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327B1 - 팸너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팸너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327B1
KR102181327B1 KR1020130160405A KR20130160405A KR102181327B1 KR 102181327 B1 KR102181327 B1 KR 102181327B1 KR 1020130160405 A KR1020130160405 A KR 1020130160405A KR 20130160405 A KR20130160405 A KR 20130160405A KR 102181327 B1 KR102181327 B1 KR 10218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e
coupling hole
femin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825A (ko
Inventor
곽병일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3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용 팸너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강성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용 팸너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팸너트의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강성강화너트를 체결하거나, 몸체로부터 가이드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보드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에도 팸너트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팸너트 설치구조{Structure for fixing pem nu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용 팸너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강성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용 팸너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시야각이 넓고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는 박형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배면으로 시스템보드와 같은 각종 구조물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종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부가 액정표시장치의 배면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는 팸너트(PEM nut)를 이용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하중이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팸너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표시장치의 배면으로 결합되는 구조물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에도 팸너트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강력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팸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스물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팸너트가 압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팸너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는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외주연 둘레에 적정반경 연장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둘레홈과; 상기 둘레홈에 근접하여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체결된 강성강화너트를 포함하는 팸너트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스물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팸너트가 압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팸너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는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외주연 둘레에 적정반경 연장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둘레홈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팸너트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나사산은 상기 강성강화너트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강성강화너트는 상기 프레스물과 밀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둘레홈에 인접한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기 둘레홈이 형성된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둘레홈에 인접한 상기 몸체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장자리면과, 상기 가장자리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줄어드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면은 상기 프레스물과 밀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장자리면은 상기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증가하는 평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장자리부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팸너트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한 후, 45도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하도록 한 후에 압입하며, 상기 프레스물은 평판표시장치의 커버버툼이며, 상기 커버버툼의 배면으로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엠보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상기 둘레홈의 내주연이 끼움 고정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팸너트의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강성강화너트를 체결하거나, 몸체로부터 가이드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시스템보드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에도 팸너트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커버버툼에 시스템보드가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c는 팸너트와 강성강화너트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c는 커버버툼의 엠보의 결합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d는 커버버툼의 엠보의 결합홀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가 압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또 다른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대응하는 엠보의 결합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또 다른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대응하는 엠보의 결합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커버버툼에 시스템보드가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수용하는 프론트커버(120)와 리어커버(130) 그리고 시스템보드(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액정패널(미도시)과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그리고 가이드패널(미도시)과 탑커버(미도시) 그리고 커버버툼(150)으로 구성된다.
이때, 탑커버(미도시)는 케이스탑 또는 탑케이스라 일컬어지기도 하고, 가이드패널(미도시)은 서포트메인 또는 메인서포트, 몰드프레임이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커버버툼(150)은 버텀커버 또는 하부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한편, 상술한 구조의 평판표시장치는 최근 요구되어지고 있는 경량 및 박형의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탑커버(미도시)를 삭제할 수 있다. 탑커버(미도시) 삭제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경량 및 박형이 가능하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탑커버(미도시)의 삭제로 인하여,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으로는 각종 구조물들이 고정될 수 있는데, 구조물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혹은 음성신호를 받아 액정패널이나 스피커(미도시) 등으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나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A/D(analog/digital)보드(미도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의 광원을 구동시켜 주는 인버터(미도시), 화면 조정에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OSD(on screen display)보드(미도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액정표시장치 전체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adapter)(미도시), 각종 케이블(미도시) 등의 부품들이 실장되는 시스템보드(14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보드(140)에는 스크류관통홀(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있는 커버버툼(150)에는 스크류관통홀(145)에 대응하는 위치에 엠보(embo : 210)가 형성된다.
엠보(210)의 구체적인 형태는 커버버툼(150)의 배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내부 중공부를 형성시키는 기둥면(210a)과 기둥면(210a) 상단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면(210b) 그리고 수평면(210b) 중앙에 체결나사(160)가 삽입되도록 결합홀(210c, 도 3b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홀(210c, 도 3b 참조)에는 팸너트(PEM nut : 220)가 엠보(210)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된다.
