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974A -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974A
KR20220090974A KR1020200182032A KR20200182032A KR20220090974A KR 20220090974 A KR20220090974 A KR 20220090974A KR 1020200182032 A KR1020200182032 A KR 1020200182032A KR 20200182032 A KR20200182032 A KR 20200182032A KR 20220090974 A KR20220090974 A KR 2022009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isplay device
wire
curvature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효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974A/ko
Priority to US17/492,345 priority patent/US11659672B2/en
Priority to CN202111193035.8A priority patent/CN114664182B/zh
Publication of KR2022009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구비되는 백플레이트, 백플레이트의 후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사이드 브라켓과 제2사이드 브라켓, 제1사이드 브라켓과 제2사이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벤딩 플레이트, 벤딩 플레이트와 스탠드 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 스탠드 베이스에 구비되어 백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며 패널 어셈블리의 곡률을 변경시키는 다이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VARIABLE CURVATUR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면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고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곡률이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과 커버 버텀에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커버 버텀의 후방면에 커버 버텀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정한 곡률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곡률을 변경할 수 없고 사전에 제작된 곡률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어서, 시청하는 콘텐츠에 따라서 평판이나 곡면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패널의 크기가 점점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슬림화와 함께 다양하고 혁신적인 곡률 변경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사용자들에게 보다 사용의 다양성을 어필할 수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드와 곡면형 디스플레이 모드로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그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곡률을 변경하면서 패널 어셈블리의 슬림화를 도모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구비되는 백플레이트, 백플레이트의 후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사이드 브라켓과 제2사이드 브라켓, 제1사이드 브라켓과 제2사이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벤딩 플레이트, 벤딩 플레이트와 스탠드 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 스탠드 베이스에 구비되어 백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며 패널 어셈블리의 곡률을 변경시키는 다이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드와 곡면형 디스플레이 모드로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그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곡률을 변경하면서 패널 어셈블리의 슬림화를 도모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곡률이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곡률이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105), 패널 어셈블리(105)의 후면에 구비되는 백플레이트(107), 백플레이트(107)의 후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사이드 브라켓(140a)과 제2사이드 브라켓(140b), 일측단은 제1사이드 브라켓(14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제2사이드 브라켓(14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백플레이트(107)의 후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벤딩 플레이트(110), 상단부는 벤딩 플레이트(110)의 중앙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스탠드 베이스(160)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150), 스탠드 베이스(160)에 구비되어 백플레이트(107)의 후면에 결합된 와이어(108)를 감거나 풀며 패널 어셈블리(105)와 백플레이트(107)의 곡률을 변경시키는 다이얼 어셈블리(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서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드(Flat Display Mode)와 곡면형 디스플레이 모드(Curved Display Mode)를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5)에 결합된 와이어(108)가 스탠드 포스트(150)와 스탠드 베이스(160)를 통해 다이얼 어셈블리(170)에 감겨 있고, 스탠드 포스트(150)에 중앙부가 지지되는 벤딩 플레이트(110)의 양단이 패널 어셈블리(105)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1사이드 브라켓(140a)과 제2사이드 브라켓(14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다이얼(175)을 돌려서 와이어(108)가 풀리거나 감기면 패널 어셈블리(105)의 곡률이 변경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곡률 변경시 패널 어셈블리(105)가 파손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어셈블리(105)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07)가 결합되어 강성을 증대시키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그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에 무관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벤딩 플레이트(110)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벤딩 플레이트(110)의 일측단은 제1사이드 브라켓(14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제2사이드 브라켓(14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백플레이트(107)의 후면 중앙에는 와이어(108)의 끝단을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재(109)가 결합되어 있어서 와이어(108)의 당김시 백플레이트(107)와 결합되어 있는 패널 어셈블리(105)가 함께 곡률이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패널 어셈블리(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 버텀(103),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커버 버텀(103)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미들 캐비넷(102) 등을 포함하며, 커버 버텀(103)에는 팸넛(103a)이 구비되어 있어서 백플레이트(107)의 양측단에 형성된 체결슬릿(107b)에 삽입되어 체결부재(미도시)로 결합된다.
