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216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216B1
KR102391216B1 KR1020170142429A KR20170142429A KR102391216B1 KR 102391216 B1 KR102391216 B1 KR 102391216B1 KR 1020170142429 A KR1020170142429 A KR 1020170142429A KR 20170142429 A KR20170142429 A KR 20170142429A KR 102391216 B1 KR102391216 B1 KR 10239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ire
display panel
main body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990A (ko
Inventor
엄현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216B1/ko
Priority to US16/173,371 priority patent/US10429683B2/en
Publication of KR2019004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2Switchable arrangements whereby the element being usually not switchabl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되는 인너플레이트와 백 커버에 간단한 구조의 곡률조정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상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의 곡률조정부재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고 제조장치나 공정등에 큰 제한없이 평판형 패널과 백 커버등을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곡률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단점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품의 구조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곡률이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수용하는 외장케이스(120), 외장케이스(120)의 하단부나 후면부에 연결되어 책상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대(1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장착되는 곡률변경장치(140)에 의해 평면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즉, 복수개의 모터(160)와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관절플레이트(150)가 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꺾임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률을 변경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률 변경장치인 각각의 관절플레이트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결합시켜야 하는 구조이어서, 부품수가 늘어나고 작업 공정이 늘어나며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의 작동에 의해 곡률이 변경되는 구조이어서 작동 소음이 크고 소비 전력이 증대될 뿐만아니라 모터의 고장시 외장케이스를 분리하고 수리해야만 하는 구조이어서 소비자에게 불만이 많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곡률을 반영하면서도 제조장치나 공정등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곡률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의 곡률조정부재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고 제조장치나 공정등에 큰 제한없이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곡률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 공차, 사용중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팽창으로 인해 전면이 오목한 컵형상의 곡면으로 변형된 경우에 이를 다시 평판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상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되는 인너플레이트와 백 커버에 간단한 구조의 곡률조정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상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곡률조정부재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고 제조장치나 공정등에 큰 제한없이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곡률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 공차, 사용중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팽창으로 인해 전면이 오목한 컵형상의 곡면으로 변형된 경우에 이를 다시 평판형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상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이 지지되는 인너플레이트(203), 내측에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인너플레이트(203)가 내장되도록 인너플레이트(203)의 후면에 구비되는 백 커버(205), 인너플레이트(203)의 코너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211)와 백 커버(205)의 중앙부위에 결합되어 와이어 고정부재(211)와 연결된 와이어(230)의 장력을 조정하는 와이어 감김부재(220)가 구비되어 있는 곡률조정부재(211, 220, 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지지되는 인너플레이트(203)와 백 커버(205)에 간단한 구조의 곡률조정부재(211, 220, 23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곡률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제작 공차나, 사용중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열팽창으로 인해 전면이 오목한 컵(Cup)형상의 곡면으로 변형된 경우에 이를 다시 평판형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상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형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무관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곡률 조정 구현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전면이 평면형인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이 오목한 컵(Cup)형상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 이를 평판형으로의 곡률 조정을 구현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 201c)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 201b)가 구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는 편광필름(201a)이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201b)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201b)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의 후면에는 IC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인쇄회로기판에 레진 등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동을 위한 구동 IC 등이 실장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은 인너플레이트(203)에 의해 백 커버(205)와 결합되며 인너플레이트(203)와 백 커버(205)의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접착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백 커버(205)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 스틸, 전기아연도금강판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인너플레이트(203)를 소정의 곡률로 벤딩시키는 힘을 변형없이 지탱할 수 있는 한 전술한 재질 이외의 재질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너플레이트(203)와 백 커버(205)에 구비되는 곡률조정부재(211, 220, 230)는, 와이어 고정부재(211)와 와이어 감김부재(220)가 와이어(230)로 연결되어 와이어(230)의 장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인너플레이트(203)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와이어 고정부재(211)는 인너플레이트(203)의 코너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결합되고, 와이어 감김부재(220)는 인너플레이트(203)의 후면에 구비되는 백 커버(205)의 중앙부위에 결합되어, 와이어 고정부재(211)와 연결된 와이어(230)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인너플레이트(203)의 곡률이 조정된다.
