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679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679A
KR20240026679A KR1020220104830A KR20220104830A KR20240026679A KR 20240026679 A KR20240026679 A KR 20240026679A KR 1020220104830 A KR1020220104830 A KR 1020220104830A KR 20220104830 A KR20220104830 A KR 20220104830A KR 20240026679 A KR20240026679 A KR 20240026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lay
display panel
width
curv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정동준
박용남
양동하
강희찬
김남훈
박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679A/ko
Priority to PCT/KR2022/017029 priority patent/WO2024043396A1/ko
Publication of KR2024002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 대응한 곡률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곡선 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보스가 관통하고, 상기 보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opposite)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LED 패널은 복수개의 LED들의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곡률진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이용한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대형 전시장이나 옥외 광고 등에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미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변경하기가 어려워, 설치 위치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곡률을 변경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곡률 변경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곡선 바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곡률 변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레이트 사이의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강성을 확보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말단까지 충분하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곡률의 곡선 바에 설치 가능한 제어박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 대응한 곡률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곡선 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보스가 관통하고, 상기 보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이웃하는 플렉서블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의 경계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향하고, 상기 프레임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향하고, 상기 프레임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곡률 변경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곡선 바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곡률 변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레이트 사이의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강성을 확보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말단까지 충분하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곡률의 곡선 바에 설치 가능한 제어박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평평하거나, 볼록하거나, 오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 유닛(1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opposite)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및 제1 단변(SS1)에 대향(opposite)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단변들(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장변들(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단변들(SS1, SS2)과 장변(LS1, LS2)에 수직한 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가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왼쪽(Le, x)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오른쪽(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위쪽(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아래쪽(D)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단변들(SS1, SS2)과 장변들(LS1, LS2)은 디스플레이(10)의 엣지들(edges)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단변들(SS1, SS2)과 장변들(LS1, LS2)이 서로 만나는 지점들은 코너들(corners)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일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디스플레이(10)의 전면을 정의할 수 있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복수개의 픽셀들이 각 픽셀당 RGB(Red, Green, or Blue)를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렉서블(flexible)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ED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렉서블 한 기판(110)과, 기판(110)의 전면 상(on)에 장착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L)은 LED일 수 있다. 광원(110L)은 mini LED일 수 있다. 광원(110L)은 micro LED일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들(110L)은 기판(110)의 전면 상에서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전극 패턴은 기판(110)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112)는 기판(11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서플라이 보드(M3, 도 16 참조)와 커넥터(112)는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파워 서플라이 보드(M3)의 전력은 광원(110L)에 제공될 수 있다. 집적 소자와 커패시터는 기판(11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집적 소자는 일정 개수의 광원들(110L)에 제공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M2, 도 16 참조)와 커넥터(112)는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M2)의 신호는 광원(110L)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1개 이거나, 2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들(11)의 개수는 짝수일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11)은 서로 이웃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a), 제2 디스플레이 패널(11b), 그리고 제3 디스플레이 패널(11c)은 디스플레이(10)의 좌변을 정의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패널(11d), 제5 디스플레이 패널(11e), 그리고 제6 디스플레이 패널(11f)은 디스플레이(10)의 우변을 정의할 수 있다. 좌우방향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a)과 제4 디스플레이 패널(11d)은 서로 이웃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패널(11b)과 제5 디스플레이 패널(11e)은 서로 이웃할 수 있고, 제3 디스플레이 패널(11c)과 제6 디스플레이 패널(11f)은 서로 이웃할 수 있다.
고정부(1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11)는 플랜지(1111, flange)와 보스(1112, boss)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1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플랜지(1111)는 원판(circular plat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보스(1112)는 플랜지(111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1112)는 납작한 실린더(flat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보스(1112)의 직경(D2)은 플랜지(1111)의 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산은 보스(1112)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부들(111) 각각은 전술한 플랜지(1111)와 보스(1112)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부들(111)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부들(111)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11a, 11b, 11c, 11d, 11e, 11f) 각각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고정부들(111a)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a)의 제1 기판(110a)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고정부들(111b)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1b)의 제2 기판(110b)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고정부들(111c)은 제3 디스플레이 패널(11c)의 제3 기판(110c)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고정부들(111d)은 제4 디스플레이 패널(11d)의 제4 기판(110d)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5 고정부들(111e)은 제5 디스플레이 패널(11e)의 제5 기판(110e)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6 고정부들(111f)은 제6 디스플레이 패널(11f)의 제6 기판(110f)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10)의 후면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10)라 통칭할 수 있다. 플레이트(12)는 플렉서블(flexible) 할 수 있다. 플레이트(12)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2)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와 비슷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2)는 고정부(111)의 플랜지(1111) 상(on)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2)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 사이의 간격은 플랜지(1111)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 사이의 슬립(slip, 즉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홀(121)은 플레이트(12)를 플레이트(12)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121)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고정부(111)에 정렬될 수 있다. 고정부(111)의 보스(1112, 도 2 참조)는 홀(121)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부들(111) 각각의 보스(1112)는 복수개의 홀들(121) 각각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는 홀(121)에 위치한 고정부(111)의 보스(1112)에 체결될 수 있고, 체결부재(F)의 헤드(F2)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레이트(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마그넷(미도시)은 홀(121)에 위치한 고정부(111)의 보스(1112)에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레이트(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걸림 핀(미도시)은 홀(121)에 위치한 고정부(111)의 보스(1112)에 압입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레이트(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슬롯(12a, 12b, 12c, 12d, 12e, 12f, slot)은 플레이트(12)를 플레이트(12)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홀(121)과 이격될 수 있다. 슬롯(12a, 12b, 12c, 12d, 12e, 12f, slot)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커넥터(112)에 정렬될 수 있다. 커넥터(112)는 슬롯(12a, 12b, 12c, 12d, 12e, 12f, slot)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a)의 제1 커넥터(112a)는 제1 슬롯(12a)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1b)의 제2 커넥터(112b)는 제2 슬롯(12b)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패널(11c)의 제3 커넥터(112c)는 제3 슬롯(12c)을 관통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패널(11d)의 제4 커넥터(112d)는 제4 슬롯(12d)을 관통할 수 있다. 제5 디스플레이 패널(11e)의 제5 커넥터(112e)는 제5 슬롯(12e)을 관통할 수 있다. 제6 디스플레이 패널(11f)의 제6 커넥터(112f)는 제6 슬롯(12f)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2a)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112a)은 플레이트(12)의 좌변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2b)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122b)은 플레이트(12)의 우변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결합부(122b)는 플레이트(1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제1 결합부(122a)와 대칭될 수 있다.
