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058B1 -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058B1
KR101209058B1 KR1020110047556A KR20110047556A KR101209058B1 KR 101209058 B1 KR101209058 B1 KR 101209058B1 KR 1020110047556 A KR1020110047556 A KR 1020110047556A KR 20110047556 A KR20110047556 A KR 20110047556A KR 101209058 B1 KR101209058 B1 KR 101209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main body
head
displa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359A (ko
Inventor
조경진
Original Assignee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0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with a single image source for both ey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거치대 본체상부에 거치된 휴대 단말의 영상을 반투명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시야로 제공하며, 거치대 자체의 안정성과 운전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면서 운전자의 시야에 최적화되도록 광각도 조정이 가능하고, 반투명 거울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개선하여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 단말을 직접 조작하거나 거치되는 휴대 단말의 종류를 변경하여 다양한 운행정보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Cradle for Head-up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거치대 본체상부에 거치된 휴대 단말의 영상을 반투명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시야로 제공하며, 거치대 자체의 안정성과 운전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현재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기기가 보급되고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 중에서 특히 내비게이션 단말(내비게이터)은 운전자에게 가장 기본적인 운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운전자 사이에서 필수 품목으로 자리잡고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는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UI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도를 통해 경로를 표시하는 2차원적인 경로 안내를 넘어서, 주변환경과 실제환경을 용이하게 비교 판단할 수 있도록 3차원 맵을 제공하는 수준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을 차량의 센터페시아나 전면 유리 일부에 거치대를 통해 부착할 경우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차량의 전면 유리 일부를 스크린으로 사용하여, 해당 스크린에 직접 내비게이션 단말이 출력하는 운행정보를 투사함으로써 전면 유리를 통해 운행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등장하였다.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전면 유리(이하, 윈드쉴드)를 스크린으로 사용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운전자가 윈드쉴드를 통해 운행정보를 획득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주의분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윈드쉴드를 통해 영상을 반사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제공하므로,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과 전면 유리의 경사도, 영상을 윈드쉴드에 투사하는 각도가 상호 일치하지 않아, 운전자의 시야를 벗어나 초점이 맺히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영상이 왜곡되거나 영상이 전면 유리 후방으로 맺혀 운행정보를 정확히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서 윈드쉴드에 직접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의 단말기는 상기 윈드쉴드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운전자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단말기의 조작이 어렵고, 운전자 방향으로 배치를 변경한다 하더라도 상기 단말기의 영상을 윈드쉴드에 투사하기 위한 별도의 반사체가 요구되어 설치가 번거롭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면서 운전자의 시야에 최적화되도록 광각도 조정이 가능하며, 거치대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승강 구조를 가진 거치대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각 운전자마다 시야에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거치대의 회동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 암과 결합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와 내비게이션 단말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상부에 거치하는 본체부와, 상기 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로 반사하는 반투명 거울부와, 상기 본체부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가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면적은 상기 휴대 단말의 영상을 모두 반사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면적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거치되는 휴대 단말을 고정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부는 지면과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일부가 맞닿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가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향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그 하부에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거치암에 연장된 지지판에 기마련된 결속구와 결합되는 암 또는 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대응 결속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대응 결속구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연성 고정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상부에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로 반사하는 반투명 거울부와, 상기 거치부와 제 1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가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와 거치부가 동시 회동하도록,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제 1힌지와 제 2힌지를 통해 연결된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면적은 상기 휴대 단말의 영상을 모두 반사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면적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거치되는 휴대 단말을 고정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본체부는 그 하부에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거치암에 연장된 지지판에 기마련된 결속구와 결합되는 암 또는 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대응 결속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대응 결속구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연성 고정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면서 운전자의 시야에 최적화되도록 광각도 조정이 가능하고, 반투명 거울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개선하여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 단말을 직접 조작하거나 거치되는 휴대 단말의 종류를 변경하여 다양한 운행정보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힌지 구성을 통해 승강 구조를 가진 거치대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각 운전자마다 시야에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거치대의 회동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 암과 결합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와 내비게이션 단말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기존 흡착식 거치대와의 결속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복수 힌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복수 힌지 구조를 통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통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구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거치대 본체 상부에 휴대 단말을 거치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상기 거치대 본체와 힌지 결합된 반투명 거울을 통해 사용자 또는 운전자(이하, 운전자로 통칭)의 시야로 반사함으로써, 운전자는 반투명 거울을 통해 휴대 단말의 영상을 확인하는 동시에 상기 반투명 거울을 통해 운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다양한 힌지 동작을 통해 거치대의 활용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구성도로서, 우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70)을 상부에 거치하는 본체부(10)와, 상기 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로 반사하는 반투명 거울부(30)와, 상기 본체부(10)와 힌지(40) 연결되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30)가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착탈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는 광학적으로 빛의 일부를 반사하고 나머지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일명 하프미러(half-mirror)라 하며, 반사체가 포함된 유리, 폴리머, 필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휴대 단말(70)을 상부에 거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70)이 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납공간과 별도로 상기 본체부(10)의 일부에 상기 휴대 단말(7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걸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최후방으로 이동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70)이 상기 본체부(1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20)는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의 일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는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착탈을 통한 추가적인 본 발명의 구성은 이하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는 상기 착탈부(20)에 결합된 경우 본체부(10)를 기준으로 상기 착탈부(20)의 힌지(40) 회동에 따라 동일하게 회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연성 고정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기존 헤드 업 디스플레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본체부(10)에 거치된 휴대 단말(70)의 영상을 직접 확인하면서 조작하거나,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에 반사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어, 조작 편의성을 보장한다.
