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411B1 -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411B1
KR102209411B1 KR1020140051848A KR20140051848A KR102209411B1 KR 102209411 B1 KR102209411 B1 KR 102209411B1 KR 1020140051848 A KR1020140051848 A KR 1020140051848A KR 20140051848 A KR20140051848 A KR 20140051848A KR 102209411 B1 KR102209411 B1 KR 10220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ngle block
display panel
edg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141A (ko
Inventor
조석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411B1/ko
Priority to EP14197145.7A priority patent/EP2940552B1/en
Priority to TW103144150A priority patent/TWI555943B/zh
Priority to US14/577,516 priority patent/US9123290B1/en
Priority to JP2014257138A priority patent/JP5947366B2/ja
Priority to CN201410817866.1A priority patent/CN105047090B/zh
Publication of KR2015012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 배면으로 앵글블럭모듈을 포함하는 백커버시스템을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외의 광장과 같은 개방된 공간 또는 공항, 터미널 등의 실내 광장에 설치되었을때, 많은 시청자들에게 구현되는 화상이 전달하는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이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Vari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flat mode and curved mode the same}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가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급부상 중인데, 곡면형 표시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까지 느끼게 한다.
곡면형 표시장치는 시청자의 눈에서부터 화면 중심부와 측면까지의 각 거리가 동일해 화면 왜곡과 시야각 끝 부분이 흐려지는 외곽부 인지도 감소 현상이 최소화된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의 장점과 함께 몰입도 향상 및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장점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가변형 표시장치는 넓은 시청반경을 필요로 할 때에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곡면형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곡률을 갖도록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고,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를 갖거나,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모드(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과, 상기 구동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며 다수개의 앵글블럭(angle block)으로 이루어지는 앵글블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형 모드는 상기 다수개의 앵글블럭 중 서로 맞닿는 제 1 앵글블럭의 제 1 가장자리와 제 2 앵글블럭의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전방으로 수직하게 상승하게 되며, 서로 맞닿는 제 2 앵글블럭의 제 1 가장자리와 제 3 앵글블럭의 제 2 가장자리는 하강하여, 상기 앵글블럭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앵글블럭모듈은 다수개의 블럭유닛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블럭유닛은 상기 구동시스템과 연결되며 한쌍의 링크(link)와, 상기 한쌍의 링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앵글블럭을 포함하며, 각각의 블럭유닛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를 연결하며 롤러가 장착된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이 위치하며, 상기 앵글블럭은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단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단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단턱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베어링은 상기 롤러가 상기 단턱 상에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홈에 끼움되어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에는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끝단에는 상기 샤프트베어링의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일단은 연장되어 베어링홈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블럭유닛의 서로 밀착되는 링크의 상기 베어링홈이 형성된 일단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시스템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한쌍의 링크로 전달하는 기어(gear)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와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과, 상기 구동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angle block)으로 이루어지는 앵글블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블럭모듈은 상기 구동시스템과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링크(link)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링크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링크를 연결하며 롤러가 장착된 제 1 및 제 2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 각각은 제 1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 2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단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링크가 상기 구동시스템의 반대측으로 전진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으로 끼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전방을 향해 수직하게 상승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3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하강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 곡면형 모드를 구동하는 단계와; f) 상기 모터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g) 상기 제 1 링크가 상기 구동시스템측으로 후진하는 단계와; h)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하강하는 단계와; i)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3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전방을 향해 상승하는 단계와; j)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가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기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연결된 상기 제 1 링크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 1 링크가 전진함에 따라, 서로 연결된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 1 샤프트베어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로부터 전방을 향해 수직하게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으로 끼움 삽입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모듈 배면으로 앵글블럭모듈을 포함하는 백커버시스템을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실외의 광장과 같은 개방된 공간 또는 공항, 터미널 등의 실내 광장에 설치되었을때, 많은 시청자들에게 구현되는 화상이 전달하는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이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장착된 백커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앵글블럭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과,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수용하는 외장케이스(120)와, 외장케이스(120)의 하단부나 배면부에 연결되어 책상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대(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는 제 2 전극이 구성된다.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제 1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은 백커버와 커버윈도우를 통해 모듈화되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이루게 되는데, 백커버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배면과 측면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어 디스플레이패널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백커버의 개구된 전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가 조립 체결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평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넓은 시청반경을 갖게 되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디스플레이패널모듈 (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에 의한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이와 반대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 (110)이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곡면형 모드(curved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되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의 표시장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 즉, 백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backcover system : 200)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백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200)에 의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대해 이하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장착된 백커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앵글블럭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데, 백커버시스템(200)은 크게 앵글블럭(angle block)모듈(210)과 앵글블럭모듈(21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시스템(2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앵글블럭모듈(210)은 앵글블럭(213)과 구동시스템(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한쌍의 링크(link : 215)를 포함하는 블럭유닛(211)이 다수개 나란하게 배열되며,
각각의 블럭유닛(211) 사이에는 각 링크(215)를 연결하면서 서로 맞닿는 다수의 앵글블럭(213)의 가장자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 : 217, 도 4 참조)이 위치한다.
