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4214A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4214A1
WO2020204214A1 PCT/KR2019/003740 KR2019003740W WO2020204214A1 WO 2020204214 A1 WO2020204214 A1 WO 2020204214A1 KR 2019003740 W KR2019003740 W KR 2019003740W WO 2020204214 A1 WO2020204214 A1 WO 20202042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display device
magnetic
magnet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7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염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37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04214A1/ko
Publication of WO20202042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42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권출된 부분을 평면 상태로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링부 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제1 도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화되고, 자화된 자성체간 인력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 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츠들을 사용자아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들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정보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본체에 말려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변형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는 말려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며, 원하는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본체 외부로 인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점이 장점이지만,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평면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권출된 부분은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기타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기타 문제들 역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권출된 부분을 평면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링부 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제1 도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화되고, 자화된 자성체간 인력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젤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자화되어 상기 상호 인력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롤링부 모듈에서 권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은 상기 롤링부 모듈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은 상기 롤링부 모듈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상기 복수의 자성체에 대응하여 구비된 제2 도선을 포함하는 배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제2 도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일방향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도선은 상기 복수의 자성체에 인접하여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상기 제1 도선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배면 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렝디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링부 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성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에 대응하여 구비된 도선 패턴을 포함하는 배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도선 패턴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화되고, 자화된 자성체간 인력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선 패턴은 상기 롤링부 모듈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자성체가 순차적으로 자화되도록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출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출된 부분에 한정하여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자성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9는 도 6의 자성체를 자화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도선을 이용하여 자성체를 자화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11 내지 13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도선 배열과 자성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롤링부 모듈에서 권출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여 자성체가 자회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특징들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자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조절 가능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갖도록 구성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 모듈(130),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모듈(173), 디스플레이 모듈(180), 오디오 출력 모듈(185), 전원 공급 모듈(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이 모두 첨부된 도면들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으며, 중요한 일부 구성요소들만이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수 있다. 그러나, 비록 모두 도시되지는 않지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도 1의 구성 요소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 가능하다.
방송 수신 모듈(130)은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32)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32)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3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3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3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컨트롤러(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3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ed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3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산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튜너(13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3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32)는 예컨데, 8-VSC(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3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32)는 트렐리스 디코터(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솔로먼 디코너(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3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32)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3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32)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32)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3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컨트롤러(170)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모듈(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70)로 전달한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음악, 뮤직 비디오, 스포츠 중계, 광고, 게이,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자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메모리(170)가 컨트롤러(170)와 분리되어 도시되고 있으나, 메모리(170)는 컨트롤러(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키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70)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디바이스(100)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바이스(100)는 기판을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각종 전자부품, 특히 컨트롤러(170)를 구성하는 각종 프로세서들이 이들을 보조하는 다른 회로 및 소자들과 함께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컨트롤러(170)는 제어기(controller),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이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모든 작동 및 제어들은 모두 컨트롤러(170)의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튜너(131) 또는 복조부(132)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 모듈(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컨트롤러(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튜너(13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다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31)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80) 또는 오디오 출력모듈(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5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듈(180)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185)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6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 모듈(180)을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롤러블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80)를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 롤러블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80)이 말려질 수 있는 롤러(미도시) 및 상기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wind)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질(unwind)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지면서 일 방향으로 돌출(preoject)되거나 확장(expand/roll out)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80)이 상기 롤러에 감겨지면서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롤러에 디스플레이 모듈(180)이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80)이 형성하는 화면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제스쳐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직접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댁내에 포함된 다른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한 명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접근하는지 또는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모듈(185)는 컨트롤러(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소,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모듈(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모듈(19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침(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모듈(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모듈(190)은 외부 명령 및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작동을 시작하도록 컨트롤러(170)을 포함 관련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모듈(190)은, 교율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80)이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면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블루투수(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기능들을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물리적 버튼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조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모듈(180)의 확장 및 수축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확장 및 수축이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및 량과 연계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조 및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제어에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의도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기본적으로 수반한다. 따라서, 다양한 제어의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환경 및 인터페이스(user environment and user interface)의 향상을 포함하여 의도된 기능적 향상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의 용이함 및 편리함 등과 같은 스마트 다이바스(100)에 대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도 함께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은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4) 및 타이밍 콘트롤러(16)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픽셀들에 기입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6)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은 데이터 배선들(D1~Dm)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배선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들을 선택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6)는 호스트 시스템(19)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4)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 시킨다. 데이터 구동회로(1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4)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등을 포함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텔레비전 시스템, 셋톱밧스, 네이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9)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9)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타이밍 콘트롤러(16)로 전송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 배선들(D1~Dm, m은 양의 정수)과 게이트 배선들(G1~Gn, n은 양의 정수)에 의해 정의된 픽셀 영역에 형성된 픽셀들을 포함한다. 픽셀들 각각은 자발광 소자인 OLED를 포함한다.
