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226B1 -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226B1
KR101757226B1 KR1020160157381A KR20160157381A KR101757226B1 KR 101757226 B1 KR101757226 B1 KR 101757226B1 KR 1020160157381 A KR1020160157381 A KR 1020160157381A KR 20160157381 A KR20160157381 A KR 20160157381A KR 101757226 B1 KR101757226 B1 KR 10175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
panel
guide
flat plat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순
김선종
유연상
Original Assignee
황창순
김선종
유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순, 김선종, 유연상 filed Critical 황창순
Priority to KR102016015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226B1/ko
Priority to US16/464,169 priority patent/US11229127B2/en
Priority to PCT/KR2017/013485 priority patent/WO20180976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휨 조절 장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형 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활대; 및 상기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평판형 부재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만곡된 형상의 활대가 디스플레이 패널(panel) 등 평판형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활대의 만곡 방향이 패널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활대의 회전을 임의의 각도로 제어함으로써 패널의 곡률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 APPARATUS FOR BENDING CONTROL USING ANGLED BA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BENDING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
본 발명은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만곡된 형상의 활대를 패널(panel) 등 평판형 부재에 결합하고 활대의 회전을 통해 평판형 부재의 휨 정도를 조절하는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자 기기에는 통상 디스플레이 패널(panel) 등으로 불리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영상이나 문자 등을 표현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대형의 TV와 같은 경우에는 중심부와 양측 단부의 시야각이 달라져서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영상의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유연한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자체 모양을 변화시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 기기들이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전자 기기들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본래의 모양과 변형된 모양이 번갈아 변경되는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사용 가능한 재질이 제한적이고 패널이 클 경우 필요한 만큼의 인장력을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8259호
따라서 본 발명은 만곡된 형상의 활대를 디스플레이 패널(panel) 등 평판형 부재에 결합하고 활대의 회전을 통해 평판형 부재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형 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활대; 및 상기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평판형 부재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고정 가이드; 및 상기 고정 가이드와 이격되며,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대는, 일 부분이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일 부분에 대하여 만곡된 다른 부분이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상기 고정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비하여 상기 평판형 부재의 중앙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평판형 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평행한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직교하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와 상기 활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의 회전을 상기 활대에 전달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벨트, 체인, 로프, 풀리 또는 기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대는,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양단이 서로 결합된 복수 개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가로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대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부분 중 하나 이상은 한 번 이상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의 휘어짐을 조절하는 휨 조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휨 조절 장치는, 상기 패널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활대; 및 상기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패널은 일 표면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상기 휨 조절 장치는 상기 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 반대쪽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패널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배치 형태로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패널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경우, 상기 활대가 전력 공급 차단 전과 동일한 배치 형태가 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 상기 패널에 결합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된 활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에 상기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된 상기 활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활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평행한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직교하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의하면, 만곡된 형상의 활대가 디스플레이 패널(panel) 등 평판형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활대의 만곡 방향이 패널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의하면, 활대의 회전을 임의의 각도로 제어함으로써 패널의 곡률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TV 등의 시청 거리에 따라 최적의 곡률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의하면, 구동기의 구동력을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활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얇은 두께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더 큰 인장력의 확보가 필요할 경우 복수 개의 활대를 배치하여 한꺼번에 회전시킴으로써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의하면, 활대 및 이의 고정부가 패널에 결합되므로 보조적으로 패널의 형태를 유지하는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의 크기가 커질 경우 이에 결합된 활대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 및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에 포함된 활대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에 포함된 활대의 정면도이며,
도 2c 및 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에 포함된 활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 및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측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활대가 초기 위치로부터 45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측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활대가 초기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측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 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 및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panel)과 같은 평판형 부재(1)에 결합된다. 평판형 부재(1)는 휨 조절 장치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며, 평면 형상의 표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평판형 부재(1)는 유연성이 좋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들을 포함하고, OLED의 표면에는 유연성이 좋은 보호 커버(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평판형 부재(1)의 표면은 OLED 등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 평판형 부재(1)의 표면 또는 표면 방향이란, 평판형 부재(1)가 휨 조절 장치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표면 또는 표면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는, 평판형 부재(1)에 결합된 가이드부(20)와, 가이드부(20)에 고정된 활대(21)와, 활대(21)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동부(23)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대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되, 연장 방향이 점차 변화하여 전체적으로 굽거나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바(bar) 형태의 부재를 지칭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에 포함된 활대의 정면도로서, 도 2a를 참조하면, 활대(21)는 직선 형태의 바에 인장을 가함으로써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만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활대(21)와 평행한 평면상에서 활대(21)는 이의 중앙부를 최저점(또는, 최고점)으로 하여 이에 비해 양단의 높이(h)가 점차 증가하는(또는,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높이 변화 방향을 만곡 방향이라고 지칭한다.