한편, 도 2는 상기 휴대 단말의 영상을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를 통해 운전자의 시야로 반사시키는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50)를 통해 본체부(10)와 고정된 휴대 단말(7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를 통해 운전자의 시야(90)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와 결합된 착탈부(20)의 힌지(40) 회동에 따라 반투명 거울부(30)가 회동하여 운전자의 시야(90)에 최적화된 반사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는 상기 휴대 단말(70)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광을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부(10)의 면적 또는 상기 휴대 단말(70)의 화면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투명 거울과 결합된 착탈부(20)의 회동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를 통해 운전자에게 상기 휴대 단말(70)의 영상을 반사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20)의 힌지(40) 회동을 통해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의 회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시야(90)에 최적화된 각도로 영상을 반사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20)의 힌지(40) 회동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회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는 일부가 지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의 일부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맞닿는 경우, 상기 본체부(10)가 승강하면서 상기 본체부(10)와 착탈부(20)를 연결하는 힌지(40)를 중심으로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와 반대로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걸이부(50)를 통해 본체부(10)에 고정된 휴대 단말(70)을 통해 영상을 직접 볼 수도 있다.
즉,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를 통해 운전자는 반투명 거울부 또는 휴대 단말로부터 선택적으로 영상을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기존 흡착식 거치대와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는 일부에 물체와 고정될 수 있는 흡착판(110) 또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 또는 흡착판(110)에 부착된 거치암(120)과, 상기 거치암(120)에 연장되는 지지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130)에 암 또는 수 중 하나로 구성된 결속구(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서 상기 본체부(10)는 하부에 암 또는 수 중 다른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구(140)와 결속되는 대응 결속구(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가 상기 흡착판(110) 또는 고정판(110)을 통해 특정 물체에 흡착 또는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지지판(130)에 마련된 결속구(140)와,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본체부(10)에 마련된 대응 결속구(11)가 상호 결속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는 상기 결속을 통해 상기 본체부(10)가 공중에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토대로, 운전자는 공중에 위치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서 상기 걸이부(5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에 고정된 휴대 단말(70)로부터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와 힌지(40) 연결된 상기 착탈부(20)의 회동을 조절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를 상기 착탈부(20)의 회동에 따라 안내하여 햇빛의 방향을 가리는 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는 상기 착탈부(20)의 회동에 따라 햇빛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70)에 그림자가 지도록 하는 햇빛 가리개로서 사용하여, 운전자가 햇빛에 방해받지 않고 뚜렷하게 휴대 단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지지판(130)과 결속시 상기 착탈부(20)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를 이용하여 영상을 보는 경우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를 통해 별도의 기존 흡착식 거치대와 결속하는 경우 기존의 거치식 내비게이션 단말처럼 상기 본체부(10)에 거치된 휴대 단말을 통해 직접 영상을 볼 수도 있어, 운전자 편의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성된 결속구(11)는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결속구(14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제공하여 범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70)을 상부에 거치하는 거치부(80)와, 상기 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로 반사하는 반투명 거울부(30)와, 상기 거치부(80)와 제 1힌지부(4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30)가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의 회동을 안내하는 착탈부(20)와, 상기 착탈부(20)와 거치부(80)가 동시 회동하도록, 상기 거치부(80) 또는 상기 제 1힌지부(41)와 제 2힌지부(42)를 통해 연결된 본체부(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의 일면에 연결된 제 1 힌지부(41)와, 상기 거치부(80)와 본체부(10)의 일면에 연결된 제 2 힌지부(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힌지부(41)와 상기 제 2 힌지부(42)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70)이 상기 거치부(8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거치부(80)의 일부에 상기 휴대 단말(70)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걸이부(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의 면적은 상기 거치부(80)의 면적 또는 상기 휴대 단말(70)의 화면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상기 연성 고정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바탕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의 힌지(41) 연결에 따라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가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본체부(10)의 힌지(42) 연결에 따라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가 동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부(20)의 회동은 상기 착탈부(20)에 부착된 반투명 거울부(30)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의 힌지(41) 연결을 통한 상기 거치부(80)와 착탈부(20)의 회동을 개별 조절하여 상기 거치부(80)에 거치된 휴대 단말(70)의 영상이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의 내부를 벗어나지 않는 최적의 투사각도를 가지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힌지부(41)를 중심으로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의 회동을 개별 조절하여 최적의 투사각도로 배치시킬 수 있다.