직선 바(30, straight bar)는 플레이트(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직선 바(31)는 플레이트(12)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상변과 하변 사이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31a)은 제1 직선 바(31)에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복수개의 홀들(31a)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122a)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직선 바(31)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직선 바(32)는 플레이트(12)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상변과 하변 사이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32a)은 제2 직선 바(32)에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복수개의 홀들(32a)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122b)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직선 바(32)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직선 바(32)는 플레이트(1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제1 직선 바(31)와 대칭될 수 있다.
한편, 직선 바(30)는 수직 바(30, straight bar), 사이드 바(30, side bar) 또는 강성 바(30, rigid bar)라 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볼록한 지그(Jv, convex jig)의 곡면은 디스플레이(10)의 전면을 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그(Jv)의 상기 곡면 상(on)에 놓인 평평한 디스플레이(10)의 좌변과 우변을 상기 곡면을 향해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는 제1 방향(BD1)으로 휘어지며 오목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곡률반경(Rc)은 지그(Jv)의 상기 곡면의 곡률반경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곡률을 지닌 지그(Jv)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0)의 곡률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는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
수직선(VV')은 디스플레이(10)의 중심 또는 이 부근을 지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121)은 수직선(VV')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기준 홀들(121c), 수직선(VV')으로부터 제1 직선 바(31) 쪽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그리고 수직선(VV')으로부터 제2 직선 바(32) 쪽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2 홀들(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들(F, 도 4 참조)은 홀들(121)을 관통하여 보스(1112)에 체결될 수 있다. 기준 홀들(121c)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들(F)은 기준 체결부재들(Fc)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홀들(121a)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들(F)은 제1 체결부재들(Fa)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홀들(121b)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들(F)은 제2 체결부재들(Fb)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은 체결부재들(F)이 생략된 채로 도시된다. 또, 체결부재들(F)을 대신하여, 전술한 상기 마그넷 또는 상기 걸림 핀이 보스(11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기준 홀(121c)의 직경(Wc)은 기준 홀(121c)에 삽입된 보스(1112)의 직경(D2)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가 오목하게 휘어지더라도, 기준 홀(121c)에 삽입된 보스(1112)는 제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121a)의 폭(Wa)은 제1 홀(121a)에 삽입된 보스(1112)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폭(Wa)은 수직선(VV')과 제1 직선 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각각은 같은 폭을 지닐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중에, 수직선(VV')에 가장 가까운 홀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가장 먼 홀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나머지 홀들의 폭은 상기 가장 먼 홀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각각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한편, 수직선(VV')과 제1 직선 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제1 내지 제3 슬롯(12a, 12b, 12c)의 폭은 제1 내지 제3 커넥터(112a, 112b, 112c)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홀(121b)의 폭(Wb)은 제2 홀(121b)에 삽입된 보스(1112)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폭(Wb)은 수직선(VV')과 제2 직선 바(3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홀들(121b) 각각은 같은 폭을 지닐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홀들(121b) 중에, 수직선(VV')에 가장 가까운 홀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가장 먼 홀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나머지 홀들의 폭은 상기 가장 먼 홀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홀들(121b) 각각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한편, 수직선(VV')과 제2 직선 바(3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제4 내지 제6 슬롯(12d, 12e, 12f)의 폭은 제4 내지 제6 커넥터(112d, 112e, 112f)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가 오목하게 휘어지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레이트(12)에 대하여 슬립(slip)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1 체결부재들(Fa)은 제1 홀들(121a)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2 체결부재들(Fb)은 제2 홀들(121b)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커넥터들(112a, 112b, 112c)은 슬롯들(12a, 12b, 12c)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커넥터들(112d, 112e, 112f)은 슬롯들(12d, 12e, 12f)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수직 그루브(31g)는 제1 직선 바(3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좌변(11L)에 인접한 보스들(1112)에 체결된 제1 체결부재들(Fa)은 제1 수직 그루브(31g)를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Fa)의 바디(Fa1)는 보스(1112)의 내주면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Fa)의 헤드(Fa2)는 보스(1112)의 후단 및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헤드(Fa2)는 제1 수직 그루브(31g)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수직 그루브(31g)의 폭(W1)은 헤드(Fa2)의 직경(Da)보다 클 수 있다. 제2 직선 바(32)는 제1 수직 그루브(31g)와 같은 제2 수직 그루브(32g, 도 9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슬립(slip)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좌변(11L)에 인접한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1 체결부재들(Fa)은 제1 수직 그루브(31g)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우변에 인접한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2 체결부재들(Fb)은 상기 제2 수직 그루브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체결부재들(Fa, Fb)의 움직임은 체결부재들(Fa, Fb)이 수직 그루브들(31g, 32g)의 측벽(lateral wall)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2)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양변(즉, 좌변과 우변)에 인접한 부분까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최대 곡률은 보스들(1112)이 제1 홀들(121a)의 좌측 끝단에 접촉하거나, 제2 홀들(121b)의 우측 끝단에 접촉할 때 정의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곡선 바(40, curved bar)는 플레이트(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직선 바(31)와 제2 직선 바(32) 사이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곡선 바(40)는 플레이트(12)에 대응하는 곡률을 지닐 수 있다. 다양한 곡률로 오목해질 수 있는 플레이트(12)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곡률을 지닌 복수개의 곡선 바들(40)이 마련될 수 있다. 곡선 바(40)는 수평 바(40, horizontal bar), 또는 강성 바(40, rigid bar)라 칭할 수 있다.
