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29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329B1
KR101420329B1 KR1020120062351A KR20120062351A KR101420329B1 KR 101420329 B1 KR101420329 B1 KR 101420329B1 KR 1020120062351 A KR1020120062351 A KR 1020120062351A KR 20120062351 A KR20120062351 A KR 20120062351A KR 101420329 B1 KR101420329 B1 KR 10142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curved surface
m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614A (ko
Inventor
박연희
조수인
이우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329B1/ko
Priority to US13/754,884 priority patent/US8958026B2/en
Priority to EP13162844.8A priority patent/EP2674807B1/en
Priority to TW102112840A priority patent/TWI614737B/zh
Priority to CN201310172964.XA priority patent/CN103489380B/zh
Priority to JP2013122660A priority patent/JP6305695B2/ja
Publication of KR2013013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구비되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변형하고,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 변형/유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가요성 표시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표시 장치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 대화면의 표시 장치는 대체로 평면의 화면을 구현하는 장치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대화면의 평면 표시 장치는 화면의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시청자의 몰입감이 감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및 그 밖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가요성 표시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구비되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변형하고,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 변형/유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에 대한 수평 방향의 양측 모서리부분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대칭일 수 있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에서 수평 방향의 일 측 모서리부분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타 측 모서리부분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보다 클 수 있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에 대한 수직 방향의 일 측 모서리부분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다중 분할된 복수의 제1전극과, 제1전극에 대향하는 공통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자세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압 레벨에서는 유연성을 가지고, 자세를 전환하지 않는 레벨에서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의 위치를 평면상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의 위치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액정 소자 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구비된 형상 변형/유지부;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평면 모드 또는 곡면 모드를 구현하도록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를 제어하여,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변형하고,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의 위치 별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 지지부의 중심부분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평면 모드에서 시청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시청자와 상기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상기 패널의 곡률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원격 조정기로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안면 인식 센서, 동공 인식 센서, 동작 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구비되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변형하고,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 변형/유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면 모드에서 시청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평면 모드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시청자와 상기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2 장변부 및 상기 제1,2 장변부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제1,2 단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곡면 모드에서 상기 제1,2 단변부에 가까워 질수록 곡면이 휘어짐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에 대한 상기 제1,2 단변부에서 곡선의 휘어짐의 정도가 대칭일 수 있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에서 상기 제1 단변부에서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제2 단변부에서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지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1,2 장변부 및 상기 제1,2 장변부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제1,2 단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곡면 모드에서 상기 제1,2 단변부 중 상부에 배치된 단변부에 가까워 질수록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다중 분할된 복수의 제1전극과, 제1전극에 대향하는 공통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자세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압 레벨에서는 유연성을 가지고, 자세를 전환하지 않는 레벨에서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제1 가요성 기판, 상기 제1 가요성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제2 가요성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곡면 모드에서 화면을 시청할 수 있어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둘째, 곡면 모드와 평면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서 영상의 종류에 적합한 화면을 선택할 수 있어서 시청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셋째, 