팸너트(220)는 원통형 몸체(221, 도 3a 참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의 중앙 내주면에는 암나사산(227a, 도 3a 참조)이 형성되어 체결나사(160)를 안내하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팸너트(220)의 상측으로 시스템보드(140)의 스크류관통홀(145)이 위치되어, 체결나사(160)를 이용해 관통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엠보(210)와 팸너트(220)는 시스템보드(140)를 커버버툼(150)의 배면에 직접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스템보드(140)가 커버버툼(15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시스템보드(140)에 흐르는 전기신호가 커버버툼(150)에 접촉되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팸너트(220)와 스크류관통홀(145)에 삽입되는 체결나사(160)는 일반적인 체결나사의 형상과 유사하게 샤프트(161) 그리고 이의 끝단에 구비된 헤드(163)를 포함한다.
이때 샤프트(161)의 외면을 따라서는 팸너트(220)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산(미도시)과 대응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나사는 샤프트(161)의 말단부터 시스템보드(140)의 스크류관통홀(145)을 관통하여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형성된 팸너트(220)에 삽입된다.
시스템보드(140)에 형성된 스크류관통홀(145)은 시스템보드(140)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여, 시스템보드(140)를 보다 안정적으로 커버버툼(150) 배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몸체(221, 도 3a 참조)의 외주면에 나사산(229a, 도 3a 참조)이 형성되어 강성강화너트(229, 도 3a 참조)가 체결되거나, 몸체(221, 도 4a 참조)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231, 도 4a 참조)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스템보드(140)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에도 팸너트(220)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대해 추후 각 실시예 별로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10) 배면으로는 시스템보드(140)가 위치하며,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시스템보드(140)는 프론트커버(120)와 리어커버(130)를 통해 최종적으로 모듈화되는데, 프론트커버(12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의 표시화면 가장자리를 둘러 덮는 사각테 형상으로, 프론트커버(120)의 전면을 개구하여 디스플레이패널(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시스템보드(140)의 배면에는 사각모양의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의 네 가장자리를 소정높이 수직 절곡된 리어커버(130)가 위치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시스템보드(140)는 프론트커버(120)와 리어커버(130)가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이로써, 평판표시장치가 완성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c는 팸너트와 엠보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팸너트(220)는 원통형 몸체(221)와, 몸체(221)의 길이방향의 일 끝단에서 몸체(221)의 상단 외주연 둘레에 적정반경 연장 형성되는 가압판(223)과, 가압판(223)과 몸체(221) 사이에 형성되는 둘레홈(225)으로 구성된다.
이때, 원통형 몸체(221)의 내부에는 가압판(223)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 끝단으로부터 관통 형성되며, 내경에 암나사산(227a)이 형성된 관통홀(227)을 포함한다.
이러한 팸너트(220)는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압입되어 엠보(210)의 결합홀(210c)에 둘레홈(225)의 내주연이 끼움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둘레홈(225)에 인접한 몸체(221)의 외주면에 강성강화너트(229b)와 결합하도록 다수의 나사산(229a)이 형성된다.
강성강화너트(229b)는 통상의 너트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며, 팸너트(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29a)과 치합하는 나선홈(229c)을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몸체(2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29a)은 몸체(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강성강화너트(229b)의 높이에 대응하여 몸체(2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221)의 전체에 나사산(229a)을 형성할 경우 강성강화너트(229b)와 체결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나사산(229a)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몸체(221)의 외주면에 나사산(229a)을 형성하고, 이의 나사산(229a)에 강성강화너트(229b)를 체결함으로써, 팸너트(220)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즉,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이 팸너트(220)로 가해져도, 팸너트(220)로 가해진 하중이나 외부충격은 팸너트(220)와 강성강화너트(229b)로 그 힘이 분산되거나, 강성강화너트(229b)에 의해 반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팸너트(220)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특히, 나사산(229a)을 둘레홈(225)에 인접한 몸체(221)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이의 나사산(229a)을 통해 강성강화너트(229b)를 체결함으로써, 강성강화너트(229b)는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와 밀착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강성강화너트(229b)가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와 밀착됨에 따라,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과도한 하중이나 외부충격은 커버버툼(150)의 엠보(210)로도 그 힘이 분산됨에 따라, 팸너트(220)의 강성을 보다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팸너트(220)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의 결합홀(210c)에 압입한 후, 강성강화너트(229b)를 체결함으로서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팸너트(220)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의 결합홀(210c)에 팸너트(220)의 강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응하는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몸체(221)의 외주면에 나사산(229a)을 형성하고, 이의 나사산(229a)에 대응하여 강성강화너트(229b)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팸너트(220)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에도 팸너트(220)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c는 커버버툼의 엠보의 결합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d는 커버버툼의 엠보의 결합홀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가 압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또 다른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대응하는 엠보의 결합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의 또 다른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대응하는 엠보의 결합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한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앞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제 2 실시예에서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팸너트(220)는 원통형 몸체(221)와, 몸체(221)의 길이방향의 일 끝단에서 몸체(221)의 상단 외주연 둘레에 적정반경 연장 형성되는 가압판(223)과, 가압판(223)과 몸체(221) 사이에 형성되는 둘레홈(225)으로 구성된다.