또한, 커버 버텀(103)의 후면과 백플레이트(107)의 전면 사이에는 마그넷(104a, 104b)이 결합되어 있는데, 마그넷(104a, 104b)은 커버 버텀(103)의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곡률의 변화시 커버 버텀(103)과 백플레이트(107)의 미세한 슬립(slip)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곡률 변경을 위한 와이어(108)의 당김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곡률이 변경되는 과정에서 커버 버텀(103)과 백플레이트(107)가 맞닿는 전면적에서 균일한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고 국부적으로 마찰력이 증대되는 부위가 발생되면서 전체적인 곡률 변경을 위한 와이어(108)의 당김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커버 버텀(103)과 백플레이트(107) 사이의 일부 영역에 마그넷(104a, 104b)을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은 유지하면서 국부적인 슬립을 수용함으로써 국부적인 마찰력 증대를 최소화하고 전체적인 곡률 변경을 위한 와이어(108)의 당김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그넷(104a, 104b)은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두군데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양측으로 배치된 가요성 회로필름의 상부에 두개가 배치되고, 상하로 배치된 가요성 회로필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두개씩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또한, 곡률 변경시 벤딩 플레이트(110)의 양단이 벤딩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제1사이드 브라켓(140a)과 제2사이드 브라켓(140b) 각각에는 벤딩 플레이트(110)가 관통되는 브라켓 절개부(141)가 구비되고 브라켓 절개부(141)의 상부와 하부에는 벤딩 플레이트(110)의 힌지부(11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힌지홈(14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백플레이트(107)의 양측에는 브라켓 절개부(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플레이트 절개부(107a)가 구비되고 플레이트 절개부(107a)에는 벤딩 플레이트(110)의 단부와 힌지부(112)가 수용되는 수용홈(126)이 구비된 힌지브라켓(125)이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브라켓(125)과 결합된 백플레이트(107)는 곡률 변경시 벤딩 플레이트(110)의 힌지부(112)에 지지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벤딩 플레이트(110)의 단부에는 플레이트 관통홀(111)이 구비되고 힌지브라켓(125)에는 플레이트 관통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켓 관통홀(125a)이 구비되어 있어서,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의 양측 최외곽 벤딩부위(121c, 121d)가 플레이트 관통홀(111)과 브라켓 관통홀(125a)을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벤딩 플레이트(110)의 후면으로 벤딩되어 배치되는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은 생략하고 양측 최외곽 벤딩부위(121c, 121d)만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소스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되는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이 커버 버텀(103)의 후면으로 배치되도록 커버 버텀(103)에는 필름관통홀(103b)이 구비되어 있고, 필름관통홀(103b)을 통과한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이 플레이트 관통홀(111)과 브라켓 관통홀(125a)을 통과하여 벤딩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벤딩 플레이트(110)의 중앙부 후면에는 플레이트 관통홀(111)과 브라켓 관통홀(125a)을 통과한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이 연결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이 장착되며 벤딩 플레이트(110)의 후방에는 플레이트 커버(1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은 벤딩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바로 결합되거나 벤딩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기판브라켓(127)에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벤딩 플레이트(110)의 중앙부 후면에 기판브라켓(127)이 결합되고 기판브라켓(127)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이 결합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플레이트 커버(130)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이 수용되는 기판수용부(146)가 구비되어 있어서 벤딩 플레이트(110)와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의 후방을 감싸며 결합된다.