시청하지 않는 동안 또는 표시 장치의 이동이나 선적(shipping) 시에는 평면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깨짐과 같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평면 모드(FM) 및 곡면 모드(CM)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와 시청자(V)의 거리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형상 변형/유지부(12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시청자(V)가 표시 장치(1)의 중심부분(C)의 연장선 상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있을 때, 표시 장치(1)와 시청자(V)의 거리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패널 지지부(13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의 평면 모드(FM) 및 곡면 모드(CM)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평면 모드(FM) 및 곡면 모드(CM)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와 시청자(V)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평면 모드(FM: Flat Mode)와 곡면 모드(CM: curved mode)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10)을 구비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평면 모드(FM)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2 장변부(110a, 110b), 및 상기 제1,2 장변부(110a, 1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제1,2 단변부(110c, 110d)를 구비하며, 4개의 모서리를 갖는 대략 사각의 장방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TV 프로그램 또는 영화와 같은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1,2 장변부(110a, 110b)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작된 경우에는 화면을 수직 분할하여 두 개 이상의 영상을 하나의 표시 장치(1)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평면 모드(FM)에서 곡면 모드(CM)로 전환 될 수 있다. 곡면 모드(CM)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패널의 중심부분(C)에서 적어도 일 측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중심부분(C)에서 수평 방향의 양측 모서리 부분, 즉 제1,2 단변부(110c, 110d)로 갈수록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대칭적으로 증가한다. 즉, 곡면 모드(CM)에서 곡면의 중심부분(C)에서 하나의 변곡점을 형성하며, 제1단변부(110c)로부터 중심부분(C)으로 곡면의 휘어짐의 정도가 감소하다가, 중심부분(C)으로부터 제2단변부(110d)로 곡면의 휘어짐의 정도가 증가한다. 여기서, 곡면의 휘어짐의 정도는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에서의 제1, 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시청자(V)가 표시 장치(1)의 대략 중심부분(C)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을 때, 평면 모드(F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보다 곡면 모드(C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가 줄어든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경우, 특히 표시 장치(1)가 대형으로 제작된 경우에, 시청자(V)와 화면의 중심부분(C)과 화면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차가 증가하여 시청자(V)에게 도달하는 영상의 속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영상의 종류에 따라 몰입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모드(FM)를 곡면 모드(CM)로 전환시킴으로써, 평면 모드(FM)에 비하여 시청자(V)와 화면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줄여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제1 가요성 기판(111)과, 제1 가요성 기판(111)에 대향 배치된 제2 가요성 기판(113)과, 제1 가요성 기판(111)과 상기 제2 가요성 기판(113)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112)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기판(111)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111) 상에 베리어막(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베리어막(미도시)은 무기막 및 유기막 중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막(미도시)은 불필요한 성분이 가요성 기판(111)을 투과해 유기 발광 소자(112)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3의 Ⅳ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112)는 화소 전극(112-1)과, 공통층인 대향 전극(112-3)과, 그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발광층(112-2)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12-1)은 제1 가요성 기판(111) 상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기 발광 소자(112)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 발광 소자(112) 상에 유기 발광 소자(112)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로서 제2 가요성 기판(113)이 구비된다. 제2 가요성 기판(113)은 전술한 제1 가요성 기판(111)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무기막 구조,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가요성 기판(111)과 제2 가요성 기판(113)에는 다양한 보호 부재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112)는 화소 전극(112-1)과 대향 전극(112-3)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유기발광층(112-2)에 포함된 유기 고분자 또는 유기 저분자가 발광하는 자발광형 소자로서, 가요성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장점이 많다. 물론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요성을 가지는 액정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가지는 다른 표시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을 정도로 패널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일 측에 형상 변형/유지부(1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 변형/유지부(12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반대 면, 예를 들어 제1 가요성 기판(111) 상에 구비된다.
형상 변형/유지부(120)는 평면 모드(FM) 및 곡면 모드(CM)의 전환 과정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형상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평면 모드(FM) 및 곡면 모드(CM)의 상호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형상을 변형 및 유지한다.
도 5는 도 3의 형상 변형/유지부(12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형상 변형/유지부(120)는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 사이에 액츄에이터(123)가 배치된다.
