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746A -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746A
KR20170080746A KR1020150189359A KR20150189359A KR20170080746A KR 20170080746 A KR20170080746 A KR 20170080746A KR 1020150189359 A KR1020150189359 A KR 1020150189359A KR 20150189359 A KR20150189359 A KR 20150189359A KR 20170080746 A KR20170080746 A KR 2017008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cb
substrate
pan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086B1 (ko
Inventor
김봉철
박재욱
김용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01L27/32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제1 연결 부재, 제2 연결 부재 및 패널 롤러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비 식각 영역 및 비 식각 영역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 식각 영역을 갖는다. 제1 연결 부재는 비 식각 영역에 접합되어, 데이터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2 연결 부재는 데이터 PCB를 콘트롤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패널 롤러부는 식각 영역에 접합된다. 이때, 식각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전면은 패널 롤러부에 감겨진다.

Description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 패널에 스캔신호(또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표시 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연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을 구부리거나 곡면을 갖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표시 패널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펴는 등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 패널과 더불어 이를 수납하는 기구 구조물을 다양한 형태로 설계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슬림화 및 경량화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제1 연결 부재, 제2 연결 부재, 및 패널 롤러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두께가 서로 다른 식각 영역 및 비 식각 영역을 갖는다. 제1 연결 부재는 비 식각 영역에 접합되어, 데이터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2 연결 부재는 데이터 PCB를 콘트롤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패널 롤러부는 식각 영역에 접합된다. 표시 패널은 패널 롤러부의 둘레를 따라 감겨진다.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접합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데이터 PCB와 콘트롤 PCB를 지지할 수 있도록 C자 형태를 갖는다 . 이때, 데이터 PCB와 콘트롤 PCB는 지지 부재에 감겨 표시 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접철(fol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서, 표시 패널은 식각 영역과 비 식각 영역을 갖는 제1 기판 및 제1 기판의 배면에 구비된 제2 기판을 포함한다. 이때, 콘트롤 PCB는 패널 롤러부에 내장되며, 데이터 PCB와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평면상에서, 데이터 PCB와 콘트롤 PCB 사이의 길이는, 데이터 PCB와 콘트롤 PCB 사이에 구비된 제2 연결 부재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는 고정부 및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제2 연결 부재의 일부가 제2 기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2 접착 부재는 고정부에서, 제2 부재와 제2 기판의 배면 사이에 개재된다.
일 평면상에서, 데이터 PCB와 고정부 사이의 길이는, 데이터 PCB와 고정부 사이에 구비된 제2 연결 부재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이며, 일 평면상에서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의 길이는,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는 제1 접착 부재와 제2 기판과 사이에 개재된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수 있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 부재 또는 접착 부재 등을 더 구비함으로써 구조물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들 간의 마찰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림화 경량화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제1기판의 식각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의 합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모듈화된 표시 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도면이다.
도 10은 표시 패널과 패널 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패널의 롤링 전, 후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패널의 롤링 전, 후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 구비된 구조물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일례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하는 예를 실시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처리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40), 스캔 구동부(130) 및 표시 패널(150)이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스캔라인들(GL1 ~ GLm)을 통해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표시 패널(150)은 데이터 구동부(140) 및 스캔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스캔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5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은 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된다. 서브 픽셀들(SP)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거나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발광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 다른 발광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보상회로(CC)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포함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스캔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제1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따라 제1전원라인(EVDD)과 제2전원라인(EVSS)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해 서브 픽셀 내에 추가된 회로이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바 이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에는 센싱 트랜지스터(ST)와 센싱라인(VREF)이 포함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소스라인과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이하 센싱노드)에 접속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센싱라인(VREF)을 통해 전달되는 초기화전압(또는 센싱전압)을 센싱노드에 공급하거나 센싱노드의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데이터라인(DL1)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의 게이트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제1전원라인(EVDD)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게이트전극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제2전극에 애노드전극이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EVSS)에 캐소드전극이 연결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센싱라인(VREF)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센싱노드인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참고로, 제1전극과 제2전극은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따라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또는 드레인전극과 소스전극으로 정의된다.
