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346A - 가변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346A
KR20220072346A KR1020200159844A KR20200159844A KR20220072346A KR 20220072346 A KR20220072346 A KR 20220072346A KR 1020200159844 A KR1020200159844 A KR 1020200159844A KR 20200159844 A KR20200159844 A KR 20200159844A KR 20220072346 A KR20220072346 A KR 2022007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ariable display
back cover
bending
bend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모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2346A/ko
Publication of KR2022007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와, 제 1 및 제 2 밴딩바 사이로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곡률을 조절하는 백레버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의 백커버시스템을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는 간단한 레버 회전 조작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손쉽게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공정 생략 및 제조비용 절감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 또한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표시장치{Vari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가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급부상 중인데, 곡면형 표시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까지 느끼게 하거나, 평판형 표시장치 보다 넓은 시청반경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의 장점과 함께 몰입도 향상 및 넓은 시청반경을 갖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장점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가변형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판형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변형 표시장치는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가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모터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의 매커니즘을 요구하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늘어나게 되며 제조 생산 비용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모터 등의 작동에 의해 작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모터 동작에 따른 소비전력 또한 향상시키게 되는 문제점 또한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 및 동작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곡면형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곡률을 갖도록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고,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를 갖거나,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모드(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배면으로 장착되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레버가 구비된 백레버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밴딩바를 포함하는 백커버시스템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백커버는 상기 평판형 모드 또는 상기 곡면형 모드로 가변되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백레버는 상기 백커버의 배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백레버는 옆면에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상기 옆면으로부터 중심부까지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는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은 상기 하부면에 인접하여 가장 짧은 깊이를 갖는 제 1 영역이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은 상기 상부면에 인접하여 가장 깊은 깊이를 갖는 제 2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대면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밴딩바는 일 끝단이 상기 제 1 가이드홈에 조립 체결되며, 상기 제 2 밴딩바는 상기 제 1 밴딩바의 일 끝단과 마주보는 일 끝단이 제 2 가이드홈에 조립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상기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이 멀어지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은 상기 백커버로부터 수직하게 들어올려져, 상기 곡면형 모드를 구현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각각의 타 끝단은 상기 백커버를 밀어내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상기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은 상기 백커버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평판형 모드를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밴딩바의 상기 일 끝단에는 제 1 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링크부는 상기 제 1 가이드홈 내부로 끼움 삽입되며, 상기 제 2 밴딩바의 상기 일 끝단에는 제 2 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링크부는 상기 제 2 가이드홈 내부로 끼움 삽입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에는 프리즘산 형상의 다수개의 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일 끝단은 상기 백레버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은 수직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타 끝단으로 갈수록 기울기를 갖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균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 끝단으로부터 상기 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며,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 끝단에 인접하여 제 1 거리를 가지며, 상기 타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 1 거리 보다 넓은 제 2 거리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면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한쌍의 측면에 다수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면의 타 끝단에는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 절곡되는 밀착단이 구비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와, 제 1 및 제 2 밴딩바 사이로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곡률을 조절하는 백레버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의 백커버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레버 회전 조작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손쉽게 가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공정 생략 및 제조비용 절감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 또한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커버시스템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백커버시스템이 가변형 표시장치의 백커버의 외부로 위치하더라도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으므로, 백커버시스템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외장부재 또한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서도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밴딩바에 가이드슬릿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밴딩바에 의해 균일한 곡률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는 다양한 곡률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백커버시스템의 백레버와 백레버와 조립된 밴딩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4a ~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백커버시스템이 동작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4a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도 4b의 정면도.
도 6은 곡률을 형성하는 백커버시스템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시스템의 밴딩바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8a ~ 8b는 가이드슬릿의 다양한 제 1 및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수용하는 백커버(120)와, 백커버(120)의 하단부나 배면부에 연결되어 책상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대(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는 제 2 전극이 구성된다.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제 1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전방으로는 커버윈도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110)은 백커버(120)와 커버윈도우(미도시)를 통해 모듈화되게 된다.
백커버(12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과 측면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백커버(120)의 개구된 전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미도시)가 조립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이 평평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이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되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의 표시장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는, 도 2a ~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배면 즉, 백커버(12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backcover system : 200)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백커버(12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200)에 의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시스템(200)은 수동방식의 사용자 조작으로 백커버(120)의 곡률을 조절하게 되는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 모드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레버(235) 회전 조작에 따라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게 된다.
