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954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954A
KR20190004954A KR1020170085373A KR20170085373A KR20190004954A KR 20190004954 A KR20190004954 A KR 20190004954A KR 1020170085373 A KR1020170085373 A KR 1020170085373A KR 20170085373 A KR20170085373 A KR 20170085373A KR 20190004954 A KR20190004954 A KR 2019000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opening
display device
guid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954A/ko
Publication of KR2019000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하는 모듈 커버; 상기 모듈 커버에 형성되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을 구비한 래치 개구부; 상기 모듈 커버에 체결되고, 일부가 탄성을 가지며 상기 래치 개구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수용되는 제1 래치; 상기 모듈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커버; 그리고 상기 백 커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래치 개구부의 제2 영역에 수용되며, 상기 래치 개구부에서 상기 제1 래치와 결합하는 제2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백 커버가 모듈 커버에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래에 얇은 두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백커버가 모듈 커버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모듈 커버)에 탈부착 용이한 백 커버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체(모듈 커버)와 백 커버를 결합하는 구성요소의 부피가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하는 모듈 커버; 상기 모듈 커버에 형성되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을 구비한 래치 개구부; 상기 모듈 커버에 체결되고, 일부가 탄성을 가지며 상기 래치 개구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수용되는 제1 래치; 상기 모듈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커버; 그리고 상기 백 커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래치 개구부의 제2 영역에 수용되며, 상기 래치 개구부에서 상기 제1 래치와 결합하는 제2 래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래치는, 상기 모듈 커버에 체결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래치 개구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수용되는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래치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래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래치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 래치부의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말려진(curled)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된 래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래치 고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돌출된 보스(boss); 그리고 상기 보스를 관통하는 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래치 고정부에 형성된 홀에 대응된 결합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결합 개구부와 상기 홀에 수용되고,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제1 래치를 결합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래치 개구부의 제1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슬릿(slit) 형상의 가이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치는, 상기 결합부의 엣지(edge)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개구부에 수용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의 엣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된 제1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결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가이드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의 엣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굽어져 연장된 제2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에서 굽어져 연장되되 상기 제2 부분이 굽어진 방향과 반대로 굽어진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과 제3 부분은, 상기 가이드 개구부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수평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수직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래치는, 상기 백 커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돌출된 제2 래치 바디; 그리고 상기 제2 래치 바디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래치 개구부에서 상기 제1 래치와 결합하는 제2 래치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래치 헤드는, 상기 제2 래치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 커버를 마주하는 걸쇠면; 그리고 상기 걸쇠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쇠면은, 상기 래치 개구부에서 상기 제1 래치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래치는, 금속 재질의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래치는, 상기 백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 커버는 본체(모듈 커버)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체(모듈 커버)와 백 커버를 결합하는 구성요소의 부피가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X1-X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모듈 커버와 제1 래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제2 래치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모듈 커버에 형성된 래치 개구부, 가이드 개구부, 그리고 래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제1 래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14는, 제1 래치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가 모듈 커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17은, 제1 래치의 가이드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forward direction) 또는 전면(front side or 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rearward direction) 또는 후면(rear side or rea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right side) 또는 우면(right surface)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left side) 또는 좌면(lef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개의 픽셀이 각 픽셀당 RGB(red, green or blue)를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스스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프레임(130)이라 칭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품을 지지할 수 잇다.
