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640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640A
KR20110048640A KR1020090105297A KR20090105297A KR20110048640A KR 20110048640 A KR20110048640 A KR 20110048640A KR 1020090105297 A KR1020090105297 A KR 1020090105297A KR 20090105297 A KR20090105297 A KR 20090105297A KR 20110048640 A KR20110048640 A KR 20110048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alloy
motor
portable terminal
shap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582B1 (ko
Inventor
황용진
김민수
이건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582B1/ko
Priority to EP10013507.8A priority patent/EP2315186B1/en
Priority to US12/907,841 priority patent/US8928580B2/en
Priority to CN201010524448.5A priority patent/CN102055821B/zh
Publication of KR2011004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640A/ko
Priority to US14/552,895 priority patent/US94510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가 물리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몸체의 외형을 변화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한 몸체의 형상 변화가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출력신호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인식 할 수 있어 게임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심의 메뉴를 사용하는 경우 그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리적 변형, 구부러짐, 형상기억합금, 모터, 가동프레임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용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롭고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 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엘씨디(LCD, Liquid Crytal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적용된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처리된 정보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음향 또는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러나, 단말기의 출력 신호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프레이부를 지속적으로 응시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력 정보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의 출력 신호가 음향 또는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에는 공공장소에서 소음 등을 유발하여 사용자 이외의 타인들에게 불편을 줄 수도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신호 등에 의해 몸체의 형상이 물리적으로 변형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물리적 변형을 통하여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자체 모양을 변화시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본래의 모양과 변형된 모양이 번갈아 변경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전기적신호가 제공되면 금속 내부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그 모양을 변화시킨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편평한 모양에서 내부 온도가 전이온도를 초과할 경우 구부러진 모양으로 변화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모양의 변화가 상기 몸체를 변형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유연한 부분에 삽입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니켈 및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모양의 변화가 상기 몸체를 변형시키도록 삽입된다.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중 어느 하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모양의 변화가 상기 몸체를 변형시키도록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중 유연한 부분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접합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삽입슬릿과 상기 삽입슬릿에 삽입되는 결합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리브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에 형성된 상기 삽입슬릿 내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 사이로 삽입되는 장착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삽입슬릿에 삽입된 상기 결합리브를 관통하는 체결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는 서로 분리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보스를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하여 그 결합력이 유지된다.
상기 몸체는, 유연한 재질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몸체와;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몸체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일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타단이 회전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가동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됨에 의하여 상기 제1몸체의 형상을 변화시킨다.
상기 가동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 임의 양단에는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프레임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모터몸체와; 상기 모터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몸체의 구부러짐에 대응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서 구부러지는 부분에 구비되는 유연한 재질의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가 물리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몸체의 외형을 변화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한 몸체의 형상 변화가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출력신호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단말기의 출력 신호로 인식 할 수 있어 게임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심의 메뉴를 사용하는 경우 그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단말기 외형의 물리적 변화를 출력신호로 구성하는 경우, 진동이나 음향과 달리 주변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도 출력신호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가 위치된 주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00)(이하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 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모듈(115)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 System)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 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100)의 방위,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부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부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 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 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본체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 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바디 및 케이스 등은 본체와 혼용될 수 있으며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 모듈(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 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 모듈(1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 모듈(122)이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 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 모듈(1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카메라 모듈(121, 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1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 모듈(1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121,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 모듈(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의 동작 과정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형상기억합금(形狀記憶合金, shape memory alloy)(800)은 여러 가지 금속 합금 가운데 전이 온도 이하에서 변형하여도 전이 온도(轉移溫度) 이상이 되면 변형 이전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합금을 말한다. 전이온도는 물질의 상태가 전이할 때의 그 물질 고유의 일정한 온도를 말한다.
즉, 형상기억합금(800)은 구부러진 형상을 기억하도록 제작되어, 편평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열을 가해 일정 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기억합금은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변위 또는 힘 등)로 전환 가능하고 형상기억효과(Shape Memory effect), 제진특성 및 초탄성효과(Super Elastic effect)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다.