이러한 백커버시스템(200)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간단한 동작으로 가변형 표시장치(100)를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를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백커버시스템(200)은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화상이 구현되는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전방에서는 보이지 않게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백커버시스템(200)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전방에서 백커버시스템(200)의 회전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높이로 장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가변형 표시장치(100)를 평판형 모드 또는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경우, 백커버시스템(200)을 간단히 회전 조작하여 백커버(120)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110)의 곡률을 조절하게 되고, 결국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곡률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백커버시스템(200)은 크게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와,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 사이로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의 곡률을 조절하는 백레버(230)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는 백커버(120)의 배면에서 백커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백레버(23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는데, 즉, 제 1 밴딩바(210)는 백레버(230)의 우측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에 위치하게 되며, 제 2 밴딩바(220)는 백레버(230)의 좌측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는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이 백레버(230)의 회전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는 백커버(120)로 하중에 따른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정도에서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져도 상관되지 않으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가 백커버(12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는 백커버(23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길이방향의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부(240)를 통해 백커버(120)의 배면에 장착되는데,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는 각각의 고정부(240)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각 고정부(240)의 내면과 일정한 갭을 갖게 된다.
따라서,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는 각각 고정부(240)에 지지된 상태로 백커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러한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에는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에 각각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가 구비되는데, 각각의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백레버(230)에 끼움 장착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3a ~ 3b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백커버시스템의 백레버와 백레버와 조립된 밴딩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백커버시스템이 동작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a는 도 4a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도 4b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곡률을 형성하는 백커버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에는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에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가 각각 돌출되는데, 각각의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일정 지름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백레버(230)에 끼움 장착되어, 백레버(230)의 회전에 의해 백커버(120)의 배면 전방 즉,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의 일 끝단을 들어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백레버(23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백레버(230)는 원형의 서로 평행한 상부면(231a) 및 하부면(231b)과, 상부면(231a) 및 하부면(231b)에 수직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옆면(231c)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옆면(231c)에는 레버(235)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235)는 긴 바(bar) 형상으로, 백커버(120)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백레버(230)의 옆면(231c)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레버(235)의 회전에 따라 백레버(23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레버(235)는 제 1 밴딩부(210)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밴딩부(22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반대로 제 2 밴딩부(220)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밴딩부(21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백레버(230)의 옆면(231c)에는 하부면(231b)으로부터 상부면(231a)으로 또는 상부면(231a)으로부터 하부면(231b)으로 옆면(231c)을 가로지르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이 서로 마주보며 각각 구비된다.
즉,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은 하부면(231b)으로부터 상부면(231a)으로 갈수록 백레버(230)의 옆면(231c)으로부터 중심부까지의 깊이(d1, d2)가 점차 짧아지도록 구비되는데, 하부면(231b)에 인접하여 가장 깊은 깊이(d1)를 갖는 제 1 영역(A)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부면(231a)에 인접하여 가장 짧은 깊이(d2)를 갖는 제 2 영역(B) 또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에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의 일 끝단에 각각 돌출된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가 각각 끼움 삽입된다.
따라서, 도 4a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35)가 제 2 밴딩바(220)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의 각 일 끝단에서 돌출된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각각 백레버(230)의 제 1 및 2 가이드홈(233a, 233b)의 제 1 영역(A, 백레버(230)의 하부면(231b)에 인접한)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도 4b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35)를 제 1 밴딩바(210)에 인접하도록 반시계방향(도면상읠 정의한 -X축으로부터 +X축으로)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을 따라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의 제 2 영역(B, 백레버(230)의 상부면(231a)에 인접한)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 가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의 제 2 영역(B)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백레버(230)의 옆면(231c)의 높이(h)에 대응되는 만큼 백커버(120)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되며,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에 의해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의 일 끝단 또한 백커버(120)로부터 백레버(230)의 옆면(231c)의 높이(h)에 대응되는 만큼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가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되면서 백커버(120)로부터 일정 높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 각각의 타 끝단은 반작용에 의해 백커버(120)를 밀어내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의 일 끝단은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이 서로 멀어지면서 백커버(120)로부터 들어올려짐에 따라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때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 각각의 타 끝단은 백커버(120)를 밀어내게 됨에 따라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 각각의 일 끝단이 백커버(120)로부터 들어올려지고,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 각각의 타 끝단이 백커버(120)를 밀어내게 됨으로써, 백커버(120)는 중심부가 도면상으로 정의된 +Z축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면부를 갖게 된다.
