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88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4888B1 KR102094888B1 KR1020130089278A KR20130089278A KR102094888B1 KR 102094888 B1 KR102094888 B1 KR 102094888B1 KR 1020130089278 A KR1020130089278 A KR 1020130089278A KR 20130089278 A KR20130089278 A KR 20130089278A KR 102094888 B1 KR102094888 B1 KR 1020948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
- pawn
- display device
- femm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0 graph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후면 글래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글래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의 배면에 결합하는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의 배면에 결합하고 패턴이 형성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커버로 글래스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방열성능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어 열에 의한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면에 글래스 소재의 후면 커버를 이용하고, 후면에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는 기본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리 패널과 중간 프레임 후면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중간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는 각종 회로의 배치 및 유리 패널과 후면 커버를 연결하는 중간 틀 역할을 한다. 반면 후면 커버는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을 확보하고 유리 패널 및 회로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필요로 한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감소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선 간소화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 됨에 따라 후면 커버의 기구적인 강성의 개선과, 방열 특성 확보를 위한 소재 발굴 및 구조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강성 및 방열 특성확보와 아울러 디자인적인 품질 향상을 위해 사출성형물이 주를 이루던 종래의 외장재 형태에서 벗어나 외관의 디자인적인 품질 향상을 위해 글래스나 메탈 등의 다양한 소재가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후면 글래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열성능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후면 글래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글래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의 배면에 결합하는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의 배면에 결합하고 패턴이 형성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미들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둘레를 커버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후면 글래스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후면 글래스의 둘레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프레임은 단부에 상기 방열층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프레임의 두께와 상기 미들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하는 양면테이프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의 중간층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글래스에 형성된 제1 팸너트홀; 상기 제2 접착층에 상기 제1 팸너트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2 팸너트홀; 일단은 상기 방열부재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팸너트홀 및 상기 제1 팸너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으로 돌출된 팸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팸너트홀의 크기는 팸너트의 지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팸너트홀과 상기 팸너트 사이에 구비된 링형상의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소재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제2 팸너트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팸너트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팸너트홀에 상기 팸너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팸너트홀은 상기 팸너트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팸너트를 상기 제3 팸너트홀에 압입하는 방식으로 상기 방열패널에 상기 팸너트를 결합할 수 있다.
배면에 구동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후면 글래스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결합하는 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드패널은 상기 제1 팸너트홀에 상응하는 제4 팸너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팸너트가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드패널에서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팸너트; 상기 기판 패널을 커버하며 상기 보조 팸너트에 삽입되는 결합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팸너트의 지름에 상응하는 크기의 제5 팸너트홀에 상기 팸너트가 삽입되고, 상기 보드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서포트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팸너트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링은 상기 제5 팸너트홀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나선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의 나선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링은 외주면이 복수개의 굴절된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배면에 렌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층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커버로 글래스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방열성능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어 열에 의한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열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방열성능 증대뿐만 아니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고정구조를 위한 팸너트가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별도의 부재를 부가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C-C'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C-C'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면 글래스(140), 중간층(130), 미들 케이스(120), 보드패널(150), 후면 케이스(160), 팸너트(170) 및 스탠드(18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화면은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되며, 픽셀당 색상·명도·채도 등의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디지털화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에 따라 픽셀의 색상·명도·채도를 맞추어 빛을 사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두께가 얇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패널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유닛등의 구조가 생략되면서 구조가 단순해지고 얇은 두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후면 글래스(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을 커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강성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종래의 사출성형물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후면 구조는 투박한 느낌을 주는 반면, 본 발명의 후면 글래스(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소재를 이용할 수 있어 가벼운 느낌을 준다. 최근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가 얇아지는 추세에 맞추어 후면 글래스(140)를 이용하면 더욱 가볍고 깔끔한 외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각종 부품을 보호하였으며, 정면 케이스 또는 후면 케이스 중 적어도 일측에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을 커버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줄이고 베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정면 케이스를 생략하고 후면 케이스(160)도 필요한 부분만 부분적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측면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후면 글래스(140)의 측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케이스(120)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미들 케이스(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 글래스(140)의 측면 둘레를 커버한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의 단면도로서, 미들 프레임(122)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면 글래스(140) 등의 결합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들 케이스(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둘레를 커버하는 사이드 프레임(121)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후면 글래스(140) 사이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후면 글래스(140)의 둘레 부분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즉, 사이드 프레임(121)과 미들 프레임(122)은 단면이 T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미들 프레임(122)의 두께만큼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 글래스(140) 사이에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된다. 상기 이격 공간을 채우기 위해 후면 글래스(140)의 두께가 단부만 얇게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후면 글래스(140)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가공하는 경우 후면 글래스(140)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구동기판(151)에서 발생하는 열이 후면 글래스(140)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해 제품의 고장 및 성능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 글래스(140) 사이에 미들 프레임(122)의 두께에 상응하는 이격공간에 중간층(130)을 개재한다. 중간층(130)은 한 쌍의 접착층(131, 133)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층(132)을 포함하며, 중간층(130)의 두께는 미들 프레임(122)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후면 글래스(140)와 부착하기 위한 미들 프레임(122)의 전면 및 후면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125)의 두께에 상응한다.