형상기억효과는 임계점 이하의 저온에서 변형을 시켰다가, 고온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말하며, 제진특성은 형상기억합금의 저온상(Martensite)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특성으로 저온상의 경우 일정 높이에서 형상기억합금을 떨어뜨리면 금속성의 소리가 나는 것이 아니라 고무 등과 같이 이른바, '툭'하는 둔탁한 소리를 내게 된다. 초탄성효과는 임계점 이상의 고온상(Austenite)에서 변형을 시켰다가,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특성이다.
이와 같은 형상기억합금은 니켈계(Ni), 구리계(Cu), 철계(Fe)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아연(Zn), 알루미늄(Al), 금(Au), 은(Ag) 등의 금속을 조합한 Cu-Zn-Ni, Cu-Al-Ni, Ag-Ni, Au-Cd 등 수십 종류의 합금계가 있으나, 기억력이 가장 좋은 합금은 니켈-티타늄(Ni-Ti)합금으로 알려져 있다.
니켈과 티타늄을 1:1의 원자수 비로 섞어 만든 합금을 니티놀(Nitinol)이라고도 하는데, 니티놀은 온도가 변함에 따라서 결정구조가 변하는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온도가 낮을 때의 니티놀 원자 구조는 쉽게 변할 수 있는 반면 온도가 높을 때의 니티놀 원자 구조는 더 단단해서 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니티놀의 결정 구조는 각각의 특성 형태와 각을 가진 수백만 개의 결정 단위의 반복으로 내부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금속합금은 어느 정도 온도가 변해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을 가해 주면 단지 그 성분 원자가 더 빠르게 진동하게 되어서, 외부적인 힘을 가해 구부리거나 형태를 변화시킬 수는 있으나 분자 구조가 변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형상기억합금은 온도에 따라 변하는 두 개의 안정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온도 변화가 하나의 결정 구조를 다른 결정 구조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변화가 일어나는 임계 온도는 합금 금속의 성분과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니티놀은 -400℉(-240℃) 에서 212℉(100℃) 까지 넓은 온도 영역에서 모양 기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니티놀의 고온에서의 원자배열은 면심입방(주사위 모양의 입체로 8개의 모서리와 6개의 면의 중심에 원자가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냉각하면 어느 온도에서 갑자기 원자배열이 같은 주사위 모양의 배열에서 8개의 모서리 원자는 그대로지만 면에 있던 원자는 주사위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체심입방으로 바뀌게 된다. 온도에 따른 면심입방과 체심입방의 결정구조 변화로 인해 형상기억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의 구성과 변화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적어도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200)와, 몸체(200)에 구비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자체 모양을 변화시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몸체(200)의 구부러짐에 대응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말 그대로 유연한 형태의 화면으로서 궁극적으로는 구부리거나 둘둘 말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200)의 내부에는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과 유연한 재질의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몸체(200)에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이 구비되고,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에는 인쇄회로기판(P)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유연한 부분과 견고한 재질의 경계부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P)은 구리 배선이 가늘게 인쇄된 판으로, 반도체·컨덴서·저 항 등 각종 부품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부품 상호간을 연결시키는 구실을 하는 전자 부품을 말하며, 전기 배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은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견고한 기판으로 형성되나, 연성인쇄회로기판(f)은 플라스틱처럼 휘어지는 기판에 전자 소자를 부착시켜서 전자 회로를 실장하므로 변형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200)는 전체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액추에이터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본래의 모양과 변형된 모양이 번갈아 변경되는 형상기억합금(800)으로 이루어진다. 형상기억합금(800)은 그 모양의 변화가 상기 몸체를 변형시키도록 삽입된다. 형상기억합금(800)은 전기적신호가 제공되면 금속 내부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그 모양을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형상기억합금(800)은 제어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180)는 형상기억합금(800)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신호를 제공한다. 형상기억합금(800)에 전기적신호가 전달되면 그 내부에서 전기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되며, 이는 형상기억합금(800)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켜 종국적으로 그 형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즉, 형상기억합금(800)은 전기적 신호를 전기 저항에 의한 열에너지로 변화시키고, 열에너지는 형상기억합금(800)의 결정구조를 변화시켜 그 형상을 변화시킨다.
