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515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515B1
KR102231515B1 KR1020140012637A KR20140012637A KR102231515B1 KR 102231515 B1 KR102231515 B1 KR 102231515B1 KR 1020140012637 A KR1020140012637 A KR 1020140012637A KR 20140012637 A KR20140012637 A KR 20140012637A KR 102231515 B1 KR102231515 B1 KR 10223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rystal display
light sourc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426A (ko
Inventor
최윤석
권순경
이효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515B1/ko
Priority to US14/450,058 priority patent/US9354464B2/en
Publication of KR2015009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수납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수납 용기를 결합하고, 중공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양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갖는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 내의 표시 패널이 휘었을 경우, 상기 접착 부재가 표시 패널의 완충 역할을 하여 표시 패널의 빛샘 현상을 방지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샘 현상을 개선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소형, 경량화 되면서 성능은 더욱 뛰어난 디스플레이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기존 브라운관 텔레비전(cathode ray tube: CRT)이 성능이나 가격 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널리 사용되었으나, 소형화 또는 휴대성의 측면에서 CRT의 단점을 극복하고,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 등의 장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배면의 발광을 위한 광원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원 모듈의 결합을 위하여 접착 부재가 사용된다.
그러나, 표시 패널의 두께가 얇아지는 기술 및 표시 패널이 휘어지는 기술이 발전되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원 모듈을 결합하는 접착 부재의 접착력이 약해져 표시 패널의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의 빛샘 현상을 개선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수납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수납 용기를 결합하고, 중공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양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갖는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와 인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mm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원 모듈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돌출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커버하는 보호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윈도우는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원 모듈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수용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된 반사시트 및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주변 영역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중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중공을 갖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이 휘었을 경우, 상기 접착 부재가 표시 패널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여 표시 패널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착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접착 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액정 표시 모듈(10) 및 보호 윈도우(2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모듈(10)은 영상을 표시하고, 수납 용기(100), 광원 모듈(200) 및 표시 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100)는 평면도 상에서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원 모듈(200) 및 상기 표시 패널(300)을 수용한다. 상기 수납 용기(100)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 용기(100)는 상기 광원 모듈(200)을 둘러싸는 형상의 몰드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수납 용기(100)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230)을 수납하기 위한 광원 수납부(111), 홈(113), 돌출부(115) 및 지지부(117)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수납부(111)는 수납 용기(100)의 하부에 해당하며, 상기 광원 모듈(200)을 수용한다.
상기 홈(113)은 상기 돌출부(115)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홈(113)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홈(113)의 바닥면에 접착 부재(DST1)의 일면이 결합되어 상기 접착 부재(DST1)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홈(113)은 상기 표시 패널(300)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115)는 상기 광원 수납부(111)와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5)는 상기 광원 수납부(1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117)와 단차를 이룬다. 상기 표시 패널(300)은 상기 돌출부(115) 위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117)는 상기 돌출부(115)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 모듈(200) 및 상기 표시 패널(300)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 수납부(111), 홈(113), 돌출부(115) 및 지지부(117)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 모듈(200) 및 상기 표시 패널(300)의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 모듈(200)은 상기 수납 용기(100)의 상기 돌출부(115)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 모듈(200)은 광을 발생시켜 상기 표시 패널(300)로 상기 광을 출사한다. 상기 광원 모듈(200)은 반사시트(210), 도광판(220), 광원(230) 및 광학시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210)는 상기 도광판(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23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판(220)은 상기 반사시트(2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220)은 광원(23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수용한다. 상기 도광판(220)은 상기 광을 수평한 방향을 따라 인도하여 상기 광학 시트(240)를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도광판(220)은 상기 광원(230)으로부터 발생한 점광원 형태의 광 분포를 갖는 광을 면광원 형태의 광 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도광판(220)은 광원(230)와 인접한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일 측과 대향하는 타측까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 도광판일 수 있다. 또한, 도광판(220)은 쐐기형 도광판일 수 있다. 즉, 도광판(220)은 광원(230) 와 인접한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비교적 낮은 휘도 균일성을 갖는다. 따라서, 광원 모듈(200)이 도광판(220)만을 포함할 경우, 광원 모듈(200)은 고품질 디스플레이를 위한 광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광학 시트(240)는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확산 시트, 시야각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 휘도 및 광 시야각을 증가시키는 휘도 강화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230)은 상기 도광판(220)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상기 광원(230)은 연성인쇄회로기판(23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231)은 상기 돌출부(115)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231)은 상기 광원(230)에 광을 발생하기 위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광학시트(240)는 상기 도광판(220) 상에 배치되며,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표시 패널(300)은 상기 수납 용기(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3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픽셀 단위로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표시 패널(300)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 컬러필터 기판, TFT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및 상기 TFT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편광필터들을 포함한다.
