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172B1 -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3172B1 KR102513172B1 KR1020160107575A KR20160107575A KR102513172B1 KR 102513172 B1 KR102513172 B1 KR 102513172B1 KR 1020160107575 A KR1020160107575 A KR 1020160107575A KR 20160107575 A KR20160107575 A KR 20160107575A KR 102513172 B1 KR102513172 B1 KR 102513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outer housing
- sound system
- gea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텀 케이스; 상기 바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탑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가능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 하우징; 그리고, 상기 승강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하우징은,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리프트 슬롯을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사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는 사운드 시스템이나 화상제어시스템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분리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는 사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텀 케이스; 상기 바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탑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가능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 하우징; 그리고, 상기 승강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하우징은,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리프트 슬롯을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는 사운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의 자동 개폐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의 자동 승강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의 자동 개폐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의 자동 승강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1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10)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의 헤드(1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백 커버(200) 및 PCB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헤드(1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터페이스 PCB(174)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가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7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하우징의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신호에 따라 구동파형을 인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스 PCB(172)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72)의 일 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소스 PCB(17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데이터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데이터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가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200)를 결합하기 위해 접착시트(350)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접착시트(350)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비어있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PCB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일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결합하며, 타 면이 백 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절연시트(251)가 위치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백 커버(20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소스PCB(172)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절연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커버(4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를 누설전류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백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백 커버(200)는 접착시트(3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백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백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백 커버(200)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200)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200)는 적어도 일부의 수직방향 두께가 다른 부분의 수직방향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즉, 백 커버(200)는 포밍(forming)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백커버(200)의 엣지영역의 두께가 백 커버(200)의 다른 부분의 수직방향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백 커버(200)가 포밍되어 있기 때문에 백 커버(20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백 커버(200)는 월브라켓(500)과 결합할 때, 엣지부분의 두께로 인해 월브라켓(500)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백 커버(200)의 네 코너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홀(271)이 위치할 수 있다. 결합홀(271)은 백 커버(200)를 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다. 결합홀(271)은 월브라켓(500)과 헤드(10)를 결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결합홀(271)이 위치하는 부분의 수직방향 두께는 다른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월 브라켓(500)과 헤드(10)가 인접하여 결합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백 커버(200)의 엣지영역의 경계에 결합부(166)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백 커버(200)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백 커버(200)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66)가 위치한 부분은 백 커버(200)의 결합 홀이 위치한 부분과 수직방향 높이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결합부(166)의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백 커버(200)의 두께가 얇을 부분이라면 어떤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66)는 헤드(10)와 월브라켓(500)이 결합할 때, 자성에 의해 더 강하게 결합되도록 도울 수 있다.
백커버(200)는 결합시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273)가 위치할 수 있다. 즉, 개구부(273)는 백 커버(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2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 인터페이스 PCB(174)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백 커버(200)에 개구부(273)가 너무 많이 형성되는 경우 백 커버(200)에 크랙이 형성되거나 강성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커버(200)는 개구부(273)가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가 위치한 영역의 후면에 PCB 커버(400)가 제공될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제 1,2 PCB 커버(431, 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PCB 커버(431)는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제 2 PCB 커버(435)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PCB 커버(435)는 개구부(273)를 덮을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불투명할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소스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절연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커버(4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를 누설전류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백 커버(200)만으로 지탱해줄 수 있다. 