센싱 트랜지스터(ST)의 동작 시간은 보상 알고리즘(또는 보상 회로의 구성)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유사/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a스캔라인(GL1a)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제1b스캔라인(GL1b)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a스캔라인(GL1a)과 센싱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b스캔라인(GL1b)은 공통으로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센싱라인(VREF)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는 실시간, 영상의 비표시기간 또는 N 프레임(N은 1 이상 정수) 기간 동안 서브 픽셀의 센싱노드를 센싱하고 센싱결과에 따른 보상 구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센싱 트랜지스터(ST)는 동일한 시간에 턴온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시분할 방식에 의거 센싱라인(VREF)을 통한 센싱 동작과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동작은 상호 분리(구분) 된다.
이 밖에, 센싱결과에 따른 보상 대상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 또는 감마전압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결과를 기반으로 보상신호(또는 보상전압) 등을 생성하는 보상 회로는 데이터 구동부의 내부, 타이밍 제어부의 내부 또는 별도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기타, 도 3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센싱 트랜지스터(ST)를 포함하는 3T(Transistor)1C(Capacitor) 구조의 서브 픽셀을 일례로 설명한다. 하지만,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서브 픽셀은 3T2C, 4T2C, 5T1C, 6T2C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백라이트유닛이 필요 없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 대비 표시 패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두께가 얇은 만큼 연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을 구부리거나 곡면을 갖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표시 패널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펴는 등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 패널과 더불어 이를 수납하는 기구 구조물을 다양한 형태로 설계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하,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6은 제1기판의 식각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의 합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모듈화된 표시 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50)에는 제1기판(GLS), 다수의 픽셀(P)로 이루어진 표시영역(AA)을 갖는 중간층(IL) 및 제2기판(MS)이 포함된다.
중간층(IL)은 표시영역(AA)을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P)과 더불어 접착층(ADL)을 갖는다. 다수의 펙셀(P)은 적색(R), 백색(W), 청색(B) 및 녹색(G)을 발광하는 서브 픽셀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층(ADL)은 제1기판(GLS)과 제2기판(MS) 간의 합착을 도모하고 제1기판(GLS)과 제2기판(MS)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IL)을 밀봉하는 접착재료로 이루어진다.
제1기판(GLS)은 유리나 수지로 이루어진다. 제1기판(GLS)의 두께는 0.01mm ~ 0.2mm로 선택될 수 있다. 실험결과, 제1기판(GLS)의 두께가 0.01mm ~ 0.1mm와 같이 얇으면 수지가 아닌 유리로 이루어지더라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수 있는 형태의 변형이 매우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1기판(GLS)은 식각영역(식각부)(GLS1)과 비식각영역(비식각부)(GLS2)을 갖는다. 비식각영역(GLS2)은 외부 기판과 연결을 위한 패드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비식각영역(GLS2)은 가로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태이다. 비식각영역(GLS2)은 외부 기판과 연결되는 영역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다. 때문에, 비식각영역(GLS2)은 제1기판(GLS)의 전체 면적의 1% ~ 2%만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각영역(GLS1) 대비 높은 강성을 유지해야 하는바 비식각영역(GLS2)의 두께(t2)는 0.5mm ~ 0.7mm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식각영역(GLS2)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식각(에칭) 공정 등에 의해 제거되어 식각영역(GLS1)이 된다. 식각영역(GLS1)은 표시 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때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장력 스트레스(Tensile Stress)의 발생을 완화하기 위해 마련된다. 때문에, 식각영역(GLS1)의 두께(t1)는 0.01mm ~ 0.1mm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기판(MS)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제2기판(MS)의 두께는 0.01mm~0.2mm로 선택될 수 있다. 제2기판(MS)은 표시 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때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장력 스트레스(Tensile Stress)를 흡수, 분산 및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실험결과, 제2기판(MS)의 두께가 0.01mm ~ 0.2mm와 같이 얇으면 표시 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다가 필 때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장력 스트레스(Tensile Stress)를 효율적으로 흡수, 분산 및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기판(MS)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제1기판(GLS) 대비 충격에 강한 저항성을 갖는다. 때문에, 제2기판(MS)은 제1기판(GLS)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즉, 제2기판(MS)은 제1기판(GLS) 대비 외곽으로 돌출된 돌출영역(GP)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마련된다. 그리고 제2기판(MS)의 돌출영역(GP)은 제1기판(GLS)이 받을 수 있는 모서리 충격 등의 약한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시 패널(150)은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40), 스캔 구동부(130) 등(영상 처리부나 전원 공급부 등은 미도시함)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되어 도 8과 같이 모듈화된다.
