076795 A KR20160076795 A KR 20160076795A KR 102426420 B1 KR102426420 B1 KR 10242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inner pass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755A (ko
Inventor
유윤열
김동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4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롤 내부에 내부통로를 구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나선형의 내부통로를 구비하는 권취롤 및 상기 권취롤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휠을 상기 내부통로에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내부통로에 권취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내부통로로부터 권출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의 소형 경량화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표시장치이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표시장치의 일 예로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표시장치를 말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평판표시장치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을 롤링시켜 공간활용도 및 휴대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10)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40), 상기 표시패널(40)을 권취시키는 권취롤(22), 상기 표시패널(40)이 권취된 권취롤(22)이 수납되는 케이스(20) 및 상기 표시패널(40)을 권출시키는 손잡이(3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40)은 기판(미도시)상에 다수의 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셀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40)에 배치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를 인가받아,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다만,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10)는 벤딩이 가능해야 하므로, 표시패널(40)의 기판 또한 유연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유연한 특성을 가지기 위해 기판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해 표시패널(40)의 최상층에 보호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권취롤(22)은 상기 표시패널(40)을 권취시켜, 케이스(20) 내에 표시패널(40)을 수납시킨다. 권취롤(22)의 일변과 표시패널(40)의 일변이 부착되어, 권취롤(22)이 초기 응력에 의해 회전하면 표시패널(40)이 권취롤(22)에 권취되게 된다.
케이스(20)는 표시패널(40)이 권취된 권취롤(22)을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40)의 표시면적이 가변적으로 노출되도록 표시패널(40)을 내부로 출입시킨다. 이를 위해, 케이스(20)은 표시패널(40)이 이동하는 통로인 슬롯(24)를 구비한다.
손잡이(30)은 표시패널(40)의 타단에 부착되고, 슬롯(24)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를 케이스(20)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플렉서블 표시장치(10)를 권출시킬수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40)이 권취될 경우에는, 손잡이(30)는 표시패널(40)이 케이스(20) 내부에 완전히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10)는 표시패널(40)을 권취시키거나 권출시켜, 표시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다만,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를 권출 시키려면, 권취롤(22)의 초기응력에 해당하는 힘을 케이스(20)반대 방향으로 가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40)이 쉽게 물리적 손상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곧 플렉서블 표시장치(10)의 신뢰성 저하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장치(10)가 권취 및 권출을 반복하게 되면, 표시패널(40)의 최상층에 위치한 보호층과 표시패널(40)의 최하층에 위치한 기판이 서로 반복적으로 맞닿게 된다. 이들은 서로 마찰을 일으켜, 표시패널(40)의 스크래치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크래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10)의 시인성 및 가독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표시패널(40)의 봉지층이 메탈소재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메탈소재의 경도가 보호층의 경도보다 높으므로 표시패널(40)에 더 많은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권취롤 내부에 내부통로를 구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권취롤 및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하여, 내부통로에 권취되고, 내부통로로부터 권출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권취롤은 나선형의 내부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권취롤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휠을 상기 내부통로에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권출 및 권취 과정에서 내부통로를 구비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서로 맞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충격 완화 및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권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권취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Ⅲ-Ⅲ'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Ⅳ-Ⅳ'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Ⅴ-Ⅴ'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a에 도시된 Ⅰ-Ⅰ'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2b에 도시된 Ⅱ-Ⅱ'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권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권취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권출상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롤(110)으로부터 권출된 상태를 말하고, 권취상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롤(110)에 권취된 상태를 말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20),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되어 수납되는 권취롤(110),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을 권취시키는 모터(130) 및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에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140)와 도킹부(142)를 포함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Ⅲ-Ⅲ`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Ⅳ-Ⅳ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Ⅴ-Ⅴ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은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부(122),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을 보호하는 커버(121),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3), 상기 구동부(123)를 보호하는 덮개(126)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양 측변에 배치되는 휠(127, 128)을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2)는 봉지층(122a), 디스플레이층(122b) 및 기판층(122c)으로 구성된다.
기판층(122c)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금속재,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PI(Pol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SUS(Steel Use Stainless)와 같은 얇은 금속 호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층(122b)은 화상이 구현되는 층으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층(122b)은 복수의 화소(미도시)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미도시) 및 각 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23)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트랜지스터를 턴-온(turn-on)시켜,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전류를 인가하여 이를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층(122b)은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봉지층(122a)은 디스플레이층(122b)을 밀봉하여 외부의 산소 및 수분 등이 디스플레이층(122b)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122a)은 다수의 유기막들과 다수의 무기막들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기막들은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수 있다. 그리고, 무기막들은 예컨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122a)은 얇은 금속막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층(122b)을 보호 할 수 있다.