제1전극(121)은 액츄에이터(123)의 일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다분할 되어 배치되고, 제2전극(122)은 엑츄에이터(123)의 다른 일 면에 통전극으로 배치된다.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로 회로부(124)에서 다분할 된 각각의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에 소정의 전압(V1, V2, V3)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123)가 자세를 취함으로써, 형상 변형/유지부(120)의 일 측에 구비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액츄에이터(123)는 자세를 전환하지 않음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평면 모드(FM)를 유지하고, 제2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액츄에이터(123)가 자세를 전환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을 휘어지게 하여 곡면 모드(CM)로 전환하게 하고, 제3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액츄에이터(123)는 자세를 전환하지 않음으로써 곡면 모드(CM)로 전환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 형상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123)는 자세를 전환하지 않는 제1 레벨의 전압과 제3 레벨의 전압에서 강성을 가지고, 자세를 전환하는 제2 레벨의 전압에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레벨의 전압과 제3 레벨의 전압은 동일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레벨의 전압은 특정 전압값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특정 범위의 전압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123)로는 전기 응답형 고분자, 또는 형상 기억 합금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상 변형/유지부(120)에는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을 보호하는 보호필름(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평면 모드(FM)에서 곡면 모드(CM)로 전환하는 제2 레벨의 전압을,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을 중심으로 양 측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감소하도록 형상 변형/유지부(120)에 인가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에 대한 수평 방향의 양측 모서리부분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시청자(V)가 표시 장치(1)의 중심부분(C)의 연장선 상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있을 때, 표시 장치(1)와 시청자(V)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시청자(V)가 제1 단변부(110c)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을 때, 가요성 표시 패널(10)의 중심부분(C)에서 제2 단변부(110d)사이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 즉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에서의 제2 단변부(110d) 사이의 이격 거리(L2)는, 중심부분(C)에서 제1 단변부(110c)사이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 즉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에서의 제1 단변부(110c) 사이의 이격 거리(L1) 보다 크게 된다. 즉, 시청자(V)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단변부(110d)가 가까운 제1 단변부(110c)보다 더 많이 휘어진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평면 모드(FM)에서 곡면 모드(CM)로 전환하는 제2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을 중심으로 양 측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위치 별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곡률의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V)가 제1 단변부(110c)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을 때, 평면 모드(F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보다 곡면 모드(C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평면 모드(FM)에 비하여 시청자(V)와 화면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줄여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시청자(V)가 제2 단변부(110d)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을 때,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에서 제1 단변부(110c)사이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 즉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에서의 제1단변부(110c) 사이의 이격 거리(L1)는, 중심부분(C)에서 제2 단변부(110d)사이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 즉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에서의 제2단변부(110d) 사이의 이격 거리(L2) 보다 크다. 즉, 시청자(V)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단변부(110c)가 가까운 제2 단변부(110d)보다 더 많이 휘어진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가요성 표시 패널(10)을 평면 모드(FM)에서 곡면 모드(CM)로 전환하는 제2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을 중심으로 양 측 모서리부분으로 갈수록 위치 별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곡률의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청자(V)가 제2 단변부(110d)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을 때, 평면 모드(F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보다 곡면 모드(CM)에서 시청자(V)와 제1,2 단변부(110c, 110d) 사이의 거리(R)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평면 모드(FM)에 비하여 시청자(V)와 화면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줄여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의 경우, 시청자(V)가 표시 장치(1)의 중심부분(C)의 연장선 상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있을 때,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의 위치가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에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의 위치가 이동하게 된 것이다.
만약,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영상이 구현되는 면의 반대측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110)의 중심축을 회전하여 전술한 도 2와 같이 시청자(V)를 바라보도록 곡면 모드(CM)를 구현할 수 있지만, 대형 TV와 같이 표시 장치(1)의 영상이 구현되는 면의 반대측에 벽체와 같은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어서, 표시 패널의 중심축을 회전하기가 어렵다. 이 경우에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130)를 더 포함한다. 패널 지지부(130)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 결합된 축대부(131)와, 축대부(131)에 결합되고 지면에 수평으로 장착된 기저부(132)를 포함한다. 물론 축대부(131)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일면에 형성된 전술한 형상 변형/유지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와 같이, 즉,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의 위치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 결합된 축대부(131)의 이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도 7은 패널 지지부(13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을 평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이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동 가이드부(133)를 조정하여 축대부(131)를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는 이동 가이드부(313)의 형상을 기저부(32)에 제1방향(X) 및 제2방향(Y)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C)을 평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면 어떤 구조라도 무방하다.
