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72B1 - 가변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72B1
KR102199172B1 KR1020140124326A KR20140124326A KR102199172B1 KR 102199172 B1 KR102199172 B1 KR 102199172B1 KR 1020140124326 A KR1020140124326 A KR 1020140124326A KR 20140124326 A KR20140124326 A KR 20140124326A KR 102199172 B1 KR102199172 B1 KR 10219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ystem board
display panel
variable dis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846A (ko
Inventor
안민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백커버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시스템보드를 가압부와 몸체가 서로 분리되는 팸너트를 통해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나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가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변력이 팸너트의 가압부와 몸체 각각의 유동성을 통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로는 가변력이 전달되지 않아, 시스템보드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표시장치{Vari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가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급부상 중인데, 곡면형 표시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까지 느끼게 하거나, 평판형 표시장치 보다 넓은 시청반경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의 장점과 함께 몰입도 향상 및 넓은 시청반경을 갖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장점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가변형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판형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향상시키거나 보다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가변형 표시장치 자체만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이 가능할뿐,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에 장착되어 구동회로 등의 부품들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은 가변형 표시장치의 모드에 따른 가변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회로기판은 가변형 표시장치에 완전히 고정되어 위치함에 따라, 가변형 표시장치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회로기판으로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회로기판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게 되며, 표시장치의 구동 불량이 야기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서, 회로기판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가변형 표시장치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나,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모듈화하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백커버의 결합홀에 압입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고정단과 고정핀을 통해 조립 및 체결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팸너트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스크류관통홀이 구비된 시스템보드와 상기 스크류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팸너트로 삽입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일 끝단에는 상기 고정단이 끼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단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홈을 가로질러 조립 및 체결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핀의 양단이 끼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가이드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은 상기 몸체의 일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기울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핀의 길이방향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백커버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시스템보드를 가압부와 몸체가 서로 분리되는 팸너트를 통해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나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가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변력이 팸너트의 가압부와 몸체 각각의 유동성을 통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로는 가변력이 전달되지 않아, 시스템보드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에 시스템보드가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3c는 팸너트와 백커버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가이드홈의 형태에 따라 팸너트의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a ~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가 가변형 표시장치의 가변력을 흡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a ~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와 오목 곡면형 모드 그리고 볼록 곡면형 모드의 가변에 따른 시스템보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에 시스템보드가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과,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수용하는 외장케이스(120)와, 외장케이스(120)의 하단부나 배면부에 연결되어 책상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대(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는 제 2 전극이 구성된다.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은 제 1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은 백커버(150)와 커버윈도우(113, 도 5a 참조)를 통해 모듈화되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이루게 되는데, 백커버(150)는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의 배면과 측면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백커버(150)의 개구된 전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113, 도 5a 참조)가 조립 체결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평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되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넓은 시청반경을 갖게 되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에서 구현되는 화상에 의한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볼록 곡면형 모드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의 표시장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의 배면으로는 각종 구조물들이 고정될 수 있는데, 구조물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혹은 음성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패널(111, 도 5a 참조)이나 스피커(미도시) 등으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나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A/D(analog/digital)보드(미도시), 화면 조정에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OSD(on screen display)보드(미도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가변형 표시장치(100) 전체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adapter)(미도시), 각종 케이블(미도시) 등의 부품들이 실장되는 시스템보드(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보드(140)에는 스크류관통홀(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백커버(150)에는 스크류관통홀(145)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155, 도 3c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홀(155, 도 3c 참조)에는 팸너트(PEM nut : 200)가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된다.
팸너트(200)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는데, 이의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231, 도 3a 참조)이 형성된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팸너트(200)의 상측으로 시스템보드(140)의 스크류관통홀(145)이 위치하고, 체결나사(160)가 스크류관통홀(145)을 관통하여 팸너트(200)로 나사 결합되어, 시스템보드(14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백커버(150)에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팸너트(200)는 시스템보드(140)를 백커버(150)의 배면에 직접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스템보드(140)가 백커버(150)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시스템보드(140)에 흐르는 전기신호가 백커버(150)에 접촉되어 단락(short)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시스템보드(140)에 형성된 스크류관통홀(145)은 시스템보드(140)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여, 시스템보드(140)를 보다 안정적으로 백커버(150)의 배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볼록 곡면형 모드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140)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보드(140)를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고정하는 팸너트(200)가 일부 유동성을 갖도록 조립 및 체결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00)는 일부 유동성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팸너트(200)에 체결나사(160)를 통해 고정된 시스템보드(140)는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일부 유동성을 갖도록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볼록 곡면형 모드나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시스템보드(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00)에 의한 유동성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시스템보드(140)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3a ~ 3c 및 도 4a ~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팸너트(20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3c는 팸너트와 백커버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가이드홈의 형태에 따라 팸너트의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팸너트(200)는 원통형 몸체(210)와, 몸체(210)의 길이방향의 일 끝단에서 몸체(210)와 고정단(221)을 통해 연결되는 가압부(220)로 구성된다.