제1 곡선 바(41)는 플레이트(12)의 상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약간 작은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제1 곡선 바(41)의 길이방향에서, 제1 곡선 바(41)의 일단은 제1 직선 바(31)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곡선 바(41)의 타단은 제2 직선 바(32)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곡선 바(41)는 제1 어퍼 파트(41a), 제1 로어 파트(41b), 그리고 제1 브릿지(4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는 제1 곡선 바(41)의 곡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핀(41P, first pin)은 제1 어퍼 파트(41a)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핀들(41P)은 제1 어퍼 파트(41a)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핀 홀(41H, first pin hole)은 제1 로어 파트(41b)를 제1 로어 파트(41b)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핀(41P)과 정렬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핀 홀들(41H)은 복수개의 제1 핀들(41P) 사이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브릿지(41c)는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와 같은 제1 체결부재는 제1 어퍼 파트(41a)에 형성된 홀(41h1)을 관통하여 제1 브릿지(41c)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제2 체결부재는 제1 로어 파트(41b)에 형성된 홀(41h2)을 관통하여 제1 브릿지(41c)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릿지(41c)는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브릿지들(41c)은 제1 곡선 바(41)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의 결합이 더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 돌출부들(123a, 도 3 참조)은 플레이트(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브릿지들(41c)의 홀들(41ch)을 관통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들은 제1 돌출부들(123a)에 체결될 수 있고, 제1 브릿지들(41c)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제1 곡선 바(41)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어 플레이트(12)의 굽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곡선 바(41)의 곡률방향에서, 홀(41ch)의 폭은 제1 돌출부(123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수직선(VV', 도 6 참조)의 왼쪽에 위치한 제1 돌출부(123a)는 홀(41ch)의 중심보다 왼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수직선(VV')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1 돌출부(123a)는 홀(41ch)의 중심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곡선 바(42)는 플레이트(12)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약간 작은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제2 곡선 바(42)의 길이방향에서, 제2 곡선 바(42)의 일단은 제1 직선 바(31)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곡선 바(42)의 타단은 제2 직선 바(32)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곡선 바(42)는 제2 어퍼 파트(42a), 제2 로어 파트(42b), 그리고 제2 브릿지(4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는 제2 곡선 바(42)의 곡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핀(42P, second pin)은 제2 어퍼 파트(42a)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핀들(42P)은 제2 어퍼 파트(42a)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핀 홀(42H, second pin hole)은 제2 로어 파트(42b)를 제2 로어 파트(42b)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핀(42P)과 정렬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핀 홀들(42H)은 복수개의 제2 핀들(42P) 사이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브릿지(42c)는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와 같은 제1 체결부재는 제2 어퍼 파트(42a)에 형성된 홀(42h1)을 관통하여 제2 브릿지(42c)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제2 체결부재는 제2 로어 파트(42b)에 형성된 홀(42h2)을 관통하여 제2 브릿지(42c)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릿지(42c)는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브릿지들(42c)은 제2 곡선 바(42)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의 결합이 더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2 돌출부들(123b, 도 3 참조)은 플레이트(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브릿지들(42c)의 홀들(42ch)을 관통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들은 제2 돌출부들(123b)에 체결될 수 있고, 제2 브릿지들(42c)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제2 곡선 바(42)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어 플레이트(12)의 굽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곡선 바(42)의 곡률방향에서, 홀(42ch)의 폭은 제2 돌출부(123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수직선(VV', 도 6 참조)의 왼쪽에 위치한 제2 돌출부(123b)는 홀(42ch)의 중심보다 왼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수직선(VV')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2 돌출부(123b)는 홀(42ch)의 중심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곡선 바(42)는 제1 곡선 바(41)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2 곡선 바(42)와 제1 곡선 바(41)는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오목한 지그(Jc, concave jig)의 곡면은 디스플레이(10)의 전면을 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오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그(Jc)의 상기 곡면 위(over)에 놓인 평평한 디스플레이(10)의 중앙부를 상기 곡면을 향해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는 제2 방향(BD2)으로 휘어지며 볼록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곡률반경(Rv)은 지그(Jc)의 상기 곡면의 곡률반경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곡률을 지닌 지그(Jc)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0)의 곡률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는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다.