중간층(13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나 후면 글래스(140)보다 미들 프레임(122)이 사이드 프레임(121)으로부터 연장된 길이만큼 작다. 즉, 중간층(130)은 후면 글래스(140)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둘레 단부에서 미들 프레임(122)의 너비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방열층(132)은 알루미늄패널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소재 또는 그래파이트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구동기판(151)에서 발생하는 열이 후면 글래스(140) 대신 방열층(132)을 통해 열이 측면으로 전달되어 방열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후면 글래스(140)에 비해 강성이 큰 방열층(132)은 방열효과 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지지구조로서도 역할을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들 케이스(120)의 미들 프레임(122)의 전면과 후면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 글래스(140)를 미들 케이스(120)에 고정할 수 있다. 방열층(132)도 미들 케이스(120)에 고정되도록 미들 프레임(122)의 단부에 방열층(132)의 두께에 상응하는 홈(123)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방열층(132)의 단부를 삽입하여 방열층(13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층(131, 133)으로 OCA(Optical Clean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접착성분의 수지로 이루어진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층은 방열층(132)의 전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고정하는 제1 접착층(131)과 방열층(132)의 후면에 부착되어 후면 글래스(140)를 고정하는 제2 접착층(133)으로 구성된다.
제1 접착층(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제2 접착층(133)은 후면 글래스(140)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방열층(132) 및 제2 접착층(133)이 배면에서 보이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제2 접착층(133)의 배면쪽에 특정 패턴이나 이미지가 포함된 인쇄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후면 글래스(140)를 통해 인쇄층이 배면 방향에서 보여지게 되어 방열층(132) 및 제2 접착층(133)을 가리고 외관의 디자인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2 접착층(133)은 방열층(132)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전면은 방열층(132) 및 미들 프레임(122)에 부착되고 후면은 상기 후면 글래스(140)전체에 부착할 수 있다. 후면 글래스(140)를 통해 보이는 인쇄층이 연속적으로 후면 전체에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드패널(1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판(151)이 실장되는 판형부재로서, 구동기판(15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드패널(150)은 상기 후면 글래스(140)의 배면에 결합하고 보드패널(150)의 배면에 구동기판(151) 등 부품이 실장된다. 보드패널(150)과 구동기판(151) 등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드패널(150)을 덮는 후면 케이스(160)를 더 포함한다.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스탠드 대신 벽걸이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거치하기 위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구동기판(151)등의 부품의 실장을 위해 결합구조가 필요하다.