활대(21)는, 만곡된 형상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이의 만곡된 형상을 이용하여 평판형 부재(1)에 인장력을 가하여 변형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활대(21)의 강성은 적어도 평판형 부재(1)의 강성에 비하여 크다. 반대로 활대(21)의 강성이 평판형 부재(1)에 비하여 작은 경우에는 휨 조절 장치의 구동 시 평판형 부재(1) 대신 활대(21)가 변형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활대(21)는 높은 강성을 가지는 금속, 폴리머(polymer), 폴리머복합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활대(21)는 활대(21)와 후술하는 고정 가이드(201) 및 슬라이딩 가이드(202) 사이의 미끄럼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이 적고 내마모성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활대(21)가 다른 부재와 마찰하는 부분에 윤활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활대(21)에서 다른 부재와 마찰하는 부분에만 마찰과 내마모성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는 특정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원가를 줄일 수도 있다.
한편, 활대(21)가 강도가 충분한 소재로 되어 있을 때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순한 바 형태를 휘어서 제작할 수 있으나, 소재 강도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강된 형태의 활대(22)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보강된 형태의 활대(22)는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대(221, 222)로 이루어지며, 각 지지대(221, 222)의 끝단은 서로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곡률 반경의 차이에 의하여 활대(22)의 중간 부분에서는 지지대(221, 222)의 곡률 반경의 차이로 인한 공극이 형성되고, 이 공극을 가로질러 지지대(221, 222)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로대(223)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소재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활대(22)의 형태는 다른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a 및 2b에서 활대(21, 22)는 연장 방향이 계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활대의 만곡 여부나 만곡된 정도가 부분 별로 상이할 수도 있고, 또는 활대가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c 및 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에 포함된 활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 및 2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의 활대(24)는 체결구(244, 245)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부분(241, 242, 243)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말단 부분(241)과 중간 부분(242)이 체결구(24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중간 부분(242)과 다른 말단 부분(243)이 체결구(24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활대(24)를 분할하는 개수와 분할된 각 부분의 체결 방식은 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활대 전체를 일체화된 하나의 몸체로 할 경우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활대(24)의 각 부분(241 내지 243)을 조각으로 제작하여 연결하는 구조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부분(241 내지 243)은 원호를 유지하기 위해 한번 이상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c 및 2d에서는 활대(24)의 양 말단 부분(241, 243)이 꺾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꺾인 부분의 개수나 위치가 이와 상이한 형상으로 활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는 고정 가이드(201) 및 슬라이딩 가이드(202)를 포함한다. 고정 가이드(201) 및 슬라이딩 가이드(202)에는 각각 개구가 형성되며, 이들의 개구 내로 활대(21)가 통과함으로써 활대(21)가 고정 가이드(201) 및 슬라이딩 가이드(202)에 고정된다. 고정 가이드(201), 슬라이딩 가이드(202) 및 이에 고정된 활대(21)는 마치 연의 프레임과 같이 평판형 부재(1)의 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평판형 부재(1)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경량화를 달성하면서 동시에 평판형 부재(1)의 안정된 곡률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평판형 부재(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활대(21)가 고정되었으므로 고정 가이드(201) 및 슬라이딩 가이드(202)는 각각 상단과 하단에 두 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 또는 셋 이상의 활대(21)를 포함하여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각각의 가이드(201, 202)에 형성되는 개구의 개수는 활대(2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1)는 상대적으로 평판형 부재(1)의 중앙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슬라이딩 가이드(202)는 고정 가이드(20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평판형 부재(1)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고정 가이드(201) 및/또는 슬라이딩 가이드(20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1)에 형성된 개구와 달리, 슬라이딩 가이드(202)에 형성된 개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고정 가이드(201)에 형성된 개구는 원 형상이며 슬라이딩 가이드(202)에 형성된 개구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고정 가이드(201)에 형성된 개구와 슬라이딩 가이드(202)에 형성된 개구는 그 밑단이 서로 정렬될 수도 있다.