수직선(VV')은 디스플레이(10)의 중심 또는 이 부근을 지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121)은 수직선(VV')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기준 홀들(121c), 수직선(VV')으로부터 제1 직선 바(31) 쪽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그리고 수직선(VV')으로부터 제2 직선 바(32) 쪽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2 홀들(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들(F, 도 4 참조)은 홀들(121)을 관통하여 보스(1112)에 체결될 수 있다. 기준 홀들(121c)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들(F)은 기준 체결부재들(Fc)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홀들(121a)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들(F)은 제1 체결부재들(Fa)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홀들(121b)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들(F)은 제2 체결부재들(Fb)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은 체결부재들(F)이 생략된 채로 도시된다. 또, 체결부재들(F)을 대신하여, 전술한 상기 마그넷 또는 상기 걸림 핀이 보스(11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기준 홀(121c)의 직경(Wc)은 기준 홀(121c)에 삽입된 보스(1112)의 직경(D2)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가 볼록하게 휘어지더라도, 기준 홀(121c)에 삽입되는 보스(1112)는 제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121a)의 폭(Wa)은 제1 홀(121a)에 삽입된 보스(1112)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폭(Wa)은 수직선(VV')과 제1 직선 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각각은 같은 폭을 지닐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중에, 수직선(VV')에 가장 가까운 홀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가장 먼 홀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나머지 홀들의 폭은 상기 가장 먼 홀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홀들(121a) 각각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한편, 수직선(VV')과 제1 직선 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제1 내지 제3 슬롯(12a, 12b, 12c)의 폭은 제1 내지 제3 커넥터(112a, 112b, 112c)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홀(121b)의 폭(Wb)은 제2 홀(121b)에 삽입된 보스(1112)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폭(Wb)은 수직선(VV')과 제2 직선 바(3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홀들(121b) 각각은 같은 폭을 지닐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홀들(121b) 중에, 수직선(VV')에 가장 가까운 홀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가장 먼 홀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나머지 홀들의 폭은 상기 가장 먼 홀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홀들(121b) 각각의 폭은 수직선(VV')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한편, 수직선(VV')과 제2 직선 바(3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제4 내지 제6 슬롯(12d, 12e, 12f)의 폭은 제4 내지 제6 커넥터(112d, 112e, 112f)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가 볼록하게 휘어지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레이트(12)에 대하여 슬립(slip)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1 체결부재들(Fa)은 제1 홀들(121a)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2 체결부재들(Fb)은 제2 홀들(121b)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커넥터들(112a, 112b, 112c)은 슬롯들(12a, 12b, 12c)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커넥터들(112d, 112e, 112f)은 슬롯들(12d, 12e, 12f)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수직 그루브(32g)는 제2 직선 바(3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우변(11R)에 인접한 보스들(1112)에 체결된 제2 체결부재들(Fb)은 제2 수직 그루브(32g)를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Fb)의 바디(Fb1)는 보스(1112)의 내주면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Fb)의 헤드(Fb2)는 보스(1112)의 후단 및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헤드(Fb2)는 제2 수직 그루브(32g)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수직 그루브(32g)의 폭(W2)은 헤드(Fb2)의 직경(Db)보다 클 수 있다. 제1 직선 바(31)는 제2 수직 그루브(32g)와 같은 제1 수직 그루브(31g, 도 14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슬릿(slip)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우변(11R)에 인접한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2 체결부재들(Fb)은 제2 수직 그루브(32g)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좌변에 인접한 보스들(1112)과 이에 체결된 제1 체결부재들(Fa)은 상기 제1 수직 그루브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체결부재들(Fa, Fb)의 움직임은 체결부재들(Fa, Fb)이 수직 그루브들(31g, 32g)의 측벽(lateral wall)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2)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변(즉, 좌변과 우변)에 인접한 부분까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최대 곡률은 보스들(1112)이 제1 홀들(121a)의 우측 끝단에 접촉하거나, 제2 홀들(121b)의 좌측 끝단에 접촉할 때 정의될 수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곡선 바(40, curved bar)는 플레이트(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직선 바(31)와 제2 직선 바(32) 사이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곡선 바(40)는 플레이트(12)에 대응하는 곡률을 지닐 수 있다. 다양한 곡률로 오목해질 수 있는 플레이트(12)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곡률을 지닌 복수개의 곡선 바들(40)이 마련될 수 있다. 곡선 바(40)는 수평 바(40, horizontal bar), 또는 강성 바(40, rigid bar)라 칭할 수 있다.
제1 곡선 바(41)는 플레이트(12)의 상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약간 큰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제1 곡선 바(41)의 길이방향에서, 제1 곡선 바(41)의 일단은 제1 직선 바(31)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곡선 바(41)의 타단은 제2 직선 바(32)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곡선 바(41)는 제1 어퍼 파트(41a), 제1 로어 파트(41b), 그리고 제1 브릿지(4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는 제1 곡선 바(41)의 곡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핀(41P, first pin)은 제1 어퍼 파트(41a)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핀들(41P)은 제1 어퍼 파트(41a)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핀 홀(41H, first pin hole)은 제1 로어 파트(41b)를 제1 로어 파트(41b)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핀(41P)과 정렬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핀 홀들(41H)은 복수개의 제1 핀들(41P) 사이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브릿지(41c)는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와 같은 제1 체결부재는 제1 어퍼 파트(41a)를 관통하여 제1 브릿지(41c)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제2 체결부재는 제1 로어 파트(41b)를 관통하여 제1 브릿지(41c)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릿지(41c)는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브릿지들(41c)은 제1 곡선 바(41)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의 결합이 더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 돌출부들(123a, 도 3 참조)은 플레이트(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브릿지들(41c)의 홀들(41ch)을 관통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들은 제1 돌출부들(123a)에 체결될 수 있고, 제1 브릿지들(41c)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제1 곡선 바(41)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어 플레이트(12)의 굽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곡선 바(41)의 곡률방향에서, 홀(41ch)의 폭은 제1 돌출부(123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수직선(VV', 도 11 참조)의 왼쪽에 위치한 제1 돌출부(123a)는 홀(41ch)의 중심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수직선(VV')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1 돌출부(123a)는 홀(41ch)의 중심보다 왼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곡선 바(42)는 플레이트(12)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약간 큰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제2 곡선 바(42)의 길이방향에서, 제2 곡선 바(42)의 일단은 제1 직선 바(31)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곡선 바(42)의 타단은 제2 직선 바(32)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곡선 바(42)는 제2 어퍼 파트(42a), 제2 로어 파트(42b), 그리고 제2 브릿지(4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는 제2 곡선 바(42)의 곡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핀(42P, second pin)은 제2 어퍼 파트(42a)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핀들(42P)은 제2 어퍼 파트(42a)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핀 홀(42H, second pin hole)은 제2 로어 파트(42b)를 제2 로어 파트(42b)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핀(42P)과 정렬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핀 홀들(42H)은 복수개의 제2 핀들(42P) 사이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브릿지(42c)는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와 같은 제1 체결부재는 제2 어퍼 파트(42a)를 관통하여 제2 브릿지(42c)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제2 체결부재는 제2 로어 파트(42b)를 관통하여 제2 브릿지(42c)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릿지(42c)는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브릿지들(42c)은 제2 곡선 바(42)의 곡률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의 결합이 더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2 돌출부들(123b, 도 3 참조)은 플레이트(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브릿지들(42c)의 홀들(42ch)을 관통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들은 제2 돌출부들(123b)에 체결될 수 있고, 제2 브릿지들(42c)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제1 곡선 바(41)는 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어 플레이트(12)의 굽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곡선 바(42)의 곡률방향에서, 홀(42ch)의 폭은 제2 돌출부(123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수직선(VV', 도 11 참조)의 왼쪽에 위치한 제2 돌출부(123b)는 홀(42ch)의 중심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수직선(VV')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2 돌출부(123b)는 홀(42ch)의 중심보다 왼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곡선 바(42)는 제1 곡선 바(41)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2 곡선 바(42)와 제1 곡선 바(41)는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박스(60)는 곡선 바(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커넥터(70)를 통해 곡선 바(40)에 결합될 수 있다. 