또한, 플레이트 커버(130)가 벤딩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을 수용할 수 있는 고유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도록, 벤딩 플레이트(110)에는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이 수용되는 단차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 회로필름(121a,121b,123a123b)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패널 어셈블리(105)와 백플레이트(107)가 슬림한 외관을 구비한 상태로 곡률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벤딩 플레이트(110)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에는 백플레이트(107)에 결합된 와이어(108)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홀(129)이 구비되어 있어서 벤딩 플레이트(110) 후면의 중앙부위에 연결된 와이어(108)가 간섭되지 않고 스탠드 포스트(150)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벤딩 플레이트(110) 및 플레이트 커버(130)의 중앙부위와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150)의 내부에는 와이어(108)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스탠드 포스트(150)의 내부에는 지지롤러(15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지지부(154)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와이어(108)를 감고 풀때 작동시키는 다이얼 어셈블리(170)는, 스탠드 베이스(16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이얼(175), 다이얼(175)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하며 와이어(108)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풀리(180),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측지지부(163)와 다이얼(175)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다이얼(17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러치(178)를 포함한다.
와이어 풀리(180)의 상부에는 와이어(108)의 끝단에 구비된 고정단(108a)이 결합되는 고정홀(179a)이 구비된 풀리캡(179)이 구비되며 풀리캡(179)은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측지지부(163)에 고정되어 있어서 와이어 풀리(180)의 회전시 와이어(108)가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
다이얼(175)은,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파지부재(171), 상측에 파지부재(171)와 결합되는 대경부(172a)와 원통형상의 실린더부(172b)를 구비하며 대경부(172a)와 실린더부(172b)의 연결부위 내측에 단턱부(172c)가 구비되어 있는 다이얼 본체(172), 다이얼 본체(172)의 대경부(172a) 하측에 결합되어 스탠드 베이스(160)의 상측커버(161)에 지지되는 댐퍼(173), 다이얼 본체(172)의 내측에 삽입되어 단턱부(172c)에 지지되는 확경단부(174b)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몸체부(174c) 하측 단부에서 연장된 가이드 돌기(174a)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74)를 포함한다.
그리고, 클러치(178)는,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측지지부(163)에 고정되며 상측면에 고정돌기(177c)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부재(177), 다이얼(175) 및 와이어 풀리(180)와 결합되어 연동되어 회전하며 하측면에 고정부재(177)의 고정돌기(177c)와 결합되는 고정홈(176c)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재(176)를 포함한다.
파지부재(171)와 다이얼 본체(172), 가이드부재(174)는 회전부재(176)와 결합된 상태로 연동되어 회전하는데, 회전부재(176)와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 풀리(180)도 함께 연동되어 회전하며 고정부재(177)는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측지지부에 고정된다.
고정부재(177)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77c)는 방사상으로 길게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회전부재(176)에 형성되는 고정홈(176c)은 원주방향으로 인접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돌기(177c)와 고정홈(176c)은 서로 결합되도록 고정부재(177)에 고정홈(176c)이 형성되고 회전부재(176)에 고정돌기(177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이얼 어셈블리(170)는 일단부가 다이얼 본체(172)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회전부재(176)를 지지하여 회전부재(176)를 고정부재(177)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74s)를 더 포함하며 다이얼 본체(172)와 회전부재(176)의 사이에는 지지판(172d)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176)에는 가이드부재(174)의 가이드 돌기(174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76a)이 구비되어 있어서 클러치(178)의 작동시 회전부재(176)와 지지판(172d)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게 되어 있다.
즉, 다이얼(175)의 회전시 회전부재(176)가 연동되어 회전하면 고정홈(176c)이 고정돌기(177c)와 결합 및 분리되면서 회전부재(176)와 지지판(172d)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 때 회전부재(176)의 가이드홈(176a)이 가이드 돌기(174a)를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176)는 탄성부재(174s)에 의해 고정부재(177)쪽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고정돌기(177c)가 고정홈(176c)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하 이동이 제한되며 다이얼(175)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얼(175)을 돌리면 회전부재(176)의 회전 이동과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다이얼 본체(172)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와이어 풀리(180)에 의해 와이어(108)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패널 어셈블리(105)의 곡률이 변경된다.