도 2와 같이 후면 글래스(140) 배면에 구동기판(151)을 부착하기 위한 보드패널(150), 보드패널(150)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 케이스(16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180) 또는 벽걸이 부재(미도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을 향하는 팸너트(170)에 스크류(175)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단면도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팸너트(170)는 후면 글래스(140)를 관통하여 상술한 방열층(132)에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즉, 후면 글래스(140)에 제1 팸너트홀(145)이 형성되고, 제2 접착층(133)에 제1 팸너트홀(145)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2 팸너트홀(135)을 형성하고, 팸너트(170)의 일단은 방열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팸너트홀(135)과 제1 팸너트홀(145)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다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면에 유리 재질로 커버하기 때문에 집중응력에 약하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팸너트(170)에 스탠드(180)가 결합하거나 보드패널(150)이 결합되면 집중응력이 후면 글래스(140)에 가해져 후면 글래스(140)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1 팸너트홀(145)을 크게 형성하여 팸너트(170)와 후면 글래스(140)가 직접 닿지 않도록 제1 팸너트홀(145)을 팸너트(170)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 제1 팸너트홀(145)과 팸너트(170) 사이에 링형상의 완충부(148)를 끼워 후면 글래스(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48)로 실리콘 또는 에폭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방열층(132)과 팸너트(170)의 결합은 용접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 팸너트홀(135)에 상응하는 위치에 팸너트(170)의 지름보다 작은 제3 팸너트홀(137)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팸너트홀(137)에 팸너트(170)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압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금속재질의 방열층(132)에 팸너트(170)를 압입하면 상기 제3 팸너트홀(137)의 크기가 커지면서 팸너트(170)가 삽입되고, 방열층(132)과 팸너트(170)가 단단히 결합된다.
상기 팸너트(170)는 보드패널(150)이 위치하는 부분이 결합할 수 있으며, 팸너트(170)는 보드패널(150)에 형성된 제4 팸너트홀(155)을 통해 배면으로 돌출된다.
다만, 팸너트(170)의 타단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면 팸너트(170)의 일단을 지지하는 구조가 방열층(132)만 존재하여,팸너트(170)가 타단이 상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가압할 수 있다. 팸너트(170)가 일방향으로 비틀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가압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팸너트(170)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포트링(1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B-B'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트링(17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링(175)은 기둥형상의 부재로서(도 7을 참조하면 원기둥 형상), 중앙에 팸너트(170)의 지름에 상응하는 제5 팸너트(176)홀을 포함한다.
제5 팸너트(176)홀에 팸너트(170)가 삽입되며, 팸너트(170)와 서포트링(175)이 단단하게 체결되도록 제5 팸너트(176)홀 내측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팸너트(170) 외측에 나선돌기를 구비하여 팸너트(170)와 서포트링(175)을 체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링(175)의 일면이 보드패널(150)의 후면에 넓은 면적에 접촉하고 있어, 팸너트(170)에 하중이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팸너트(17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트링(175)을 팸너트(170)에 손쉽게 결합하기 위해 서포트링(175)의 외주면에 굴절된 면으로 이루어져 렌치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전동렌치를 이용하는 경우 전동렌치가 결합할 수 있는 렌치홈(178)을 배면에 형성하면 렌치홈에 전동렌치를 결합하고 작동하여 손쉽게 팸너트(170)와 서포트링(175)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보드패널(150)은 후면 케이스(160)에 의해 커버되므로, 서포트링(175)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해하지 않으면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C-C'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팸너트(170)는 후면 글래스(140)를 관통하여 방열층(132)에 결합하여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다. 그러나, 후면 글래스(140)를 관통하여 방열층(132)에 팸너트(170)를 결합하는 것은 후면 글래스(140) 가공 및 방열층(132)의 가공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팸너트(170)를 결합하기 위한 공정이 부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벼운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팸너트(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패널(150)로부터 돌출된 보조팸너트(170)를 이용할 수 있다. 보조 팸너트(170)는 전술한 보드패널(150)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스(160)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160)는 자중 외에 별다른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며, 후면 케이스(160)는 가벼운 사출성형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가벼운바, 보조팸너트(17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결합할 수 있다.