박스(60)는 제어박스(60) 또는 사이니지 박스(60, signage box)라 칭할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보드들(M1, M2, M3)은 박스(6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드들(M1, M2, M3)은 케이블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보드(M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M2, timing controller board)는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 서플라이 보드(M3, power supply boar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박스(60)는 하우징(61)과 커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드들(M1, M2, M3)은 하우징(61)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62)는 하우징(6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보드들(M1, M2, M3)을 커버할 수 있다. 박스(60)는 디스플레이(10)의 플레이트(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박스(6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1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박스(60)의 폭(W11)은 디스플레이(10)의 폭(W10)보다 작을 수 있다. 박스(60)의 높이(H11)는 디스플레이(10)의 높이(H10)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홀더(50, 도 8, 9, 13 및 14 참조)는 커넥터(70)에 대하여 박스(60)와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홀더(50)는 제1 곡선 바(41)에 결합되는 제1 홀더(51)와, 제2 곡선 바(42)에 결합되는 제2 홀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51)는 제1 곡선 바(4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안착부(511)와 제1 삽입부(512, 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511)는 제1 어퍼 파트(41a)와 제1 로어 파트(4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512, 513)는 제1 안착부(511)의 상변 및/또는 하변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어퍼 삽입부(512)는 제1 안착부(511)의 상변으로부터 제1 어퍼 파트(41a)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1 어퍼 파트(41a)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퍼 삽입부(512)는 적어도 한번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퍼 삽입부(512)는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로어 삽입부(513)는 제1 안착부(511)의 하변으로부터 제1 로어 파트(41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1 로어 파트(41b)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로어 삽입부(513)는 적어도 한번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로어 삽입부(513)는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어퍼 파트(41a)는 제1 어퍼 삽입부(512)가 삽입되는 제1 어퍼 슬릿(SL1, 도 16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어퍼 슬릿(SL1)은 직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어퍼 슬릿(SL1)은 제1 안착부(511)에 나란한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로어 파트(41b)는 제1 로어 삽입부(513)가 삽입되는 제1 로어 슬릿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로어 슬릿은 상기 제1 어퍼 슬릿(SL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한 제1 곡선 바(41, 도 8 및 9 참조)에 결합된 제1 홀더(51)는 볼록한 제1 곡선 바(41, 도 13 및 14 참조)에도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홀더(51)는 제1 곡선 바(41)의 다양한 곡률에 호환될 수 있다.
제2 홀더(52)는 제2 곡선 바(42)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안착부(521)와 제2 삽입부(522, 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521)는 제2 어퍼 파트(42a)와 제2 로어 파트(4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522, 523)는 제2 안착부(521)의 상변 및/또는 하변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어퍼 삽입부(522)는 제2 안착부(521)의 상변으로부터 제2 어퍼 파트(42a)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어퍼 파트(42a)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어퍼 삽입부(522)는 적어도 한번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어퍼 삽입부(522)는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로어 삽입부(523)는 제2 안착부(521)의 하변으로부터 제2 로어 파트(42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로어 파트(42b)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로어 삽입부(523)는 적어도 한번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로어 삽입부(523)는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어퍼 파트(42a)는 저2 어퍼 삽입부(522)가 삽입되는 제2 어퍼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어퍼 슬릿은 전술한 제1 어퍼 슬릿(SL1, 도 16 참조)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어 파트(42b)는 제2 로어 삽입부(523)가 삽입되는 제2 로어 슬릿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로어 슬릿은 상기 제2 어퍼 슬릿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한 제2 곡선 바(42, 도 8 및 9 참조)에 결합된 제2 홀더(52)는 볼록한 제2 곡선 바(42, 도 13 및 14 참조)에도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홀더(52)는 제2 곡선 바(42)의 다양한 곡률에 호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71)는 제1 바디(711)와 제1 풋(712, first foot)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711)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안착부(511, 도 8 및 13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바디(711)와 제1 안착부(511)는 XY 평면에 나란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제1 바디(711)를 관통하여 제1 안착부(511)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풋(712)은 제1 바디(711)로부터 박스(60)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박스(60)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60)의 상변에 인접한 박스(60)의 부분은 제1 커넥터(71)를 통해 제1 곡선 바(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72)는 제2 바디(721)와 제2 풋(722, second foot)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721)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착부(521, 도 8 및 13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바디(721)와 제2 안착부(521)는 XY 평면에 나란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제2 바디(721)를 관통하여 제2 안착부(521)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풋(722)은 제2 바디(721)로부터 박스(60)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박스(60)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60)의 하변에 인접한 박스(60)의 부분은 제2 커넥터(72)를 통해 제2 곡선 바(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은 서로 이웃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는 볼록한 제1 디스플레이(10A)와 이에 결합된 제1 박스(60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는 볼록한 제2 디스플레이(10B)와 이에 결합된 제2 박스(6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 사이의 경계는 제1 디스플레이(10A)의 우변과 제2 디스플레이(10B)의 좌변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는 오목한 제1 디스플레이(10A)와 이에 결합된 제1 박스(60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는 오목한 제2 디스플레이(10B)와 이에 결합된 제2 박스(6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 사이의 경계는 제1 디스플레이(10A)의 우변과 제2 디스플레이(10B)의 좌변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는 오목한 제1 디스플레이(10A)와 이에 결합된 제1 박스(60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는 볼록한 제2 디스플레이(10B)와 이에 결합된 제2 박스(6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 사이의 경계는 제1 디스플레이(10A)의 우변과 제2 디스플레이(10B)의 좌변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제2 직선 바(32)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제1 직선 바(31)와 이웃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는 제1 방향(BD1)으로 오목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는 제2 방향(BD2)으로 볼록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패드(33)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제1 직선 바(3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런트 패드(33)는 제1 직선 바(31)의 후면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패드(33)는 제1 프런트 스크류(33) 또는 제1 프런트 스페이서(33)라 칭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프런트 패드들(33)은 제1 직선 바(31)를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패드(34)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제2 직선 바(32)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런트 패드(34)는 제2 직선 바(32)의 후면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패드(34)는 제2 프런트 스크류(34) 또는 제2 프런트 스페이서(34)라 칭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프런트 패드들(34)은 제2 직선 바(32)를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프레임(35)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35)의 폭은 수평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고, 제1 직선 바(31)의 폭과 제2 직선 바(32)의 폭의 합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도 24 참조).