스캔 구동부(130)는 GIP 방식으로 표시 패널(150)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표시 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하기 위해 표시 영역(AA)의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스캔 구동부(1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135)은 제1 연결 부재(145)를 통해 표시 패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부재(145)는 데이터 구동부(140)가 실장된 COF(Chip On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145)는 TCP(Tape Carrier Package) 방식으로 구현되어 데이터 PCB(135)와 표시 패널(1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 PCB(135)는 제2 연결 부재(127)를 통해 콘트롤 PCB(125)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부재(127)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콘트롤 PCB(125)에는 타이밍 제어부(120) 등이 실장된다. 제2 연결 부재(127)는 FFC(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트롤 PCB(125)는 영상 처리부(110), 전원 공급부 등과 연결 케이블(129, 도 1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 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도면이고, 도 10은 표시 패널과 패널 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는 모듈화된 표시 패널(150)(이하 표시 패널로 약기함), 패널 롤러부(160) 및 수납부(170)가 포함된다.
패널 롤러부(16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패널 롤러부(160)는 표시 패널(150)을 자신의 외주면에 원형 등으로 말았다가 필 수 있는 기구 구조를 제공한다. 패널 롤러부(160)는 수납부(170)에 수납된다.
수납부(170)는 표시 패널(150)과 패널 롤러부(160)를 수납한다. 수납부(170)의 내부에는 패널 롤러부(160)를 전동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예컨대 모터, 기어 및 전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때문에, 수납부(170)는 구동장치의 구성이나 디자인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은 구동장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납부(170)의 외부로 나오거나 수납부(170)의 내부로 들어간다. 예컨대, 구동장치가 r1 방향으로 회전하면 패널 롤러부(160)는 표시 패널(150)을 풀게 된다. 이 경우, 표시 패널(150)은 y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납부(170)의 외부로 나오게 된다. 반대로, 구동장치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패널 롤러부(160)는 표시 패널(150)을 말게 된다. 이 경우, 표시 패널(150)은 y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납부(17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패널(150)의 롤링 전, 후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패널 롤러부(160), 표시 패널(150), 데이터 PCB(135), 콘트롤 PCB(125), 지지 부재(170) 등을 포함한다.
패널 롤러부(160)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표시 패널(150)이 말리거나(rolling), 펴지는(unrolling)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식각 영역(GLS1)에서 표시 패널(150)의 전면(前面)이 패널 롤러부(160)에 감겨진다. 표시 패널(150)의 전면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의 일단은 패널 롤러부(160)에 고정된다. 표시 패널(150)의 일단을 패널 롤러부(160)에 고정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150)의 일단과 패널 롤러부(160) 사이에는 접착 부재, 혹은 고정 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패널 롤러부(160)와 직접 고정되지 않는 표시 패널(150)의 타단에는 비 식각 영역(GLS2)이 위치한다. 식각 영역(GLS1)에 비해 비 식각 영역(GLS2)이 외측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50)이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말리거나 펴지는 경우, 비 식각 영역(GLS2)과 패널 롤러부(160) 사이 혹은 비 식각 영역(GLS2)과 식각 영역(GLS1) 사이에서 마찰 또는 충돌이 발생하는 등의 기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 식각 영역(GLS2)은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말리기 시작되는 부분이 아닌 그 반대편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150)의 배면에는 보조 시트(20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보조 시트(200)는 표시 패널(15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 때, 일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구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PCB(135)는 제1 연결 부재(145)를 통해 표시 패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부재(145)는 비 식각 영역(GLS2)의 배면(背面)에 접합된다. 콘트롤 PCB(125)는 제2 연결 부재(127)를 통해 데이터 PCB(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 패널(150)에서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면을 표시 패널(150)의 전면(前面)이라 가정할 때, 데이터 PCB(135) 및 콘트롤 PCB(125)는 표시 패널(150)의 배면 방향에 위치한다. 콘트롤 PCB(125)는 영상 처리부(110), 전원 공급부 등과 연결 케이블(129)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170)는 표시 패널(150)의 배면에 접합된다. 즉, 표시 패널(150)은 제1 기판(GLS)과 제1 기판(GLS)의 배면에 배치된 제2 기판(MS)을 포함하며, 지지 부재(170)는 제2 기판(MS)의 배면에 접합될 수 있다.