즉, 헤드(10)는 백 커버(200)를 제외한 다른 커버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헤드(10)의 두께가 매우 얇아졌다고 느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110) 및 상부 전극(12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140)은 투명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부 전극(140)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전극(140)의 일면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전극(120, 140)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부 전극(120)과 투명 기판(110)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전극(140)으로 발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하부 전극(140) 뒤에 차광판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백 커버(200)에 접착시트(350)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양 면을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별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로 이물질 또는 먼지가 들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실링 부재(183)를 사이드 실링할 수 있다. 실링 부재(183)는 접착시트(35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 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프레임(187)이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87)은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접하며 일 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해 연장하도록 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 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 미들 케비넷(193)이 위치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플랜지(193a)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몸체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200)의 적어도 일 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의 플랜지(193a)는 접착시트(35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시트(3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조할 때 필요한 접착시트(350)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백 커버(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여 밴딩될 수 있다. 백 커버(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밴딩되기 때문에,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측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200) 사이에 다른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백 커버(200)의 가장자리가 접착시트(35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시트(3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조할 때 필요한 접착시트(350)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헤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헤드(10)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구성요소들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차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상세한 결합 구조와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300)은 헤드(10)와 접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 표시되는 부분에 하우징(30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은 평평한 형상인 복수개의 플랫 케이블(161)를 통해 헤드(10)와 연결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하우징(300)과 헤드(10)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신호연결 단자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단자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다른 케이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다른 예로, 도 5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은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하여 헤드(1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서 여러 개의 플랫 케이블(161)로 연결되던 전기 신호들을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연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300)과 헤드(10)가 복수개가 아닌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관이 더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의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과 헤드(10)는 무선으로 전기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플랫 케이블(161) 또는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하우징(300)과 헤드(10)가 연결될 때 보다 더 외관이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
하우징(300)은 이하에서, 사운드 시스템 또는 제어시스템 또는 제어유닛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6내지 8을 참조하면, 사운드 시스템(300)은 헤드(10)로부터 분리되어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사운드 시스템(300)은 헤드(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운드 시스템(300)은 복수개의 스피커 모듈(300S1,300S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피커 모듈(300S1,300S2)은 사운드 시스템(3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운드 시스템(300)은 케이스(300B,300T)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300B,300T)는 바텀 케이스(300B), 그리고 탑 케이스(300T)를 구비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300S1,300S2)의 일부는 탑 케이스(300T)의 일부 영역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탑 케이스(300T)는 개구부(300H1,300H2)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300H1,300H2)는 탑케이스(300T)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피커 모듈(300S1)은 케이스(300B,300T)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스피커 모듈(300S2)은 케이스(300B,300T)의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300H1)는 탑 케이스(300T)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부(300H2)는 탑 케이스(300T)의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피커 모듈(300S1)의 일부는 제1 개구부(300H1)를 통해 탑 케이스(300T)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2 스피커 모듈(300S2)의 일부는 제2 개구부(300H2)를 통해 탑 케이스(300T)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스피커 모듈(300S1,300S2)은 슬라이더(310), 그리고 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310)는 플레이트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310)는 반원 형상의 개구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캡(320)은 서클(321), 그리고 브릿지(322,324)를 구비할 수 있다.
서클(321)은 슬라이더(310)의 개구부(31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지닐 수 있다. 서클(321)은 슬라이더(310)의 개구부(31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브릿지(322,324)는 서클(3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브릿지(322,324)는 서클(321)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브릿지(322,324)는 슬라이더(31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서클(32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슬라이더(310)는 제1 윙(312), 그리고 제2 윙(313)을 구비할 수 있다. 캡(320)은 제1 브릿지(322), 그리고 제2 브릿지(3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브릿지(322)는 제1 윙(312) 상에 장착되거나 제1 윙(312)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브릿지(324)는 제2 윙(313) 상에 장착되거나 제2 윙(3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브릿지(322) 및 제2 브릿지(324)는 제1 윙(312) 및 제2 윙(313)의 상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1 브릿지(322) 및 제2 브릿지(324)는 제1 윙(312) 및 제2 윙(313)에 탄성부재(S)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는데, 탄성부재(S)는 예를 들면 스프링일 수 있다.