백 커버(150)는 모듈 커버(1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모듈 커버(13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 2 (b)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전면커버(front side cover)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커버(lateral side cover)로 구분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는 따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런트 커버(10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런트 커버(105)에 감싸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들(light 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30)의 전방에서 프레임(130)과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 어셈블리(123)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는 결합부(125d)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 커버(150) 상에 형성 또는 결합된 구조물에 체결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광학 시트(12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빛을 광학 시트(125)에 제공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3)는 빛을 발생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품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커버(1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런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50)는 레진(resio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X1-X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도 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등은 편의상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X1-X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되 도 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등은 편의상 생략될 수 있다. 도 6및 7은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도 5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및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래치(300)와 제2 래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결합 부재(S)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래치 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보스(boss, 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B)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보스(B)는 모듈 커버(130)의 일 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 커버(130)는 래치 개구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백 커버(150)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제1 래치(300)와 인접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백 커버(150)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모듈 커버(13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보스(B)가 위치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S)는 제1 래치(300)와 모듈 커버(130)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부재(S)는 예를 들어 스크류(S)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S)는, 백 커버(150)를 향하는 스크류 헤드(SH)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S)는, 스크류 헤드(SH)에서 연장되고 제1 래치(300)와 모듈 커버(130)를 통과하는 스크류 네크(S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스크류 헤드(SH)와 보스(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스크류 헤드(SH)와 보스(B) 사이에 미치는 압력에 의해, 모듈 커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백 커버(4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백커버(400)의 전면에서 연장되고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후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제1 래치(300)와 연결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모듈 커버(130)에 연결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된 래치 개구부(5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래치(400)가 래치 개구부(510)에 삽입되면, 제2 래치(400)는 제1 래치(3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래치(400)가 제1 래치(300)와 결합하면, 백 커버(150)가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래치(400)가 래치 개구부(5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래치(400)는 제1 래치(300)의 형상을 일시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탄성을 가져서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모듈 커버(13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래치(300)가 모듈 커버(130)에 결합된 자세(상대적 자세)가 고려될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자세는, 스크류(S)와 제2 래치(400)의 상대적 배치(또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스크류(S)와 제2 래치(400)는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자세는 제2 방향(DR2)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래치(300)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경우, 제2 래치(400)에 고정된 백 커버(150)의 하중(load)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제1 래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래치(300)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경우, 제1 래치(300)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요구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전체적으로 판(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1 래치(300)와 제2 래치(400)가 결합하면, 제1 래치(300)는 제2 래치(400)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강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강성과 탄성을 동시에 필요로 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치(300)는 SU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치(300)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래치(300)는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S)와 제2 래치(4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자세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래치(300)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경우, 제2 래치(400)에 고정된 백 커버(150)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제1 래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래치(300)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경우, 제1 래치(300)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요구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가이드(3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4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34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340)는 제1 가이드(340a), 제2 가이드(340b), 그리고 제3 가이드(340c)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보스(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B)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스(B)는 암나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스(B)는 스크류(S)와 결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래치(400)는 백 커버(400)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제2 래치(400)가 모듈 커버(130)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거나 수용되면, 제2 래치(400)는 제1 래치(30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래치(400)는 제1 래치(300)와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스크류(S)에 의해 모듈 커버(130)에 체결될 수 있다. 보스(B)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래치 개구부(51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의 일부는, 제1래치(3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일부는, 래치 개구부(510)에서 탄성 운동할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일부는, 외력에 의해 래치 개구부(510)에서 모듈 커버(13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제1 래치(30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다른 부분은, 결합 부재(S)에 의해 모듈 커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일 면은 백 커버(150, 도 4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래치(300)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S)에 의해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치(300)는, 2개의 스크류(S)에 의해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2개의 스크류(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래치(300) 중에서 래치 개구부(510)에 위치하는 부분은, 2 개의 스크류(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2개의 스크류(S)와 제1 래치(300)의 배치는, 제1 래치(300)와 모듈 커버(130)의 안정적 결합에 기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래치(400)는 백 커버(150)의 일 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래치(400)는, 백 커버(150)의 전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백 커버(15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백 커버(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래치(400)는, 백 커버(150)와 함께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래치(400)는, 제2 래치 바디(410)와 제2 래치 헤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래치 바디(410)는 백 커버(150)의 일 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래치 바디(410)는 백 커버(15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래치 바디(410)의 길이 방향은, 제2 래치 바디(410)가 백 커버(150)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래치 바디(410)는, 제2 래치 헤드(410)와 백 커버(1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래치 바디(410)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는, 제2 래치 바디(410)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는, 제2 래치 바디(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의 재질은, 제1 래치(300, 도 4 참조)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는 제2 래치 바디(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의 재질은, 제1 래치 바디(410)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의 재질은, 제1 래치(300, 도 4 참조)의 재질과 상이할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는 쐐기(wedg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는 백 커버(150)에서 멀어질수록 작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래치 헤드(420)는, 경사면(421), 연결면(423), 그리고 걸쇠면(latching face, 425)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421)은, 제2 래치 헤드(420)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421)은, 제2 래치(400)가 백 커버(150)에서 돌출된 방향을 비스듬히 향할 수 있다. 경사면(42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2 참조)을 비스듬히 향할 수 있다. 경사면(421)은, 제2 래치 바디(410)의 길이 방향과 경사질 수 있다. 경사면(42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2 참조)과 경사질 수 있다.