이때, 원통형 몸체(221)의 내부에는 가압판(223)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 끝단으로부터 관통 형성되며, 내경에 암나사산(227a)이 형성된 관통홀(227)을 포함한다.
이러한 팸너트(220)는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압입되어 엠보(210)의 결합홀(210c)에 둘레홈(225)의 내주연이 끼움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몸체(221)의 외주면으로부터 가이드부(23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이드부(231)는 둘레홈(225)에 인접한 몸체(221)의 외주면으로부터 타측을 향할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로, 단면적으로 이등변삼각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가이드부(231)는 둘레홈(225)에 인접한 몸체(221)로부터 몸체(221)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장자리면(231a)과, 가장자리면(231a)으로부터 몸체(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줄어드는 경사면(231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부(231)는 몸체(22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몸체(221)의 외주면으로부터 4개가 돌출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개수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몸체(221)의 외주면에 가이드부(231)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부(231)를 통해 팸너트(220)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즉,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이 팸너트(220)로 가해져도, 팸너트(220)로 가해진 하중이나 외부충격은 팸너트(220)와 가이드부(231)로 그 힘이 분산되거나, 가이드부(231)에 의해 반력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팸너트(220)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특히, 가이드부(231)가 둘레홈(225)에 인접한 몸체(221)로부터 몸체(221)에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231)의 가장자리면(231a)이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와 밀착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가이드부(231)의 가장자리면(231a)이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과도한 하중이나 외부충격은 커버버툼(150)의 엠보(210)로도 그 힘이 분산됨에 따라, 팸너트(220)의 강성을 보다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팸너트(220)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의 구성에 따라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구성된 결합홀(210c)의 구조가 변경되어야 하는데, 즉,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구성된 결합홀(210c)은 팸너트(220)의 몸체(221)와 가이드부(231)이 모두 관통될 수 있도록 결합홀(210c)의 주변부로 가이드부(231)에 대응하는 가이드홀(210d)이 더욱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가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구성된 결합홀(210c)을 관통한 후, 압입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압입하기 전에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팸너트(220)를 약 45도 회전시킴으로써 팸너트(220)의 가이드부(231)와 결합홀(210c)의 가이드홀(210d)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31)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면(231a)이 몸체(221)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는 평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구성된 결합홀(210c) 또한 결합홀(210c)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10d)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가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버툼(150)의 엠보(210)에 구성된 결합홀(210c) 또한 결합홀(210c)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10d)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팸너트(220)는 몸체(221)의 외주면에 가이드부(23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팸너트(220)의 강성이 향상되어, 시스템보드(도 2의 140)의 과도한 하중이나 강력한 외부충격에도 팸너트(220)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210 : 엠보(210c : 결합홀)
220 : 팸너트
221 : 몸체
223 : 가압판
225 : 둘레홈
227 : 관통홀(227a : 암나사산)
229a : 나사산
229b : 강성강화너트

Claims (12)

  1. 제 1 프레스물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팸너트가 압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팸너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는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결합홀에 압입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 외주연으로부터 돌출 연장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둘레홈과;
    상기 몸체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체결된 강성강화너트
    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해 관통되어 형성되며,
    제 2 프레스물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는 상기 관통홀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해 삽입되어,
    상기 강성강화너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스물 사이로 위치하여,
    상기 제 2 프레스물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으로 전달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강성강화너트에 의해 분산되는 팸너트 설치구조.