형상기억합금(800)은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형상기억합금(800)은 몸체(2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형상기억합금(800)이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형상기억합금(800)의 형상 변화가 몸체(200)의 변형을 일으키기 위해 일정한 표면적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형상기억합금(800)이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이유는 형상기억합금(800)의 형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가 몸체(200) 내부의 응력으로 흡수되지 않고 외형을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동일한 재질의 물체가 일정한 힘을 가할 때,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물체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는 것과 같이 이치이다.
또한, 형상기억합금(800)은 편평한 모양에서 내부 온도가 전이온도를 초과할 경우 구부러진 모양으로 변화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형상기억합금(800)은 구부러져서 라운드진 형상을 기억하도록 구비되고, 몸체(200) 내부에 장착될 때에는 편평한 모양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형상기억합금(800)은 보통 상태에서 편평한 모양을 유지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내부 온도가 전이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본래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몸체의 구성이 상이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의 구성과 변화를 각각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200)는 실질적으로 케이스(101,102)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지나 실질적으로 케이스(101,102)와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즉, 몸체(200)는 케이스(101,102) 및 그 내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등을 포함하여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골격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몸체(200)는 그 자체로서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외부로 노출되거나, 설계조건에 따라 별도의 케이스(101,102)가 구비되는 경우, 케이스(101,102)도 몸체(200)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단말기(100)의 물리적인 외관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200)는 제1몸체(210)와, 제1몸체(210)에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몸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230)는 제1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230a)와 제1몸체(2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230b)를 포함할 수 있으나, 구조나 기능적인 부분에 있어서 크게 구분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몸체(210) 및 제2몸체(230) 중 어느 하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몸체(210)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몸체(230)는 일정한 강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가 유연한 재질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몸체(2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몸체(21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몸체(230)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몸체(21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이 구비되고, 제2몸체(230)에는 인쇄회로기판(P) 및 배터리(19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연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제1몸체(210)에는 구부러짐에 적합한 연성인쇄회로기판(f)이 적용되고, 일정한 강성을 지닌 제2몸체(230)에는 구부러지지 않는 인쇄회로기판(P)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배터리(19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몸체(200)의 일측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제1몸체(210) 또는 제2몸체(230)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형상기억합금(800)은 그 모양의 변화가 몸체(200)를 변형시키도록 몸체(200)의 유연한 부분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80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몸체(210)에 장착된다.
형상기억합금(800)이 제1몸체(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면, 형상기억합금(800)의 내부에서 전기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하고, 열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형상기억합금(800)은 자체적으로 기억된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800)은 그 양단이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변형되고, 제1몸체(210) 역시 그 양단이 구부러져서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몸체(230)가 제1몸체(210)의 양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즉, 제1몸체(210)의 형상 변화에 따라 제2몸체(230)는 제1몸체(210)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 변화를 일으키고, 전체적으로 몸체(200)는 그 양단이 구부러진 외형을 갖게 된다. 이때, 연성인쇄회로기판(f)과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몸체(200)의 변형에 대응되는 변화가 일어나므로 외형 변경에 따른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몸체(2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몸체(210)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몸체(23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몸체(210)에는 인쇄회로기판(P) 및 배터리(190) 등이 구비되고, 제2몸체(23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이 구비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800)은 그 모양의 변화가 몸체(200)를 변형시키도록 몸체(200)의 유연한 부분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80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몸체(230)에 장착된다.
