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030B1 -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030B1
KR100860030B1 KR1020060050526A KR20060050526A KR100860030B1 KR 100860030 B1 KR100860030 B1 KR 100860030B1 KR 1020060050526 A KR1020060050526 A KR 1020060050526A KR 20060050526 A KR20060050526 A KR 20060050526A KR 100860030 B1 KR100860030 B1 KR 10086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vature
swiveling
display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6466A (ko
Inventor
허진하
이춘열
김재훈
김주익
권일경
김서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03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5Corn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위블링 (swiveling)유닛;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기준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상기 스위블링유닛은 상기 지지유닛과 상호 연계하여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곡률을 따라 스위블링되는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면과의 거리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유닛의 조정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유닛, 스위블링유닛, 지지유닛, 연결유닛, 곡률

Description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Mounting Device for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상면도;
도 4a,b는 디스플레이유닛의 스위블링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상면도;
도 5는 도 1의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연결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 7a,b는 디스플레이유닛의 틸팅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디스플레이유닛 110: 스위블링유닛
112, 114: 제1곡률부재 112a, 114a: 제1가이드 홈
116: 제1결합플레이트 130: 지지유닛
132, 134: 제2곡률부재 132a, 134b: 제2가이드 홈
136: 제2결합플레이트 150: 연결유닛
152, 154: 제1가이드 부재 156: 제2가이드 부재
158: 연결축 159: 스토퍼
170: 틸팅유닛 172,174: 링크
176: 브라켓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형태의 디스플레이유닛은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브라운관과 이 브라운관에 장착되는 전자총, 각종 전장 부품 등이 기기의 후방으로 상당히 돌출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대부분의 사람이 대형 화면을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유닛의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디스플레이유닛이 차지하는 면적은 날로 커져갔으며, 공간의 활용도는 더욱더 저하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유닛이 브라운관 타입에서 벗어나 LCD(Liquid Crystal Panel)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소자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면의 평면 영상 구현이 가능한 평판형 디스플레이유닛 타입으로 전환되었으며, 디스플레이유닛의 두께가 상당히 얇아져 소형은 물론 대형의 화면일 경우에도 박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음극선관을 배제하고 점차 엘씨디(LCD) 또는 피디 피(PDP)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음극선관이 갖는 어쩔 수 없는 부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없는 결정적인 문제점에 기인한 것이며, 상술한 ㅇ엘씨디(LCD) 패널이나 피디피(PDP) 패널은 이러한 제품의 부피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월등히 적은 전자파를 방사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박형 타입의 엘씨디(LCD)나 피디피(PDP) 패널을 이용한 평판형 디스플레이유닛은 별도의 거치대나 턴테이블 등과 같은 기구들을 사용해서 장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벽면에 기기를 매달아 놓는 벽걸이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이 높으며, 설치 또한 용이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한다.
한편, 종래에 평판형 디스플레이유닛을 벽면에 걸어서 거치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디스플레이유닛을 벽면에 설치하기 전에 먼저 고정을 위한 브라켓을 벽에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유닛의 경우 그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각종 전장부품이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캐비넷과, 상기 전면 캐비넷을 베이스로 하여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케이스를 위한 백 커버 등으로 이루어지며, 벽걸이를 위한 프레임은 상기 백 커버의 후면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벽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충분한 시야 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좌우측으로 스위블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특히 엘씨디(LCD)나 피디피(PDP) 등과 같이 시야각이 상대적으로 좁은 평판형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더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의 배면의 좌우측에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관절 링크를 구비하여 스위블링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는 스위블링 조정각이 다관절 링크의 길이에 따라 제한되어, 최대로 조정할 수 있는 조정각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유닛을 스위블링할 때 벽면과의 거리가 떨어지게 되어 외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고, 벽면과 안정적으로 마운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위블링(swiveling)유닛;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기준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소정의 곡 률을 가지며, 상기 스위블링유닛은 상기 지지유닛과 상호 연계하여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지는 곡률을 따라 스위블링되는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곡률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복수 개의 곡률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곡률부재는 곡률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상기 스위블링유닛과 지지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의 연결축은, 외주면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스위블링유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블링유닛의 곡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가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유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곡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기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을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틸팅(tilting)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틸팅유닛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링크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스위블링유닛 사이 및 상기 기준면과 지지유닛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인접하는 두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유닛(100)의 마운팅장치는, 디스플레이유닛(100)의 스위블링(swiveling)과 틸팅(tilting)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을 기준면에 고정하는 장치로서, 크게 스위블링유닛(110), 지지유닛(130), 연결유닛(150), 그리고 틸팅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은 각종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디피(PDP) 표시유닛이나 엘씨디(LCD) 표시유닛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블링유닛(110)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의 후방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제1곡률부재(112,114)와 제1결합플레이트(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는 상기 지지유닛(13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블링유닛(11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제1곡률부재(112,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가 서로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형태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가이드 홈(112a,114a)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홈(112a,114a)이 