그리고, 구동시스템(22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motor : 221)와 모터(221)의 회전운동을 링크로 전달하는 기어(gear : 22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앵글블럭모듈(21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앵글블럭모듈(210)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앵글블럭모듈(210)은 다수의 블럭유닛(211a, 211b)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위치하며, 각각의 블럭유닛(211a, 211b)은 앵글블럭(213a, 213b)과 앵글블럭(213a, 213b)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링크(215a, 215b)를 포함한다.
즉, 한쌍의 제 1 링크(215a) 사이로 제 1 앵글블럭(213a)이 위치하는 제 1 블럭유닛(211a)이 위치하며, 제 1 블럭유닛(211a)의 일측으로는 한쌍의 제 1 링크(215a)와 연결되는 제 2 링크(215b)와 제 2 링크(215b)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을 포함하는 제 2 블럭유닛(211b)이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블럭유닛(211a, 211b) 사이 즉, 제 1 및 제 2 앵글블럭(213a, 213b)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샤프트베어링(217)이 위치하는데,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일단 및 타단은 샤프트베어링(217)을 통해 연결된다.
즉,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베어링홈(2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베어링(217)이 베어링홈(219)에 모두 끼움 삽입됨으로써,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은 샤프트베어링(217)을 통해 연결되게 된다.
이때, 베어링홈(219)이 형성된 링크(215a, 215b)의 일단 및 타단은 링크(215a, 215b)의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링크(215a, 215b)의 두께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는 각 링크(215a, 215b)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 1 링크(215a)의 베어링홈(219)이 형성된 연장부는 제 1 링크(215a)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면, 제 1 링크(215a)와 밀착되는 제 2 링크(215b)의 베어링홈(219)이 형성된 연장부는 제 2 링크(215b)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제 2 링크(215b)의 타단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를 통해 데 1 및 제 2 링크(215a, 215b)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이의 연결부에 의한 앵글블럭모듈(210)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은 각각 링크(215a, 215b)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장변의 두 가장자리와, 장변의 두 가장자리에 수직하며 두 가장자리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단변의 두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변의 일 가장자리에는 돌출단(21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단(212)은 앵글블럭(213a, 213b)의 두께에 비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며, 앵글블럭(213a, 213b)의 폭에 비해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끝단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를 향해 일정각 기울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앵글블럭(213a, 213b)의 돌출단(212)이 형성된 일 가장자리를 제 1 가장자리라 정의하고, 제 1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타 가장자리를 제 2 가장자리라 정의하면, 단변의 제 2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앵글블럭(213a, 213b)의 돌출단(212)이 끼움 조립되는 단턱(214)이 구비된다.
단턱(214)은 돌출단(212)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여 계단형태로 단차져 형성되는데, 단턱(214)의 양측으로 단턱측면(214a)이 구비된다.
이때, 앵글블럭(213a, 213b)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앵글블럭모듈(2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의 경량을 구현할 수 있다.
이웃하는 블럭유닛(211a, 211b) 사이에 위치하는 샤프트베어링(217)은 한쌍의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한다.
이때, 샤프트베어링(217)은 단턱(214) 상에 위치하여 이의 양단은 앵글블럭(215a, 215b)의 단턱측면(214a)에 구비되며 단턱측면(2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214b)에 끼움되어 가이드된다.
즉, 샤프트베어링(217)은 양단이 단턱측면(214a)에 형성된 홈(214b)에 끼움 삽입된 상태로 양단은 각각 한쌍의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베어링홈(219)에 끼움 삽입된다.