형상기억합금(800)이 제2몸체(2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면, 형상기억합금(800)의 내부에서 전기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하고, 열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형상기억합금(800)은 자체적으로 기억된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800)은 그 양단이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변형되고, 제2몸체(230)가 제1몸체(210)에 대하여 위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전체적으로 몸체(200)는 그 양단이 구부러진 외형을 갖게 된다. 이때, 연성인쇄회로기판(f)과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몸체(200)의 변형에 대응되는 변화가 일어나므로 외형 변경에 따른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액추에이터의 구성이 상이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와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의 동작 과정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200)는 유연한 재질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몸체(210)와,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몸체(21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몸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는 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자체 모양을 변화시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몸체(21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몸체(230)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몸체(21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이 구비되고, 제2몸체(230)에는 인쇄회로기판(P) 및 배터리(19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전기적 신호에 따라 그 형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제1몸체(210)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840)와, 일단이 모터(840)에 연결되어 타단이 회전되는 가동프레임(8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동프레임(820)는 고정프레임(810)의 일단에 구비된 제1가동프레임(820a)과, 고정프레임(820)의 타단에 구비된 제2가동프레임(8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동프레임(820)의 개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일측에 각각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몸체(200)의 가장자리에서 다양한 변화를 갖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때, 모터(840)의 개수는 가동프레임(82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각 모터(840)는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모터(840)에 전기적인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때, 모터(840)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제1몸체(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모터(840)가 장착되고, 모터(840)를 통해 가동프레임(82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프레임(8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프레임(810)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모터(840)가 그 양단에 각각 장착되므로 각 모터(840)의 반발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810)은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고정프레임(810)의 양단에는 모터(84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프레임(82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프레임(810)과 가동프레임(820)은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는데, 고정프레임(810)과 가동프레임(820)이 일측으로 길게 배치되는 경우, 가동프레임(820)의 회전에 의한 몸체(200)의 형상변화가 시각적으로 부각되어 사용자가 몸체(200)의 외형 변화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840)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몸체(842)와,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회전축(8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모터몸체(842)는 제1몸체(210)에 고정되거나, 제1몸체(210)에 고정된 고정프레임(810)에 장착되고, 회전축(844)는 가동프레임(8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회전축(844)과 가동프레임(820)의 접합부에는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치합되는 기어가 구비되거나 마찰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제1몸체(210)에 고정된 모터(840)가 가동프레임(820)을 회전시킴에 따라 몸체(200)를 변형시키는데, 모터(840)는 직접 제1몸체(2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고정프레임(810)에 장착된 상태로 제1몸체(2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터(840)는 고정프레임(81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구동력을 생성하고, 고정프레임(810)의 양단에는 각각 가동프레임(820)이 모터(840)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모터(840)가 고정프레임(81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면, 모터(8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서로 상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모터(840)를 제1몸체(210)에 장착하지 않고, 모듈화된 하나의 고정프레임(810)을 제1몸체(210)에 장착하여 조립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프레임(820)은 고정프레임(810)에 대하여 회전됨에 의하여 제1몸체(210)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가동프레임(820)의 타단은 제2몸체(230)에 연결되어 제2몸체(230)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가동프레임(820)은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의 일부에 장착되는데, 가동프레임(820)이 회전하게 되면, 제1몸체(210)는 변형을 일으키고 제2몸체(230)는 제1몸체(210)의 변형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때, 가동프레임(820)은 제1몸체(210)의 형상 변화에 대응되도록 제2몸체(230)의 위치를 변화시켜,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의 접합면에서 제2몸체(230)의 무게에 의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즉, 가동프레임(820)은 제1몸체(2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제2몸체(23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200)는 설계조건에 따라 전체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몸체(200)는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 등으로 구분되지 않고 단일 몸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200)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00)에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는데, 액추에이터는 몸체(2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10)과, 고정프레임(210)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840)와, 몸체(200)의 내부에서 모터(8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프레임(8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터(840)는 고정프레임(810)에 고정되는 모터몸체(842)와, 모터몸체(84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동프레임(820)에 연결되는 회전축(8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수 몸체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는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몸체(210)는 유연한 재질로 연성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제2몸체(230)는 견고한 재질로 일정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결합리브(212)와 삽입슬릿(232)이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된다. 