제1 조절 부재(36)는 프레임(3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5)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36)는 제1 조절 스크류(36)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절 부재(36)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조절 부재(36)는 프레임(35)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조절 부재들(36)은 프레임(35)의 우변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37)는 프레임(3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5)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37)는 제2 조절 스크류(37)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조절 부재(37)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조절 부재(37)는 프레임(35)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조절 부재들(37)은 프레임(35)의 좌변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리어 패드(38)는 프레임(35)에 대하여 제1 조절 부재(36)에 대향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c)를 통해 제1 리어 패드(38)는 제1 조절 부재(36)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리어 패드들(38) 각각은 복수개의 제1 조절 부재들(36)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절 부재들(36) 및 이에 고정된 제1 리어 패드들(38)은 프레임(35)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리어 패드(38)는 제1 리어 링(38) 또는 제1 리어 스페이서(38)라 칭할 수 있다.
제2 리어 패드(39)는 프레임(35)에 대하여 제2 조절 부재(37)에 대향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d)를 통해 제2 리어 패드(39)는 제2 조절 부재(37)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어 패드들(39) 각각은 복수개의 제2 조절 부재들(37)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조절 부재들(37) 및 이에 고정된 제2 리어 패드들(39)은 프레임(35)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리어 패드(39)는 제2 리어 링(39) 또는 제2 리어 스페이서(39)라 칭할 수 있다.
도 24 및 2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리어 패드들(38) 각각은 복수개의 제1 프런트 패드들(33)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리어 패드(38)의 전면은 제1 프런트 패드(33)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런트 패드(33)와 제1 리어 패드(38) 중에 어느 하나는 자석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자석에 붙는 철과 같은 자성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프런트 패드(33)와 제1 리어 패드(38)는 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어 패드(38)를 향하는 제1 프런트 패드(33)의 일면(즉, 후면)의 자극(magnetic pole)은 제1 프런트 패드(33)를 향하는 제1 리어 패드(38)의 일면(즉, 전면)의 자극과 반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리어 패드들(38) 각각은 복수개의 제1 프런트 패드들(33) 각각에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리어 패드들(39) 각각은 복수개의 제2 프런트 패드들(34)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리어 패드(39)의 전면은 제2 프런트 패드(34)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런트 패드(34)와 제2 리어 패드(39) 중에 어느 하나는 자석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자석에 붙는 철과 같은 자성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프런트 패드(34)와 제2 리어 패드(39)는 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리어 패드(39)를 향하는 제2 프런트 패드(34)의 일면(즉, 후면)의 자극(magnetic pole)은 제2 프런트 패드(34)를 향하는 제2 리어 패드(39)의 일면(즉, 전면)의 자극과 반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2 리어 패드들(39) 각각은 복수개의 제2 프런트 패드들(34) 각각에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0)의 휨 동작에 대응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 사이의 슬립(slip)에 따라서, 프런트 패드들(33, 34)이 리어 패드들(38, 39)로부터 조금 어긋나더라도, 프런트 패드들(33, 34)과 리어 패드들(38, 39) 사이의 자기적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런트 패드들(33, 34)은 리어 패드들(38, 39)에 슬립 가능하게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0A)의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제2 디스플레이(10B)의 디스플레이 패널(11) 사이에 단차(g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조절 부재(36)와 제1 리어 패드(38)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조절 부재(3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어 패드(38)는 제1 프런트 패드(33)와 제1 직선 바(31)를 전방을 향해 누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10B)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좌변)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단차(g10)가 작아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2 조절 부재(37)와 제2 리어 패드(39)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조절 부재(3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리어 패드(39)는 제2 프런트 패드(34)와 제2 직선 바(32)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10A)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우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단차(g10)가 작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조절 부재(3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조절 부재(3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10B)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좌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1 디스플레이(10A)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우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단차(g10)가 작아질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은 서로 이웃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들(35)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5A)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좌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5B)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 사이의 경계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프레임(35C)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우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프레임(35D)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C)의 좌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프레임(35E)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C)와 제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D) 사이의 경계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프레임(35F)은 제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D)의 우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개의 프레임들(35)에 결합된 조절 부재들(36, 37, 도 25 및 26 참조)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면, 폴(PA, PB, PC, pole)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 사이의 경계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폴(PA)은 제1 프레임(35A)과 제4 프레임(35D)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프레임(35A)과 제4 프레임(35D)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폴(PB)은 제2 프레임(35B)과 제5 프레임(35E)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프레임(35B)과 제5 프레임(35E)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폴(PC)은 제3 프레임(35C)과 제6 프레임(35F)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3 프레임(35C)과 제6 프레임(35F)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80)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의 코너에 인접할 수 있다. 브라켓(80)의 바디(81)는 폴(PA, PB, PC)의 측면을 감쌀 수 있고, 폴(PA, PB, PC)에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80)의 암들(82, 83, 84, 85, arms)은 바디(81)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암들(82, 83, 84, 85) 각각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체결부들(124a, 124b, 124c, 124d, 도 4 참조)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플레이트(1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코너들(corners)에 인접할 수 있다. 나사산은 체결부들(124a, 124b, 124c, 124d)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24a)는 플레이트(12)의 상변과 좌변이 만나는 코너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직선 바(31)의 상부의 우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24b)는 플레이트(12)의 하변과 좌변이 만나는 코너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직선 바(31)의 하부의 우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체결부(124c)는 플레이트(12)의 상변과 우변이 만나는 코너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직선 바(32)의 상부의 좌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제4 체결부(124d)는 플레이트(12)의 하변과 우변이 만나는 코너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직선 바(32)의 하부의 좌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암들(82, 83, 84, 85) 각각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 각각의 체결부에 대응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는 암들(82, 83, 84, 85)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브라켓들(80) 중에 어느 하나는 제2 폴(PB)은 중심부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제2 체결부(124b)에 결합되는 제1 암(82), 제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D)의 제1 체결부(124a)에 결합되는 제2 암(83),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제4 체결부(124d)에 결합되는 제3 암(84), 그리고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C)의 제3 체결부(124c)에 결합되는 제4 암(8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의 코너들(corners)은 브라켓(80)을 통해 폴(PA, PB, PC)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C)의 제1 곡선 바(41)의 제1 핀들(41P)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제2 곡선 바(42)의 제2 핀 홀들(42H, 도 8 및 1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D)의 제1 곡선 바(41)의 제1 핀들(41P)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제2 곡선 바(42)의 제2 핀 홀들(42H, 도 8 및 1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핀(41P)과 제2 핀 홀(42H)은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제1 곡선 바(41)와 제2 곡선 바(42)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2 폴(PB)에 고정된 브라켓(80)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를 연결할 수 있다.