와이어 풀리(180)에는 상측으로 배치되는 회전축(181)이 구비되고 가이드부재(174)에는 와이어 풀리(180)의 회전축(181)이 삽입되는 삽입홈(174d)이 구비되어 있는데, 회전축(181)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축걸림면(183)이 구비되어 있고 삽입홈(174d)에는 회전축(181)의 축걸림면(183)에 대응되는 홈걸림면(미부호)이 구비되어 있어서 다이얼 본체(172)의 회전력이 회전축(181)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와이어 풀리(180)는 회전축(181)의 베어링장착부(182)에 결합되는 베어링(185)을 매개로 고정부재(17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부재(176)와는 회전부재(176)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어 풀리(180)의 하단부에는 풀리캡(179)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면(186)이 구비되고 지지면(186)의 하부에는 와이어(108)가 감기는 와이어 장착면(1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108)의 고정단이 풀리캡(179)의 고정홀(179a)로 배치되기 위한 와이어 통로(18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측에는 와이어 풀리(18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와이어(10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재(190)가 구비된다.
와이어 가이드부재(190)는,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측지지부(163)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91a, 191b), 와이어(108)가 고정되며 가이드레일(191a, 191b)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193)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91a, 191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가이드(193)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191a, 191b)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지지부(195)가 구비되어 있어서, 와이어(108)의 감김과 풀림시 이동가이드(193)의 지지부(195)가 가이드레일(191a, 191b)에 지지되며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91a, 191b)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이동가이드(193)의 지지부(195)가 지지되며 멈추는 스토퍼(192a, 192b)가 구비되어 있어서 패널 어셈블리(105)가 평판인 상태와 최대로 벤딩된 상태에서 멈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와이어(108)가 최대로 감겨져서 패널 어셈블리(105)가 최대로 벤딩된 상태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1스토퍼(192a)가 구비되고 와이어(108)가 최대로 풀려서 패널 어셈블리(105)가 평판인 상태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스토퍼(192b)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다이얼(175)을 조작할 때 편의성을 높이게 되어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193)의 하측에는 와이어(108)에 결합된 고정단(108b)이 결합되는 결합홈(196)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동가이드(193)의 이동시 와이어(108)가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 풀리(180)와 이동가이드(193)의 사이에는 결합부재(158a)를 매개로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측지지부(163)에 결합되어 와이어(108)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58)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다이얼(175)을 돌릴때 이동가이드(193)에서 와이어 풀리(180)까지 와이어(108)의 루트를 변경시키면서 와이어(108)를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탠드 베이스(160)의 내부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0)과 연결되는 메인보드와 파워 보드 등이 파워케이블(152)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곡면 디스플레이로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그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곡률을 변경하면서 패널 어셈블리의 슬림화를 도모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디스플레이 패널 103: 커버 버텀
105: 패널 어셈블리 107: 백플레이트
110: 벤딩 플레이트 140a: 제1사이드 브라켓
140b: 제2사이드 브라켓 150: 스탠드 포스트
160: 스탠드 베이스 170: 다이얼 어셈블리
180: 와이어 풀리 190: 와이어 가이드부재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구비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의 후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사이드 브라켓과 제2사이드 브라켓;
    일측단은 상기 제1사이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사이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백플레이트의 후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벤딩 플레이트;
    상단부는 상기 벤딩 플레이트의 중앙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스탠드 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
    상기 스탠드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백플레이트의 곡률을 변경시키는 다이얼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 버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버텀과 백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마그넷이 결합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브라켓과 제2사이드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벤딩 플레이트가 관통되는 브라켓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절개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벤딩 플레이트의 힌지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힌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브라켓 절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플레이트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절개부에는 상기 벤딩 플레이트의 단부와 힌지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된 힌지브라켓이 결합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플레이트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켓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가요성 회로필름이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과 브라켓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벤딩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포스트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어셈블리는,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이얼;
    상기 다이얼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풀리;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내측지지부와 상기 다이얼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러치;
    를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풀리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구비된 고정단이 결합되는 고정홀이 구비된 풀리캡이 구비되어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내측지지부에 고정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은,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파지부재;
    상측에 상기 파지부재와 결합되는 대경부와 원통형상의 실린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대경부와 실린더부의 연결부위 내측에 단턱부가 구비되어 있는 다이얼 본체;
    상기 다이얼 본체의 대경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상측에 지지되는 댐퍼;