한편, 도 1 및 도 7에는 패널 지지부재(130)가 지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널 지지부재(130)가 벽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천정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 형상 변형/유지부(120), 패널 지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형상 변형/유지부(120) 및 패널 지지부(130)를 제어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곡면의 휘는 정도를 변경하거나, 중심부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조정기(remote control, 151)을 통해서 시청자가 모드 전환 명령을 발생시키면 입력부(150)로 수신된 제어 명령은 모드 제어부(141)로 전달되고, 모드 제어부(141)는 형상 변형/유지부(120)에 소정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형상 변형/유지부(120)의 자세를 전환시킴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를 상호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시청자가 원격 조정기(151)를 통해서 곡면의 휘는 정도를 변경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면 입력부(150)로 수신된 제어 명령은 곡률 제어부(142)로 전달되고, 곡률 제어부(142)는 형상 변형/유지부(120)에 위치 별로 다르게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곡면의 휘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시청자가 원격 조정기(151)를 통해서 중심부분의 위치를 이동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면 입력부(150)로 수신된 제어 명령은 위치 제어부(113)로 전달되고, 위치 제어부(143)는 패널 지지부(130)의 이동을 제어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중심부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입력부(150)에 원격 조정기(151)로 제어부(14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격 조정기(151) 대신에 인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제어부(14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인체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하여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미도시)는 안면 인식 센서, 동공 인식 센서, 또는 동작 인식 센서일 수 있다. 이들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모드 제어부(141), 곡률 제어부(142), 및 위치 제어부(143)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모드에서 화면을 시청할 수 있어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곡면 모드와 평면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서 영상의 종류에 적합한 화면을 선택할 수 있어서 시청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시청하지 않는 동안, 또는 표시 장치의 이동이나 선적(shipping) 시에는 평면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깨짐과 같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장방형의 가요성 표시 패널(110)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패널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와 같거나 긴 장방형의 표시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의 평면 모드(FM) 및 곡면 모드(CM)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는 평면 모드(FM)와 곡면 모드(CM)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210)을 구비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210)은 평면 모드(FM)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2 단변부(210a, 210b), 및 제1,2 단변부(210a, 210b)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제1,2 장변부(210c, 210d)를 구비하며, 4개의 모서리를 갖는 대략 사각의 장방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지면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2 장변부(210c, 210d)가 제1,2 단변부(210a, 210b)보다 길게, 즉 가로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긴 장방형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같은 장방향의 표시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의 가요성 표시 패널(210)은 평면 모드(FM)에서 곡면 모드(CM)로 전환 될 때, 가요성 표시 패널(210)의 중심부분에 대한 수직 방향의 일 측 모서리부분, 즉 제1 단변부(210a)로 갈수록 곡면의 휘어짐 정도가 증가한다.
비스듬히 기댄 자세 또는 누운 자세로 TV를 시청하는 것과 같이, 시청자(V)가 표시 장치(1)의 대략 중심부분(C)의 연장선 아래에 위치하고 있을 때, 표시 패널 상부의 제1 단변부()의 곡면을 조절한다. 한편, 중심부분의 위치를 상향 조절 할 수 있다. 이로써, 평면 모드(FM)에서 시청자(V)와 제1,2 장변부(210c, 210d) 사이의 거리(r)보다 곡면 모드(CM)에서 시청자(V)와 제1,2 장변부(210c, 210d) 사이의 거리(R)가 줄어든다. 따라서, 비스듬히 기댄 자세 또는 누운 자세로 시청하더라도 평면 모드(FM)에 비하여 시청자(V)와 화면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줄여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10: 가요성 표시 패널
120: 형상 변형/유지부 130: 패널 지지부
140: 제어부 150: 입력부
FM: 평면 모드 CM: 곡면 모드

Claims (30)

  1.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구비되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변형하고,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 변형/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다중 분할된 복수의 제1전극과, 제1전극에 대향하는 공통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자세가 결정되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 장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장변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단변부를 가지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곡면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변부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을 향하여 같은 방향으로 휘어져 곡면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반대 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압 레벨에서는 유연성을 가지고, 자세를 전환하지 않는 레벨에서는 강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의 위치를 평면상에 이동할 수 있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부분의 위치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액정 소자 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구비된 형상 변형/유지부;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평면 모드 또는 곡면 모드를 구현하도록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다중 분할된 복수의 제1전극과, 제1전극에 대향하는 공통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자세가 결정되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 