경사면(421)은, 제2 래치(400)가 래치 개구부(510, 도 4 참조)에 삽입될 때, 제2 래치(400)를 래치 개구부(510, 도 4 참조)로 유도할 수 있다. 경사면(421)은, 제2 래치(400)가 래치 개구부(510, 도 4 참조)에 삽입될 때, 제1 래치(300, 도 4 참조)에 접할 수 있다.
걸쇠면(425)은, 제2 래치 헤드(420)에 형성될 수 있다. 걸쇠면(425)은, 제2 래치 바디(410)에 연결될 수 있다. 걸쇠면(425)은, 백 커버(150)를 향할 수 있다. 걸쇠면(425)은, 제1 래치(300, 도 4 참조)와 결합할 수 있다.
연결면(423)은, 제2 래치 헤드(42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면(423)은, 경사면(421)과 걸쇠면(4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면(423)은, 경사면(421)에서 연장되어 걸쇠면(425)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래치 개구부(510), 가이드 개구부(520), 그리고 래치 고정부(53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개구부(510)의 폭은, 제10 폭(W10)일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제1 영역(511)과 제2 영역(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513)은 제1영역(511)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영역(511)과 제2 영역(513)은 연통될 수 있다. 제1 영역(511)과 제2 영역(513)은, 래치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영역(511)은, 제1 래치(300, 도 8 참조)에 가려질 수 있다. 제1 영역(511)은, 제1 래치(300, 도 8 참조)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영역(511)은, 제1 래치(300, 도 8 참조)의 일부가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영역(513)은, 제2 래치(400, 도 4 참조)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영역(513)은, 제1 래치(300, 도 8 참조)가 가리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는 가상의 경계선(5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경계선(512)은, 제1 영역(511)과 제2 영역(513)의 사이의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가상의 경계선(512)은, 제1 영역(511)과 제2 영역(513)을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도입된 가상의 선(line)일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제1 래치(300)를 마주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제1 래치(300, 도 8 참조)와 결합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모듈 커버(13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래치 개구부(510)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고정부(530)는 래치 개구부(510)의 제1 영역(511)에 인접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고정부(530)는 제1 래치 고정부(531)와 제2 래치 고정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치 고정부(531)와 제2 래치 고정부(533)는 이격될 수 있다. 래치 개구부(510)의 제1 영역(511)은, 제1 래치 고정부(531)와 제2 래치 고정부(5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는 홀(h,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홀(h)은 래치 고정부(53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h)은 제1 래치 고정부(531) 또는/및 제2 래치 고정부(533)에 형성될 수 있다. 홀(h)은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h)은, 래치 고정부(530)의 위치에서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고정부(530)에 형성된 홀(h)은, 스크류(S, 도 8 참조)가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개구부(520)는 모듈 커버(130)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부(5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개구부(520)는, 제1 가이드 개구부(521), 제2 가이드 개구부(523), 그리고 제3 가이드 개구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개구부(520)는 래치 고정부(530)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개구부(521)는 제1 래치 고정부(531)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래치 고정부(531)는, 제1 가이드 개구부(521)와 제1 영역(5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 개구부(523)는 제2 래치 고정부(533)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래치 고정부(533)는, 제2 가이드 개구부(523)와 제1 영역(5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개구부(520)는 래치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 연장선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 개구부(525)는 래치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 연장선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개구부(510)의 제1 영역(511)은, 래치 개구부(510)의 제2 영역(513)과 제3 가이드 개구부(5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개구부(525)는 래치 개구부(510)와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부(520)는 슬릿(slit) 또는 슬롯(slot)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개구부(520)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개구부(521)의 길이 방향은, 래치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개구부(523)는 제1 가이드 개구부(521)와 나란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개구부(525)의 길이 방향은, 래치 개구부(510)의 폭 방향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래치(300)는, 래치부(310), 결합부(320), 연장부(330), 그리고 가이드(34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연장부(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부(31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래치부(310)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래치부(310)는 연장부(330)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연장부(330)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제1 단(311)에서 제2 단(313)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311)은 래치부(310)의 일 단부(an end)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단(311)은 래치부(310)와 연장부(330)의 경계일 수 있다. 제1 단(311)은 가상의 경계일 수 있다. 래치부(310)의 제1 단(311)은, 연장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311)의 움직임은, 연장부(33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제2 단(313)은 래치부(310)의 타 단부(another end)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단(313)은 제1 단(311)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단(313)은, 래치부(310)의 부분 중에서 연장부(330)에서 멀리 떨어진 부분일 수 있다. 제2 단(313)의 움직임은, 제1 단(311)의 움직임에 비하여 연장부(330)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은, 제1 단(311)에서 제2 단(313)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래치부(310)의 제2 단(313)은 접힐 수 있다. 래치부(310)는 접힘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은, 대응되는 래치 개구부(510, 도 10 참조)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접힘부(315)는, 래치부(310)의 제2 단(313)에 위치할 수 있다. 접힘부(315)는, 래치부(310)의 제2 단(313)이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3 참조)을 향해 꺽여 연장되고 다시 제1 단(311)을 향해 꺽여 연장될 수 있다.