원통형 몸체(210)의 내부에는 가압부(220)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끝단으로부터 관통 형성되며, 내경에 암나사산(231)이 형성된 관통홀(230)이 형성된다.
가압부(220)는 백커버(150)의 결합홀(155)에 끼움 삽입되어, 팸너트(200)를 백커버(150)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가압부(220)의 중심부에는 고정단(221)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단(221)은 몸체(210)의 일 끝단에 구비된 가이드홈(211)에 끼움 삽입된다.
몸체(210)의 가이드홈(211)에 끼움 삽입된 고정단(221)은 고정단(2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고정단(221)을 관통하는 고정핀(223)을 통해 몸체(210)의 가이드홈(211)에 조립 및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 가이드홈(211)의 내주면에는 고정핀(223)의 양단이 끼움 삽입되는 끼움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핀(223)은 고정단(221)을 관통하여 몸체(210)의 가이드홈(211)을 가로질러 가이드홈(2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213)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가압부(220)는 몸체(210)에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핀(223)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단(221)을 관통하며 양단이 끼움홈(213)에 끼움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00)는 팸너트(200)의 가압부(220)와 몸체(210)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고정단(221)과 고정핀(223)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됨에 따라, 가압부(220)와 몸체(210)는 각각 서로 별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210)와 가압부(220)는 고정핀(223)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핀(223)의 길이방향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추운동과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갖게 되어, 각각 별도의 유동성을 갖게 된다.
일예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220)가 백커버(150)의 결합홀(155)에 끼움 삽입되어 가압부(220)가 고정된 상태일 경우, 고정된 가압부(220)와 별도로 몸체(210)는 고정핀(223)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핀(223)의 길이방향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00)는 서로 분리된 가압부(220)와 몸체(210)가 고정단(221)과 고정핀(223)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됨에 따라, 각각 별도의 유동성을 갖게 되므로, 팸너트(200)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팸너트(200)를 통해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시스템보드(도 2의 140)를 조립 및 체결하면, 가변형 표시장치(도 1c의 100)가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 또는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가변형 표시장치(도 1c의 100)의 가변에 따른 가변력을 팸너트(200)의 유동성이 흡수하여, 시스템보드(도 2의 140)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220)와 몸체(210)의 회전에 따른 유동성은 고정핀(22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이드홈(211)의 내면과 고정단(221) 사이의 간격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데,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211)의 내면과 고정단(221) 사이의 간격이 a일 경우, 가압부(220)는 A만큼의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211)의 내면과 고정단(221) 사이의 간격이 a보다 큰 b일 경우, 가압부(220)는 A보다 큰 B 만큼의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22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이드홈(211)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이 몸체(210)의 일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할 경우, 기울기의 조절을 통해 원하는 가압부(220)의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팸너트(200)의 몸체(210)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00)는 가변형 표시장치(도 1c의 100)가 가변하더라도 가변형 표시장치(도 1c의 100)가 가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변력이 팸너트(200)의 가압부(220)와 몸체(210) 각각의 유동성을 통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보드(도 2의 140)로 가변력이 전달되어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가 가변형 표시장치의 가변력을 흡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11)을 모듈화하는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시스템보드(140)를 위치시키고, 체결나사(160)를 샤프트(161)의 말단부터 시스템보드(140)의 스크류관통홀(145)을 관통하여 팸너트(200)의 관통홀(230)로 삽입되도록 하여,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시스템보드(140)를 조립 및 체결한다.
팸너트(200)는 가압부(220)가 백커버(150)의 결합홀(155)에 끼움 삽입되어 백커버(150)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조립 및 체결되며, 백커버(150)의 결합홀(155)에 끼움 삽입된 가압부(220)는 관통홀(230)이 형성된 몸체(210)와 고정단(221)과 고정핀(223)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어 일체화된다.
여기서, 가압부(220)와 몸체(210)를 연결하는 고정핀(223)은 백커버(15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조립 및 체결되는 팸너트(200)는 가압부(220)와 몸체(210)가 시스템보드(140)를 기준으로 시스템보드(140)에 수직하게 위치한다.
여기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111)이 디스플레이패널(111)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동작하게 되면, 디스플레이패널(111)을 모듈화하는 백커버(150) 또한 디스플레이패널(111)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된다.
이때, 백커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는 팸너트(200)는 백커버(150)의 결합홀(155)에 끼움 삽입된 팸너트(200)의 가압부(220)가 백커버(150)의 형상을 따라 백커버(15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며 시스템보드(140)를 기준으로 시스템보드(140)로부터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대칭을 이루며 일정 기울기를 갖는 상태의 가압부(220)에 반해, 팸너트(200)의 몸체(210)는 고정핀(223)의 길이방향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시스템보드(140)를 기준으로 시스템보드(140)에 수직하게 위치한다.