브라켓(80)의 제4 암(85)은 스크류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제3 체결부(124c)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헤드는 제4 암(85)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가 오목하게 휘어지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우변은 플레이트(12)의 우변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보스(1112)는 제2 홀(121b)의 중심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돌출부(123a)는 제1 브릿지(41c)의 홀(41ch)의 우측 끝단에 접촉할 수 있다. 또, 제3 체결부(124c)는 제4 암(85)의 홀(85h)의 좌측 끝단에 접촉할 수 있다. 제3 체결부(124c)는 홀(85h)에 위치할 수 있고, 홀(85h)의 폭은 제3 체결부(124c)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홀(85h)은 홀(41ch)과 제2 홀(12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절 부재(3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리어 패드(39)는 제2 프런트 패드(34)와 제2 직선 바(32)를 전방으로 누를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23a, 제1 브릿지(41c)의 홀(41ch)의 우측 끝단에 접촉한 상태)의 오른쪽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는 제2 리어 패드(39)의 푸시에 의해 휘어지며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의 굽힘 및 이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우변에 인접한 보스(1112)가 제2 홀(121b)의 우측 끝단에 접촉하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조절 부재(37)를 이용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의 위치의 조정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체적인 곡률(즉, 제1 곡선 바(41)의 양단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곡률)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절 부재(3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리어 패드(39)는 제2 프런트 패드(34)와 제2 직선 바(32)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부(124c, 제4 암(85)의 홀(85h)의 좌측 끝단에 접촉한 상태)의 오른쪽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는 제2 리어 패드(39)의 당김에 의해 휘어지며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의 굽힘 및 이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우변에 인접한 보스(1112)가 제2 홀(121b)의 좌측 끝단에 접촉하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조절 부재(37)를 이용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의 위치의 조정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체적인 곡률(즉, 제1 곡선 바(41)의 양단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곡률)은 유지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2 폴(PB)에 고정된 브라켓(80)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를 연결할 수 있다.
브라켓(80)의 제2 암(83)은 스크류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제1 체결부(124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헤드는 제2 암(83)의 후면에 걸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가 볼록하게 휘어지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좌변은 플레이트(12)의 좌변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보스(1112)는 제1 홀(121a)의 중심보다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돌출부(123a)는 제1 브릿지(41c)의 홀(41ch)의 우측 끝단에 접촉할 수 있다. 또, 제1 체결부(124a)는 제2 암(83)의 홀(83h)의 좌측 끝단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24a)는 홀(83h)에 위치할 수 있고, 홀(83h)의 폭은 제1 체결부(124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홀(83h)은 홀(41ch)과 제1 홀(12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조절 부재(3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리어 패드(38)는 제1 프런트 패드(33)와 제1 직선 바(31)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23a, 제1 브릿지(41c)의 홀(41ch)의 우측 끝단에 접촉한 상태)의 왼쪽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는 제1 리어 패드(38)의 당김에 의해 휘어지며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의 굽힘 및 이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좌변에 인접한 보스(1112)가 제1 홀(121a)의 우측 끝단에 접촉하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절 부재(36)를 이용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의 위치의 조정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체적인 곡률(즉, 제1 곡선 바(41)의 양단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곡률)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조절 부재(3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리어 패드(38)는 제1 프런트 패드(33)와 제1 직선 바(31)를 전방으로 누를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124a, 제2 암(83)의 홀(83h)의 좌측 끝단에 접촉한 상태)의 왼쪽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는 제2 리어 패드(39)의 푸시에 의해 휘어지며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2)의 굽힘 및 이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좌변에 인접한 보스(1112)가 제1 홀(121a)의 좌측 끝단에 접촉하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절 부재(36)를 이용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엣지의 위치의 조정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체적인 곡률(즉, 제1 곡선 바(41)의 양단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곡률)은 유지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A)는 오목한 제1 디스플레이(10A)와 이에 결합된 제1 박스(60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B)는 볼록한 제2 디스플레이(10B)와 이에 결합된 제2 박스(6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C)는 오목한 제3 디스플레이(10C)와 이에 결합된 제3 박스(60C)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D)는 볼록한 제4 디스플레이(10D)와 이에 결합된 제4 박스(60D)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은 단차 없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3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 대응한 곡률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곡선 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보스가 관통하고, 상기 보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선에 위치하거나 이에 인접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선에 위치하는 기준 홀들;로서,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 중에 상기 기준 홀들에 삽입된 보스들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을 지니는 기준 홀들; 상기 기준 홀들과 상기 플레이트의 일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홀들;로서,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 중에 상기 제1 홀들에 삽입된 보스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제1 홀들; 그리고, 상기 기준 홀들과 상기 플레이트의 타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홀들;로서,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 중에 상기 제2 홀들에 삽입된 보스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제2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들 중에,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변에 인접한 제1 홀의 폭은 상기 기준 홀들에 가까운 제1 홀의 폭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2 홀들 중에,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타변에 인접한 제2 홀의 폭은 상기 기준 홀들에 가까운 제2 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각각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변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 직선 바;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변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직선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 바의 일단은, 상기 제1 직선 바에 인접할 수 있고, 상기 곡선 바의 타단은, 상기 제2 직선 바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보스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변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2 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직선 바는: 상기 제1 직선 바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직선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보스들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직선 바는: 상기 제2 직선 바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직선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보스들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고, 상기 커넥터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로서, 상기 보스가 형성되는 후면을 가지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랜지의 폭은, 상기 보스의 상기 폭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의 상기 후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휘어진 제1 엣지에 인접하는 제1 곡선 바;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휘어진 제2 엣지에 인접하는 제2 곡선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선 바는: 상기 제2 곡선 바를 향하는 상기 제1 곡선 바의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제1 곡선 바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곡선 바는: 상기 제1 곡선 바를 향하는 상기 제2 곡선 바의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제2 곡선 바의 타면에 형성되는 