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평판형 부재(1)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 즉,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평판형 부재(1)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직교하는 방향으로 활대(21)를 회전시킴으로써 평판형 부재(1)의 변형을 야기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패널이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 및 패널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평판형 부재(1)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이 되도록 활대(21)를 회전시키면, 만곡된 활대(21)는 여전히 가이드부(20)에 의하여 평판형 부재(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활대(21)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평판형 부재(1)에 가해지며, 그 결과 평판형 부재가 변형된다. 따라서, 활대(21)의 회전을 통하여 평판형 부재(1)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휨 조절을 위하여,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구동기(231) 및 구동기(231)와 활대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기(231)의 회전을 활대(21)에 전달하는 연결 부재(2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동기(231)는 감속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연결 부재(232)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이며, 타이밍 벨트는 복수 개의 풀리(pulley)(233, 234, 235)를 통하여 활대(21)에 연결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구동기(231)와 함께 사용되는 연결 부재는 구동기(231)의 회전을 활대(21)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벨트 및 풀리를 대체하여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기어(gear), 체인(chain), 로프(rope)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구동기(231)에 공급되는 외부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활대(2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활대(21)의 배치 형태 및 이에 따른 평판형 부재(1)의 휨 정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휨 정도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 형태의 패널(1)과, 상기 패널(1)에 결합되는 휨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부로서 패널(1)을 갖는 TV등의 장치일 수 있으며, 패널(1)의 한쪽 표면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휨 조절 장치는 고정 가이드(201), 슬라이딩 가이드(202), 활대(21), 구동기(231), 연결 부재(232) 등을 포함하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구성된다. 휨 조절 장치는 패널(1)의 디스플레이 영역 반대쪽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패널(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3)는 전자 기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 지지부(31) 및 수평 지지부(31)와 결합되며 패널(1)과 결합되어 패널(1)을 고정하는 수직 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3)의 형태는 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4c는 휨 조절 장치에 의하여 활대(21)가 회전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 초기 상태에서, 패널(1)의 표면이 위치하는 평면(도면의 xy 평면)과 활대(21)의 만곡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은 서로 평행하다. 이 상태에서, 활대(21)의 만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활대(21)는 고정 가이드(201)를 통과하는 부분에 비해 슬라이딩 가이드(202)를 통과하는 부분이 더 높이 위치하고, 그 결과 도 4a 및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202)에 형성된 타원형 개구의 상단 부분을 활대(21)가 통과하게 된다.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활대가 초기 위치로부터 45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구동기(231)는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패널(1)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활대(21)를 회전시킨다. 이때, 활대(21)의 만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활대(21)의 중앙 부분에 비해 이의 양단은 패널(1)의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위치 편차를 가지며, 위치 편차는 활대(21)의 끝으로 갈수록 커진다. 그런데 활대(21)는 고정 가이드(201) 및 슬라이딩 가이드(20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활대(21)의 중앙으로부터 양 끝 부분으로 갈수록 커지는 위치 편차는 유연한 패널(1)에 인장력을 가하고, 이로 인해 패널(1)이 변형된다.
이와 같은 변형은 도 4c와 대비하여 볼 때 도 5c에서 패널(1)의 끝 부분이 수직 지지대(31)로부터 소정의 거리(d1)만큼 돌출된 것으로부터 확인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활대(21)의 중앙 부분에 비해 양 끝 부분이 가지는 만곡 방향으로의 최대 위치 편차를 h라 하고,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패널(1)의 표면(도면의 xy 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θ라고 할 경우, 패널(1)의 끝 부분이 돌출되는 거리 d=h·sinθ의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활대(2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패널(1)의 양 끝이 돌출되는 정도, 즉, 패널(1)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활대가 초기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패널(1)의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활대(21)를 회전시킴으로써 패널(1)의 변형을 최대로 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활대(21)의 중앙 부분에 비해 양 끝 부분이 갖는 만곡 방향으로의 최대 위치 편차 h는 패널(1)의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위치하므로, 도 6c에 도시된 패널(1)의 끝 부분이 돌출된 거리(d2)는 h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한편, 이 경우 활대(21)가 완전히 옆으로 돌려져 중앙 부분과 양 끝 부분의 높이 차는 없게 되므로 활대(21)는 슬라이딩 가이드(202)에 형성된 타원형 개구의 하단 부분을 통과한다.
