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04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046A
KR20150109046A KR1020140032007A KR20140032007A KR20150109046A KR 20150109046 A KR20150109046 A KR 20150109046A KR 1020140032007 A KR1020140032007 A KR 1020140032007A KR 20140032007 A KR20140032007 A KR 20140032007A KR 20150109046 A KR20150109046 A KR 2015010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display module
guide rail
stat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후
오준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9046A/ko
Priority to US14/662,979 priority patent/US20150271931A1/en
Publication of KR2015010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로 변형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양측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과 대응하여 직선 상태와 곡선 상태로 변형하는 제 1 이동부재와 제 2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장치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가 포함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패널의 경우, 일정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곡면인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차원 영상을 통해서도 삼차원 영상과 같은 입체감을 일부 느낄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사용자에 따라서는 곡면 상태의 디스플레이 모듈 보다 평면 상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시청자가 한 명일 경우에는 곡면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다수가 시청할 경우에는 시야각의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곡면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다 종래와 같은 평면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다 정확한 영상을 전달할 수 있어 컨텐츠에 따라서는 곡면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다 종래와 같은 평면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리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적으로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 상태와 양측이 전방측으로 돌출된 곡면 상태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로 변형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타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과 대응하여 직선 상태 및 곡선 상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를 서로 반대로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그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과 상호 작용하는 캠부와, 그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그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 후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그 후면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은 그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외곽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그 양측에 상하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밴딩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평면에 서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스탠드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측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를 서로 반대로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 상태와 양측이 전방측으로 돌출된 곡면 상태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평면에 서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타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장치를 통해 변형하여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 상태인 경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상태인 경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 상태일 경우의 구동장치 동작을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상태일 경우의 구동장치 동작을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이 표시되며 평면 상태와 양측단이 전방측으로 돌출된 곡면 상태로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로 변형하는 구동장치(20, 도 3 참조)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수평면에 서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대응하도록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12)과, 지지패널(12)의 후면 외곽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13)을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13)은 그 양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연결부(21b)가 연결되는 한 쌍의 변형 가이드부(14a)를 포함한다. 변형 가이드부(14a)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장치(2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일측에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 1 측단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1 이동부재(21R)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타측에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 2 측단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2 이동부재(21L)와, 제 1 이동부재(21R)와 제 2 이동부재(21L)가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유닛(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유닛(22)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a)와, 제 1 이동부재(21R)와 제 2 이동부재(21L)의 일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22a)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 1 이동부재(21R)와 제 2 이동부재(21L)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캠(22b)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측에 위치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일단에는 캠(22b)과 접하여 캠(22b)과 상호 작용하는 캠부(21a)가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측에 위치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타단에는 가이드 프레임(13)에 연결되어 가이드 프레임(13)에 힘을 가하는 연결부(21b)가 마련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상술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레일(14R)과 제 2 가이드레일(14L)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레일(14R)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일측에 배치되어 제 1 이동부재(21R)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가이드레일(14L)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타측에 배치되어 제 2 이동부재(21L)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는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레일(14R, 14L)들에 걸리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부(21c)들을 각각 포함한다.
한편 제 1 가이드레일(14R)은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을 포함하여 두 제 1 가이드레일(14R) 사이에 상술한 제 1 이동부재(21R)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가이드레일(14L)은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을 포함하여 두 제 2 가이드레일(14L) 사이에 상술한 제 2 이동부재(21L)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들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들에는 상술한 이동 가이드부(21c)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홈(14a)이 각각 마련된다.
상술한 제 1 이동부재(21R), 제 2 이동부재(21L),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들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들은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로 변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과 함께 직선 상태와 곡선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 1 이동부재(21R), 제 2 이동부재(21L),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들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들의 후면에는 슬릿(21d, 14b)들이 각각 마련된다. 슬릿(21d, 14b)들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제 1 이동부재(21R), 제 2 이동부재(21L),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들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들의 각 후면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는 스탠드(30)와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15)가 설치된다. 베이스 부재(15)는 베이스 부재(15)는 대략 상하로 길게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5)에는 상술한 구동유닛(22), 즉, 구동모터(22a) 및 캠(22b)이 설치되며,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는 베이스 부재(15)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이동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은 베이스 부재(15)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캠(22b)은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캠부(21a)와 접하여 제 1 이동부재(21R)와 제 2 이동부재(21L)를 양측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스탠드(30)는 바닥에 지지되는 서포트부(31)와, 서포트부(3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넥부(32)를 포함하며, 넥부(3)의 상단에 상술한 베이스 부재(15)가 연결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그 후면을 형성하는 케이스(16)를 포함한다. 케이스(16)는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구동장치(20)의 후방측을 덮어 가리며,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과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인 상태에서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캠(22b)의 단축이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캠부(21a)와 대향된다.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입력되어 구동모터(22a)에 의해 캠(22b)이 90도 각도 회전하면, 캠(22b)의 장축이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캠부(21a)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캠부(21a)와 접촉하여,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를 양측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는 연결부(21b)를 통해 가이드 프레임(13)의 변형 가이드부(14a)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측단은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측은 베이스 부재(15)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할 수 없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측단만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 상태가 된다.
또한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각각 복수의 슬릿(21d, 14b)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으로 변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대응하도록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들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들 또한 변형된다.
이때,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R)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4L)의 곡선 상태로의 변형은 각 구성에 마련되어 있는 슬릿(21d, 14b)들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20)는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를 각각 하나씩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서는 구동장치(20)가 제 1 이동부재(21R) 및 제 2 이동부재(21L)를 각각 복수개씩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리모컨(미도시)이나 디스플레이 장치(1)에 마련된 버튼(미도시)을 각각 포함하여,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구동장치(20)에 의해 자동으로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표시될 컨텐츠가 뉴스와 같은 컨텐츠라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입력될 경우에는 구동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가 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표시될 컨텐츠가 영화라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입력될 경우에는 구동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컨텐츠의 종류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버튼을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방송사 등의 영상 송출자로부터 영상신호와 함께 전송받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평면 상태 또는 일정 곡률로 변형된 곡면 상태 중 어느 한 상태가 되도록 변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곡률이 일정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형되거나, 다단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할 때, 가압 시간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형되도록 하거나, 버튼을 가압한 횟수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이 다단으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5)는 대략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평판 형상 등 구동유닛(22)을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베이스 부재(15)를 형성하여 베이스 부재(15)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5)는 스탠드(30)와 별도로 구성되어 스탠드(30)의 넥부(3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부재(15)가 스탠드(3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5)는 스탠드(30)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스탠드(30)를 통해 수평면에 서 있는 상태로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부재(15)가 스탠드(30) 대신 벽에 고정되는 벽걸이용 브래킷(미도시)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에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1: 디스플레이 패널 12: 지지패널
13: 가이드 프레임 14L, 14R: 가이드레일
15: 베이스 부재 16: 케이스
20: 구동장치 21L, 21R: 이동부재
22: 구동유닛 22a: 구동모터
22b: 캠 30: 스탠드
31: 서포트부 32: 넥부

