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97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979A
KR20130065979A KR1020110132611A KR20110132611A KR20130065979A KR 20130065979 A KR20130065979 A KR 20130065979A KR 1020110132611 A KR1020110132611 A KR 1020110132611A KR 20110132611 A KR20110132611 A KR 20110132611A KR 20130065979 A KR20130065979 A KR 2013006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main body
hinge bracket
rear cove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979A/ko
Publication of KR2013006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슬림하고 컴팩트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슬림하고 컴팩트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라운관 방식, 즉 CRT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는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책상과 같은 설치면 상에 별도의 스탠드를 매개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CRT 방식에서 벗어나 LCD나 PDP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환되면서 그 두께가 혁신적으로 줄어들고, 이에 따라 전체 무게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걸이 방식이나 스탠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결합시키고, 그 설치용 브라켓에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와는 다르게,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탠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스탠드를 장착하여 설치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디스플레이 본체의 두께 또한 줄어들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의 크기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플립(Flip)형 스탠드의 경우 탄성부재의 두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증가로 인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책상 등의 사무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무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림하고 컴팩트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에 장착되며 관통홀을 갖는 후면 커버 및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과 일부 영역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이 후면 커버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나머지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나머지 영역이 일부 영역에 대하여 힌지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일부 영역에 제1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여 힌지 브라켓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체결부재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일부 영역이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에 고정된 체결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는 샤프트를 통해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샤프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는 일부 영역이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의 일부 영역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는 복수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제1 마그네트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세스의 깊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에는 제2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금속 재질의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에 장착되며 관통홀과 리세스를 갖는 후면 커버 및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과 일부 영역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이 후면 커버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나머지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각도로 펼침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접힘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세스의 깊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제1 마그네트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후면 커버의 리세스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에는 제2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금속 재질의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림하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면 커버(110)와 상기 전면 커버(110)에 장착되며 관통홀(122)을 갖는 후면 커버(120) 및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0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포함하는 본체(10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0)의 배면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150)과 일부 영역이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이 후면 커버(120)의 관통홀(122)을 통과하는 탄성부재(160) 및 상기 탄성부재(160)의 나머지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110)와 상기 전면 커버(120)에 장착되는 후면 커버(1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110)와 상기 후면 커버(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배치되고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01)는 상기 전면 커버(110)와 상기 후면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커버(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 VFD), 전계 방출 영상표시(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의 발광형 또는 수광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 등의 다양한 종류의 영상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면(W, 도 1참조)에 소정의 각도로 지지되는 경우 상기 본체(101)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상기 후면 커버(120)의 배면 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101)에 접히거나(이하, 접힘 상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1)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펼쳐질 수 있다(이하, 펼침 상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상기 본체(101)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탠드의 기능을 수행하며, 본체(101)에 비하여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므로 플립(Flip)형 스탠드라 지칭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플립형 힌지 스탠드라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스프링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직경 만큼 본체(101)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다만, 판 스프링(160)은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지 플레이트(200)의 회전 및 복원 시 안정된 동작을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6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판 스프링(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탄성부재(160)는 한 쌍의 판 스프링(160)일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160)은 일부 영역(161)이 힌지 브라켓(150)에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162)이 후면 커버(120)의 관통홀(122)을 통과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2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160)은 일부 영역(161)에 형성된 제1 관통홀(160a)과 나머지 영역(162)에 형성된 제2 관통홀(160b)을 갖는다.
이때,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제1 관통홀(160a)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고정되는 체결부재(S1)를 통해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장착되며, 제2 관통홀(160b)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체결부재(S2)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관통홀(160a)은 상기 체결부재(S1)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제1 관통홀(160a)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160)은 일부 영역(161)이 지지 플레이트(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고정된 체결부재(S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160)의 나머지 영역(162)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힌지 브라켓(15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상기 판 스프링(16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회전한 각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힌지 브라켓(15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5는 지지 플레이트(200)가 접힘 상태에서 제1 관통홀(160a)과 체결부재(S1)를 나타내고, 도 7은 지지 플레이트(200)가 펼침 상태에서 제1 관통홀(160a)과 체결부재(S1)를 나타내면, 지지 플레이트(200)가 힌지 브라켓(1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160)의 일부 영역(161)이 체결부재(15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200)의 접힘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S1)는 제1 관통홀(160a)의 상단에 위치되고, 지지 플레이트(200)의 펼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S1)는 제1 관통홀(160a)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160a)은 상기 체결부재(S1)의 직경보다 더 큰 장방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판스프링(160)의 일부 영역(161)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S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관통홀(160a)의 장축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의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관통홀(160a)은 판스프링(16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필요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160)은 나머지 영역(162)이 일부 영역(161에 대하여 힌지 브라켓(1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R1)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160)의 나머지 영역(162)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상기 본체(101)에 접힘 상태에서 힌지 브라켓(150)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R)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상기 본체(101)에 펼침 상태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1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R2)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지 플레이트(200)를 펼침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를 상기 본체(101)로부터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160)은 나머지 영역(162)이 일부 영역(161에 대하여 힌지 브라켓(1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R1)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접힘 상태(R)에서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R1)까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샤프트(170)를 통해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판스프링(160)은 상기 샤프트(170) 및 상기 힌지 브라켓(15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판스프링(160)의 일부 영역(161)과 나머지 영역(162)의 경계 영역이 상기 샤프트(170) 및 상기 힌지 브라켓(15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는 상기 샤프트(1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201)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201)는 일부영역(202)이 상기 판스프링(160)과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201)의 일부영역(20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51은 샤프트(17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마련된 장착부(151)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상기 본체(101)에 접힘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10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는 제1 마그네트(181)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181)에 대응되는 금속부재(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는 금속부재가 마련되거나,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일부 영역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금속부재 또는 금속재질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마그네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상기 본체(101)를 설치면(W)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포장 및 운송 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피를 줄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또 다른 방식으로 설치면(도 9참조)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상기 본체(101)에 접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10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면 커버(120)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상기 본체(101)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1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세스(121)의 깊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슬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 제1 마그네트(181)가 장착될 경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 마그네트(181)가 수용되도록 상기 리세스(121)에는 홈부 또는 개방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상기 리세스(121)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181)는 상기 홈부 또는 개방부(123) 내부에 수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 제1 마그네트(181)가 장착될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181)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는 장착홈(미부호, 도 8참조)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무 공간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접힘 상태에서 설치 공간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면 커버(120)에는 제2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12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상기 본체(101)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101)를 금속 재질의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림하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일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면 커버(110)와 상기 전면 커버(110)에 장착되며 관통홀(122)과 리세스(121)를 갖는 후면 커버(120) 및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포함하는 본체(10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0)의 배면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150)과 일부 영역이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이 후면 커버(120)의 관통홀(122)을 통과하는 탄성부재(160) 및 상기 탄성부재(160)의 나머지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상기 본체(101)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121)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각도로 펼침 상태에서 상기 본체(101)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접힘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10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12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세스(121)의 깊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는 제1 마그네트(181)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181)에 대응되는 금속부재(180)가 마련되며, 상기 후면 커버(120)의 리세스(122)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181)가 삽입되는 홈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60)는 판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후면 커버(120)에는 제2 마그네트(190)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19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101)를 금속 재질의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1: 디스플레이 본체
110: 전면 커버 120: 후면 커버
130: 중간 커버 140: 디스플레이 모듈
150: 힌지 브라켓 160: 탄성부재
170: 샤프트 180: 금속부재
181: 제1 마그네트 190: 제2 마그네트
200: 지지 플레이트