삽입슬릿(232)은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의 접합면(l)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결합리브(212)는 삽입슬릿(232)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몸체(210)에는 제2몸체(230a)에 삽입되는 결합리브(212)가 구비된다. 결합리브(212)는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a)의 결합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즉, 결합리브(212)는 제1몸체(21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몸체(230a)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몸체(230a)에는 결합리브(212)가 삽입되는 삽입슬릿(232)이 형성된다. 삽입슬릿(232)은 제2몸체(230a)의 내부로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합리브(212)와 삽입슬릿(232)은 서로 결합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몸체(210) 또는 제2몸체(230a)에는 장착리브(234)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리브(234)는 제2몸체(230a)에서 결합리브(212)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제1몸체(210) 또는 제2몸체(230a)에 형성된 삽입슬릿(232) 내에는 장착리브(234)가 제1몸체(210) 및 제2몸체(230a)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결합리브(212)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장착리브(234)는 한 쌍의 결합리브(212) 사이로 삽입되어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a)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결합리브(212)가 접합면(L)을 기준으로 제2몸체(230a)측으로 돌출되는데 반해, 장착리브(234)는 접합면(L)을 기준으로 제1몸체(210)측으로 돌출되어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a)의 상호 결합력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200)에는 제1몸체(210) 또는 제2몸체(230a)에서 삽입슬릿(232)에 삽입된 결합리브(212)를 관통하는 체결보스(236)가 더 구비된다. 체결보스(236)는 삽입슬릿(232)이 형성된 부분에 구비될 있으며, 일정한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보스(236)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보스(236)를 관통하는 체결구(f)에 의하여 그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설계조건에 따라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a)는 체결보스(236)를 구비하지 않고,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구(j)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 몸체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는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몸체(210)는 견고한 재질로 일정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제2몸체(230)는 유연한 재질로 연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결합리브(212)와 삽입슬릿(232)이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된다. 삽입슬릿(232)은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의 접합면(l)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결합리브(212)는 삽입슬릿(232)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몸체(210)에는 제2몸체(230)에 삽입되는 결합리브(212)가 구비된다. 결합리브(212)는 제1몸체(210)와 제2몸체(230)의 결합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즉, 결합리브(212)는 제1몸체(21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몸체(23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결합리브(212)는 제1몸체(210)에서 접합면(L)을 기준으로 제2몸체(230a)측에 위치되며, 제2몸체(230a)는 접합면(L)을 기준으로 제1몸체(210)측에 위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몸체(230a)가 접합면(L)을 기준으로 제1몸체(210)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경우, 제2몸체(230a)는 제1몸체(210)와 결합시 제1몸체(210)에 대하여 접촉 부위가 적어 그 변형이 잘 일어나게 된다.
몸체(200)에는 제1몸체(210) 또는 제2몸체(230)에서 삽입슬릿(232)에 삽입된 결합리브(212)를 관통하는 체결보스(236)가 더 구비된다. 체결보스(236)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보스(236)를 관통하는 체결구(j)에 의하여 그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가 변형되는 형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 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그 골격 및 외형이 변형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제어부(180)의 출력 신호에 따라 단말기(100)의 외형을 물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데, 액추에이터의 구성에 따라 그 구동 방식은 차이가 있다.
우선, 액추에이터가 형상기억합금(800)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80)에서 형상기억합금(800)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형상기억합금(800)의 내부에서 전기 저항이 발생하여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상기억합금(800)의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면, 형상기억합금(80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설계조건에 따라 제조 과정에서 결정되는 형상기억합금(800)의 전이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형상기억합금(800)의 형상기억효과에 의해 기억된 형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즉, 형상기억합금(800)은 전체적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형되고, 몸체(200)는 형상기억합금(800)의 형상 변화에 따라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200)가 편평한 형상에서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화되면, 사용자는 몸체(200)의 형상 변화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단말기(100)의 출력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몸체(200)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경된 이후, 사용자는 외력을 가해 몸체(200)를 편평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 모터(840)가 구비된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구비하여 제어부(180)에 의한 형상 회복도 가능하다.
또한, 액추에이터가 모터(840), 고정프레임(810) 및 가동프레임(8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80)에서 모터(84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모 터(840)가 구동하여 가동프레임(820)을 회전시키게 된다.