  2. 제 1 프레스물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팸너트가 압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팸너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는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결합홀에 압입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 외주연으로부터 돌출 연장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둘레홈과;
    상기 몸체의 하단 외주연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은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해 관통되어 형성되며,
    제 2 프레스물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는 상기 관통홀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해 삽입되어,
    상기 제 2 프레스물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으로 전달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분산되는 팸너트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상기 강성강화너트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팸너트 설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강화너트는 상기 제 1 프레스물과 밀착되어 구성되는 팸너트 설치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강성강화너트의 높이를 뺀 깊이를 갖는 팸너트 설치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상기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장자리면과, 상기 가장자리면으로부터 상기 상단을 향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폭이 줄어드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팸너트 설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면은 상기 제 1 프레스물과 밀착되어 구성되는 팸너트 설치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면은 상기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면적이 증가하는 평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팸너트 설치구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팸너트 설치구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구비되는 팸너트 설치구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는 상기 결합홀에 관통 삽입된 후, 45도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홀이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하도록 한 후에 압입하는 팸너트 설치구조.
  12.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스물은 평판표시장치의 커버버툼이며, 상기 커버버툼의 배면으로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엠보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상기 둘레홈의 내주연이 끼움 고정되는 팸너트 설치구조.
KR1020130160405A 2013-12-20 2013-12-20 팸너트 설치구조 KR10218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05A KR102181327B1 (ko) 2013-12-20 2013-12-20 팸너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05A KR102181327B1 (ko) 2013-12-20 2013-12-20 팸너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825A KR20150072825A (ko) 2015-06-30
KR102181327B1 true KR102181327B1 (ko) 2020-11-20

Family

ID=5351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05A KR102181327B1 (ko) 2013-12-20 2013-12-20 팸너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503B1 (ko) * 2017-07-20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22092B1 (ko) * 2017-12-08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팸너트 고정 구조
KR102208073B1 (ko) * 2019-05-17 2021-01-26 최진경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117A (ja) * 1998-06-19 2000-01-11 Piolax Inc クリップ
KR200271444Y1 (ko) * 2002-01-08 2002-04-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이중 파이프 너트
JP2002330531A (ja) 2001-05-07 2002-1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の車体パネルへの取付構造
JP2006292090A (ja) * 2005-04-12 2006-10-26 Daiwa Kasei Ind Co Ltd 緩衝体の取付け構造
KR100730619B1 (ko) * 2005-12-28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616A (ko) * 2007-04-09 200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레스물의 팸너트 설치구조
DE102008048318A1 (de) * 2008-09-22 2010-09-23 Audi Ag Befes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in einer Öffnung in einer Wand
KR20100128021A (ko) * 2009-05-27 2010-12-07 박건태 팬 너트
KR101619323B1 (ko) * 2009-06-29 2016-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117A (ja) * 1998-06-19 2000-01-11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2330531A (ja) 2001-05-07 2002-1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の車体パネルへの取付構造
KR200271444Y1 (ko) * 2002-01-08 2002-04-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이중 파이프 너트
JP2006292090A (ja) * 2005-04-12 2006-10-26 Daiwa Kasei Ind Co Ltd 緩衝体の取付け構造
KR100730619B1 (ko) * 2005-12-28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825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7629A1 (en) Display apparatus
JP6267936B2 (ja) 曲面ディスプレイ装置
US79162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reflective plate with sidewalls to improve brightness
US9128326B2 (en) Supporting member for backlight unit,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682839A2 (en) Display apparatus
US7796206B2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86812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plane of back light module thereof
KR102181327B1 (ko) 팸너트 설치구조
JP2006337973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26374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090072678A1 (en) Display
JP2009086276A (ja) 画像表示装置とその支持体構造
EP1777605B1 (en) Construc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flat display panel
US20160357054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JP4305564B2 (ja) 画像表示装置とその支持体構造
JP200912839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
JP5113468B2 (ja) 画像表示装置
KR102217995B1 (ko) 가변형 표시장치
US20100296894A1 (en) Screw fastening unit
KR101636955B1 (ko) 모니터용 스탠드
KR100637212B1 (ko) 기판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0952B1 (ko) 팸너트 설치구조
US8295052B2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KR102199172B1 (ko) 가변형 표시장치
JP2015090420A (ja) 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