이러한 샤프트베어링(217)에는 롤러(217a)가 장착되어 구비되어, 샤프트베어링(217)은 이웃하는 앵글블럭(213a, 213b)의 돌출단(212)이 단턱(214)에 끼움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과 함께, 한쌍의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로 전달되는 직선운동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단(212)이 단턱(214)에 끼움 삽입된 이웃하는 앵글블럭(213a, 213b)의 각 제 1 및 제 2 가장자리를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단턱(214)에는 롤러(217a)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214c)이 더욱 형성될 수 있으며, 단턱(214)의 끝단에는 걸림턱(214d)이 구비되어 샤프트베어링(217)과 롤러(217a)가 단턱(214)의 외부로 빠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앵글블럭모듈(210)은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승 및 하강하게 됨에 따라, 백커버시스템(200)은 전체적으로 만곡(彎曲)된 형태를 갖게 되거나 평평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200)을 통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선택적으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백커버시스템(200)을 통한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의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모습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에 대해 도 5a ~ 5e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5a ~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앵글블럭모듈을 중점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의 배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데, 백커버시스템(도 4의 200)의 앵글블럭모듈(210)은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어 장착된다.
이때, 앵글블럭모듈(210)의 각 블럭유닛(211a, 211b, 211c)이 각각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221)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기어(2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기어(223)의 회전력이 앵글블럭모듈(210)의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기어(223)에는 회전력에 대응하는 가이드홈(2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223a)에 한쌍의 제1 링크(215a)가 연결되어, 기어(223)가 회전함에 따라 한쌍의 제 1 링크(215a)는 가이드홈(223a)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되어지면서 기어(223)의 회전력이 제 1 링크(215a)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앵글블럭모듈(210)이 구동시스템(220)의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어 장착됨에 따라, 기어(223)에는 서로 대향되는 2개의 가이드홈(223a)이 형성되며, 각 가이드홈(223a)에 구동시스템(220)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앵글블럭모듈(210)의 한쌍의 제 1 링크(215a)가 각각 연결되게 된다.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된 회전력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링크(215a)는 구동시스템(220)으로부터 반대측, 즉 도면상으로 정의한 + X축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제 1 링크(215a)가 전진하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힘과 제 1 및 제 2 앵글블럭(213a, 213b)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에 고정된 힘이 상충되어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 링크(215b)의 타단의 연결부는 제 1 링크(215a)가 전진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이 제 1 링크(215a)가 전진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을 연결하는 샤프트베어링(217)도 함께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게 된다.
이때, 샤프트베어링(217)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샤프트베어링(217)에 의해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은 이웃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으로 끼움 삽입되게 된다.
또한,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이 이웃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으로 끼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샤프트베어링(217)이 계속해서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도 5c ~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도 함께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가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는 반작용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돌출단(212)은 끝단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를 향해, 즉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일정각 기울어져 형성됨에 따라, 돌출단(212)이 단턱(214)에 끼움 삽입될 경우 돌출단(212)에 의해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는 눌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는 더욱 -Z축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가 -Z축 방향으로 내려감에 따라, 제 2 앵글블럭(213b)에 이웃하며,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단(212)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214)이 형성된 제 3 앵글블럭(213c)의 제 2 가장자리도 -Z축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가장자리가 -Z축 방향으로 내려간 제 3 앵글블럭(213c)의 제 1 가장자리는 반작용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이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에 모두 연계되어 작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가 상승 및 하강하게 됨에 따라, 앵글블럭(213a, 213b, 213c)의 상승된 각도 및 하강된 각도만큼 앵글블럭(213a, 213b, 213c)이 고정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각도도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구동시스템(220)의 타측에 장착된 앵글블럭모듈(210) 또한 위와 같이 구동됨에 따라, 이와 같은 백커버시스템(200)이 배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만곡(彎曲)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곡면형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백커버시스템(200)은 앵글블럭모듈(210)을 각각 앵글블럭(213a, 213b, 213c)을 포함하는 다수의 블럭유닛(211a, 211b, 211c)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블럭유닛(211a, 211b, 211c)이 각각 하나의 관절 역할을 하게되어 곡면형 모드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곡률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의 상승 및 하강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곡률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곡면형 모드에서 평판형 모드로 가변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시스템(220)의 모터(221)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기어(2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홈(223a)의 타단에 위치하던 한쌍의 제 1 링크(215a)는 가이드홈(223a)의 일단으로 이동되어지면서 기어(223)의 회전력이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되게 된다.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된 회전력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한쌍의 제 1 링크(215a)는 구동시스템(220)측 즉,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한쌍의 제 1 링크(215a)가 후진함에 따라 +Y 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졌던 샤프트베어링(217)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은 이웃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 1 앵글블럭(213a)의 제 1 가장자리와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도 하강하게 된다.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가 하강함에 따라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는 반작용에 의해 +Y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에 모두 연계되어 작용되어, 앵글블럭모듈(210)은 모두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평면형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00)의 배면으로 백커버시스템(200)을 장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100)을 선택적으로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실외의 광장과 같은 개방된 공간 또는 공항, 터미널 등의 실내 광장에 설치되었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구현되는 화상이 전달하는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이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본원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를 통해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를 모두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는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진동과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백커버시스템(200)이 구동시스템(220)과 앵글블럭모듈(210)로만 이루어지며, 앵글블럭모듈(2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백커버의 배면에 직접 장착됨에 따라 백커버시스템(200)이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가 최소화됨에 따라,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는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를 가변하면서도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백커버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1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가변형 표시장치