캡(320)은 롤러(R1~R4)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R1~R4)는 브릿지(322,324)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롤러(R1,R2)는 제1 브릿지(322)에 위치하고, 제2 롤러(R3,R4)는 제2 브릿지(324)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롤러(R1,R2) 및/또는 제2 롤러(R3,R4)는 복수개일 수 있다. 롤러(R1~R4)는 브릿지(322,324)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베이스 커버(330)는 개구부(332), 제1 사이드(334), 그리고 제2 사이드(336)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332)는 제1 장변(332LS1), 제2 장변(332LS2), 제1 단변(332SS1), 제2 단변(332SS2), 제1 만(332I, bay or gulf), 그리고 제2 만(332F)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332)는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고, 넓은 폭을 지닐 수 있다. 제1 장변(332LS1) 및/또는 제2 장변(332LS2)은 직선일 수 있다. 제1 단변(332SS1) 및/또는 제2 단변(332SS2)은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제1 만(332I)은 제1 단변(332SS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만(332I)은 제1 단변(332SS1)이 직선인 경우 제1 단변(332SS1)이 베이스 커버(330)의 내측으로 함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만(332F)은 제2 단변(332S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만(332F)은 제2 단변(332SS2)이 직선인 경우 제2 단변(332SS2)이 베이스 커버(330)의 내측으로 함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만(332I)은 캡(320) 또는 서클(321)의 일측과 대응될 수 있고, 제2 만(332F)은 캡(320) 또는 서클(321)의 타측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사이드(334)는 제1 장변(332LS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사이드(336)는 제2 장변(332LS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사이드(334) 및/또는 제2 사이드(336)는 레일이라 칭할 수 있다.
구동부(M)는 제1 사이드(334)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M)는 모터일 수 있다. 구동부(M)는 제1 사이드(334)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M)는 제1 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롤러(R1~R4)는 제1 사이드(334) 또는 제2 사이드(336)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사이드(334) 또는 제2 사이드(33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더(31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1 사이드(334) 또는 제2 사이드(336)는 홀(h1~h4) 또는 홈(h1~h4)을 구비할 수 있다. 롤러(R1~R4)는 슬라이더(310)와 함께 제1 사이드(334) 또는 제2 사이드(336)를 따라서 움직이다가 일정 위치에서 홀(h1~h4)에 삽입될 수 있다. 홀은 홈이라 칭할 수 있고, 양자는 혼용될 수 있다.
이때, 캡(320)이 상승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설명한 캡(320)의 상승은 롤러(R1~R4)가 홀(h1~h4)에 삽입되는 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홀(h1~h4)은 복수개가 제1 사이드(334) 또는 제2 사이드(336)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h1~h4)은 제1 홀(h1,h3), 그리고 제2 홀(h2,h4)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홀(h1,h3) 및 제2 홀(h2,h4)은 제1 사이드(33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h1,h3)은 제2 홀(h2,h4)과 일렬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홀(h1,h3) 및 제2 홀(h2,h4)의 엇갈린 배치는 제1 사이드(334) 또는 제2 사이드(336)를 움직이는 롤러(R1~R4)가 제1 홀(h1,h3) 또는 제2 홀(h2,h4)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롤러(R)는 하나의 홀(h)에 정해진 위치에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모터(M)는 제1 사이드(334)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M)는 제1 기어(G1)와 기계적(mechanically)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G2)는 제1 기어(G1)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기어(G2)는 제1 사이드(334)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기어(G2)는 샤프트(SH)에 체결 또는 고정될 수 있고, 샤프트(SH)는 제1 사이드(334)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면서 제1 사이드(334) 또는 베이스 커버(3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기어(G3)는 베이스 커버(330)의 내측 또는 제1 사이드(33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샤프트(SH)에 체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제3 기어(G3)는 제2 기어(G2)의 회전과 동일한 회전을 할 수 있다. 제4 기어(G4)는 제3 기어(G3)에 맞물릴 수 있다. 제4 기어(G4)는 리드 샤프트(340)에 끼워질 수 있다. 제4 기어(G4)의 회전은 리드 샤프트(3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리드 샤프트(340)는 리드 스크류라 칭할 수 있다.