방열층(132)에 결합하는 팸너트(170)와 보드패널(150)에서 돌출된 보조 팸너트(170)를 결합하는 구조에 따라 병용하면 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구조로 글래스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방열성능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어 열에 의한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열층을 이용함으로써 방열성능 증대뿐만 아니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고정구조를 위한 팸너트(170)가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결합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미들 케이스 121: 사이드 프레임
122: 미들 프레임 123: 방열층 결합홈
130: 중간층 131: 제1 접착층
132: 방열층 133: 제2 접착층
135: 제2 팸너트홀 137: 제3 팸너트홀
140: 후면 글래스 145: 제1 팸너트홀
148: 완충부 150: 보드패널
151: 구동기판 158: 보조팸너트
155: 제4 팸너트홀 160: 후면 케이스
170: 팸너트 180: 스탠드
120: 미들 케이스 121: 사이드 프레임
122: 미들 프레임 123: 방열층 결합홈
130: 중간층 131: 제1 접착층
132: 방열층 133: 제2 접착층
135: 제2 팸너트홀 137: 제3 팸너트홀
140: 후면 글래스 145: 제1 팸너트홀
148: 완충부 150: 보드패널
151: 구동기판 158: 보조팸너트
155: 제4 팸너트홀 160: 후면 케이스
170: 팸너트 180: 스탠드
Claims (17)
-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후면 글래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의 배면에 결합하는 방열층, 및 상기 방열층의 배면에 결합하고 상기 후면 글래스 전면에 위치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상기 후면 글래스에 형성된 제1 팸너트홀;
상기 제2 접착층의 상기 제1 팸너트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팸너트홀;
상기 방열층의 상기 제2 팸너트 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팸너트홀; 및
상기 제2 팸너트홀 및 상기 제1 팸너트홀을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제3 팸너트홀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으로 돌출된 팸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팸너트홀은 상기 팸너트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팸너트를 상기 제3 팸너트홀에 압입하는 방식으로 상기 방열층에 상기 팸너트를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미들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둘레를 커버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후면 글래스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후면 글래스의 둘레에 위치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상기 미들 프레임의 두께와 상기 미들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하는 양면테이프의 두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팸너트홀의 크기는 팸너트의 지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팸너트홀과 상기 팸너트 사이에 구비된 링형상의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배면에 구동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후면 글래스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결합하는 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드패널은 상기 제1 팸너트홀에 상응하는 제4 팸너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팸너트가 관통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패널에서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팸너트;
상기 보드패널을 커버하며 상기 보조 팸너트에 삽입되는 결합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의 지름에 상응하는 크기의 제5 팸너트홀에 상기 팸너트가 삽입되고, 상기 보드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서포트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팸너트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링은 상기 제5 팸너트홀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나선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의 나선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링은
외주면이 복수개의 굴절된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배면에 렌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단부에 상기 방열층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278A KR102094888B1 (ko) | 2013-07-29 | 2013-07-29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278A KR102094888B1 (ko) | 2013-07-29 | 2013-07-29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4075A KR20150014075A (ko) | 2015-02-06 |
KR102094888B1 true KR102094888B1 (ko) | 2020-03-30 |
Family
ID=5257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9278A KR102094888B1 (ko) | 2013-07-29 | 2013-07-29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48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75784B2 (en) | 2015-08-31 | 2022-07-05 | Corning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glass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2608A (ko) * | 2011-12-22 | 2013-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876369B1 (ko) * | 2011-12-30 | 2018-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
2013
- 2013-07-29 KR KR1020130089278A patent/KR10209488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4075A (ko) | 2015-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10945B (zh) | 具有弯曲的非显示区以减小边框宽度的显示装置 | |
EP2610939B1 (en) | Display device | |
KR10194594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9591773B2 (en) | Display device | |
JP7261999B2 (ja) | 画像表示装置 | |
KR101940761B1 (ko) |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 |
WO2014021209A1 (ja) |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
KR2013007911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4010476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JP6263747B2 (ja) |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US9739930B2 (en) | Backlight module having a frame element, light bar, light guiding plate and light bar cover | |
WO2012073750A1 (ja) |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
US20170034936A1 (en) | Display device | |
KR10209488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3008853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9877402B2 (en) | Display device | |
KR101905841B1 (ko) | 표시 장치 | |
KR101706312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20180107048A1 (en)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
US8179683B2 (en) | Display device | |
JP2008116523A (ja) | 表示機器および表示パネル | |
WO2020217751A1 (ja) | 画像表示装置 | |
KR10231980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852575B2 (en) | Display apparatus having front cover with infrared sensor | |
US10194539B2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