도 3를 더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에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들(D)과, 다수의 게이트 배선들(G)이 교차되고, 이 교차영역마다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픽셀 각각은 OLED, 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박막 트렌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DT),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셋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밍부(SC)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부(S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TFT는 게이트 배선(G)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 배선(D)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일측 전극에 인가한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OLED의 발광량을 조절한다. OLED의 발광량은 구동 TFT(D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비례한다. 이런한 픽셀은 고전위 전압원(EVDD)과 저전위 전압원(EVSS)에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원 발생부로부터 각각 고전위 전원 전압과 저전위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픽셀을 구성하는 TFT들은 p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픽셀을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아몰포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OLED는 애노드 전극(ANO), 캐소드 전극(CAT), 및 애노드 전극(ANO)과 캐소드 전극(CAT) 사이에 개재된 유기 화합물 층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ANO)은 구동 TFT(DT)와 접속된다.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표시 영역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전면은 표시 영역이 정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일면을 의미한다.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배면은 사용자가 표시 영역을 인식할 수 없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전면과 반대되는 방향의 일면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소정의 연성이 부여되어, 감거나(rolling, 또는 winding), 펴는(unrolling, 또는 unwinding) 동작이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전면 방향으로 권취(inner rolling)될 수 있고, 배면 방향으로 권취(out rolling)될 수도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상태 변화(권취 및 권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물리적인 외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일단을 파지하고 이에 힘을 제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상태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a))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상태 변화는 기 설정된 특정 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70, 도 1 참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상태 변화는 선택된 구동 장치 및 구동 회로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롤링부 모듈(210)과 같은 기구물의 둘레를 따라 권취될 수 있다. 롤링부 모듈(210)은 원동형의 형상을 가지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롤링부 모듈(2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권취가 용이한 형상들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구동 장치로부터 제공된 기계 에너지에 동기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나선 형상(또는, 코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가이드 레일의 궤적을 따라 가이드된다. 가이드 레일을 따라 권취된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면 대 면이 서로 맞닿지 않고 소정의 간격 이격 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권취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면 대 면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롤러블 모듈(210) 또는 가이드 레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승강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롤러블 모듈(210) 또는 가이드 레일이 하강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자성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취 또는 권출되고,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취된 상태에서 평면상태를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링부 모듈(21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성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플라스틱 기판 위해 TFT 레이어 및 OELD 레이어가 적층된 플라스틱 유기발광 다이오드(Plastic OLED)일 수 있다. 롤링부 모듈(2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감겨지는 원통형의 롤러 및 상기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링부 모듈(2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인출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실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이 실장되는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젤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자성체(310)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일 수 있다. 즉, 외부 자기장이 없는 경우에는 자화되지 않고, 외부 자기장이 걸린 경우 일 방향으로 자화되어 상호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에 구비되는 제1 도선에 전류가 인가된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일방향으로 자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선은 복수의 자성체(310)에 인접하는 도선으로 복수의 자성체(310)를 자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선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을 구동하는 도선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하에서는 복수의 자성체(310)가 자화되는 원리를 살펴본다.