이상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구동기(231)에 공급되는 외부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활대(2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활대(21)의 배치 형태 및 이에 따른 평판형 부재(1)의 휨 정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구동기(231)가 단지 회전 방향만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모터일 경우,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활대(21)의 특정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러한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구동기(231)를 구동 또는 구동 정지 시킴으로써 패널(1)의 휨 정도를 원하는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대(21)의 회전 각도 0도, 30도, 60도 및/또는 90도 위치에 각각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구동기(2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기(231)가 위치 검출이 가능한 스텝 모터나 서보 계열 모터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활대(21)를 회전시키도록 구동기(231)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패널(1)의 원하는 곡률을 지정하여 구동기(231)를 동작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패널(1)이 제1 배치 형태 및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며 동작하도록 활대(21)의 회전을 조절한다. 제1 배치 형태는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패널(1)의 표면과 평행하여 패널(1)이 휘어지지 않는 배치 형태이며(즉, 도 4a 내지 4c의 배치 형태), 제2 배치 형태는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패널(1)의 표면과 직교하여 패널(1)가 최대 범위로 휘어진 배치 형태이다(즉, 도 6a 내지 6c의 배치 형태).
또한, 활대(21)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배치 형태 및 제2 배치 형태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활대(2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패널(1)을 원하는 정도만큼만 변형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청 거리에 따라 최적의 곡률을 결정하고 해당 곡률만큼만 패널(1)을 변형시키도록 활대(2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패널(1)에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시 패널(1)의 변형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끄고자 하여 패널(1)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동력 전달 구동부(23)에서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구동기(231)에 전력을 공급하며 구동기(231)는 활대(21)의 만곡 방향이 패널(1)과 평행한 위치로 활대(21)를 회전시킨다. 즉, 전원 차단 시 패널(1)을 평면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미사용 시 불필요한 인장력이 패널(1)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널(1)이 평면 상태로 복귀한 후에는 구동기(231)에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됨으로써 전원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패널(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복구되었을 경우 패널(1)의 변형을 이전의 설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구동기(231)에 의한 활대(21)의 회전 각도를 저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차단 시 전술한 것과 같이 패널(1)이 평면 상태로 복귀될 수 있으나, 다시 전원 공급이 재개되면,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전원 차단 전의 활대(21)의 회전 각도를 읽어들이고 구동기(231)를 이용하여 다시 해당 각도만큼 활대(21)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원 차단 전의 패널(1) 상태를 복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복원 과정 후 또는 복원 과정과 함께 패널(1)에 전력이 공급되면서 영상의 출력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원 차단 전의 패널(1) 상태를 복원한 후 다시 패널(1)의 변형이 필요하기 전까지 구동기(231)로의 전원 공급은 중단될 수도 있다.
도 7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로서, 연결 부재로서 타이밍 벨트 대신 웜 기어(worm gear)가 사용된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7b는 도 7a 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구동부(23)는 구동기(231) 및 웜 기어에 의하여 활대(2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웜 기어는 구동기(231)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 기어(236) 및 구동 기어(236)와 축이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활대(24)에 결합되는 피동 기어(237)를 포함한다. 구동기(231)는 구동 기어(236)에 결합된 구동축(238)을 회전시키며, 구동 기어(236)의 회전이 이와 쌍으로 맞물린 피동 기어(237)로 전달됨으로써 피동 기어(237)에 결합된 활대(24)가 회전된다. 그 결과,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대(24)의 회전을 통하여 평판형 부재(1)에 인장력을 가하여 평판형 부재(1)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는 도 2c 및 2d에 도시된 활대(24)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연결 부재로서 웜 기어를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도면에 도시된 활대(21, 22) 또는 이와 상이한 형태의 활대를 포함하도록 휨 조절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음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7a 및 7b에 도시된 휨 조절 장치는 평판형 부재(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활대(24)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웜 기어도 이에 상응하는 구동 기어(236)와 피동 기어(237)의 쌍을 두 개 포함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나 또는 셋 이상의 활대(24)를 포함하여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활대(24)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236)와 피동 기어(237)의 쌍의 개수는 활대(24)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을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의 다른 구성은 도 1a, 도 1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의 대응되는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력 전달 구동부(23)의 구동기(231)가 양축 모터로 이루어져 구동기(231)의 양단에 구동축(238)이 배치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양축 모터로 구성된 구동기(231)는 이의 양단의 구동축(238)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기(231)를 각 구동 기어(236) 사이에 배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기(231) 및 이의 연결 부위가 도 7a 및 7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패널(1)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패널(1)을 이용하여 벽걸이 TV를 구현하는 경우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활대(24)는 패널(1)의 휨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패널(1)의 형태를 유지하는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하므로, 패널(1)의 크기가 커질 경우 활대(24)의 수를 늘려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휨 조절 장치가 결합된 평판형 부재의 후면 사시도로서, 휨 조절 장치에 포함된 활대(24)의 개수가 강성 확보를 위하여 3개로 증가된 형태를 나타낸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추가적인 강성 확보가 필요할 경우 더 많은 개수의 활대를 포함하여 휨 조절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패널(1)이 이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목한 형태로 휘어지는 것만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동력 전달 구동부(23)의 구동기(231)의 구동 방향을 반대로 하면 패널(1)이 이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볼록한 형태로 휘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변형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 패널에 결합된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된 활대를 제공하는 단계(S1), 및 가이드부에 고정된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에 고정된 활대를 회전시켜, 활대의 만곡 방향이 패널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배치 형태가 되면,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패널에 가해짐으로써 패널이 변형된다. 