연결 부재들(127, 145)은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의 무게 및 콘트롤 PCB(125)와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129) 등의 무게에 의해 과중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들(127, 145) 및 이들과 연결되는 구조물이 서로 분리되거나, 연결 부재들(127, 145)이 손상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는 연성의 성질을 갖는 연결 부재들(127, 145)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PCB(135) 및 콘트롤 PCB(125)는 다른 구조물과의 마찰, 충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지지 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지지 부재(170)는 표시 패널(150)의 배면에 접합되어, 표시 패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를 지지한다.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는 지지 부재(170)에 감겨 표시 패널(150)의 배면 방향으로 접철(folding)될 수 있다. 지지 부재(170)에 의해,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의 움직임은 구속, 제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 PCB(135) 및/또는 콘트롤 PCB(125)는 지지 부재(170)에 접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170)는 같은 방향으로 적어도 2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절곡점들은 소정 거리 이격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70)는 대략 'C' 형상, 혹은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70) 는 성형된 형상을 유지하고 구조물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성(rigid)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일 예로, 지지 부재(170)는 스테인레스(SUS),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지지 부재(170)를 구비함으로써, 표시 패널(150), 데이터 PCB(135), 콘트롤 PCB(125)를 포함하는 구조물들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품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지지 부재(170), 데이터 PCB(135), 콘트롤 PCB(125) 등의 구조물들에 의해 롤링(Rolling)이 불가한 영역(이하, '롤링 불가 영역'이라 함)(LNA1)이 발생한다. 즉, 표시 패널(150)은 말거나 펴는 동작이 가능하나, 지지 부재(170), 데이터 PCB(135), 콘트롤 PCB(125) 등과 같은 구조물들은 말거나 펴는 동작이 불가능하다. 롤링 불가 영역은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의 심미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사용 편의성 및 활용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바 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패널의 롤링 전, 후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 구비된 구조물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패널 롤러부(160), 표시 패널(150), 데이터 PCB(135), 콘트롤 PCB(125), 제1 접착 부재(180) 등을 포함한다.
패널 롤러부(160)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표시 패널(150)이 말리거나(rolling), 펴지는(unrolling)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의 일단은 패널 롤러부(160)에 고정된다. 표시 패널(150)의 일단을 패널 롤러부(160)에 고정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150)의 일단과 패널 롤러부(160) 사이에는 접착 부재, 혹은 고정 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패널 롤러부(160)와 직접 고정되지 않는 표시 패널(150)의 타단에는 비 식각 영역(GLS2)이 위치한다. 식각 영역(GLS1)에 비해 비 식각 영역(GLS2)이 외측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50)이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말리거나 펴지는 경우, 비 식각 영역(GLS2)과 패널 롤러부(160) 사이 혹은 비 식각 영역(GLS2)과 식각 영역(GLS1) 사이에서 마찰 또는 충돌이 발생하는 등의 기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 식각 영역(GLS2)은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말리기 시작되는 부분이 아닌 그 반대편에 위치한다.
