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55U -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55U
KR20100000355U KR2020080008865U KR20080008865U KR20100000355U KR 20100000355 U KR20100000355 U KR 20100000355U KR 2020080008865 U KR2020080008865 U KR 2020080008865U KR 20080008865 U KR20080008865 U KR 20080008865U KR 20100000355 U KR20100000355 U KR 201000003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cradle
suppor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075Y1 (ko
Inventor
이기남
Original Assignee
(주)디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코인 filed Critical (주)디코인
Priority to KR2020080008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7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는, 하나의 모습으로, 좌우측부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지지대; 지지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되고 가로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가로대; 및 가로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되고 영상표시장치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영상표시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다.
거치대, 영상표시장치, 전후좌우 이동, 가로대, 가이드 레일,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Moun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본 고안은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표시장치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다양한 종류의 영상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얇고 다양한 크기의 액정 디스플레이장치가 가정에서 또는 차량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는 거치대 또는 받침대에 의해 거치되거나 받쳐지게 되는데, 액정 디스플레이장치가 대형인 경우에는 그 배치된 위치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가 좀더 나은 시야의 확보를 위해 위치를 조정하기가 쉽지 않았고, 차량용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도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의 방해를 가져오고, 운전자가 쉽게 그 위치를 변경하거나 조정하기가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예컨대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거치대가 차량 전방의 윈도에 부착된 상태에서 좌우 또는 상하의 회동만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그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었고, 더 다양하고 넓은 범위 내에서 시야확보를 위해서는 윈도우에 부착된 거치대를 탈착하여 다른 위치에 다시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차량의 전방 대쉬보드에 거치대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종래에는 좌우 또는 상하의 회동만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윈도우에 부착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표시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쉽게 전후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전후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거치대에 거치되는 영상표시장치를 전후좌우 이동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또는 거의 수평으로 눕힐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차량의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야확보의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게다가, 거치대에서 높이조절을 통하거나 좌우회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시야 확보를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모습으로 좌우측부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지지대; 지지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되고 가로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가로대; 및 가로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되고 영상표시장치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모습으로,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 본체는 가로대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지지부 및 영상표시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레일결합부와 지지부는 힌지결합되어 지지부를 경사지게 또는 거의 수평으로 눕힐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게다가,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모습으로,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에 있어서, 지지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랙구조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모습으로,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 본체는 거치되는 영상표시장치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쉽게 전후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되었고, 전후좌우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더 용이하게 되었다.
그리고, 특히 차량용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거치대를 잘못된 위치에 고정시켰다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탈부착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소정의 범위에서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거치대를 빈번히 탈부착하는 번거로 움을 없애고 운전자의 시야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에 거치되는 영상표시장치를 전후좌우 이동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또는 거의 수평으로 눕힐 수 있어, 특히 차량의 영상표시장치에서, 시야확보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에서 높이조절을 통하거나 좌우회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중복되는 부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생략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의 영상표시장치는 차량용이나 가정용 모두를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적합하게 설명될 수 있다. 차량용 영상표시장치의 예는 다양하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따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40)의 좌우방향 이동을, 도 3은 도 1a에 따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40)의 전후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3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의 하나의 실시예는 지지대(10, 10a), 가로대(20, 20a) 및 거치대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 10a)는 좌우측부에 각각 가이드 레일(11, 11a)이 형성되어 있다. 영상표시장치(40)가 차량용 영상표시장치(40), 예컨대 네비게이션 등의 경우에, 지지대(10, 10a)의 하부는 차량의 앞좌석 전방의 대쉬보드 상에 장착되도록 적합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의 선로같은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에 안내홈을 갖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아니면 도 1a에 도시되는 안내홈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지지대(10, 10a)의 가이드 레일(11, 11a)은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우측부에 가이드 레일(11, 11a)을 구비한 구조이고 그 가이드 레일(11, 11a)을 따라 가로대(20, 20a)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20)에 장착된 거치대 본체(30)에 영상표시장치(40)가 거치되어 가로대(20)에 의해 지지대(10)의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전후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지지대(10, 10a)의 가이드 레일(11, 11a)의 양 단에는 스톱퍼가 장착되어 가로대(20, 20a)의 전후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대(10, 10a)의 가이드 레일(11, 11a) 부위 또는 지지대(10, 10a)의 가이드 레일(11, 11a)에 결합되는 가로대(20, 20a) 말단부위에 고정수단, 예컨대 볼트 등을 구비하여 지지대(10, 10a)의 가이드 레일(11, 11a)을 따라 이동하는 가로대(20, 20a)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20, 20a)는 지지대(10, 10a)의 가이드 레일(11, 11a)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되고 가로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1, 21a)이 형성되어 있다. 가로대(20, 20a)의 형상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것 이외에 지지대(10, 10a)의 가이드 레일(11, 11a)을 따라 세로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지지대(10, 10a)의 가로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1, 21a)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40)는 거치대의 본체에 거치되어 가로대(20, 20a)의 가이드 레일(21, 21a)을 따라 가로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가로대(20, 20a)의 가이드 레일(21, 21a)의 양 단에는 스톱퍼가 장착되어 거치대 본체(30)의 좌우 또는 가로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로대(20, 20a)의 가이드 레 일(21, 21a) 부위 또는 가로대(20, 20a)의 가이드 레일(21, 21a)에 결합되는 거치대 본체(30)의 하단부위에 고정수단, 예컨대 볼트 등을 구비하여 가로대(20, 20a)의 가이드 레일(21, 21a)을 따라 이동하는 거치대 본체(30)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a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본체(30)는 영상표시장치(40)를 거치하고 가로대(20, 20a)의 가이드 레일(21, 21a)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장치(40)는 전후 좌우로 쉽게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의 시야 가림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량용 영상표시장치(40), 예컨대 네비게이션(40)의 경우에는 간단한 작동으로 운전 중의 운전자의 시야방해를 극복하고 보다 안전한 운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a 내지 3에서, 그리고 도 4에서 거치대 본체(30)를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거치대 본체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본 고안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거치대 본체(30)는 가로대(20, 20a)의 가이드 레일(21, 21a)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지지부 및 영상표시장치(40)가 거치되는 거치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a 내지 3에서 참조부호 32로 언급되는 구형힌지돌기(32)의 아랫부분이 본 실시예에서의 레일결합부에 대응하고 영상표시장치(40), 예컨대 네비게이션 장치(40)에 의해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으나 참조부호 32로 언급되는 구형힌지돌기(32) 및 그 상부가 지지부에 대응하고, 네비게이션 장치(40)의 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거치부가 네비게이션 장치를 거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레일결합부(31, 33)의 하부(31)가 가로대(20)의 가이드 레일(21, 2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지지부(34)가 레일결합부의 상부(33)에 힌지축(32a)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결합부, 예컨대 도 1a 내지 3에서 구형힌지돌기(32)의 아랫부분, 도 4에서 참조부호 33은 지지부(34)와 힌지결합되어 있다. 힌지결합에 의해 지지부(34)가 경사지게 또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지지부(34)가 낮은 경사로 거의 수평으로 눕혀지게 되어 차량용 네비게이션(4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탈착이 아닌 간단한 작동으로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접어서 보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거치부(도시되지 않음)와 지지부의 결합이 힌지결합관계가 되도록 하거나 거치부와 영상표시장치(40)의 결합이 힌지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그와 더불어 혹은 별개로 거치부와 지지부의 결합 또는 거치부와 영상표시장치(40)의 결합이 좌우회동가능한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써, 거치대 본체(30)의 지지부(34)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랙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34)는 랙구조를 갖는 상부체(34a)를 포함하고 있다. 랙구조에 의해 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어 영상표시장치(40)의 거치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표시장치(40), 예컨대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40)의 후면에 랙구조 또는 높이조절홈을 구비하여 거치대 본체(30)의 거치부(도시되지 않음)가 거치되며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로, 거치대 본체(30)는 거치되는 영상표시장치(40)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거치대 본체(30)의 레일결합부의 상부(33)와 레일결합부의 하부(31)는 좌우회동될 수 있는 회동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1a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본체(30)는 구형힌지돌기(32)를 구비하여 구형힌지돌기홈에 안착되어 좌우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3에서 참조부호 32로 언급되는 구형힌지돌기 및 그를 감싸는 구형힌지돌기홈은 본 실시예에서 회동결합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따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의 좌우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따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의 전후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거치대 본체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 지지대 11, 11a, 21, 21a : 가이드 레일
20, 20a : 가로대 30 : 거치대 본체
31 : 레일결합부 32 : 구형힌지돌기
34 : 지지부 40 : 영상표시장치