접힘부(315)는, 전체적으로 둥근(r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힘부(315)는, 제2 래치 헤드(420, 도 9 참조)와 접할 수 있다. 접힘부(315)는, 제2 래치(400, 도 4 참조)와 접하며 힘을 주고받을 수 있다. 접힘부(315)가 둥근 형상을 가짐으로써, 접힘부(315)와 제2 래치(400, 도 4 참조)가 서로 접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래치부(310)는, 래치 개구부(510, 도 10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래치부(310)는, 래치 개구부(510, 도 10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래치부(310)는, 래치 개구부(510, 도 10 참조)의 제1 영역(511, 도 10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래치부(310)가 연장부(330)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부(330)에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20)는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래치부(310)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부(310)와 제1 결합부(320a) 사이에, 제1 간격(g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부(310)와 제2 결합부(320b) 사이에, 제2 간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래치부(310)의 움직임에 의한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 간격(g1)은, 래치부(310)와 제1 결합부(320a)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간격(g2)은, 래치부(310)와 제2 결합부(320b)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결합부(320)는, 결합 개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개구부(321)는 결합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321)는 제1 결합 개구부(321a)와 제2 결합 개구부(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개구부(321a)는 제1 결합부(32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개구부(321b)는 제2 결합부(320b)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래치 고정부(530, 도 10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320a)는 제1 래치 고정부(531)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320b)는 제2 래치 고정부(533)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결합 개구부(321a)는, 제1 래치 고정부(531)에 형성된 홀(h)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결합 개구부(321a)는, 제2 래치 고정부(533)에 형성된 홀(h)에 대응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래치 고정부(530, 도 10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320a)는 제1 래치 고정부(53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320b)는 제2 래치 고정부(533)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340)는, 결합부(320) 또는 연장부(3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340)는, 결합부(320)의 엣지(edge) 또는 연장부(330)의 엣지(edge)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40)는, 결합부(320) 또는 연장부(330)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340)는, 결합부(320) 또는 연장부(33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3 참조)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34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340)는, 제1 가이드(340a), 제2 가이드(340b), 그리고 제3 가이드(3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340a)는, 제1 결합부(320a)의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는, 제1 가이드(340a)와 래치부(3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340b)는, 제2 결합부(320b)의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는, 제2 가이드(340b)와 래치부(3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이드(340c)는, 연장부(330)의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제3 가이드(340c)와 래치부(3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340)는 가이드 개구부(520, 도 10 참조)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340a)는, 제1 가이드 개구부(521)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340b)는, 제2 가이드 개구부(523)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340c)는, 제3 가이드 개구부(525)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가이드(340)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340)는, 대응되는 가이드 개구부(520)의 형상에 대응되어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340a)의 길이 방향은,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340b)는, 제1 가이드(340a)와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340c)의 길이 방향은, 래치부(310)의 폭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또는 제3 가이드(340c)의 길이 방향은, 제1 가이드(340a)에서 제2 가이드(340b)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래치(300)는 결합부(320)와 래치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1 래치(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는, 제1 래치(300)의 제1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결합부(320)에서 연장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제1 단(311)에서 제2 단(313)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은, 제1 단(311)에서 제2 단(313)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래치부(310)의 적어도 일부는, 모듈 커버(130, 도 4 참조)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단(311)은 래치부(310)의 일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단(313)은, 래치부(310)의 타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단(313)은 제1 단(311)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단(311)은, 래치부(310)와 결합부(320)의 경계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단(311)은, 가상의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1 길이(L1)일 수 있다. 래치부(310)의 폭 방향의 폭은, 제1 폭(W1)일 수 있다. 제1 폭(W1)은, 래치부(310)의 제2 단(313)에 대응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래치부(310)에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부(320)의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래치부(310)의 폭 방향으로, 결합부(320)의 폭은 래치부(310)의 폭인 제1 폭(W1)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부(310)의 폭 방향으로, 결합부(320)의 폭은 제1 폭(W1)일 수 있다.