데이터 PCB(135)는 제1 연결 부재(145)를 통해 표시 패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부재(145)는 비 식각 영역(GLS2)의 배면(背面)에 접합된다. 콘트롤 PCB(125)는 제2 연결 부재(127)를 통해 데이터 PCB(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트롤 PCB(125)는 패널 롤러부(160)의 내부에 내장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2 연결 부재(127)는 데이터 PCB(135)로부터 연장되어 패널 롤러부(160)의 일측에 구비된 인입부를 통해 콘트롤 PCB(125)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부재(127)는 표시 패널(150)의 롤링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함께 롤링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콘트롤 PCB(125)가 패널 롤러부(160)에 내장되기 때문에, 콘트롤 PCB(125) 및 콘트롤 PCB(125)와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129, 도 11)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170)의 구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데이터 PCB(135)의 무게에 기인하여 제1 연결 부재(145)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데이터 PCB(135)와 다른 구조물 사이의 마찰 및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 패널(150)의 배면과 데이터 PCB(135)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180)를 더 구비한다. 즉, 표시 패널(150)은 제1 기판(GLS)과, 제1 기판(GLS)의 배면에 배치된 제2 기판(MS)을 포함하며, 제1 접착 부재(180)는 제2 기판(MS)의 배면과 데이터 PCB(135) 사이에 개재된다. 제2 접착 부재(182)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80)에 의해, 데이터 PCB(135)의 움직임은 구속,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일정 두께(t1, 도 11) 및 무게를 갖는 지지 부재(170)를 구비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가볍고 얇은 두께(t2)를 갖는 제1 접착 부재(180)만을 구비하면 충분하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대비 제품 슬림(slim)화 및 경량화를 기할 수 있어 제품의 심미성은 물론 제품의 활용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대비 롤링 불가 영역(LNA2)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말거나 펴는 동작이 불가한 지지 부재(170), 데이터 PCB(135), 콘트롤 PCB(125)과 같은 구조물들이 위치할 수 있는 롤링 불가 영역(LNA1, 도 11)이 충분히 할당 되어야 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말거나 펴는 동작이 불가한 데이터 PCB(135) 구조물만이 위치할 수 있는 롤링 불가 영역(LNA2)을 확보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는 롤링 불가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심미성은 물론, 사용 편의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킨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에서 표시 패널(150)은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말리거나, 펴지는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이 말리거나 펴지는 롤링 동작에 연동하여 표시 패널(150)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연결 부재(127) 또한 롤링 동작을 수행한다. 롤링 동작이 수행 시, 표시 패널(150)과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 변화는 다르다.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시 패널(150)의 길이와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제2 연결 부재(127)에는 인장 스트레스 등이 작용할 수 있고, 파괴 강도 이상의 응력이 가해지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표시 패널(150)의 길이 대비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충분히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경우, 표시 패널(150)과 제2 연결 부재(127)가 패널 롤러부(160)의 둘레를 따라 롤링 동작을 수행할 시 발생하는 길이 변화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가 일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할 때,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 사이의 길이(L1)는,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표시 패널(150)이 플랫(flat)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제2 연결 부재(127)는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 부재(127)는 표시 패널(150)과 함께 패널 롤러부(160)에 감겨진다. 표시 패널(150)에서 패널 롤러부(160)에 감겨진 최대 길이를 100%라 할 때, 제2 연결 부재(127)에서 패널 롤러부(160)에 감겨진 최대 길이는 105%~120%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 연결 부재(127)가 표시 패널(150) 대비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경우, 제2 연결 부재(127)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처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 부재(127)는 다른 구조물과 맞닿아 마찰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연결 부재(127)의 일부를 제2 기판(MS)의 배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연결 부재(127)의 일부가 제2 기판(MS)의 배면에 고정된 영역을 고정부(181)라 정의한다.