와이어 고정부재(2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와이어(230)가 결합되는 소경부(211a)가 구비되고 소경부(211a)의 축방향 양측에 직경이 확대된 대경부(211b)가 구비되어 있어서 와이어(230)의 당김시 와이어(230)가 대경부(211b)에 지지되며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와이어(230)는 스프링강이나 강철,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고정부재(211)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고리(231) 형상을 구비하며 풀림을 방지하는 연결체(233)로 고리의 끝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인너플레이트(203)의 후면에는 와이어 고정부재(211)의 대경부(211b)가 압입 또는 나사결합되는 고정홀(203a)이 구비되어 있어서 와이어 감김부재(220)에 의해 와이어(230)의 장력이 증대되어도 안정적으로 인너플레이트(203)에 고정되어 인너플레이트(203)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와이어 감김부재(220)는 크게 원통형의 본체(221), 와이어(230)가 감기며 회전하는 회전부재(223), 회전부재(223)와 같이 회전하는 지지부재(225) 등이 구비되며, 백 커버(205)의 중앙부위에 결합되어 인너플레이트(203)의 코너부위에 결합된 와이어 고정부재(211)와 와이어(230)로 연결된다.
와이어 감김부재(220)의 본체(2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백 커버(205)의 후면에 고정되고 회전부재(223)가 본체(221)에 관통되는데, 회전부재(223)의 일측단은 백 커버(205)의 내측에 위치되어 와이어(230)가 감기는 감김부(223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고정부재(211)에 연결된 와이어(230)가 인너플레이트(203)의 후면과 백 커버(205)의 전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감김부(223a)에 연결되며 회전부재(223)의 일방향 회전시 감기면서 장력을 증대시켜 와이어 고정부재(211)가 결합된 인너플레이트(203)의 코너부위를 백 커버(205)쪽으로 당겨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25)는 회전부재(223)의 타측단이 관통되어 회전부재(223)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며 본체(221)의 상측면에 지지되고, 회전부재(223)의 타측단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홀(224b)을 관통하며 결합되는 고정부재(227)가 지지부재(225)의 상측면에 지지되어 지지부재(225)의 이탈과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곡률 조정이 필요하면 고정부재(227)를 회전부재(223)의 고정홀(224b)에서 분리시켜 회전부재(223)를 회전시켜 와이어(230)의 장력을 조정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고정부재(227)를 회전부재(223)의 고정홀(224b)에 삽입시켜 지지부재(225)가 본체(221)의 상측면에 지지되며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감김부재(220)에는 지지부재(225)와 본체(221)의 지지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지지부재(225)를 본체(221)쪽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229)는 본체(22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데, 탄성부재(229)의 일측단(229a)은 본체(221)의 내주면에서 경방향으로 확장되며 형성된 걸림홈(221c)에 지지되고, 탄성부재(229)의 타측단(229b)은 회전부재(223)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홀(224a)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서, 조립시 소정의 길이만큼 인장된 상태에서 지지부재(225)를 본체(221)쪽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부재(229)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225)는 고정부재(227)의 지지력에 탄성력이 더해져서 본체(221)의 상측면과 지지되는 힘이 커지게 된다.
또한, 본체(221)의 외주측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백 커버(205)의 후면에 지지되는 체결부(222)가 구비되어 있어서 백 커버(205)와 체결부재(208)로 고정되며, 백 커버(205)에는 체결부재(208)가 결합되는 체결홀(205a)과 회전부재(223)의 감김부(223a)가 삽입되는 삽입홀(205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감김부재(220)는 감김부(223a)가 백 커버(205)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면서 백 커버(205)의 후면에 본체(221)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회전부재(223)는 지지부재(225)에 관통되는 실린더부(224)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부(226)가 구비되어 있어서 지지부재(225)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전부재(223)의 회전시 지지부재(225)와의 슬립이 방지된다.
여기서 슬립방지부(226)는 실린더부(224)의 외주면이 평면으로 된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실린더부(224)의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지지부재(225)의 내주면(212)에 돌기와 맞물림되는 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실린더부(224)가 지지부재(225)와 슬립이 일어나지 않는 한 그 어떠한 슬립방지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부재(223)의 감김부(223a)에는 실린더부(224)의 외주면에서 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축방향으로 이격된 확장플랜지(223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플랜지(223b)로 인해 감김부(223a)에 연결된 와이어(23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체(221)의 상측면과 지지부재(225)의 하측면에는 서로 맞물림되는 결합치(228, 226)가 구비되어 있어서 와이어(230) 장력 조정이 끝난 상태에서 회전부재(223)와 지지부재(225)가 회전되면서 와이어(23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230)가 감기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와이어(230)가 풀리는 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치(228, 226)는 와이어 감김부재(22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축방향과 수직면끼리 지지되는 제1치면(226a, 228a)과, 제1치면(226a, 228a)의 일측 끝단(226c)에서 원주방향의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인접된 제1치면(226a, 228a)의 타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2치면(226b, 228b)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7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와이어(230)가 감기는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부재(223)와 같이 회전하는 지지부재(2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225)의 제1치면(226a)의 가장 돌출된 끝단부(226c)가 본체(221)의 제2치면(228b)의 경사면을 따라서 인접된 제1치면(226a)과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25)의 제1치면(226a)의 가장 돌출된 끝단부(226c)가 본체(221)의 제2치면(228b)의 경사면을 따라서 올라가면, 지지부재(225)와 본체(221)는 축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때 탄성부재(229)는 지지부재(225)와 본체(221)가 축방향으로 벌어진만큼 인장되어 탄성복원력이 발생되고, 본체(221)의 제2치면(228b)의 경사면을 넘어 인접된 본체(221)의 제1치면(226a)과 결합되면서 탄성부재(22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부재(225)와 본체(221)가 다시 맞물림 상태로 돌아온다.