TFT 기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 전극, 각각의 상기 화소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TFT,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은 상기 TFT 기판에 형성된 상기 화소 전극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300) 위에 드라이버IC(310)가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300)과 연결기판(320)을 연결하여 외부의 인터페이스와 연결한다.
상기 보호윈도우(20)는 상기 액정모듈(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보호윈도우(20)는 상기 표시 패널(300)의 표시면을 커버한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드라이버IC(310)를 보호한다. 상기 보호윈도우(20)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유리 또는 강화 유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수납 용기(100)의 상기 지지부(117)와 결합된다. 상기 표시 패널(300)과 상기 보호윈도우(20)는 점착제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점착제는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을 결합하는 접착 부재(DST1)가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 부재(DST1)는 상기 표시 패널(300)과 상기 수납 용기(100) 사이의 상기 홈(113)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 부재(DST1)는 상기 표시 패널(30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접착 부재(DST1)는 상기 광원 모듈(200) 및 상기 표시 패널(3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DST1)는 합성 고무류,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로 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 부재(DST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부재(DST1)는 중공(M1)을 포함하는 베이스층(R1) 및 상기 베이스층(R1)의 양 표면에 배치된 접착층(1)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1)의 일면은 상기 홈(113)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1)의 타면은 상기 표시 패널(300)의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층(1)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1)은 부틸계 아크릴레이트, 에틸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ensoyl Peroxide(BPO)가 사용되고 용제로서는 에틸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R1)은 단독으로 접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상기 표시 패널(300)과 상기 광원 모듈(200)의 접착력을 유지하고 상기 접착층(1)을 지지한다.
상기 중공(M1)과 상기 접착층(1) 사이의 간격, 즉, 베이스층(R1)의 높이(H1)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상기 중공(M1)의 크기 및 형상은 외부 힘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300)이 휘어진 강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외부의 구동 회로로부터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부재(DST1)는 상기 주변 영역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3의 접착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를 결합하는 접착 부재(DST2)가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 부재(DST2)는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의 가장자리 영역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DST2)는 합성 고무류,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 부재(DST2)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부재(DST2)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중공(M2)을 포함하는 베이스층(R2) 및 상기 베이스층(R2)의 양 표면에 배치된 접착층(2)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2)의 일면은 상기 홈(113)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2)의 타면은 상기 표시 패널(300)의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층(2)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2)은 부틸계 아크릴레이트, 에틸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ensoyl Peroxide(BPO)가 사용되고 용제로서는 에틸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R2)은 단독으로 접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상기 표시 패널(300)과 상기 광원 모듈(200)의 접착력을 유지하고 상기 접착층(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공(M2)과 상기 접착층(2) 사이의 간격, 즉, 베이스층(R2)의 높이(H2)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상기 중공(M2)의 크기 및 형상은 외부 힘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300)이 휘어진 강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접착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를 결합하는 접착 부재(DST3)가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 부재(DST3)는 상기 표시 패널(300) 및 상기 광원 모듈(200)의 가장자리 영역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DST3)는 합성 고무류,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 부재(DST3)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부재(DST3)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중공(M3)을 포함하는 베이스층(R3) 및 상기 베이스층(R3)의 양 표면에 배치된 접착층(3)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3)의 일면은 상기 홈(113)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3)의 타면은 상기 표시 패널(300)의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층(3)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3)은 부틸계 아크릴레이트, 에틸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ensoyl Peroxide(BPO)가 사용되고 용제로서는 에틸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R3)은 단독으로 접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상기 표시 패널(300)과 상기 광원 모듈(200)의 접착력을 유지하고 상기 접착층(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공(M3)과 상기 접착층(3) 사이의 간격, 즉, 베이스층(R3)의 높이(H2)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상기 중공(M3)의 크기 및 형상은 외부 힘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300)이 휘어진 강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외부의 구동 회로로부터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부재(DST2)는 상기 주변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300)이 외부 힘에 의해 충격을 받아 휘어진 경우에, 상기 접착 부재(DST1)는 상기 접착 부재(DST1)가 연장된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평면에서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300)이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에서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로 변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300)이 볼록하게 휘어진 변곡점의 상기 표시 패널(300)의 표면에 결합된 상기 접착 부재(DST1)가 탄성력이 향상 되어 늘어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300)이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에서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로 변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300)이 오목하게 휘어진 변곡점의 상기 표시 패널(300)의 표면에 결합된 상기 접착 부재(DST1)가 탄성을 갖게 되어 상기 표시 패널(300)이 휘어지기 전의 상기 접착 부재(DST)에 비해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 부재(DST1, DST2)는 탄성력을 갖게 되어 상기 표시 패널(300)의 충격을 완화시켜 상기 표시 패널(300)의 빛샘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1000)의 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는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 발광소자 표시장치, 회로 기판, 반도체 장치 등의 표시 장치 및 전자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1000: 액정 표시 장치 10: 액정 표시 모듈