백커버(120)의 만곡된 곡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도 2b의 110) 또한 백커버(120)의 만곡된 곡면부에 대응하여 만곡된 곡면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도 2b의 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를 구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는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backcover system : 200)의 간단한 레버(235) 회전 조작을 통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손쉽게 가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백커버시스템(200)을 통해 간단한 동작만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되도록 할 수 있어, 작업공정 생략 및 제조비용 절감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 또한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밴딩바(21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레버(235)를 다시 제 2 밴딩바(220)에 인접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을 따라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의 제 1 영역(A)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가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33a, 233b)의 제 1 영역(A)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링크부(211, 221)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의 각각의 일 끝단은 백커버(120)로 인접하게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밴딩부(210, 220)의 각 타 끝단은 반작용에 의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따라서 백커버(120)를 밀어내던 힘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는 평판형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와,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 사이로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의 곡률을 조절하는 백레버(23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의 백커버시스템(200)을 통해, 간단한 레버(235) 회전 조작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손쉽게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공정 생략 및 제조비용 절감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 또한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시스템(200)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백커버시스템(200)이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의 백커버(120)의 외부로 위치하더라도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의 배면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으므로, 백커버시스템(200)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외장부재 또한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서도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의 백커버시스템(200)은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가 정확한 곡률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아래 도 7a ~ 7b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시스템의 밴딩바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a ~ 8b는 가이드슬릿의 다양한 제 1 및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딩바(210, 220)는 강성이 뛰어난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밴딩바(210, 220)의 타 끝단에는 밀착단(217)이 구비되며, 밴딩바(210, 220)는 수평면(215a)과, 수평면(21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면(215a)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측면(215b, 215c)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평면(215a)과 한쌍의 측면(215b, 215c)은 단면적으로 대략 "ㄷ"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밴딩바(210, 220)는 백커버(도 6의 120)로 하중에 따른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강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밀착단(217)은 수평면(215a)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 절곡되는데, 한쌍의 측면(215b, 215c)의 끝단과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밀착단(217)은 백커버(도 6의 120)에 밴딩바(210, 220)를 지지하는 영역으로써, 밴딩바(210, 220)의 곡률 변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밀착단(217)은 밴딩바(210, 220)의 강성을 일부 향상시키는 역할 또한 하게 된다.
또한, 밀착단(217)이 백커버(도 6의 120)의 배면에 구비된 고정부(도 2b의 240)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밴딩바(210, 220)는 백커버(도 6의 120)의 배면으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밀착단(217)은 고정부(도 2b의 240)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고정부(도 2b의 240)의 내면과 일정한 갭을 갖게 되므로, 밀착단(217)은 고정부(도 2b의 240) 내에서 백커버(도 6의 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밴딩바(210, 220)의 양측 측면(215b, 215c)에는 다수의 가이드슬릿(219)이 구비되는데, 가이드슬릿(219)을 통해 밴딩바(210, 220)는 백레버(도 6의 230)의 레버(도 6의 235) 회전 조작에 의해 곡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균일한 곡률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슬릿(219)은 프리즘산 형상으로 수평면(215a)에 수직한 제 1 경사면(219a)과, 제 1 경사면(219a)과 산을 이루며, 밴딩바(210, 220)의 타 끝단을 향해 기울어진 제 2 경사면(219b)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가이드슬릿(219)은 밴딩바(210, 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어, 밴딩바(210, 220)는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의 거리에 따른 균일한 곡률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큰 곡률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밴딩바(210, 220)가 균일한 곡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딩바(210, 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가이드슬릿(219)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의 거리(D1)를 모두 균일하게 설계하면 된다.