제1곡률부재(112,114)의 곡률을 따라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스위블링유닛(110)은 후술하는 지지유닛(130)과 상호 연계하여,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지지유닛(130)의 곡률을 따라 스위블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의 스위블링 과정에 대해서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116)는, 일면에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가 결합되고 타면에 틸팅유닛(170)이 결합되어,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과 후술하는 틸팅유닛(170)과 상호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유닛(130)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이 설치되는 기준면에 구비 되어,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유닛(130)은 상기 스위블링 유닛에 대응된 제2곡률부재(132,134)와 제2결합플레이트(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곡률부재(132,134)는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지지유닛(130)에 구비되는 제1,2곡률부재(112,114,132,1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130)은 서로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제2곡률부재(132,134)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곡률부재(132,134)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곡률부재(112,114)와 제2곡률부재(132,134)를 서로 대응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2곡률부재(112,114,132,134)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지지유닛(130)이 맞물릴 수 있는 구성의 일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2곡률부재(132,134)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가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곡률부재를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130)의 제2곡률부재(132,134)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가이드 홈(132a,134a)이 구비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는 상기 제1곡률부재(112,114)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 홈(132a,134a)이 제2곡률부재(132,134)의 곡률을 따라 좌측과 우측이 구획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유닛(150)은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상기 지지유닛(130)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유닛(1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틸팅유닛(170)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과 기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을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틸팅유닛(170)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과 스위블링유닛(110) 사이에 구비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틸팅유닛(170)은 복수 개의 힌지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링크(172,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힌지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의 힌지부는 두 개의 링크(172,174)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인 것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의 배면에는 브라켓(176)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136)는 일면에 힌지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면에 디스플레이유닛(100)의 브라켓(176)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틸팅유닛(170)과 디스플레이유닛(100)을 상호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스위블링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도 4a와 도 4b는 곡률부재들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유닛(15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유닛(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힘을 가하면, 도 4b와 같은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이 좌우측 방향으로 스위블링된다.
이러한 스위블링 과정은,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지지유닛(130)이 상호 연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곡률부재(112,114,132,134)의 곡률을 따라 상호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은 단순히 좌우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후방향의 거리 즉, 기준면과 디스플레이유닛(100)의 배면이 이루는 거리도 변화하게 된다.
단순히 힌지 구조에 의해 회전하며 스위블링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부분이 기준면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기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어느 한측이 기준면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다른 측이 기준면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위블링 과정에서 기준면과 디스플레이유닛(100) 간의 최대 거리는 힌지구조에 비해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스위블링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스위블링 과정에서 전후 방향 으로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져, 기준면과의 거리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유닛(100)을 회전하는 과정에서 일측이 기준면에서 멀어지는 대신 타측이 기준면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힌지 구조와 대비할 때 기준면과 디스플레이유닛(100)과의 최대 거리는 대략 절반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유닛(15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유닛(150)은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상기 지지유닛(130)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부재(152,154), 제2가이드 부재(156) 및 연결축(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152,154)는 상기 스위블링유닛(1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블링유닛(110)에 구비되는 제1곡률부재(112,114)의 곡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 부재(152,154)는 상기 제1곡률부재가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 부재(152,154)도 이에 대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가이드 부재(156)는 상기 지지유닛(13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130)에 구비되는 제2곡률부재(132,134)의 곡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가이드 부재(152,154)와 제2가이드 부재(156)는 각각 독립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가이드 부재(152,154)와 제2가이드 부재(156)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 으로써, 스위블링 과정에서 제1가이드 부재(152,154)와 제2가이드 부재(156)가 각각 제1곡률부재(112,114)와 제2곡률부재(132,134)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58)은 상기 제1,2가이드 부재(152,154,156)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158)의 양끝단은 스토퍼(159)가 연결되어 상기 제1,2가이드 부재(152,154,156)의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유닛(150)이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지지유닛(130)을 상호결합하는 배치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가이드 부재(152,154,156)는 각각 상기 제1,2곡률부재(112,114,132,134)의 외측을 감싸면서 각각의 곡률부재(112,114,132,134)가 가지는 곡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58)은 제1,2곡률부재(112,114,132,134) 각각에 형성된 제1,2가이드 홈(112a,114a,132a,134a)을 관통하여 상기 스위블링유닛(110)과 지지유닛(130)을 상호 연결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의 스위블링 과정에서 마찰을 최소화하여 스위블링을 위해 필요한 외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유닛(150)의 외주면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활한 스위블링을 위해 상기 연결유닛(150)이 제1,2가이드 부재(152,154,156)와 연결축(158)이 모두 구비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중 어느 하나만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가이드 부재(152,154,156)만 구비되더라도 디스플레이유닛(100)이 곡률부재의 곡률을 따라 