핀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과 상기 핀 홀은, 상기 제1 곡선 바와 상기 제2 곡선 바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곡선 바는, 상기 플레이트에 대응한 곡률을 지니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어퍼 파트와 이격되는 로어 파트;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와 상기 로어 파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어퍼 파트와 상기 로어 파트에 결합되며, 상기 어퍼 파트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브릿지들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어퍼 파트와 상기 로어 파트 사이에 위치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변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삽입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타변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퍼 파트는: 상기 제1 삽입부가 삽입되는 직선 형상의 어퍼 슬릿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어 파트는: 상기 제2 삽입부가 삽입되는 직선 형상의 로어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홀더의 상기 안착부에 안착 및 결합되는 커넥터; 그리고,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홀더와 대향(opposite)하고,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제어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은, 서로 같거나 다른 곡률을 지닐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이웃하는 플렉서블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의 경계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향하고, 상기 프레임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향하고, 상기 프레임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 대응한 곡률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곡선 바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보스가 관통하고, 상기 보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선에 위치하거나 이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구속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선에 위치하는 기준 홀들;로서,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 중에 상기 기준 홀들에 삽입된 보스들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을 지니는 기준 홀들;
    상기 기준 홀들과 상기 플레이트의 일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홀들;로서,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 중에 상기 제1 홀들에 삽입된 보스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제1 홀들; 그리고,
    상기 기준 홀들과 상기 플레이트의 타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홀들;로서,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 중에 상기 제2 홀들에 삽입된 보스들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제2 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들 중에,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변에 인접한 제1 홀의 폭은 상기 기준 홀들에 가까운 제1 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홀들 중에,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타변에 인접한 제2 홀의 폭은 상기 기준 홀들에 가까운 제2 홀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보스들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각각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변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 직선 바;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변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직선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곡선 바의 일단은, 상기 제1 직선 바에 인접하고,
    상기 곡선 바의 타단은, 상기 제2 직선 바에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보스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변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2 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 바는:
    상기 제1 직선 바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직선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보스들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 바는:
    상기 제2 직선 바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직선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보스들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고, 상기 커넥터의 폭보다 큰 폭을 지니는 슬롯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로서, 상기 보스가 형성되는 후면을 가지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의 폭은, 상기 보스의 상기 폭보다 크며,
    상기 플랜지의 상기 후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바는:
    상기 플레이트의 휘어진 제1 엣지에 인접하는 제1 곡선 바;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휘어진 제2 엣지에 인접하는 제2 곡선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선 바는:
    상기 제2 곡선 바를 향하는 상기 제1 곡선 바의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제1 곡선 바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곡선 바는:
    상기 제1 곡선 바를 향하는 상기 제2 곡선 바의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제2 곡선 바의 타면에 형성되는 핀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과 상기 핀 홀은,
    상기 제1 곡선 바와 상기 제2 곡선 바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서, 서로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바는,
    상기 플레이트에 대응한 곡률을 지니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어퍼 파트와 이격되는 로어 파트;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와 상기 로어 파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어퍼 파트와 상기 로어 파트에 결합되며, 상기 어퍼 파트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브릿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브릿지들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와 상기 로어 파트 사이에 위치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변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삽입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타변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파트는:
    상기 제1 삽입부가 삽입되는 직선 형상의 어퍼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파트는:
    상기 제2 삽입부가 삽입되는 직선 형상의 로어 슬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안착부에 안착 및 결합되는 커넥터; 그리고,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홀더와 대향(opposite)하고,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제어박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은,
    서로 같거나 다른 곡률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104830A 2022-08-22 2022-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6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30A KR20240026679A (ko) 2022-08-22 2022-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22/017029 WO2024043396A1 (ko) 2022-08-22 2022-11-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30A KR20240026679A (ko) 2022-08-22 2022-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79A true KR20240026679A (ko) 2024-02-29

Family

ID=9001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830A KR20240026679A (ko) 2022-08-22 2022-08-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6679A (ko)
WO (1) WO20240433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225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109046A (ko) * 2014-03-19 2015-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9411B1 (ko) * 2014-04-29 2021-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1720178B1 (ko) * 2016-05-2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6295B1 (ko) * 2018-01-31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396A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240B2 (en) Display device
US10181575B2 (en) Display apparatus
US11184986B2 (en) Display device
US8721119B2 (en) LED module design
CN100405151C (zh) 平板显示装置及制造该平板显示装置的方法
KR20180071657A (ko)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KR2019009296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504872B1 (en) Display device
US8508687B2 (en) Display device
US11038295B2 (en) Display device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US10231346B2 (en) Display device
KR2024002667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879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142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434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5423A (ko) 표시장치모듈
US20220338367A1 (en) Display device
KR102663591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655935B2 (en) Display device
KR10266670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049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1006753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