따라서 밴딩바(210, 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곡률을 갖게 되는데, 일예로 밴딩바(210, 220)는 일 끝단으로부터 타 끝단까지 반지름이 1미터인 원호를 구현할 수 있는 곡률을 구현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딩바(210, 220)의 일 끝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이드슬릿(219)은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로 제 1 거리(D1)를 갖도록 설계하며, 밴딩바(210, 220)의 타 끝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이드슬릿(219)은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로 제 1 거리(D1) 보다 넓은 제 2 거리(D2)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한 밴딩바(210, 220)는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로 제 1 거리(D1)를 갖는 가이드슬릿(219)이 구비된 영역은 제 1 곡률을 가지며, 제 2 거리(D2)를 갖는 가이드슬릿(219)이 구비된 영역은 제 1 곡률 보다 큰 제 2 곡률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예로 제 1 곡률을 구현하는 영역은 반지름이 1미터인 원호를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제 2 곡률을 구현하는 영역은 반지름이 0.5미터인 원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딩바(210, 220)의 타 끝단에 인접하여 큰 곡률을 갖도록 설계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슬릿(219)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의 거리(D1, D2)는 밴딩바(210, 220)의 일 끝단으로부터 타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슬릿(219)의 높이(H)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밴딩바(210, 220)의 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시스템(도 6의 200)은 가이드슬릿(219)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9a, 219b) 사이의 거리(D1, D2)를 조절함으로써 균일하거나, 또는 다양한 곡률을 갖는 밴딩바(210, 22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와,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 사이로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밴딩바(210, 220)의 곡률을 조절하는 백레버(도 6의 23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의 백커버시스템(도 6의 200)을 통해, 간단한 레버(도 6의 235) 회전 조작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손쉽게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공정 생략 및 제조비용 절감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 또한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시스템(도 6의 200)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백커버시스템(도 6의 200)이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의 백커버(도 6의 120)의 외부로 위치하더라도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의 배면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으므로, 백커버시스템(도 6의 200)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외장부재 또한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서도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도 2b의 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시스템(도 6의 200)은 밴딩바(210, 220)에 가이드슬릿(219)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밴딩바(210, 220)에 의해 균일한 곡률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다양한 곡률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가변형 표시장치
110 : 디스플레이패널
120 : 백커버
200 : 백커버시스템(210, 220 : 제 1 및 제 2 밴딩바, 230 : 백레버, 240 : 고정부, 211, 213 : 제 1 및 제 2 링크부, 235 : 레버)

Claims (15)

  1.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를 갖거나,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모드(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배면으로 장착되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레버가 구비된 백레버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밴딩바를 포함하는 백커버시스템
    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백커버는 상기 평판형 모드 또는 상기 곡면형 모드로 가변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버는 상기 백커버의 배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버는 옆면에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상기 옆면으로부터 중심부까지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는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은 상기 하부면에 인접하여 가장 짧은 깊이를 갖는 제 1 영역이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은 상기 상부면에 인접하여 가장 깊은 깊이를 갖는 제 2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대면되어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딩바는 일 끝단이 상기 제 1 가이드홈에 조립 체결되며, 상기 제 2 밴딩바는 상기 제 1 밴딩바의 일 끝단과 마주보는 일 끝단이 제 2 가이드홈에 조립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상기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이 멀어지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은 상기 백커버로부터 수직하게 들어올려져, 상기 곡면형 모드를 구현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각각의 타 끝단은 상기 백커버를 밀어내는 가변형 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의 상기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서로 마주보는 일 끝단은 상기 백커버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평판형 모드를 구현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딩바의 상기 일 끝단에는 제 1 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링크부는 상기 제 1 가이드홈 내부로 끼움 삽입되며,
    상기 제 2 밴딩바의 상기 일 끝단에는 제 2 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링크부는 상기 제 2 가이드홈 내부로 끼움 삽입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에는 프리즘산 형상의 다수개의 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일 끝단은 상기 백레버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은 수직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의 타 끝단으로 갈수록 기울기를 갖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가변형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균일한 가변형 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 끝단으로부터 상기 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가변형 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 끝단에 인접하여 제 1 거리를 가지며, 상기 타 끝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 1 거리 보다 넓은 제 2 거리를 갖는 가변형 표시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밴딩바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면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한쌍의 측면에 다수개 구비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의 타 끝단에는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 절곡되는 밀착단이 구비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KR1020200159844A 2020-11-25 2020-11-25 가변형 표시장치 KR20220072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44A KR20220072346A (ko) 2020-11-25 2020-11-25 가변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44A KR20220072346A (ko) 2020-11-25 2020-11-25 가변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346A true KR20220072346A (ko) 2022-06-02

Family

ID=8198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844A KR20220072346A (ko) 2020-11-25 2020-11-25 가변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23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718B1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TWI555943B (zh) 可調整顯示裝置
TWI740078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20210337688A1 (en) Bendable cover pl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EP1956401B1 (en) Display device with a bottom chassis
KR101773443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6562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1045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951677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urvature changing member
US9039269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40970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2009003977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70064165A (ko) 폴더블 표시장치
US20220093690A1 (en) Display panel,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US20070139872A1 (en) Display device assembly
US20210391557A1 (en) Ol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JP626374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3675176A2 (en) Display device
KR102262773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20220072346A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46666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20150125141A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25440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17995B1 (ko) 가변형 표시장치
US20160081203A1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