스위블링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112a,114a,132a,134a)을 관통하는 연결축(158)만 구비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이 제1,2곡률부재(112,114,132,134)의 곡률을 따라 스위블링이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축(158)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곡률부재에 가이드 홈(112a, 114a,132a,134a)이 형성되지 않아도 스위블링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틸팅유닛(170)의 작용에 따른 디스플레이유닛(100)의 틸팅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틸팅유닛(170)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부의 힌지부는 두 개의 링크(172,174)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을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유닛(100)은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도 7b와 같은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로 기울어지는 최대 틸팅 조정각은 상부의 힌지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링크(172,174)의 길이에 따라 좌우된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최대 틸팅 조정각에 맞추어 링크(172,174)의 길이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효율적인 틸팅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상기 링크(172,174)들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 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운팅 장치를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하여 부재의 곡률을 따라 스위블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준면과의 거리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위블링 조정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곡률을 가지는 부재들을 서로 맞물리게 배치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을 기준면에 견고하게 마운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부재들 사이에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이를 연결축으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마운트가 가능하다.
셋째, 연결축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의 스위블링을 위한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유닛;
    설치면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지지유닛에 대해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블링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링 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쪽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곡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스위블링 유닛 쪽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위블링 유닛을 가이드하는 제2곡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링 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스위블링 유닛의 상기 지지유닛에 대한 상대 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링 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쪽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곡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스위블링 유닛 쪽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곡률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곡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부재와 상기 제2곡률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2곡률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곡률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부재 및 상기 제2곡률부재의 곡률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곡률부재 및 제2곡률부재의 각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곡률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곡률부재의 곡률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제1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제2곡률부재의 곡률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부재 및 상기 제2곡률부재의 곡률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 부재 및 제2가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 홈을 관통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50526A 2006-06-05 2006-06-05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KR10086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526A KR100860030B1 (ko) 2006-06-05 2006-06-05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526A KR100860030B1 (ko) 2006-06-05 2006-06-05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466A KR20070116466A (ko) 2007-12-10
KR100860030B1 true KR100860030B1 (ko) 2008-09-25

Family

ID=3914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526A KR100860030B1 (ko) 2006-06-05 2006-06-05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9164A1 (en) * 2008-01-04 2009-07-16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Multi-position mount for lectronic display
KR101881023B1 (ko) * 2011-12-30 2018-07-2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535A (ko) * 1995-09-29 1997-04-28 배순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벽 고정 장치
KR20000000557U (ko) * 1998-06-12 2000-01-15 조민호 치주질환 치료제 도포기
KR20050083030A (ko) * 2005-05-23 2005-08-24 주식회사 엘엠디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KR20050088043A (ko) * 2005-01-12 2005-09-01 최병기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535A (ko) * 1995-09-29 1997-04-28 배순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벽 고정 장치
KR20000000557U (ko) * 1998-06-12 2000-01-15 조민호 치주질환 치료제 도포기
KR20050088043A (ko) * 2005-01-12 2005-09-01 최병기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20050083030A (ko) * 2005-05-23 2005-08-24 주식회사 엘엠디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466A (ko) 200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774B2 (en) Mount apparatus for image displaying device
US7213792B2 (en) Height adjustable and pivotable monitor assembly
US7068497B2 (en) Flat panel display
US7798460B2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20090090825A1 (en)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EP1728951A1 (en) Support for multiple displays
US11174984B2 (en) Display apparatus
US20050041379A1 (en) Monitor apparatus
US20110121151A1 (en) Display mount
US20100309618A1 (en) Display device
US10098252B2 (en)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US9538117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20968B1 (ko) 플랫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7673837B2 (en) Wall mounted display apparatus
KR20050083030A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US2005025303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300659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2486B1 (ko) 슬라이드 레일 및 영상기기
KR100617100B1 (ko) 영상기기 및 영상기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20060115172A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KR20120017964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20090072775A (ko)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KR100736613B1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KR100900328B1 (ko) 두 개의 화상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