Claims (20)

  1. 평면 상태와 양측이 전방측으로 돌출된 곡면 상태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로 변형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타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과 대응하여 직선 상태 및 곡선 상태로 변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를 서로 반대로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그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과 상호 작용하는 캠부와, 그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그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각각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 후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그 후면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은 그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각각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외곽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그 양측에 상하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밴딩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평면에 서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스탠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측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를 서로 반대로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평면 상태와 양측이 전방측으로 돌출된 곡면 상태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평면에 서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타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과 대응하여 직선 상태 및 곡선 상태로 변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2 이동부재는 그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각각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 후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그 후면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은 그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각각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32007A 2014-03-19 2014-03-19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9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07A KR20150109046A (ko) 2014-03-19 2014-03-19 디스플레이 장치
US14/662,979 US20150271931A1 (en) 2014-03-19 2015-03-1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07A KR20150109046A (ko) 2014-03-19 2014-03-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046A true KR20150109046A (ko) 2015-10-01

Family

ID=5414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007A KR20150109046A (ko) 2014-03-19 2014-03-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71931A1 (ko)
KR (1) KR201501090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178B1 (ko) * 2016-05-2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983428B2 (en) 2016-05-02 2018-05-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urve control assembly and display panel curvable thereby
WO2024043396A1 (ko)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3719B (zh) * 2015-03-18 2017-10-3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曲面显示装置和曲面显示方法
KR102353426B1 (ko) * 2015-05-27 2022-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354563B2 (en) * 2017-05-12 2019-07-16 HKC Corporation Limited Curved display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D1021836S1 (en) * 2021-10-28 2024-04-09 Lg Electronics Inc. TV receiver
USD1021840S1 (en) * 2021-10-28 2024-04-09 Lg Electronics Inc. TV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8123B (zh) * 2011-10-28 2013-11-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US9711752B2 (en) *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978206B1 (ko)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46927B1 (ko) * 2013-04-18 2019-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3428B2 (en) 2016-05-02 2018-05-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urve control assembly and display panel curvable thereby
KR101720178B1 (ko) * 2016-05-2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290240B2 (en) 2016-05-27 2019-05-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4043396A1 (ko)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1931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90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645605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deforma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24660B2 (en) Display apparatus
US9730342B2 (en) Display apparatus
KR1017602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388653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9010707B2 (en) Wall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U2016200399B2 (en) Curved display apparatus
KR20150018339A (ko) 디스플레이장치
EP3097689B1 (en) Multi-view display control for channel selection
US11023195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JP6229158B2 (ja) 操作スイッチおよび操作装置
KR20150081225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000298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4519291A (zh) 显示装置和使用其的显示方法
US20140297471A1 (en) Commodity introduction system and commodity introduction method
US9538117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90052A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KR102254857B1 (ko) 영상 표시 장치
US11122236B2 (en) Display apparatus with movable sensor module
JP2016061983A (ja) 投影システム、投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投影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820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328663A1 (en) Display device
CN101561073B (zh) 显示器底座
KR2015012540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