이렇게 지지부재(225)와 본체(221)가 맞물림 상태로 돌아오면 와이어(230)의 장력으로 인해 지지부재(225)와 회전부재(223)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되지만 지지부재(225)의 제1치면(226a)과 본체(221)의 제1치면(228a)이 이 힘과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서, 지지부재(225)와 회전부재(223)의 회전복귀가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곡률조정이 필요한 경우 원하는 곡률이 확보될 때 까지 회전부재(2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225)가 본체(221)의 상측면에서 이격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곡률이 조정되고, 조정이 완료되면 지지부재(225)가 본체(221)의 상측면에 지지되면서 멈추게 된다.
또한, 감김부(223a)의 외주면에는 와이어(230)를 고정시키는 핀(214)이 결합되는 핀결합홀(223c)이 구비되어 와이어(230)의 고정시 와이어(230)가 이탈되지 않고 감김부(223a)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재(211)와 와이어 감김부재(22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0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와이어 감김부재를 두개의 와이어 고정부재와 와이어로 연결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일례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모듈이, 광원모듈, 광원모듈에서 방사된 광을 가공하여 액정패널에 적절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광조절부재 및 광반사체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광원모듈은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하는 부품이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셈블리, 냉음극 형광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열음극 형광관(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곡률조정부재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고 제조장치나 공정등에 큰 제한없이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곡률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 공차, 사용중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팽창으로 인해 전면이 오목한 컵형상의 곡면으로 변형된 경우에 이를 다시 평판형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상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3: 인너플레이트
205: 백 커버 211: 와이어 고정부재
220: 와이어 감김부재 221: 본체
223: 회전부재 225: 지지부재
230: 와이어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이 지지되는 인너플레이트;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너플레이트가 내장되도록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후면에 구비되는 백 커버;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코너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와 상기 백 커버의 중앙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와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와이어 감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곡률조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감김부재는,
    상기 백 커버의 후면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에 관통되며 상기 백 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단에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에 연결된 와이어가 감기는 감김부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단이 관통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단 외주면을 관통하며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이탈과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소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소경부의 양측에 직경이 확대된 대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의 대경부가 압입 또는 나사결합되는 고정홀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일측단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경방향으로 확장된 걸림홈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본체쪽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측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백 커버의 후면에 지지되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백 커버과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되는 실린더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맞물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감김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주면에서 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축방향으로 이격된 확장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면에는 서로 맞물림되는 결합치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치는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축방향과 수직면끼리 지지되는 제1치면과, 상기 제1치면의 일측 끝단에서 원주방향의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인접된 제1치면의 타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2치면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42429A 2017-10-30 2017-10-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29A KR102391216B1 (ko) 2017-10-30 2017-10-30 디스플레이 장치
US16/173,371 US10429683B2 (en) 2017-10-30 2018-10-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29A KR102391216B1 (ko) 2017-10-30 2017-10-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990A KR20190047990A (ko) 2019-05-09
KR102391216B1 true KR102391216B1 (ko) 2022-04-27

Family

ID=6624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29A KR102391216B1 (ko) 2017-10-30 2017-10-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29683B2 (ko)
KR (1) KR102391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1574B (zh) * 2019-08-13 2023-08-1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调整机构
KR20220090974A (ko) * 2020-12-23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6162A1 (en) * 2012-07-31 2014-02-06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12982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81112B1 (ko) * 2013-07-31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곡률 제어 방법
KR102374643B1 (ko) * 2015-01-28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990A (ko) 2019-05-09
US10429683B2 (en) 2019-10-01
US20190129234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09998B (zh) 柔性显示装置
US10856426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369318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4397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4129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JP517364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CN106200060B (zh) 液晶显示装置
JP667611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026866A (ja) 表示装置
KR101329280B1 (ko) 표시 장치
KR1025451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131827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80107062A1 (en) Backlight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3912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823509B2 (en) Display device
CN107272253B (zh) 显示装置
KR2008005073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23151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5534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71327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77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101090A (ja) 表示装置
KR202100675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5105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