제1 기어(G1), 제2 기어(G2), 제3 기어(G3) 및/또는 제4 기어(G4)는 기어박스라 칭할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리드 샤프트(340)는 외주면에 암나사부(342)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M)가 기어들(G1~G4)을 통해 리드 샤프트(340)에 회전력을 전달하면, 리드 샤프트(340)가 회전하면서 암나사부(342)는 홀더(3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홀더(350)는 수나사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350)는 전체적으로 U 또는 V 형상의 단면을 지닐 수 있고, 수나사부(352)는 홀더(35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더(350)가 리드 샤프트(340)에 끼워지면 수나사부(352)는 리드 샤프트(340)의 암나사부(34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수 있다. 수나사부(352)는 복수개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350)는 슬라이더(310)에 고정 또는 체결될 수 있다. 홀더(350)는 슬라이더(31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홀더(350)가 리드 샤프트(340) 상에서 움직이면 슬라이더(310)는 베이스 커버(330)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베이스 커버(330)는 제1 사이드(334) 하부에 스위치들(SW1,SW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제2 스위치(SW2)와 일정거리(D1)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거리(D1)는 캡(320)이 개구부(332)에서 움직일 수 있는 거리(D2)에 대응될 수 있다.
슬라이더(310)는 스위치 컨택터(310C)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 컨택터(310C)는 슬라이더(310)의 하부 또는 하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컨택터(310C)는 제1 스위치(SW1) 또는 제2 스위치(SW2)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320) 또는 슬라이더(310)가 베이스 커버(330) 상에서 이동하면 스위치 컨택터(310C)는 제1 스위치(SW1) 또는 제2 스위치(SW2)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 또는 제2 스위치(SW2)는 구동부(M)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홀더(350)는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350)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350)는 리드 샤프트(34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350)는 리드 샤프트(340)를 잡을 수 있고, 놓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홀더(350)의 수나사부(352)의 나사산의 개수 또는 돌기(352)의 개수는 홀더(350)의 탄성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홀더(350)의 탄성력을 일정한 세기로 셋팅될 수 있다. 홀더(350)의 수나사부(352)는 홀더(350)가 리드 샤프트(340) 상에서 움직이는 도중, 외력에 의해서 캡(320) 또는 슬라이더(310)가 움직이지 않으면 리드 샤프트(340)의 암나사부(34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홀더(350)의 수나사부(352)가 리드 샤프트(340)의 암나사부(342)로부터 이탈되면, 리드 스크류(340)의 회전에 불구하고 홀더(350)는 더 이상 직선 운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캡(320) 또는 슬라이더(310)의 움직임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홀더(350)가 리드 스크류(340)를 놓침으로써 스피커 모듈(300S1,300S2)의 안전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승강유닛(360)은 베이스 커버(330)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유닛(360)은 베이스 커버(33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유닛(360)은 체결부(3601)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3601)는 베이스 커버(3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9및 20을 참조하면, 승강유닛(360)은 아우터 하우징(361), 이너 하우징(362), 승강 하우징(363)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361), 이너 하우징(362), 및/또는 승강하우징(363)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364)는 승강하우징(363)에 장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364)는 승강하우징(36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364)는 승강하우징(363)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승강하우징(363)은 돌기(363P)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363P)는 승강하우징(363)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363P)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하우징(363)은 이너 하우징(362)에 장착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승강하우징(363)은 이너 하우징(36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36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슬롯(3621)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3621)은 이너 하우징(362)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하우징(363)의 돌기(363P)는 가이드 슬롯(3621)에 삽입될 수 있고, 가이드 슬롯(3621)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너 하우징(362)은 아우터 하우징(361)에 장착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362)은 아우터 하우징(36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361)은 아우터 하우징(361)의 좌하부에서 우상부를 향하여 또는 반대로 길게 형성된 리프트 슬롯(3611,3612,3613)을 구비할 수 있다. 리프트 슬롯(3611,3612,3613)은 아우터 하우징(361)의 내면 및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면서 아우터 하우징(361)의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슬롯(3611,3612,3613)은 제1 파트(3611), 제2 파트(3612), 그리고 제3 파트(36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트(3611)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3611)는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3612)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3612)는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파트(3612)는 제1 파트(361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3613)는 제1 파트(3611)와 제2 파트(3612)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파트(3612)는 사선을 그리며 아우터 하우징(36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아우터 하우징(361)은 제6 기어(G6)를 구비할 수 있다. 제6 기어(G6)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6 기어(G6)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외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5기어(G5)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외면에 형성된 제6 기어(G6)와 맞물릴 수 있다.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TL)는 제5 기어(G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토크 리미터(TL)는 제5 기어(G5)의 상면에 맞물릴 수 있다. 즉, 토크 리미터(TL)는 제5 기어(G5)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크 리미터(TL)는 마찰 클러치일 수 있다.