Claims (4)

  1. 좌우측부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되고 가로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되고 영상표시장치를 거치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가로대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지지부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결합부와 지지부는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경사지게 또는 수평으로 눕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는 거치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KR2020080008865U 2008-07-02 2008-07-02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KR200450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65U KR200450075Y1 (ko) 2008-07-02 2008-07-02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65U KR200450075Y1 (ko) 2008-07-02 2008-07-02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55U true KR20100000355U (ko) 2010-01-12
KR200450075Y1 KR200450075Y1 (ko) 2010-09-02

Family

ID=4419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865U KR200450075Y1 (ko) 2008-07-02 2008-07-02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29B1 (ko) * 2012-06-11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047948A1 (ko) * 2014-09-25 2016-03-31 최의승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형 차량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80U (ko) * 1988-10-19 1991-01-10
JP2790023B2 (ja) * 1993-11-19 1998-08-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平面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JP3372744B2 (ja) * 1996-02-22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29B1 (ko) * 2012-06-11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958026B2 (en) 2012-06-11 2015-02-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particular controllable shape deforming/maintaining unit
WO2016047948A1 (ko) * 2014-09-25 2016-03-31 최의승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형 차량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075Y1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02012025081A2 (pt) Dispositivo de suporte de um exibidor veicular ajustável integrado no painel de um veículo, em particular um veículo industrial ou comercial
US20090096941A1 (en) Automotive display
WO2006127826A3 (en) Display mounting apparatus
KR200450075Y1 (ko) 영상표시장치의 거치대
US8066329B2 (en) Car seat head rest with built-in screen
CN210771150U (zh) 一种折叠隐藏式触控显示屏
US10414251B2 (en) Adjustable sun visor apparatus
US7597394B2 (en) Car seat head rest with built-in screen
KR20130051194A (ko)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RU2437780C1 (ru) Сидень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монтируемой в случае необходимости конструкцией стола
US20100014177A1 (en) Interior rear view mirror with an additional device
CN102005163A (zh) 液晶显示装置
US9315158B2 (en) Sun visor housing for sunglasses
CN207683435U (zh) 一种汽车后视镜
JPH09301085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用アタッチメント
JP3946469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209058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JP2012006465A (ja) カーインテリア用品固定具
CN205769064U (zh) 一种hud图像位置微调支架
JPH09273945A (ja) 表示器取付装置
JP3764314B2 (ja) 車載用周辺視認装置
JP2009258545A (ja) 表示装置
CN219406323U (zh) 一种车载导航仪安装支架
KR200366710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JP2525939Y2 (ja) サンバイ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