    상기 다이얼 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단턱부에 지지되는 확경단부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몸체부 하측 단부에서 연장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내측지지부에 고정되며 상측면에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부재;
    상기 다이얼 및 와이어 풀리와 결합되어 연동되어 회전하며 하측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은 원주방향으로 인접되어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어셈블리는 일단부가 상기 다이얼 본체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풀리에는 상측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축걸림면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축걸림면에 대응되는 홈걸림면이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와이어 풀리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는,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내측지지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
    를 포함하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의 상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의 하측에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 고정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풀리와 이동가이드의 사이에는 상기 스탠드 베이스의 내측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82032A 2020-12-23 2020-12-23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0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32A KR20220090974A (ko) 2020-12-23 2020-12-23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7/492,345 US11659672B2 (en) 2020-12-23 2021-10-01 Curvature variable display device
CN202111193035.8A CN114664182B (zh) 2020-12-23 2021-10-13 曲率可变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32A KR20220090974A (ko) 2020-12-23 2020-12-23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74A true KR20220090974A (ko) 2022-06-30

Family

ID=8202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32A KR20220090974A (ko) 2020-12-23 2020-12-23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59672B2 (ko)
KR (1) KR20220090974A (ko)
CN (1) CN1146641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0973B (zh) * 2021-08-11 2023-07-2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变形显示装置及其变形控制方法
KR20230122929A (ko) * 2022-02-15 202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0190A2 (en) * 2003-08-11 2005-03-03 Virtualblue, Llc Rec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US7883069B2 (en) * 2008-05-08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KR2011005533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EP2912650B1 (en) * 2012-10-25 2018-12-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140061803A (ko) * 2012-11-14 201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KR101986796B1 (ko) * 2013-01-14 2019-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40139950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12982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8339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03514817B (zh) * 2013-10-25 2016-03-23 刘延平 可自动折叠的led显示屏及其使用方法
KR102265333B1 (ko) * 2013-11-28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727080B2 (en) * 2014-01-03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219510B1 (ko) * 2014-02-04 2021-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곡률가변장치
WO2015160099A1 (en) * 2014-04-15 2015-10-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EP2940552B1 (en) * 2014-04-29 2020-04-22 LG Display Co., Ltd. Adjustable display device
KR102273718B1 (ko) * 2014-04-29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CN105335094B (zh) * 2014-06-11 2018-08-2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线控式支架组件
KR20160016333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016334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2183002B1 (ko) * 2014-09-02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160999B (zh) * 2015-10-12 2016-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的承载装置及显示设备
KR101760262B1 (ko) * 2015-11-04 2017-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83559B1 (ko) * 2015-12-28 2023-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598B1 (ko) * 2016-08-31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7226B1 (ko) * 2016-11-24 2017-07-17 황창순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KR102391216B1 (ko) * 2017-10-30 2022-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7693B1 (ko) * 2018-04-13 2019-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 시스템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08593A (ko) * 2020-07-14 2022-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59672B2 (en) 2023-05-23
CN114664182B (zh) 2024-05-03
US20220201883A1 (en) 2022-06-23
CN114664182A (zh)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0974A (ko)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1315443B2 (en) Display device
KR101776262B1 (ko) 접철식 기기
US8201791B2 (en) Support stand
US8033513B2 (en) Display device
KR20130073331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US11624400B2 (en) Foldable device
US1141603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JP729176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7810776B2 (en) Adjustable mechanism
US11443660B2 (en) Display device
JP722442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駆動装置
KR20080077467A (ko) 이중 모니터
EP3282341B1 (en) Foldable device
CN112991957A (zh) 一种折叠屏及显示设备
US9554478B2 (en) Frame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09187059A5 (ko)
KR20220090966A (ko)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05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300659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09437A1 (en) Display device
KR10231772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30124131A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1823596B2 (en) Display device
US20220346250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