구동부(M1)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M1)는 이너 하우징(36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362)은 플렌지(362PL)를 구비할 수 있고, 구동부(M1)는 플렌지(362PL)에 장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M1)는 모터일 수 있다.
구동부(M1)는 토크 리미터(TL)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토크 리미터(TL)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M1)는 제2 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구동부(M1)가 제5 기어(G5)에 회전력을 제공하면, 제5 기어(G5)는 아우터 하우징(36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361)이 회전을 하면, 돌기(363P)는 가이드 슬롯(362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이너 하우징(362)은 회전하지 않고 아우터 하우징(361)만 회전하므로 돌기(363P)는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
돌기(363P)가 가이드 슬롯(3621)을 따라 움직이면, 승강하우징(363)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스피커(364)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너 하우징(362)에 고정된 구동부(M1)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은 아우터 하우징(361)을 회전시키고, 아우터 하우징(361)은 이너 하우징(36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리프트 슬롯(3611,3612,3613)이 가이드 슬롯(362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돌기(363P)가 가이드 슬롯(3621)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될 수 있다.
제1 기어 커버(365a)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제6 기어(G6)를 덮을 수 있다. 제2 기어 커버(362b)는 제5 기어(G5) 및/또는 토크 리미터(TL)를 덮을 수 있다. 이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승강유닛(360)의 구동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M1)의 지속적인 회전에 불구하고, 외력에 의해 스피커(364)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이때, 구동부(M1)의 회전력은 토크 리미터(TL)에 의해서 슬립이 발생함으로써 제5 기어(G5)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유닛(360)의 구동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아우터 하우징(361)의 외부에 스위치(SW3,SW4)가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SW3,SW4)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3 스위치(SW3)는 제4 스위치(SW4)로부터 일정거리(D4)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361)은 스위칭 레버(SL)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 레버(SL)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 레버(SL)는 아우터 하우징(361)의 회전에 따라서 제3 스위치(SW3) 또는 제4 스위치(SW4)를 누를 수 있다. 제3 스위치(SW3) 및/또는 제4 스위치(SW4)는 구동부(M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 하우징(361)의 회전범위는 제한될 수 있고, 스피커(364)의 상하 움직임의 범위 또한 일정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스피커 모듈(300S1)의 캡(320)은 탑 케이스(300T)의 개구부(300H1)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모듈(300S1)을 보호하고, 사운드 시스템(300)의 외부에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0: 도 2에서 도시)은 화상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10: 도2에서 도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전원 또는 전력은 혼용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캡(320)은 개구부(300H1)에서 탑 케이스(300T)의 하부로 살짝 내려간 후, 슬라이더(310)와 함께 탑 케이스(300T)의 내측으로, 예를 들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탑 케이스(300T)의 개구부(300H1)는 오픈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0: 도 2에서 도시)은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10: 도 2에서 도시)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스피커(364)는 탑 케이스(300T)의 개구부(300H1)의 하부에서 개구부(300H1)의 상부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36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스피커(364)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는 내부의 구조물에 의한 간섭 없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0: 도 2에서 도시)은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10: 도2에서 도시)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사운드는 스피커(364)에서 발생하여 천장 또는 벽에 반사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는 중고음 영역대일 수 있다. 스피커(364,366)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스피커(366)는 사운드 시스템(30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피커(366)는 중저음 또는 고음의 영역대일 수 있다. 제2 스피커(364)는 앞서 설명한 스피커(364)일 수 있다. 사운드 시스템(300)은 다양한 음역대로 나뉘어 시청자에게 현장감 또는 생동감 있는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별도의 우퍼가 구비될 수 있다. 우퍼는 저음영역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텀 케이스; 상기 바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탑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탑 케이스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위치하고,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 상기 슬라이더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회전가능한 리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 상에서 상기 리드 스크류의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드 스크류는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상기 홀더는, 상기 리드 스크류의 양측에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드 스크류와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와 상기 리드 스크류 사이에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리드 스크류와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기어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스위치와 이격된 제2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상기 제2 스위치와 접촉하는 스위치 컨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드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부에 제공되는 동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위쪽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탑 케이스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캡이 이동하는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 상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서클; 상기 서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브릿지; 그리고, 상기 브릿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레일 상에 형성되는 제1 홈; 그리고, 상기 레일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홈과 엇갈리게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브릿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롤러; 