도 15를 더 참조하면, 고정부(181)에는 제2 접착 부재(182)가 구비되어, 제2 연결 부재(127)의 일부를 제2 기판(MS)의 배면에 고정시킨다. 제2 접착 부재(182)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양면 테이프는 제2 연결 부재(127)와 제2 기판(MS)의 배면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를 접합시킨다.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가 일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할 때, 데이터 PCB(135)와 고정부(181) 사이의 길이(L2)는, 데이터 PCB(135)와 고정부(181)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표시 패널(150)이 플랫(flat)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PCB(135)와 고정부(181)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127)는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PCB(135)와 고정부(181) 사이에서 표시 패널(150)의 길이는, 데이터 PCB(135)와 고정부(181) 사이에서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가 일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할 때, 고정부(181)와 콘트롤 PCB(125) 사이의 길이(L3)는, 고정부(181)와 콘트롤 PCB(125)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표시 패널(150)이 플랫(flat)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고정부(181)와 콘트롤 PCB(125)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127)는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부(181)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데이터 PCB(135)와 콘트롤 PCB(125)가 일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할 때, 이웃하는 고정부(181) 사이의 길이(L4)는, 이웃하는 고정부(181)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표시 패널(150)이 플랫(flat)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이웃하는 고정부(181)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 부재(127)는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웃하는 고정부(181) 사이에서 표시 패널(150)의 길이는, 이웃하는 고정부(181) 사이에서 제2 연결 부재(127)의 길이보다 짧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2 연결 부재(127)를 구비함으로써, 롤링 동작 수행 시 표시 패널(150)과의 길이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접착 부재(182)를 통해 제2 연결 부재(127)의 일부를 표시 패널(150)의 배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제2 연결 부재(127)의 처짐에 따른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는 절연 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절연 부재(190)는 PVC(Polyvinyl chloride) 및 PET(Polyethyelene Terepthalate)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 부재(190)는 제1 접착 부재(180)와 제2 기판(MS)의 배면 사이에 개재된다. 제1 접착 부재(180)로 양면 테이프 등이 이용되는 경우, 제1 접착 부재(180)는 표시 패널(150)과 데이터 PCB(135) 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절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접착 부재(180)로 선택된 재료에 따라 충분한 절연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절연 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데이터 PCB(135)와 표시 패널(150) 사이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구동 불량을 줄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20: 타이밍 제어부 125: 콘트롤 PCB
140: 데이터 구동부 135: 데이터 PCB
150: 표시 패널 GLS: 제1기판
MS: 제2기판 GLS1: 식각영역
GLS2: 비식각영역 145 : 제1 연결 부재
127 : 제2 연결 부재 170 : 지지 부재
180 : 제1 접착 부재 181 : 고정부
182 : 제2 접착 부재 190 : 절연 부재

Claims (9)

  1. 비 식각 영역 및 상기 비 식각 영역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 식각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비 식각 영역에 접합되어, 데이터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데이터 PCB를 콘트롤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식각 영역에 접합되는 패널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각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前面)이 상기 패널 롤러부에 감겨지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背面)에 접합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데이터 PCB와 상기 콘트롤 PCB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같은 방향으로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된 형상을 갖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PCB와 상기 콘트롤 PCB는,
    상기 지지 부재에 감겨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접철(folding)되는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식각 영역과 상기 비 식각 영역을 갖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의 배면에 구비된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 PCB는,
    상기 패널 롤러부에 내장되며,
    상기 데이터 PCB와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상기 패널 롤러부에 감겨지고,
    상기 표시 패널에서 상기 패널 롤러부에 감겨진 최대 길이를 100%라 할 때, 상기 제2 연결 부재에서 상기 패널 롤러부에 감겨진 최대 길이는 105%~120% 사이인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2 기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제2 기판의 배면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연성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PCB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길이는,
    상기 데이터 PCB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제2 연결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길이는,
    상기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기판과 사이에 개재된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0150189359A 2015-12-30 2015-12-30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54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59A KR102454086B1 (ko) 2015-12-30 2015-12-30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59A KR102454086B1 (ko) 2015-12-30 2015-12-30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46A true KR20170080746A (ko) 2017-07-11
KR102454086B1 KR102454086B1 (ko) 2022-10-13

Family

ID=5935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359A KR102454086B1 (ko) 2015-12-30 2015-12-30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0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354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6636A (ko) * 2018-11-15 202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38356B2 (en) 2019-07-09 2023-04-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30057713A (ko) * 2021-10-22 2023-05-02 지에프 주식회사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6611A (zh) * 2013-09-04 2014-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柔性显示器件及阵列基板的制作方法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6611A (zh) * 2013-09-04 2014-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柔性显示器件及阵列基板的制作方法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354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6636A (ko) * 2018-11-15 202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07015B2 (en) 2018-11-15 2024-02-2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38356B2 (en) 2019-07-09 2023-04-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30057713A (ko) * 2021-10-22 2023-05-02 지에프 주식회사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086B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198B2 (en) Rollable flexible display
KR102454386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US9684340B2 (en) 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
TWI686780B (zh) 具有可捲式顯示面板的顯示裝置
CN109326214B (zh) 具有可卷绕显示面板的显示装置
KR102404390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2018007740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54086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600186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KR102522946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78673B1 (ko) 케이블 및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