결합부(320)는 결합 개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개구부(321)는 결합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모듈 커버(130, 도 3 또는 4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321)는, 스크류 등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전체적인(overall) 크기 및 형상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1 래치(300)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의 합(sum)일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폭 방향의 폭은, 제1 폭(W1)일 수 있다.
막대 형상의 제1 래치(300)는, 상대적으로 큰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질 수 있다. 제1 래치(300)의 종횡비는, L1+L2 : W1 일 수 있다. 또는 제1 래치(300)의 종횡비는, (L1+L2)/W1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는, 모듈 커버(130, 도 8 참조)의 영역 중에서 좁고 긴 영역에 설치되기 용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의 래치부(310)의 종횡비는, L2/W1일 수 있다. 래치부(310)의 종횡비는, 래치부(310)의 탄성력과 관련될 수 있다. 또는 래치부(310)의 종횡비는, 래치부(310)의 탄성 계수와 관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래치(300)는, 래치부(310), 결합부(320),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1 래치(30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는, 제1 래치(300)의 제2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연장부(330)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은, 래치부(310)가 연장부(330)에서 연장된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 길이는, 제1 길이(L1)일 수 있다. 래치부(310)의 폭 방향 너비는, 제1 폭(W1)일 수 있다. 래치부(310)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래치부(310)의 폭 방향은, 제2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래치부(310)와 연장부(330)의 가상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부(310)는, 래치부(310)와 연장부(330)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 단(311)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제1 단(31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단(31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0)는, 연장부(330)에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20)가 연장부(330)에서 연장되는 방향은, 래치부(310)가 연장부(330)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20)가 연장부(330)에서 연장되는 방향은, 래치부(310)가 연장부(330)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20)는,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0)가 복수 개로 제공되면, 제1 래치(300)가 모듈 커버(130, 도 8 참조)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의 제1 방향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의 제1 방향 길이는, 제1 결합부(320a)의 제1 방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의 제2 방향 폭은, 제2 폭(W2)일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의 제2 방향 폭은, 제3 폭(W3)일 수 있다.
결합 개구부(321)는 결합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개구부(321a)는 제1 결합부(320a)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개구부(321b)는 제2 결합부(320b)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30)의 제1 방향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연장부(330)는,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부(330)는, 제1 결합 개구부(321a)와 제2 결합 개구부(321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 연장부(330), 그리고 제2 결합부(320b)의 제2 방향 폭은, 제4 폭(W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 도 12 참조)에 비하여, 낮은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의 종횡비는, (L1+L2)/W4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가 모듈 커버(130, 도 8 참조)를 커버하는 면적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 도 12 참조)가 모듈 커버(130, 도 8 참조)를 커버하는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의 래치부(310)의 종횡비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의 래치부(310)의 종횡비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의 종횡비는, L1/W1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의 탄성 계수는, 래치부(310)의 종횡비와 전체 형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부(310)의 종횡비가 크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의 탄성 계수는 작아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는, 연장부(330)를 매개로 하여 결합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의 제2 단(313)에 가해진 외력이 결합부(320)에 전달되는 경로의 길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 도 12 참조)의 제2 단(313)에 가해진 외력이 결합부(320, 도 12 참조)에 전달되는 경로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의 탄성 계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310, 도 12 참조)의 탄성 계수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래치(300)는, 래치부(310), 결합부(320),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제1 래치(30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는, 제1 래치(300)의 제3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래치부(310)와 결합부(320)는, 연장부(330)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래치부(310)는, 결합부(320)가 연장부(330)에서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부(330)에서 돌출될 수 있다.