예를 들면, 활대의 만곡 방향이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제1 배치 형태, 및 활대의 만곡 방향이 패널 표면과 직교하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활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치 형태 및 제2 배치 형태 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활대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곡률을 갖도록 패널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S2)는, 전자 기기의 패널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활대의 만곡 방향이 패널과 평행한 위치로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패널이 평평한 상태로 되돌려지며, 이후 구동기로의 전력 공급도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S2)는, 전자 기기의 패널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전원 차단 전의 활대의 회전 각도만큼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상태에서 패널에 전력이 공급되어 영상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한편, 다시 패널의 변형이 필요하기 전까지 구동기로의 전력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들에 따른 휨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만곡된 형상의 활대가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결합된 상태에서 활대의 만곡 방향이 패널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활대의 회전을 임의의 각도로 제어함으로써 패널의 곡률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TV 등의 시청 거리에 따라 최적의 곡률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로 비율이 높은 와이드 패널(wide panel)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휨 조절 장치 및 방법의 적용 대상은 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들에 따른 휨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용 컴퓨터(PC),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차량 외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등 휘어진 전자 기기를 활용 가능한 임의의 장치 또는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평판형 부재 2 : 휨 조절 장치
10 : 패널 20 : 가이드부
201 : 고정 가이드 202 : 슬라이딩 가이드
21, 22, 24 : 활대 221, 222 : 지지대
223 : 가로대 244, 245 : 체결구
23 : 동력 전달 구동부 231 : 구동기
232, 236, 237 : 연결 부재

Claims (17)

  1. 휘어질 수 있는 평판형 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활대; 및
    상기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평판형 부재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고정 가이드; 및
    상기 고정 가이드와 이격되며,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는, 일 부분이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일 부분에 대하여 만곡된 다른 부분이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상기 고정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비하여 상기 평판형 부재의 중앙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평판형 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평행한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평판형 부재의 표면과 직교하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와 상기 활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의 회전을 상기 활대에 전달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벨트, 체인, 로프, 풀리 또는 기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는,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양단이 서로 결합된 복수 개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부분 중 하나 이상은 한 번 이상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조절 장치.
  11. 휘어질 수 있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의 휘어짐을 조절하는 휨 조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휨 조절 장치는,
    상기 패널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활대; 및
    상기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고정 가이드; 및
    상기 고정 가이드와 이격되며,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일 표면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상기 휨 조절 장치는 상기 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 반대쪽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패널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배치 형태로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구동부는, 상기 패널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경우, 상기 활대가 전력 공급 차단 전과 동일한 배치 형태가 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휘어질 수 있는 패널, 상기 패널에 결합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된 활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고정 가이드와, 상기 고정 가이드와 이격되며 상기 활대가 통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에 상기 활대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된 상기 활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패널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패널의 표면과 평행한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활대의 만곡 방향이 상기 패널의 표면과 직교하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상기 활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KR1020160157381A 2016-11-24 2016-11-24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KR10175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81A KR101757226B1 (ko) 2016-11-24 2016-11-24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US16/464,169 US11229127B2 (en) 2016-11-24 2017-11-24 Apparatus for adjusting bends using stabilizer bar, ben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method for adjusting bending of electronic device
PCT/KR2017/013485 WO2018097633A1 (ko) 2016-11-24 2017-11-24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81A KR101757226B1 (ko) 2016-11-24 2016-11-24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226B1 true KR101757226B1 (ko) 2017-07-17

Family

ID=5944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381A KR101757226B1 (ko) 2016-11-24 2016-11-24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9127B2 (ko)
KR (1) KR101757226B1 (ko)