더하여, 운전자마다 다른 신체조건으로 인하여 눈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거치부(80)의 힌지(42) 연결을 통한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의 회동을 동시 조절하여,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가 상기 본체부(10)를 기준으로 승강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최적의 투사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 최적의 반사각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힌지부(42)를 중심으로 상기 거치부(80)와 상기 착탈부(20)의 회동을 동시 조절하여 최적의 반사각도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상기 반투명 거울부(30)에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각도와, 상기 반투명 거울부(30)를 통해 사용자의 시야에 맺히는 반사각도를 복수의 힌지(41, 42)연결을 통해 회동을 개별 조절하여 용이하게 최적의 시야각도로 조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보장한다.
도 6는 도 5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기존 흡착식 거치대와의 결속을 통한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본체부(10)와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지지판(130)을 상호 결속하고,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가 자신의 흡착판(110) 또는 고정판(110)을 통해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의 본체부(10)를 지지하여 공중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6은 차량 내부의 윈드쉴드에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흡착판(110) 또는 고정판(110)이 부착된 상태를 예로 든 것이다.
한편,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지지판(130)은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에서 상기 거치부(80)와 본체부(10)의 힌지(41) 연결에 대한 회동축이 수직 또는 세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와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지지판(13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에 힌지(41) 연결된 상기 거치부(80)가 상기 수직 또는 세로로 배치된 회동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반투명 거울부(30)가 상기 착탈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200)는 상기 거치부(80)에 거치되며 상기 걸이부(50)를 통해 고정된 휴대 단말(70)의 영상을 직접 볼 수 있다.
또한, 운전자(200)외에 탑승자(300)가 상기 휴대 단말(70)의 영상을 보고자 할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80)를 상기 탑승자(300) 쪽으로 좌우 회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200)가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 휴대 단말(70)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 탑승자(300)가 상기 거치부(80)를 자신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휴대 단말(70)을 조작하고, 이후 상기 거치부(80)를 다시 운전자(200) 방향으로 회동시켜 운전자(200)가 휴대 단말의 영상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존 흡착식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연성 고정부(60)는 상기 대응 결속구(11)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10: 본체부 11: 본체부의 결속구
20: 착탈부 30: 반투명 거울부
40: 힌지 41: 제 1 힌지부
42: 제 2 힌지부 50: 걸이부
60: 흡착부 또는 고정부 70: 휴대 단말
80: 거치부 90: 시야
110: 흡착판 또는 고정판 120: 거치암
130: 지지판 140: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결속구
200: 운전자 300: 탑승자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상부에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로 반사하는 반투명 거울부;
    상기 거치부와 제 1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반투명 거울부가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착탈부; 및
    제 2힌지를 통해 상기 착탈부와 거치부가 동시 회동하도록,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제 1힌지와 제 2힌지를 통해 연결된 본체부;
    를 포함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면적은 상기 휴대 단말의 영상을 모두 반사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면적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거치되는 휴대 단말을 고정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그 하부에 기존 흡착식 거치대의 거치암에 연장된 지지판에 기마련된 결속구와 결합되는 암 또는 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대응 결속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대응 결속구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연성 고정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1020110047556A 2011-05-19 2011-05-19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10120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56A KR101209058B1 (ko) 2011-05-19 2011-05-19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56A KR101209058B1 (ko) 2011-05-19 2011-05-19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359A KR20120129359A (ko) 2012-11-28
KR101209058B1 true KR101209058B1 (ko) 2012-12-06

Family

ID=4751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556A KR101209058B1 (ko) 2011-05-19 2011-05-19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99B1 (ko) * 2016-03-09 2017-04-12 주식회사 아이아라 투명패널을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8914B1 (ko) * 2017-09-18 2019-10-07 주식회사 세코닉스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359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8135B2 (en) Head-up projection system
US10402143B2 (en) Image projection medium and display projection system using same
KR102411046B1 (ko)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7375895B2 (en)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 of information,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ystem
US8879156B2 (en) Display system, head-up display, and kit for head-up displaying
JP5977443B2 (ja) 虚像表示装置
US102479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hicular communications
US20110001932A1 (en) Navigation device
JP4945702B1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取付位置調整方法
KR20140134184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5841008B2 (ja) 旋回作業車
US201703438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hicular communications
WO2012059979A1 (ja) 端末保持装置
US9835861B2 (en) System having a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switching the adjustment device for a head-up display device
JP2019077327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1209058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CN105313789A (zh) Hud抬头显示导航系统
EP1440850A2 (en) Movable personal computer using system in a motor vehicle
CN211786370U (zh) 头戴式显示器
JP2006082593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WO2018230526A1 (ja) 入力システム、および入力方法
KR200387226Y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용 룸미러
KR100825276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41620A1 (ja) 作業車両
CN111133364A (zh) 双模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