래치부(310)의 제1 방향 길이는, 제1 길이(L1)일 수 있다. 래치부(310)는, 연장부(330)에서 제1 길이(L1)만큼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래치부(310)의 제2 방향 폭은, 제1 폭(W1)일 수 있다.
래치부(310)는, 모듈 커버(130, 도 10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부(310)는, 래치 개구부(510, 도 10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래치부(310)는, 래치 개구부(510)의 제1 영역(511, 도 10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폭(W1)은, 제10 폭(W10) 보다 작을 수 있다.
결합부(320)는,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310)는,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와 래치부(310) 사이에 제1 간격(g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는, 래치부(310)와 제8 폭(W8)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와 래치부(310) 사이에 제2 간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는, 래치부(310)와 제9 폭(W9)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의 제2 방향 폭은, 제5 폭(W5)일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의 제2 방향 폭은, 제6 폭(W6)일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와 연장부(330)의 제1 방향 길이는, 제3 길이(L3)일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와 연장부(330)의 제1 방향 길이는, 제3 길이(L3)일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 연장부(330), 그리고 제2 결합부(320b)의 제2 방향 폭은, 제7 폭(W7)일 수 있다. 연장부(330)의 제1 방향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는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320a)는, 제1 래치 고정부(531, 도 10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에 형성된 제1 결합 개구부(321a)는, 제1 래치 고정부(531)에 형성된 홀(h)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는 모듈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320b)는, 제2 래치 고정부(533, 도 10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에 형성된 제2 결합 개구부(321b)는, 제2 래치 고정부(533)에 형성된 홀(h)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의 래치부(310)의 제2 단(313)에 가해진 외력은, 래치부(310)와 연장부(330)를 거쳐 결합부(320)까지 도달할 수 있다. 외력이 래치부(310)의 제2 단(313)에서 연장부(330)에 도달하는 경로는, 외력이 연장부(330)에서 결합부(320)에 도달하는 경로와 제1 방향에서 중첩될 수 있다.
외력이 래치부(310)에서 결합부(320)까지 도달하는 경로는, 제1 래치(300)의 탄성 계수와 관련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 도 13 참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7 폭(W7)은, 제4 폭(W4, 도 13 참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 도 13 참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멘젼(dimension)을 가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래치(300)가 모듈 커버(130)에 결합된 모습이 단면 형상으로 관찰될 수 있다. 가이드(300)는 결합부(320)의 엣지(edge) 또는 연장부(330, 도 14 참조)의 엣지(edge)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340b)는 결합부(320)의 일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340c)는 결합부(320)의 타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가이드(340c)는 제2 가이드(340b)의 맞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340b)의 형상은 제3 가이드(340c)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340b)는, 결합부(320)의 일 엣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2 참조)를 향해 굽어져 연장되고 래치 고정부(5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져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340c)는, 결합부(340)의 타 엣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2 참조)을 향해 굽어져 연장되고 다시 동일한 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 굽어져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가이드(340c)는 주름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340b)의 기능은 제3 가이드(340c)의 기능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340b)는, 제1 래치(300)를 모듈 커버(130)에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 가이드(340c)는, 제1 래치(300)를 모듈 커버(130)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 가이드(340c)에 의해 모듈 커버(130)에 고정된 제1 래치(300)는, 스크류(S, 도 7 참조)에 의해 모듈 커버(13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가이드(340b) 또는 가이드(340)는, 제1 부분(341)과 제2 부분(34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1 부분(341)은, 결합부(320) 또는 연장부(330, 도 11 참조)에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41)은 결합부(320)에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1 부분(341)은 가이드 개구부(520, 도 10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은, 가이드(340)의 제1 부분(341)에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은, 결합부(320) 또는 연장부(330, 도 11 참조)에서 멀어지도록, 가이드(340)의 제1 부분(341)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은, 결합부(320) 또는 연장부(330, 도 11 참조)와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은, 가이드 개구부(520, 도 10 참조)를 통과하여 모듈 커버(130, 도 8 참조)의 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 커버(130, 도 8 참조)의 이면은, 제1 래치(300)의 결합부(320)를 마주하는 모듈 커버(130, 도 8 참조)의 면의 반대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2 참조)과 모듈 커버(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3 가이드(340c) 또는 가이드(340)는, 제1 부분(341), 제2 부분(343), 그리고 제3 부분(34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1 부분(341)은, 결합부(320) 또는 연장부(330, 도 11 참조)에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은, 가이드(340)의 제1 부분(341)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3 부분(345)은,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과 제3 부분(345)은, 노치(347, V-notch)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과 제3 부분(345)은, 노치(347)가 향하는 방향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과 제3 부분(345)은, 가이드 개구부(520, 도 10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과 제3 부분(345)은, 가이드 개구부(520, 도 10 참조)에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340)의 제2 부분(343)과 제3 부분(345)이 가이드 개구부(520, 도 10 참조)에서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가이드(340)는 가이드 개구부(520, 도 10 참조)와 결합(coupl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 패널