도 7 내지 9는 도 6의 자성체를 자화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자성체는 자성을 지닌 물질을 의미하며 자기장 안에서 자화되는 물질을 말한다. 강자성체는 원자의 자기모멘트가 정렬되어 있어 자성이 강한 자성체이고, 상자성체는 원자의 열진동으로 인해 자화가 무질서하게 일어난 자성체를 말한다. 강자성체는 자기모멘트가 일정 수준 정렬되어 있어 자기장을 제거해도 자성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으며, 상자성체는 자기모멘트가 무질서하게 있어 외부에서 자기장을 제거하면 자성이 사라진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강자성체를 외부 자기장을 통해 자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강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을 통해 자화되는 경우, 이후 외부 자기장이 사라지더라도 자기 모멘트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여 자성이 남아 있을 수 있다. 강자성체의 예로는 철, 코발트 니켈 외 합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7(b)는 상자성체를 외부 자기장을 통해 자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자성체는 자기 모멘트의 무질서가 높아 외부 자기장을 통해 자화된 후 외부 자기장을 제거하면 자성이 사라질 수 있다. 상자성체의 예로는 알루미늄, 주석, 백금들이 있을 수 있다.
자성체를 자화하기 위한 자기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자석을 이용하는 방법 외에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자석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제공하는 방법은 자기장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법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선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류는 앙페르의 법칙에 의거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고, 전류가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성체를 자화할 수 있다.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자성체를 자화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전류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도선(311, 312) 및 도선(311, 312)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310)를 포함하는 레이어들(a 내지 e)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자성체(310)를 포함하는 레이어(c)는 도선(311, 312)를 포함하는 레이어(a, d)사이에 구비되며, 도선(311, 312)과 자성체(310)가 직접 맞닿지 않도록 사이에 피막(b) 및 지지 기판(e) 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310)는 하나의 도선(311 or 312)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화될 수 있으나, 두 개의 도선(311, 312)을 이용하면 보다 강한 자성체(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도선(311, 312)은 도 8과 같이 자기장 방향을 형성하도록 전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자성체(31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된 도선(311, 312)은 전류 방향이 반대로 흘러 자성체(310)를 자화하기 위한 자기장을 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강자성체 및 상자성체는 왼쪽이 N극 오른쪽이 S극을 형성하도록 자화될 수 있으며, 반자성체는 왼쪽이 S극 오른쪽이 N극을 형성하도록 자화될 수 있다. 도선(311, 31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제어하는 경우 자성체(310)가 자화되는 방향이 반대로 될 수 있다. 도선(311, 312)과 자성체(310)를 나란히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 자성체(310)은 일방향으로 자화될 수 있으며, 자화된 자성체(310)는 상호 인력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일방향으로 구비된 자성체(310)가 상기 일방향으로 자화되어 상호 인력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방향으로 구비된 자성체(310)는 사용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화될 수 있다. 자성체(310)가 자화되지 않는 경우는 자성체(310)간 인력이 형성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자화된 자성체(310)는 상호 일력을 방생할 수 있다.
일방향으로 자화된 자성체(310)간 형성된 인력은 자성체(310)를 포함하는 레이어 (c) 및 이에 적층되는 다른 레이어(a, b, d, e)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외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자성체(310)를 포함하는 레이어(c) 및 이에 적측되는 다른 레이어(a, b, d, e)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레이어 이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된 배면 패널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레이어에 자성체(310)가 포함되는 경우, 자성체(310)를 자화하는 도선(311, 312)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도선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자성체(31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도선을 이용하여 자화되는 경우, 추가 배면 패널 부착이 없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두꺼워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추가 배면 패널을 부착하고, 배면 패널은 자성체(310)를 자화하기 위한 도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310)를 포함하는 레이어(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첫째로 자성체를 포함하는 레이어(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레이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도선(311)을 포함하는 레이어 (a) 및 사이의 버퍼 레이어(b) 역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레이어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선(311)을 포함하는 레이어(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TFT 레이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도선(311)은 TFT에 연결된 게이트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회로 라인을 통해 자성체(310)를 자화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회로 라인이 자성체(310)에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보다 적절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둘째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배면에 자성체(310)를 자화하기 위한 도선 패턴을 포함하는 배면 패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면 패널은 제2 도선(312)을 포함하는 레이어(d) 및 지지 기판(e)으로 구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자성체(310)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제1 