110 : 디스플레이패널
120 : 외장케이스
200 : 백커버시스템

Claims (11)

  1.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를 갖거나,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모드(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과, 상기 구동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며 다수개의 앵글블럭(angle block)으로 이루어지는 앵글블럭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형 모드는 상기 다수개의 앵글블럭 중 서로 맞닿는 제 1 앵글블럭의 제 1 가장자리와 제 2 앵글블럭의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전방으로 수직하게 상승하게 되며, 서로 맞닿는 제 2 앵글블럭의 제 1 가장자리와 제 3 앵글블럭의 제 2 가장자리는 하강하여, 상기 앵글블럭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앵글블럭모듈은 다수개의 블럭유닛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블럭유닛은 상기 구동시스템과 연결되며 한쌍의 링크(link)와, 상기 한쌍의 링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앵글블럭을 포함하며, 각각의 블럭유닛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를 연결하며 롤러가 장착된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이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블럭은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단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단턱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베어링은 상기 롤러가 상기 단턱 상에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홈에 끼움되어 가이드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에는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끝단에는 상기 샤프트베어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일단은 연장되어 베어링홈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블럭유닛의 서로 밀착되는 링크의 상기 베어링홈이 형성된 일단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스템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한쌍의 링크로 전달하는 기어(gear)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와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변형 표시장치.
  9. 디스플레이패널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과, 상기 구동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angle block)으로 이루어지는 앵글블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블럭모듈은 상기 구동시스템과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링크(link)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링크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링크를 연결하며 롤러가 장착된 제 1 및 제 2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 각각은 제 1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 2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단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링크가 상기 구동시스템의 반대측으로 전진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으로 끼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전방을 향해 수직하게 상승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3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하강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 곡면형 모드를 구동하는 단계와;
    f) 상기 모터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g) 상기 제 1 링크가 상기 구동시스템측으로 후진하는 단계와;
    h)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하강하는 단계와;
    i)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3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전방을 향해 상승하는 단계와;
    j) 상기 제 1 내지 제 3 앵글블럭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가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기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연결된 상기 제 1 링크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 1 링크가 전진함에 따라, 서로 연결된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 1 샤프트베어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로부터 전방을 향해 수직하게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앵글블럭의 상기 돌출단이 상기 제 2 앵글블럭의 상기 단턱으로 끼움 삽입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0140051848A 2014-04-29 2014-04-29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20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48A KR102209411B1 (ko) 2014-04-29 2014-04-29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EP14197145.7A EP2940552B1 (en) 2014-04-29 2014-12-10 Adjustable display device
TW103144150A TWI555943B (zh) 2014-04-29 2014-12-17 可調整顯示裝置
US14/577,516 US9123290B1 (en) 2014-04-29 2014-12-19 Adjustable display device
JP2014257138A JP5947366B2 (ja) 2014-04-29 2014-12-19 可変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201410817866.1A CN105047090B (zh) 2014-04-29 2014-12-24 可调节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48A KR102209411B1 (ko) 2014-04-29 2014-04-29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41A KR20150125141A (ko) 2015-11-09
KR102209411B1 true KR102209411B1 (ko) 2021-01-29

Family

ID=5460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848A KR102209411B1 (ko) 2014-04-29 2014-04-29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226B1 (ko) 2016-11-24 2017-07-17 황창순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KR102476295B1 (ko) * 2018-01-31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26679A (ko)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96B1 (ko) * 2011-12-19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0329B1 (ko) * 2012-06-11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41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7366B2 (ja) 可変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273718B1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068769B1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515379B1 (ko) 표시 장치
US9818335B2 (en) Display with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and display assembly
US9041280B2 (en) Double-sid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KR102209411B1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501045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20230056000A1 (e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US20080303982A1 (en) Double-sid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50093087A1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of display and display assembly
KR102493577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1758835B1 (ko)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KR102513194B1 (ko)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46666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62773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17995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20220072346A (ko) 가변형 표시장치
US20230209736A1 (en) Display device
KR102513172B1 (ko)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7227746A (ja) 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2667702B1 (ko) 백 라이트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599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25595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99172B1 (ko) 가변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