130: 모듈 커버 150: 백 커버
300: 제1 래치 400: 제2 래치
510: 래치 개구부 520: 가이드 개구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하는 모듈 커버;
    상기 모듈 커버에 형성되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을 구비한 래치 개구부;
    상기 모듈 커버에 체결되고, 일부가 탄성을 가지며 상기 래치 개구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수용되는 제1 래치;
    상기 모듈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커버; 그리고
    상기 백 커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래치 개구부의 제2 영역에 수용되며, 상기 래치 개구부에서 상기 제1 래치와 결합하는 제2 래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는,
    상기 모듈 커버에 체결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래치 개구부의 상기 제1 영역에 수용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래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래치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래치부의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말려진(curled) 접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된 래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고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돌출된 보스(boss); 그리고
    상기 보스를 관통하는 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래치 고정부에 형성된 홀에 대응된 결합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개구부와 상기 홀에 수용되고,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제1 래치를 결합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개구부의 제1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슬릿(slit) 형상의 가이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치는,
    상기 결합부의 엣지(edge)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개구부에 수용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의 엣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된 제1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결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가이드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결합부의 엣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굽어져 연장된 제2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에서 굽어져 연장되되 상기 제2 부분이 굽어진 방향과 반대로 굽어진 제3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과 제3 부분은,
    상기 가이드 개구부에 끼워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수평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수직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치는,
    상기 백 커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돌출된 제2 래치 바디; 그리고
    상기 제2 래치 바디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래치 개구부에서 상기 제1 래치와 결합하는 제2 래치 헤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치 헤드는,
    상기 제2 래치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 커버를 마주하는 걸쇠면; 그리고
    상기 걸쇠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면은,
    상기 래치 개구부에서 상기 제1 래치와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는,
    금속 재질의 판 스프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치는,
    상기 백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70085373A 2017-07-05 2017-07-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04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73A KR20190004954A (ko) 2017-07-05 2017-07-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73A KR20190004954A (ko) 2017-07-05 2017-07-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54A true KR20190004954A (ko) 2019-01-15

Family

ID=6503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373A KR20190004954A (ko) 2017-07-05 2017-07-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790A1 (ko) * 2019-04-18 202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790A1 (ko) * 2019-04-18 202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849547B2 (en) 2019-04-18 2023-12-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215B2 (en) Display apparatus
KR102504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047516A1 (en) Display device
KR1025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276402B1 (en) Display device
US20170192290A1 (en) Display device
US20120182493A1 (en) Display device
EP2977814A1 (en) Display device
EP3267243A1 (en) Display device
US9176273B2 (en) Backlight unit for use in multiple-display device
US11846839B2 (en) Display device
KR10254773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049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62773B1 (ko) 가변형 표시장치
US11042060B2 (en) Display device
US9772537B2 (en) Edge-lit backlight module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79418A (ja) 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KR1023174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306105A1 (en) Backlight and display device
US7751182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55583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40024401A (ko) 회로기판의 마운팅 보스 및 이를 포함한 pdp모듈의베이스 섀시
KR10082105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20200138516A (ko)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