Claims (19)

  1.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에 장착되며 관통홀을 갖는 후면 커버 및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
    일부 영역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이 후면 커버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나머지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나머지 영역이 일부 영역에 대하여 힌지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일부 영역에 제1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여 힌지 브라켓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체결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일부 영역이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힌지 브라켓에 고정된 체결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는 샤프트를 통해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샤프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는 일부 영역이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일부 영역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는 복수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제1 마그네트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세스의 깊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는 제2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금속 재질의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에 장착되며 관통홀과 리세스를 갖는 후면 커버 및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
    일부 영역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고, 나머지 영역이 후면 커버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나머지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에 접힘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각도로 펼침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접힘 상태에서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세스의 깊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제1 마그네트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후면 커버의 리세스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는 제2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금속 재질의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32611A 2011-12-12 2011-12-12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5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11A KR20130065979A (ko) 2011-12-12 2011-12-12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11A KR20130065979A (ko) 2011-12-12 2011-12-1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979A true KR20130065979A (ko) 2013-06-20

Family

ID=4886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11A KR20130065979A (ko) 2011-12-12 2011-12-1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9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54A1 (ko) * 2013-06-26 201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WO2019107701A1 (ko) * 2017-12-01 2019-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41209A1 (en) * 2020-01-06 2021-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54A1 (ko) * 2013-06-26 201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US9860997B2 (en) 2013-06-26 2018-01-0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WO2019107701A1 (ko) * 2017-12-01 2019-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93966B2 (en) 2017-12-01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structure
WO2021141209A1 (en) * 2020-01-06 2021-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96124B2 (en) 2020-01-06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766B (zh) 显示装置
US11350536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a display mode of a display assembly
US7195214B2 (en) Stand for display
US7733645B2 (en) Thin display structure
JP4843721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電子機器、および揺動支持機構
EP3343047B1 (en) Display device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KR20120073618A (ko) 액정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76770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11443660B2 (en) Display device
JP2012004983A (ja) 電子機器
KR20110070019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어셈블리
KR201300659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077623A1 (en) Display device
CN109979315B (zh) 显示装置
US11395548B2 (en) Wall moun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159531A (ja) 電子機器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JP2007074569A (ja) スタンド付電子機器
KR2023008889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5197822B2 (ja) 電子機器
KR100662327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스탠드
KR101684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8471060U (zh) 医用显示装置
KR100617100B1 (ko) 영상기기 및 영상기기의 스탠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