도선(311) 및 배면 패널에 구비된 제2 도선(312)에 의해 자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도선(312)은 제1 도선(31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로 전류가 흘러 자성체(310)에 인가되는 자기장을 상쇄하지 않고 강화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도선(312) 만을 이용하여 자성체(310)를 자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도선을 이용하여 자성체를 자화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도 2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 이하 도2에서 추가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자성체(310)를 자화하는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에 구비된 도선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성체(310)는 게이트 라인(G1~Gm)지나는 영역(A)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게이트 라인(G1~Gm)에 인가되는 전류가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일 축 픽셀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성체(310)는 데이터 라인(D1~Dm)이 지나는 영역(B)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데이터 라인(D1~Dm)에 인가되는 전류가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다른 축 픽셀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보통, 게이트 라인(G1~Gm)과 데이터 라인(D1~Dm)은 수직으로 구비되고,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야 하므로, 자성체를(310)을 자화하는데 게이트 라인(G1~Gm)과 데이터 라인(D1~Dm)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G1~Gm)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경우, 게이트 라인(G1~Gm)이 자성체(310) 자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라인(D1~Dm)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D1~Dm)이 자성체를 자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양 측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양측 가장자리일 수 있다. 다만, 회로 구성에 있어서, 게이트 라인(G1~Gm)과 데이터 라인(D1~Dm)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양 측면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경우 게이트 라인(G1~Gm)과 데이터 라인(D1~Dm)을 모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양측면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도선 라인을 자성체(310)를 자화하는데 이용하는 이유를 도 11 내지 13을 통해서 설명한다.
도 11 내지 13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도선 배열과 자성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자성체(310)가 자화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을 지지하는 인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을 따라 양 측 가장자리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자성체(310) 역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을 따라 자화됨이 바람직하다.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므로, 자성체(31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을 따라 자화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양 측 가장자리에서 제1 도선(311)이 수직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도 11(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에 구비되는 제1 도선(31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b) 및 도 11(c)는 도 11(a)의 D영역을 확대한 개념도 이다.
구체적으로, 도 11(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양 측 자장자리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 도선(311)에 자성체(310)가 동일 크기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양 측 자장자리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 도선(311)에 자성체(310)가 상이한 크기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b)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자성체(310)가 자화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3은 도 11(c)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자성체(310)가 자화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제1 도선(311)의 단부(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으나, 제1 도선(31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자성체(31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함으로, 자성체(310)는 도 8과 같이 제1 도선(311)의 배면에 구비되어 있다 봄이 바람직하다.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 되는 방향(C)을 따라 구비되며,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에 수직하게 흐르는 전류(제1 도선(311)에 흐르는 전류)가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을 따라 자화될 수 있다. 즉,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을 따라 일방향으로 자화되어 상호 인력을 형성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취된 상태에서 평면을 유지하는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성체(310)의 크기는 도 11(b) 및 도 12와 같이 동일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도 11(c) 및 도 13과 같이 상이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310)는 롤링부 모듈(210)에 가까운 부분은 크고 롤링부 모듈(210)에 먼 부분은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취될수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에서 롤링부 모듈(210)에 근접한 부분은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자성체(310)의 크기를 도 11(b) 및 도 12와 같이 동일 크기로 구비하되, 롤링부 모듈(210)에 가까운 부분의 자성체(310)는 큰 자기장을 통해 보다 강하게 자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도선(311)에서 롤링부 모듈(210)에 가까운 부분은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c)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취된 정도에 대응하여 자화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을 통해 설명한다.