커버(121)는 상기 표시부(122)를 모든 측면에서 감싸,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1)의 두께는 표시부(122)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로써, 후술할 권취롤(110)의 내부통로에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될 때, 표시부(122)는 권취롤(110)의 내부통로와 닿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권취시에 표시부(122)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121)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금속재,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PI(Pol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SUS(Steel Use Stainless)와 같은 얇은 금속 호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20)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부(123), 상기 구동부(123)를 외부단자(미도시)와 접속시키는 연결배선(125) 및 상기 구동부(123)를 덮어 감싸는 덮개(12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23)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2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부(122)의 디스플레이층(122b)을 구동시킨다. 이는 게이트구동부(미도시)와 데이터구동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는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라인(미도시)을 통해 1 수평기간씩 순차적으로 게이트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는 1수평기간씩 턴-온(turn-on)한다. 여기서, 게이트구동부는 다수의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다수의 쉬프트레지스터(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122) 내부에 실장되는 GIP(Gate In Panel)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구동부는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에 따라, 데이터전압을 데이터접속부(124)을 통해 각 화소에 인가한다.
상기 구동부(123)는 연결배선(125)을 통해 제어부(140)에서 영상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배선(125)은 구동부(123)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단자와 연결되기 위해, 연결배선(125)은 후술할 덮개(126) 및 커버(121)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덮개(126)는 상기 구동부(123)를 덮어 감싸, 이를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123)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커버(121)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중력에 의해 쳐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동부(123)를 모든 면에서 덮개(126)가 덮어 감싸 상기 구동부(123)를 완전히 커버(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123)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권취시, 상기 구동부(123)로 인한 내부통로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덮개(126) 또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금속재,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PI(Pol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SUS(Steel Use Stainless)와 같은 얇은 금속 호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휠(127, 128)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양 측면에는 제1 휠(127) 및 제2 휠(128)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휠(127)은 권취롤(110)의 내부통로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휠(128)은 상기 권취롤(11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휠(127, 128)의 지름은 커버(121)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렇게 제1 휠(127)을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롤(110)의 내부통로에 권취될 때, 제1 휠(127)이 굴러가면서 권취롤(110)의 내부통로 표면과 마찰을 최소화하여 좀 더 쉽게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내부통로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휠(127)이 배치된 일측면과 반대측면에 배치된 제2 휠(128)은 무거운 금속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례로, 비중이 높은 철(Fe), 구리(Cu), 납(Pb) 등으로 이루어 질수 있다. 이렇게 금속소재로 제2 휠(128)을 구성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출시에, 사용자의 외력이 아닌 중력을 이용하여 권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외력으로 인한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5a는 도 2a에 도시된 Ⅰ-Ⅰ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2b에 도시된 Ⅱ-Ⅱ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110)은 나선형의 내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 끝단에 배치되는 스타퍼(112, 114)로 구성되어 있다.
나선형의 내부통로는 권취롤(110) 외측의 소정의 영역부터 나선형으로 권취롤(110)의 중심까지 이어져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내부통로에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을 권취시킴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여, 권취 및 권출시에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통로의 폭(W)은 제1 휠(127)의 지름과 얼라인(align)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휠(127)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롤(110)의 내부통로에 권취될 때,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통로의 길이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장축의 길이와 동일 할 수 있다. 여기서 장축이라 함은 상기 다수의 휠(127, 128)에 수직한 방향에 해당하는 축을 말한다. 이렇게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장축의 길이와 내부통로의 길이를 일치시킴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을 권취시킬때,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모두 내부통로에 권취될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110)의 경도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커버(121) 및 휠(127, 128)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일례로, 권취롤(110)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Polycarbonate)등을 3D프린팅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권취롤(110)의 경도가 낮음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권취 및 권출시에 권취롤(110)으로 인한 스크래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스타퍼(112, 114)는 내부통로에 부착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출되거나 권취될 때,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타퍼(112, 114)는 내부통로의 시작에 부착되는 제1 스타퍼(112)와, 내부통로의 끝단에 부착되는 제2 스타퍼(114)로 구성될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권출시에는 제1 스타퍼(112)가 제1 휠(127)과 맞닿아,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권취시에는 제1 휠(127)과 제2 스타퍼(114)가 맞닿고, 제2 휠(128)과 제1 스타퍼(112)이 맞닿아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이렇게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움직임을 다수의 스타퍼(112, 114)가 조절함으로써, 외부에 배치된 제어부(140)와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에 배치된 구동부(123)가 정확하게 얼라인(align)될 수 있게 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게한다.