장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장변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단변부를 가지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곡면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변부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을 향하여 같은 방향으로 휘어져 곡면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를 제어하여,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변형하고,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의 위치 별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제어하는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 지지부의 중심부분의 이동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면 모드에서 시청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시청자와 상기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상기 패널의 곡률 및 위치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 조정기로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곡면의 휘어짐 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안면 인식 센서, 동공 인식 센서, 및 동작 인식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구비되어,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변형하고,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 변형/유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다중 분할된 복수의 제1전극과, 제1전극에 대향하는 공통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평면 모드 및 곡면 모드의 전환 자세가 결정되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 장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장변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단변부를 가지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상기 곡면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변부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중심을 향하여 같은 방향으로 휘어져 곡면을 형성하고,
    평면 모드에서 시청자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곡면 모드에서 상기 평면 모드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시청자와 상기 모서리부분 사이의 거리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표시 장치.
  28. 삭제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형/유지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압 레벨에서는 유연성을 가지고, 자세를 전환하지 않는 레벨에서는 강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제1 가요성 기판, 상기 제1 가요성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제2 가요성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062351A 2012-06-11 2012-06-11 표시 장치 KR10142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51A KR101420329B1 (ko) 2012-06-11 2012-06-11 표시 장치
US13/754,884 US8958026B2 (en) 2012-06-11 2013-01-30 Display apparatus having particular controllable shape deforming/maintaining unit
EP13162844.8A EP2674807B1 (en) 2012-06-11 2013-04-09 Display apparatus
TW102112840A TWI614737B (zh) 2012-06-11 2013-04-11 顯示裝置
CN201310172964.XA CN103489380B (zh) 2012-06-11 2013-05-10 显示设备
JP2013122660A JP6305695B2 (ja) 2012-06-11 2013-06-11 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51A KR101420329B1 (ko) 2012-06-11 2012-06-1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14A KR20130138614A (ko) 2013-12-19
KR101420329B1 true KR101420329B1 (ko) 2014-07-16

Family

ID=4805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351A KR101420329B1 (ko) 2012-06-11 2012-06-1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8026B2 (ko)
EP (1) EP2674807B1 (ko)
JP (1) JP6305695B2 (ko)
KR (1) KR101420329B1 (ko)
CN (1) CN103489380B (ko)
TW (1) TWI6147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4221B2 (en) 2014-07-23 2018-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074B2 (en) 2011-03-18 2017-11-0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US9117384B2 (en) * 2011-03-18 2015-08-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US9711752B2 (en)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BR112014032223B1 (pt) * 2012-06-29 2021-10-19 Sony Corporation Unidade de exibição
USD795854S1 (en) 2012-11-09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US20140357364A1 (en) * 2013-06-04 2014-12-04 Wms Gaming Inc. Flexible gaming displays and gaming terminals with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018733B1 (ko) * 2013-06-1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50012982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8763B1 (ko) * 2013-10-01 2019-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228813B2 (ja) * 2013-10-31 2017-11-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光学装置
KR102206456B1 (ko) * 2014-01-0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7526B1 (ko) * 2014-01-02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플렉서블 리모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1225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9727080B2 (en) 2014-01-03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730342B2 (en) 2014-01-06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50082080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11890A1 (ko) * 2014-01-24 2015-07-30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장치
TWI654736B (zh) * 2014-02-14 2019-03-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CN103915041B (zh) * 2014-03-14 2016-03-02 河海大学常州校区 柔性显示屏曲面自动调节装置和方法