도 14는 롤링부 모듈에서 권출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여 자성체가 자화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자성체(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가 권출 또는 권취되는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항상 자화되어 있는 것보다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자화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180)에서 롤링부 모듈(210)에 권취된 부분에 구비된 자성체(310)가 자화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롤링부 모듈(210)에 권취된 상태에서 권출하기 위한 외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롤링부 모듈(21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에 무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성체(31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취된 부분에 대응하여 자화되기 위해서, 롤링부 모듈(210)의 회전 각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롤리부 모듈(210)의 회전 각도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권출된 정도를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자성체(310)를 자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a) 내지 도 14(c)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출된 정도(1단 펼
침, 2단 펼침, 3단 펼침)에 대응하여 자성체(310)가 자화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자성체(31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이 롤링부 모듈(210)에서 권출된 정도에 대응하여 자화하기 위해서, 롤링부 모듈(2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도선(311, 도 11 참조)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는, 롤링부 모듈(2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2 도선(312, 도 11 참조)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자성체(31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제1 도선 (311) 또는 복수의 제2 도선(312)에서 롤링부 모듈(210)의 회전 각도를 따라 롤이부 모듈(210)에서 가장 이격된 자성체(310)에 대응되는 도선부터 순차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에서 롤링부 모듈(210)로부터 권출된 부분에만 영상 신호를 제공하여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은 데이터 라인(D1~Dm) 또는 게이트 라인(G1~Gm)에 롤링부 모듈(21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된 데이터 라인(D1~Dm) 또는 게이트 라인(G1~Gm)을 통해 자성체(310)를 순차적으로 자화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링부 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제1 도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화되고,
    자화된 자성체간 인력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젤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롤링부 모듈에서 권출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박막 트렌지스터에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다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은
    상기 롤링부 모듈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박막 트렌지스터에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은
    상기 롤링부 모듈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상기 복수의 자성체에 대응하여 구비된 제2 도선을 포함하는 배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제2 도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일방향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선은
    상기 복수의 자성체에 인접하여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상기 제1 도선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배면 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링부 모듈;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성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에 대응하여 구비된 도선 패턴을 포함하는 배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도선 패턴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하는 자기장을 통해 자화되고,
    자화된 자성체간 인력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권취 또는 권출되는 방향을 따라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 패턴은
    상기 롤링부 모듈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자성체가 순차적으로 자화되도록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9/003740 2019-03-29 2019-03-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20421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3740 WO2020204214A1 (ko) 2019-03-29 2019-03-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3740 WO2020204214A1 (ko) 2019-03-29 2019-03-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214A1 true WO2020204214A1 (ko) 2020-10-08

Family

ID=7266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740 WO2020204214A1 (ko) 2019-03-29 2019-03-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20421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71298A1 (en) * 2019-06-13 2021-09-02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N113870710A (zh) * 2021-09-29 2021-12-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4550587A (zh) * 2022-02-18 2022-05-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783284A (zh) * 2022-03-28 2022-07-2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08B1 (ko) * 2006-10-1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170092224A1 (en) * 2015-09-30 2017-03-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ircuit board and display system
US20170200545A1 (en) * 2016-01-11 2017-07-1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Flexi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same
KR20170136229A (ko)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KR20170143112A (ko) * 2016-06-20 2017-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08B1 (ko) * 2006-10-1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170092224A1 (en) * 2015-09-30 2017-03-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ircuit board and display system
US20170200545A1 (en) * 2016-01-11 2017-07-1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Flexi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same
KR20170136229A (ko)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KR20170143112A (ko) * 2016-06-20 2017-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71298A1 (en) * 2019-06-13 2021-09-02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698667B2 (en) * 2019-06-13 2023-07-11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N113870710A (zh) * 2021-09-29 2021-12-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3870710B (zh) * 2021-09-29 2023-08-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4550587A (zh) * 2022-02-18 2022-05-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550587B (zh) * 2022-02-18 2023-11-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783284A (zh) * 2022-03-28 2022-07-2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CN114783284B (zh) * 2022-03-28 2024-02-2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421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6959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261084B1 (en) Rollable display
EP3959865A1 (en) Roll-slide mobile terminal
WO2013065929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707823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6064179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WO2020262713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0307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414255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EP354253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10961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4672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for synchronizing conten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rver
WO2019098775A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1013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212147A1 (en) Adapto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WO2014119812A1 (ko) 영상표시기기
EP29394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WO20201225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00927A1 (ko) 이동 단말기
WO2022164177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 신호 전송 방법
WO202328248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15567A1 (ko) Pov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171834A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WO2023080294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35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35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