가동프레임(820)이 회전하게 되면, 유연한 재질의 제1몸체(210)가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가동프레임(820)의 일단에 고정된 견고한 재질의 제2몸체(230)가 가동프레임(8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200) 내부에서 가동프레임(820)이 회전되면 몸체(200)의 일부가 절곡되어 구부러진 형상을 갖게 된다. 몸체(200)가 편평한 형상에서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화되면, 사용자는 몸체(200)의 형상 변화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단말기(100)의 출력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진동, 음향 또는 화면표시 뿐만 아니라 몸체(200)의 구부러짐을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로 전화가 오는 경우 진동이나, 송출음 대신 몸체(200)가 구부러지도록 제어하여, 주변에 소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전화를 받는 동안 마이크가 구비된 부분을 사용자의 입으로 구부러지도록 구비하여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에서 선택적인 메뉴 구성이 있는 경우, 몸체(200)의 좌측 또는 우측을 구부러지게 형성한 후, 사용자가 일측을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시킴에 의하여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의 동작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의 구성과 변화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의 구성과 변화를 각각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와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의 동작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수 몸체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 몸체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 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가 변형되는 형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단말기 151: 디스플레이부
200: 몸체 210: 제1몸체
230: 제2몸체 800: 형상기억합금
810: 고정프레임 820: 가동프레임
840: 모터

Claims (26)

  1. 적어도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자체 모양을 변화시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본래의 모양과 변형된 모양이 번갈아 변경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전기적신호가 제공되면 금속 내부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그 모양을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편평한 모양에서 내부 온도가 전이온도를 초과할 경우 구부러진 모양으로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모양의 변화가 상기 몸체를 변형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유연한 부분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니켈 및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모양의 변화가 상기 몸체를 변형시키도록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중 어느 하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그 모양의 변화가 상기 몸체를 변형시키도록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중 유연한 부분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접합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삽입슬릿과 상기 삽입슬릿에 삽입되는 결합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 체에 형성된 상기 삽입슬릿 내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 사이로 삽입되는 장착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삽입슬릿에 삽입된 상기 결합리브를 관통하는 체결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스는 서로 분리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보스를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하여 그 결합력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유연한 재질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몸체와;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몸체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일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타단이 회전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가동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됨에 의하여 상기 제1몸체의 형상을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프레임이 각각 연결됨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모터몸체와;
    상기 모터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몸체의 구부러짐에 대응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구부러지는 부분에 구비되는 유연한 재질의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90105297A 2009-10-26 2009-11-03 휴대용 단말기 KR10175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97A KR101753582B1 (ko) 2009-11-03 2009-11-03 휴대용 단말기
EP10013507.8A EP2315186B1 (en) 2009-10-26 2010-10-11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US12/907,841 US8928580B2 (en) 2009-10-26 2010-10-19 Mobile terminal
CN201010524448.5A CN102055821B (zh) 2009-10-26 2010-10-26 移动终端
US14/552,895 US9451064B2 (en) 2009-10-26 2014-11-2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297A KR101753582B1 (ko) 2009-11-03 2009-11-03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640A true KR20110048640A (ko) 2011-05-12
KR101753582B1 KR101753582B1 (ko) 2017-07-06

Family

ID=4435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297A KR101753582B1 (ko) 2009-10-26 2009-11-03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582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03132A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009632A (ko) * 2012-07-12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4628B1 (ko) * 2013-05-29 2014-06-11 김선종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KR101420329B1 (ko) * 2012-06-11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40123363A (ko) * 2013-04-12 2014-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20140127470A (ko) * 2013-04-25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
KR101509490B1 (ko) * 2013-12-26 2015-04-08 한국과학기술원 형상 변경에 의한 인터렉션 방식의 모바일 기기
KR101523054B1 (ko) * 2013-08-09 2015-05-27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0850A (ko) * 2013-12-17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바이스의 공간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93820A (ko) * 2012-12-13 2015-08-18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관련 방법
KR20150108334A (ko) * 2015-03-30 2015-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5174744A1 (ko) * 2014-05-14 2015-11-19 황창순 플렉서블 구동장치