CN104955285B (zh) * 2014-03-26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749728B1 (ko) * 2014-04-01 2017-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WO2015160099A1 (en) * 2014-04-15 2015-10-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2181236B1 (ko) * 2014-04-18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EP2940552B1 (en) * 2014-04-29 2020-04-22 LG Display Co., Ltd. Adjustable display device
KR102209411B1 (ko) * 2014-04-29 2021-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CN103934319B (zh) * 2014-04-29 2015-12-09 四川长虹技佳精工有限公司 曲面显示器背板制作方法及结构
KR102273718B1 (ko) * 2014-04-29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1658629B1 (ko) 2014-05-02 201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2986B1 (ko) * 2014-05-23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9360887B2 (en) * 2014-06-09 2016-06-0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N105404386B (zh) * 2014-06-16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4093015B (zh) * 2014-06-23 2016-0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064116B (zh) * 2014-06-28 2016-06-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模组构件及显示装置
CN104075276B (zh) * 2014-07-03 2017-03-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背板及具有该背板的液晶显示装置
CN104143319B (zh) * 2014-07-25 2016-05-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曲面液晶电视及其显示方法
CN104238923B (zh) * 2014-07-29 2019-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工作方法
KR20160040779A (ko) 2014-10-06 2016-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5366B1 (ko) 2014-10-27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761617A (zh) * 2014-12-17 2016-07-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变形控制方法和系统
US20160179230A1 (en) * 2014-12-23 2016-06-23 Intel Corporation Electroactive layer coupled to a flexible display
US20160191837A1 (en) * 2014-12-29 2016-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437658B2 (ja) * 2014-12-31 2018-12-12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及び電子デバイス
JP2016136115A (ja) * 2015-01-23 2016-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N104536187B (zh) * 2015-01-23 2018-0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
KR102374643B1 (ko) 2015-01-28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5835B1 (ko) 2015-03-17 2021-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766870B (zh) * 2015-04-21 2018-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4900156B (zh) 2015-06-16 2017-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30093078A (ko) 2015-07-23 2023-06-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모듈, 및 전자 기기
CN105096750B (zh) * 2015-08-05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柔性调节方法及电子设备
US10171768B2 (en) 2015-08-06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ve profile control for a flexible display
JP6467599B2 (ja) * 2015-08-31 2019-02-13 株式会社Nsc 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7036562A1 (en) * 2015-09-04 2017-03-09 Arcelik Anonim Sirketi Image display device with user position adaptable curved display unit
WO2017036563A1 (en) * 2015-09-04 2017-03-09 Arcelik Anonim Sirketi Image display device with user position adaptable display unit
CN105389101A (zh) * 2015-10-20 2016-03-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225614A (zh) * 2015-10-26 2016-0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屏曲率调节装置及使用方法、曲面显示装置
CN105608999B (zh) * 2016-02-25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0297234B2 (en) 2016-03-11 2019-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ved virtual display surface for displaying digital objects
WO2017209744A1 (en) * 2016-06-01 2017-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JP2018005118A (ja) * 2016-07-07 2018-0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7809873B (zh) * 2016-09-09 2021-09-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使用显示装置制造电子装置的方法
CN106782087B (zh) * 2016-11-22 2020-01-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6601132B (zh) * 2017-01-04 2019-12-0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910431A (zh) * 2017-05-04 2017-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改变柔性显示屏的形状的方法
KR102392087B1 (ko) * 2017-07-10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사용자 음성 수신방법
TWI676065B (zh) * 2017-08-11 2019-1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有可調曲率的顯示裝置
TW201918817A (zh) * 2017-11-02 2019-05-16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8458816B (zh) * 2018-03-09 2020-06-2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曲面电极结构
EP3608174B1 (en) * 2018-08-10 2021-03-24 Lg Electronics Inc. Vehicle display system for vehicle
CN110187742A (zh) * 2019-05-13 2019-08-3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终端
CN110187822B (zh) * 2019-05-28 2021-05-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应用于终端的屏幕显示控制方法
CN110166601B (zh) * 2019-05-28 2021-01-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应用于终端的屏幕控制方法
CN110928364B (zh) * 2019-11-07 2021-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928365B (zh) * 2019-11-07 2021-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TWI754357B (zh) * 2020-08-20 2022-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KR20220030372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4690462A (zh) * 2020-12-25 2022-07-01 华为技术有限公司 冲击防护层、控制方法、装置、显示模组和终端