20: 보호윈도우 100: 수납 용기
111: 광원 수납부 113: 홈
115: 돌출부 117: 지지부
200: 광원 모듈 210: 반사 시트
220: 도광판 230: 광원
231: 연성인쇄회로기판 240: 광학 시트
300: 표시 패널 310: 드라이버IC
320: 연결 기판 DST1, DST2, DST3: 접착 부재
M1, M2, M3: 중공 R1, R2, R3: 베이스층
1, 2, 3: 접착층

Claims (15)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수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수납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수납 용기를 결합하고, 중공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양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갖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은 상기 접착층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와 인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원 모듈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돌출부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커버하는 보호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윈도우는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에스터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수용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하부에 배치된 반사시트; 및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원 모듈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주변 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중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중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40012637A 2014-02-04 2014-02-04 액정 표시 장치 KR10223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37A KR102231515B1 (ko) 2014-02-04 2014-02-04 액정 표시 장치
US14/450,058 US9354464B2 (en) 2014-02-04 2014-08-01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light leakage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37A KR102231515B1 (ko) 2014-02-04 2014-02-04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26A KR20150092426A (ko) 2015-08-13
KR102231515B1 true KR102231515B1 (ko) 2021-03-25

Family

ID=5375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637A KR102231515B1 (ko) 2014-02-04 2014-02-04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54464B2 (ko)
KR (1) KR102231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0120A (zh) * 2014-12-11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缓冲结构及显示装置
CN104749809A (zh) * 2015-04-03 2015-07-0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
KR102581708B1 (ko) * 2016-01-08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661609A (zh) * 2016-09-05 2019-04-19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及显示装置
CN111580297A (zh) * 2020-06-30 2020-08-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模组的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2911A1 (en) 2006-03-23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181731A1 (en) 2013-12-23 2015-06-25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649A (en) 1975-06-30 1977-12-27 Lake Center Industries Pressure sensitive matrix switch having apertured spacer with flexible double sided adhesive intermediate and channels optionally interposed between apertures
JP3284262B2 (ja) * 1996-09-05 2002-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11212483A (ja) 1998-01-27 1999-08-06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30024015A (ko) 2001-09-15 2003-03-26 안철승 교량및구조물의 다중세포고무판 삽입형 신축이음형성 방법
JP3776826B2 (ja) 2002-04-24 2006-05-17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9001628A (ja) 2007-06-20 2009-01-08 Hitachi Chem Co Ltd 異方導電接着剤
JP5508880B2 (ja) 2010-02-01 2014-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68403B1 (ko) 2010-07-02 2012-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05655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표시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2911A1 (en) 2006-03-23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181731A1 (en) 2013-12-23 2015-06-25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19941A1 (en) 2015-08-06
US9354464B2 (en) 2016-05-31
KR20150092426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4344B2 (en) Display device
US8792252B2 (en) Display apparatus
CN106886099B (zh) 显示装置
US101265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23668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3151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70293176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933557B2 (en) Backlight modules and liquid crystal devices (LCDS)
JP533143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5766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45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71327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904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427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5105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6829B1 (ko) 표시 장치
US10429566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60084558A (ko) 평판표시패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1677996B1 (ko) 액정표시장치
TWI668499B (zh) 光源模組、背光單元及包含該背光單元的液晶顯示裝置
KR20060081588A (ko) 접착력을 향상시킨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평판표시장치
KR1024664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5880A (ko)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5447B1 (ko) 고정테이프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18646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