WO (1) WO201809763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492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2145625A1 (ko) * 2020-12-28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171541A (zh) * 2022-06-13 2022-10-1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WO2023008642A1 (ko) * 2021-07-29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08641A1 (ko) * 2021-07-29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226B1 (ko) * 2016-11-24 2017-07-17 황창순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CN109545084B (zh) * 2018-11-15 2020-03-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面板框架
US11310927B2 (en) * 2018-11-23 2022-04-19 Shenzhen Gloshine Technology Co., Ltd. LED display screen
CN109215513A (zh) * 2018-11-23 2019-01-15 深圳市光祥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单元
CN109998756A (zh) * 2019-03-05 2019-07-12 丁世卫 杠杆撬力顶背挺胸收腹矫姿抑劳负重器
KR20210001447A (ko) * 2019-06-28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US11540403B2 (en) * 2019-07-23 2022-12-27 Beij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with flexible circuit board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886766B (zh) * 2019-12-06 2020-11-06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弧度调节机构、柔性显示模组及显示屏
KR20220008593A (ko) * 2020-07-14 2022-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429732A (zh) * 2020-10-29 2022-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曲率调节装置、显示装置及显示装置治具
CN112365803B (zh) * 2020-11-25 2022-05-17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220090974A (ko) * 2020-12-23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1225A (ko) * 2020-12-23 2022-06-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767837A (zh) * 2021-01-14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3066383B (zh) * 2021-03-31 2023-04-0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3570972B (zh) * 2021-08-06 2023-05-05 湖南飞优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运用于柔性显示器的切屏装置
CN113781910B (zh) * 2021-08-31 2023-05-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CN114399955B (zh) * 2022-02-21 2023-11-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7238216B (zh) * 2023-11-07 2024-03-26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弧度调节机构及具有其的led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270B1 (ko) * 2012-10-25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6796B1 (ko) * 2013-01-14 2019-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40139950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7562A (ko) * 2013-06-20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9989B1 (ko) * 2013-06-20 201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12982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56B1 (ko) * 2014-01-0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209411B1 (ko) * 2014-04-29 2021-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273718B1 (ko) * 2014-04-29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20160016334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2183002B1 (ko) * 2014-09-02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266146B (zh) * 2014-10-09 2017-02-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曲率可变的背板组件及其背光单元
CN104464530B (zh) * 2014-11-18 2017-08-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型显示装置
KR20160128021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에스 씨디 가변 형 디스플레이용 가변 구동 장치
KR102483559B1 (ko) * 2015-12-28 2023-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9119B1 (ko) * 2015-12-30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0178B1 (ko) * 2016-05-2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757226B1 (ko) * 2016-11-24 2017-07-17 황창순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KR102476295B1 (ko) * 2018-01-31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492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74598B1 (ko) * 2018-10-10 2023-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2145625A1 (ko) * 2020-12-28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92609B (zh) * 2020-12-28 2023-02-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WO2023008642A1 (ko) * 2021-07-29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08641A1 (ko) * 2021-07-29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5171541A (zh) * 2022-06-13 2022-10-1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5171541B (zh) * 2022-06-13 2023-07-2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633A1 (ko) 2018-05-31
US20200323087A1 (en) 2020-10-08
US11229127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226B1 (ko)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US7503538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angle adjuster
KR102081112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곡률 제어 방법
US10687428B2 (en) Display device
KR1019899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19514B (zh) 铰链设备
US9274560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2064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541952B2 (en) Display apparatus
US11107374B2 (en)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transform between a contracted configuration and an expanded configuration
US951677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urvature changing member
US20060131908A1 (en) Joint drive mechanism and robot hand
US20080001048A1 (en) Display rotation appatatus and rotating method thereof
US20070258200A1 (en) Display rotation and exten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701486B2 (en) Image capturing device
US7926370B2 (en) Rotation and extension/retraction link mechanism
US20070222776A1 (en) Display rotation apparatus
US20220386483A1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CN111667772A (zh) 卷曲结构和显示装置
US10156290B2 (en) Belt drive tensioning system
CN113781910B (zh) 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US10684473B2 (en) Angle-adjusting mechanism of head-up display
CN111678818A (zh) 一种柔性屏模组弯折治具
KR100928331B1 (ko) 순차주사 방식의 자연채광장치
US20160332576A1 (en) Adjustment unit, rear view devic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