JP1699798S (ko) * 2021-01-08 2021-11-15
US11798439B2 (en) * 2021-05-12 2023-10-24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onitor with selectively curved and flat display panel
KR20230109319A (ko) * 2022-01-13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4898657B (zh) * 2022-03-24 2023-11-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拼接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355U (ko) * 2008-07-02 2010-01-12 (주)디코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KR20100041550A (ko) * 2008-10-14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113869A (ko) * 2009-04-14 2010-10-22 한국과학기술원 이온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활성 폴리머를 이용한 유연 디스플레이 형상변형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8640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8528B2 (en) *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ompact display assembly
KR200238199Y1 (ko) 2001-02-05 2001-09-26 주식회사 눈앤누브시스템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JP2003280546A (ja)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JP3980405B2 (ja) * 2002-05-17 2007-09-26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
TWM248196U (en) * 2003-09-29 2004-10-21 Wen-Lung Gan Protection film structure of portable computer housing
JP4885430B2 (ja) * 2004-05-21 2012-02-29 株式会社Nsc 表示装置
JP2006023676A (ja) *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調整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6154008A (ja) * 2004-11-26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2008199514A (ja) * 2007-02-15 2008-08-28 Fujifilm Corp 画像表示装置
TWI323862B (en) 2007-03-23 2010-04-2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Flat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housing
KR20090121711A (ko) * 2008-05-22 200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5345209B2 (ja) * 2008-06-06 2013-11-20 クリエイター テクノロジー べー.フェー. 可撓性ディスプレイの保護
JP2010204377A (ja) * 2009-03-03 2010-09-16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268977A (ja) * 2009-05-22 2010-12-02 New System Technology:Kk 薄型ワイドテレビ付き床頭台
KR101007679B1 (ko) 2009-06-03 2011-01-13 주식회사 아인픽춰스 곡선 화면을 위한 왜곡 영상 생성장치 및 방법
EP2315186B1 (en)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JP4859997B2 (ja) * 2010-12-06 2012-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用スタンド及び薄型表示装置
NL2006862C2 (en) 2011-05-30 2012-12-03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20385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2546721B1 (en)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355U (ko) * 2008-07-02 2010-01-12 (주)디코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KR20100041550A (ko) * 2008-10-14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113869A (ko) * 2009-04-14 2010-10-22 한국과학기술원 이온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활성 폴리머를 이용한 유연 디스플레이 형상변형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8640A (ko) *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4221B2 (en) 2014-07-23 2018-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14A (ko) 2013-12-19
EP2674807A1 (en) 2013-12-18
US20130329422A1 (en) 2013-12-12
EP2674807B1 (en) 2016-09-28
TW201351375A (zh) 2013-12-16
TWI614737B (zh) 2018-02-11
US8958026B2 (en) 2015-02-17
JP2013257564A (ja) 2013-12-26
CN103489380A (zh) 2014-01-01
CN103489380B (zh) 2017-09-22
JP6305695B2 (ja)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329B1 (ko) 표시 장치
KR102181236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10190305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9949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61924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notch
KR102319185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38753B1 (ko) 접이식 표시장치
WO2021083139A1 (zh) 摄像头模组、其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255302B1 (ko) 투과 및 반사영역을 선택적으로 만들 수 있는 전기변색패널 및 그 동작방법과 그러한 전기변색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동작방법
KR2014009534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14012428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0006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til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30117110A (ko) 곡률형 표시장치의 곡률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1828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0642054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EP3339939B1 (en) Parallax barrier, display device and display stat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6728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20210046206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196782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68102B2 (en) Display device
KR2016003615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62223B1 (ko)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40029597A1 (en) Display system for direct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US20220023976A1 (en) Las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