WO2016056730A1 (en) * 2014-10-07 2016-04-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6108328A1 (ko) * 2014-12-29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772656B2 (en) 2015-01-15 2017-09-2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728353A (zh) * 2016-08-11 2018-0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80083929A (ko) * 2015-12-29 2018-07-2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폴딩 단말
US10209434B2 (en) 2015-06-10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33647A (ko) * 2011-09-30 2019-03-29 애플 인크. 가요성 전자 디바이스
US10323626B2 (en) 2016-04-11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546A (ja) *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JP4447823B2 (ja) * 2002-06-14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
US9823833B2 (en) *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Cited B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3564B2 (en) 2011-06-30 2021-04-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0054988B2 (en) 2011-06-30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1822389B2 (en) 2011-06-30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8736162B2 (en) 2011-06-30 2014-05-2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0528084B2 (en) 2011-06-30 2020-01-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448592B2 (en) 2011-06-30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20190033647A (ko) * 2011-09-30 2019-03-29 애플 인크. 가요성 전자 디바이스
US10739908B2 (en) 2011-09-30 2020-08-11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KR20220031730A (ko) * 2011-09-30 2022-03-11 애플 인크. 가요성 전자 디바이스
US11675390B2 (en) 2011-09-30 2023-06-13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US8958026B2 (en) 2012-06-11 2015-02-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particular controllable shape deforming/maintaining unit
KR101420329B1 (ko) * 2012-06-11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40003132A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009632A (ko) * 2012-07-12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93820A (ko) * 2012-12-13 2015-08-18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관련 방법
KR20140123363A (ko) * 2013-04-12 2014-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20140127470A (ko) * 2013-04-25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
WO2014193167A1 (ko) 2013-05-29 2014-12-04 Hwang Chang-Soon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KR101404628B1 (ko) * 2013-05-29 2014-06-11 김선종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기기
EP3439443A1 (en) 2013-05-29 2019-02-06 Chang-Soon Hwang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9877379B2 (en) 2013-05-29 2018-01-23 Chang-soon Hwang Bendable electronic device
KR101523054B1 (ko) * 2013-08-09 2015-05-27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0850A (ko) * 2013-12-17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바이스의 공간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509490B1 (ko) * 2013-12-26 2015-04-08 한국과학기술원 형상 변경에 의한 인터렉션 방식의 모바일 기기
US10151450B2 (en) 2014-05-14 2018-12-11 Hwang Chang Soon Flexible driving device
WO2015174744A1 (ko) * 2014-05-14 2015-11-19 황창순 플렉서블 구동장치
KR20150131456A (ko) * 2014-05-14 2015-11-25 황창순 플렉서블 구동장치
WO2016056730A1 (en) * 2014-10-07 2016-04-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60041300A (ko) * 2014-10-07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US9866661B2 (en) 2014-10-07 2018-01-09 Lg Electronics Inc. Deformable mobile terminal
WO2016108328A1 (ko) * 2014-12-29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772656B2 (en) 2015-01-15 2017-09-2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50108334A (ko) * 2015-03-30 2015-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209434B2 (en) 2015-06-10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8683758A (zh) * 2015-12-29 2018-10-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US10539981B2 (en) 2015-12-29 2020-01-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KR20180083929A (ko) * 2015-12-29 2018-07-2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폴딩 단말
US10459490B2 (en) 2015-12-29 2019-10-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US10323626B2 (en) 2016-04-11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7728353A (zh) * 2016-08-11 2018-0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7728353B (zh) * 2016-08-11 2023-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582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582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2086507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4418B1 (ko) 이동 단말기
EP2626772B1 (en) Mobile terminal
KR101483030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63924B1 (ko) 이동 단말기
EP2690844A2 (en) Mobile terminal
KR201100488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1729628A (zh) 具有图像投影的移动终端
KR20110027486A (ko) 이동 단말기
KR20120000937A (ko) 이동 단말기
KR101792502B1 (ko) 이동 단말기
KR101659008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46886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100302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5319A (ko) 이동 단말기
KR10154559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9958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620467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8724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5900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0953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6283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723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