또한 스타퍼(112, 114)는 자성체를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철(Fe), 니켈(Ni), 코발트(Co), 및 희토류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스타퍼(112, 114)를 구성함으로써,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휠(127, 128)과 자성을 띈 스타퍼(112, 114)가 서로 자기력으로 인해, 권취 및 권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모터(130)는 상기 권취롤(110)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휠(127)을 상기 내부통로에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130)는 권취롤(110)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제1 휠(127)의 양측에 연결된 제1 돌출부(127a) 및 제2 돌출부(127b)를 매개로 상기 제1 휠(127)을 내부통로에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휠(127)에 연결된 표시패널은 권취롤(110)으로부터 권취 및 권출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0)가 제1 돌출부(127a) 및 제2 돌출부(127b)를 이용하여, 제1 휠(127)을 내부통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출되는 것이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0)가 제1 돌출부(127a) 및 제2 돌출부(127b)를 이용하여, 제1 휠(127)을 내부통로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되는 것이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권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30)에 의해서 이루질 수도 있으나, 제2 휠(128)의 무게 즉, 중력을 이용하여 권출시킬수 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모터(130)에 부착되어 영상신호를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구동부(123)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부가적인 기능 즉, USB, TV수신기능을 할 수 있는 회로도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도킹부(142)의 자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킹부(142)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킹부(142)는 상기 제어부(140)에 부착되어, 권출상태에서 표시패널의 구동부(123)와 제어부(14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이 권출되었을 때, 도킹부(142)는 구동부(123)와 연결된 연결배선(12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도킹부(142)와 연결배선(125)을 통하여 구동부(123)와 접속되게 된다.
또한 도킹부(142)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권출상태에서, 제어부(140)는 도킹부(142)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성을 띄게 한다. 이렇게하여, 금속재질인 연결배선(125)과 도킹부(142)는 자기력으로 쉽게 접속될 수 있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권출은 모터(130)가 제1 휠(127)을 권취롤(110)의 내부통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출되는 것이고, 또한, 제2 휠(128)의 무게를 이용하여 권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권출상태에서 제어부(140)는 도킹부(142)를 통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구동부(1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를 구동 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권취는 제1 휠(127)을 내부통로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권취되는 것이다. 이때, 도킹부(142)와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의 구동부(123)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권출 및 권취 과정에서 내부통로를 구비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이 서로 맞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20)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충격 완화 및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플렉서블 표시장치 110: 권취롤
120: 플렉서블 표시패널 121: 커버
122: 표시부 123: 구동부
130: 모터 140: 제어부

Claims (14)

  1.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나선형의 내부통로를 구비하는 권취롤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내부통로에 권취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내부통로로부터 권출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측면에서 감싸는 커버;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부를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양 측변에 부착된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길이는 상기 내부통로의 길이와 동일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은 상기 내부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휠은 상기 권취롤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휠을 상기 내부통로에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부착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권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시키는 도킹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권출된 상태에서 자성을 가져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권취된 상태에서 자성을 잃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를 분리시키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두께보다 상기 커버의 두께가 더 두꺼운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에 부착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권출되거나 권취될 때,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퍼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퍼는 상기 내부통로의 양 끝단에 부착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덮어 감싸는 덮개;
    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의 경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경도보다 낮은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자종이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60076795A 2016-06-20 2016-06-20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2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795A KR102426420B1 (ko) 2016-06-20 2016-06-20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795A KR102426420B1 (ko) 2016-06-20 2016-06-20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55A KR20170142755A (ko) 2017-12-28
KR102426420B1 true KR102426420B1 (ko) 2022-07-27

Family

ID=6093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795A KR102426420B1 (ko) 2016-06-20 2016-06-20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629B1 (ko) * 2020-01-31 2024-04-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추출 시 디스플레이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자기 수단을 포함하는 롤링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CN113658508B (zh) * 2021-07-16 2023-0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083292B (zh) * 2022-07-29 2023-05-12 珠海华萃科技有限公司 柔性屏组件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8194A (en) * 2012-11-23 2014-05-28 Averly Ip Ltd Memory material frame to cause flexible display panel to become rig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55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752B2 (ja) ローラブル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102484505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404390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US10439154B2 (en) Display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panel
KR102426420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69135B1 (ko) 표시 장치
US20220418126A1 (en) Display device
US20180077808A1 (en) Display device
US11089700B2 (en) Display device
US8796921B2 (en) Flexible display panel
US20160187929A1 (en) Rollable display apparatus
US20150340004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EP3770890A1 (en) Display device
KR102600966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JP7050127B2 (ja) 表示装置
CN112419883B (zh) 显示装置
KR20210033696A (ko) 표시 장치
KR20210056580A (ko) 표시 장치
KR20160047100A (ko)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20726A (ko) 표시 장치
KR20170080746A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US11726629B2 (en) Electronic produc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hesive
CN112820193B (zh) 显示装置
KR102522946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20230040036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