그리고, 상기 브릿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의 개구부는, 상기 캡이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면, 상기 캡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공하는 화상과 연동하여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헤드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헤드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바텀 케이스; 상기 바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탑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가능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 하우징; 그리고, 상기 승강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하우징은,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리프트 슬롯을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토크 리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크 리미터는 마찰 클러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너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어 또는 상기 제2 기어를 덮는 기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 스위치와 이격되는 제2 스위치;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스위치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항의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는, 상기 헤드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상승하고, 상기 헤드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의 하부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 바텀 케이스;
상기 바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탑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가능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 하우징; 그리고,
상기 승강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하우징은,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리프트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 스위치와 이격되는 제2 스위치;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스위치 레버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토크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리미터는 마찰 클러치인 사운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사운드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또는 상기 제2 기어를 덮는 기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시스템.
- 삭제
-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바텀 케이스;
상기 바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구비하는 탑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가능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 하우징; 그리고,
상기 승강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하우징은,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은, 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리프트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 스위치와 이격되는 제2 스위치;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스위치 레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헤드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상승하고,
상기 헤드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탑 케이스의 개구부의 하부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575A KR102513172B1 (ko) | 2016-08-24 | 2016-08-24 |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575A KR102513172B1 (ko) | 2016-08-24 | 2016-08-24 |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2308A KR20180022308A (ko) | 2018-03-06 |
KR102513172B1 true KR102513172B1 (ko) | 2023-03-24 |
Family
ID=6172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7575A KR102513172B1 (ko) | 2016-08-24 | 2016-08-24 |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317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95395A1 (en) * | 2006-08-30 | 2008-04-24 | Pieklik William R | Speaker |
KR101066527B1 (ko) * | 2011-05-18 | 2011-09-21 | 이상옥 | 무지향성 스피커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3009A (ko) * | 2009-05-14 | 2010-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20059308A (ko) * | 2010-11-30 | 2012-06-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팝업트위터 스피커 |
-
2016
- 2016-08-24 KR KR1020160107575A patent/KR102513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95395A1 (en) * | 2006-08-30 | 2008-04-24 | Pieklik William R | Speaker |
KR101066527B1 (ko) * | 2011-05-18 | 2011-09-21 | 이상옥 | 무지향성 스피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2308A (ko) | 2018-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3194B1 (ko) |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60528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1342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20178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484981B1 (ko) | 스피커모듈,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40283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CN114067679B (zh) | 显示装置 | |
US20190037710A1 (en) | Display apparatus | |
US9980397B2 (en) | Display device | |
EP3333623B1 (en) | Display device | |
KR102560611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51571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7000601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9826296B2 (en) |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peaker assembly | |
KR102513172B1 (ko) |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49245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665993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50207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1005107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204780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42352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8900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CN112562510B (zh) | 显示装置及其框体 | |
US20240164037A1 (en) | Display device | |
KR102687918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