즉, 몸체(210)는 디스플레이패널(111)이 평판형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와 동일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백커버(15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시스템보드(140)는 백커버(150)의 만곡된 형상과 별도로 디스플레이패널(111)이 곡면부를 형성하기 전과 동일하게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140)로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00)는 가변형 표시장치(도 1c의 100)의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볼록 곡면형 모드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가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변력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압부(220)와 몸체(210)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팸너트(200)가 가압부(220)와 몸체(210) 각각의 유동성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시스템보드(140)로 가변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보드(140)로 가변력에 따른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와 오목 곡면형 모드 그리고 볼록 곡면형 모드의 가변에 따른 시스템보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평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외관화하는 외장케이스(120) 또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에 대응하여 평평하게 형성되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140) 또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시스템보드로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시스템보드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동작하더라도, 팸너트(200)의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장착된 시스템보드(14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 동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로 동작하더라도, 팸너트(200)의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장착된 시스템보드(14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 동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보드(140)로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백커버(도 5b의 15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시스템보드(140)를 가압부(도 5b의 220)와 몸체(도 5b의 210)가 서로 분리되는 팸너트(200)를 통해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나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가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변력이 팸너트(200)의 가압부(도 5b의 220)와 몸체(도 5b의 210) 각각의 유동성을 통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140)로는 가변력이 전달되지 않아,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140)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0 : 팸너트
210 : 몸체(211 : 가이드홈, 213 : 끼움홈)
220 : 가압부(221 : 고정단, 223 : 고정핀)
230 : 관통홀(231 : 암나사산)

Claims (12)

  1.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나,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모듈화하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백커버의 결합홀에 압입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여, 고정단과 고정핀을 통해 상기 가압부와 조립 및 체결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팸너트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스크류관통홀이 구비된 시스템보드와;
    상기 스크류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팸너트로 삽입되는 체결나사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단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끼움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끝단에는 상기 고정단이 끼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핀은 상기 가이드홈을 가로질러, 상기 가이드홈의 내면에 구비된 끼움홈으로 양단이 끼움 삽입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가이드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은 상기 몸체의 일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기울기를 갖는 가변형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핀의 길이방향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에 따른 유동성을 갖는 가변형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체결나사를 통해 상기 시스템보드와 접촉되어 조립 체결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상기 평판형 모드(flat mode)나, 상기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 또는 상기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일 경우,
    상기 몸체는 상기 시스템보드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상기 평판형 모드(flat mode)나, 상기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 또는 상기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일 경우,
    상기 시스템보드는 평평한 가변형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는 상기 백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가 서로 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상기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 또는 상기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일 경우,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백커버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시스템보드로부터 일정 기울기를 갖는 가변형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시스템보드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상기 시스템보드는 평평한 가변형 표시장치.
KR1020140124326A 2014-09-18 2014-09-18 가변형 표시장치 KR10219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26A KR102199172B1 (ko) 2014-09-18 2014-09-18 가변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26A KR102199172B1 (ko) 2014-09-18 2014-09-18 가변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46A KR20160033846A (ko) 2016-03-29
KR102199172B1 true KR102199172B1 (ko) 2021-01-07

Family

ID=5566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326A KR102199172B1 (ko) 2014-09-18 2014-09-18 가변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710B2 (ja) * 1996-07-12 1999-02-10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40062728A (ko) * 2003-01-03 200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 걸이형 평판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장치
KR20130128531A (ko) * 2012-05-17 2013-11-27 조성우 데크플레이트용 앙카너트 및 그에 따른 고정핀 제조방법
KR101901931B1 (ko) * 2012-07-13 2018-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샌드위치 허니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23171B1 (ko) * 2014-03-06 2015-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46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3592A1 (en) Display apparatus
US87673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US8599330B2 (en) Display apparatus
KR101773443B1 (ko) 롤러블 표시장치
US9366804B2 (en) Backplane an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US8851695B2 (en) Display apparatus
US20140176850A1 (en) Display device
KR102493577B1 (ko) 폴더블 표시장치
CN103187008A (zh) 显示装置
US20050264689A1 (en) Display panel having a video camera
JP626374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444946B (zh) 顯示裝置
US20070139872A1 (en) Display device assembly
KR201500698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2773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17995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09411B1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199172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46666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181327B1 (ko) 팸너트 설치구조
US2003003037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190154905A1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US20050042913A1 (en) Mounting structure for lamp wires of a back light module
KR102300952B1 (ko) 팸너트 설치구조
KR1020948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