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030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030B1
KR101483030B1 KR20090038546A KR20090038546A KR101483030B1 KR 101483030 B1 KR101483030 B1 KR 101483030B1 KR 20090038546 A KR20090038546 A KR 20090038546A KR 20090038546 A KR20090038546 A KR 20090038546A KR 101483030 B1 KR101483030 B1 KR 10148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lower body
upper body
stat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438A (ko
Inventor
정병천
박효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3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030B1/ko
Priority to US12/750,504 priority patent/US8411427B2/en
Priority to EP10003739.9A priority patent/EP2247081B1/en
Priority to CN201010169767.9A priority patent/CN101877733B/zh
Publication of KR2010011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바디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본체에 대해 틸팅됨에 따라 상기 하부바디를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상대 이동 구조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들은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부 등 장착 부품의 장착공간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새로운 상대 이동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바디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본체에 대해 틸팅됨에 따라 상기 하부바디를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인출 방향을 가지며,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축은 상기 본체의 타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바디를 하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운동을 상기 하부바디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바디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하부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바디가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변환하는 동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바디가 틸팅됨에 따라 하부바디가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부 등 장착 부품의 장착 공간을 보다 확장시킬 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 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 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 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크 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본체(101)와, 상부바디(102), 및 하부바디(103)를 포함한다.
본체(10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바디(102,103)가 본체(101)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바디(102)는 본체(101)에 대하여 일정 각도(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향하는 각도) 틸팅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바디(102)는 도 2와 같이 본체(101)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본체(101)에 대하여 일정 각도(예를 들어, 50도 내지 60도)까지 틸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틸팅 동작은 상부바디(102)가 본체(10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하부바디(103)는 본체(101)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하부바디(103)는 도 2와 같이 본체(101)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와, 도 3과 같이 일부가 노출된 상태 사이를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바디(103)는 본체(101)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부바디(103)는 상부바디(102)가 본체(101)에 대해 틸팅됨에 따라 본체(101)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부 및 하부바디(102,103)는 서로 연동하여 본체(101)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같이 본체(101), 상부바디(102), 하부바디(103)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지칭하며, 도 3과 같이 상부바디(102)가 일정 각도 틸팅되고 하부바디(103)가 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지칭하기로 한다.
닫힌 상태에서 상부바디(102)가 본체(101)에 일정 각도 회전되면, 하부바디(103)는 그 회전에 연동하여 본체(101)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 즉, 제1방향(①)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여기서, 상부바디(102)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은 본체(101)의 타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하부바디(103)가 제2방향(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부바디(102)는 하부바디(103)의 이동에 연동하여 틸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힌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아울러, 열린 상태에서 상부바디(102)가 틸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하부바디(103)가 제2방향(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닫힌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닫힌 상태에서 하부바디(103)가 본체(101)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예시하나, 닫힌 상태에서도 하부바디(103)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닫힌 상태에서 본체(101)가 하부바디(103)의 측면들을 감싸고 있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닫힌 상태에서 본체(101)의 측면들이 노출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바디(102,103)가 중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103)가 제2방향(②)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인출'의 개념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체(101), 상부바디(102), 및 하부바디(103)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바디(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제1조작유닛(131), 마이크(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바디(103)에는 제2조작유닛(132)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상부바디(102)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132)은 사용자 입력부(130)의 일 형태들로서 구현된다. 조작유닛들(131,132)은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 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고, 제2조작유닛(132)은 이동 단말기에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조작유닛(132)은 문자 입력이 용이하도록 쿼티(QWERTY)키의 배열을 갖는 키패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2조작유닛(132)은 닫힌 상태에서는 본체(101)에 의해 가려지며, 열린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바 형태를 이루며,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 전화 통화 모드 등으로 동작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메시지를 입력하거나, 음악 또는 동영상의 감상 등 이동 단말기의 부가 기능들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들이다.
도 4와 같이, 하부바디(103)에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13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부(130)로서 쿼티(QWERTY)키 타입의 제2조작유닛(132)이 적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제2조작유닛(132)을 통하여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1)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화면 출력 방향이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조작유닛(132)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 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그 밖에도,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갖는 하부바디(103)의 상면을 키패드의 장착 공간으로 사용하여, 여기에 많은 수의 키를 갖는 쿼티 타입 키패드를 배치하거나 장착된 키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는 등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바디(103)에는 사용자 입력부(130) 대신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부바디(102)의 디스플레이(151, 이하 '제1디스플레이')와 하부바디(103)의 디스플레이(151', 이하 '제2디스플레이')는 서로 다른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디스플레이(151.151')는 서로 연관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1디스플레이(151)에 전체 지도가 출력되고, 제2디스플레이(151')에 전체 지도 중 선택된 부분에 대한 상세 지도가 출력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디스플레이(151,152)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다른 하나를 제어하는 방식 또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디스플레이(151')에 터치 입력 가능한 소프트 키가 출력되거나, 필기 입력 가능한 필기영역 등이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2디스플레이(151')를 통해 입력된 내용이 제1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152')의 터치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151')의 출력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대화면을 갖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들(151,151')을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들(151,151')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하부바디(103)의 상면에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부(151')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밖에도 정보의 입출력, 외부기기와의 연결 등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하부바디(10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구성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이들을 '유저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51'),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 및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1)는 상부바디(102)와 하부바디(103)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101a)와, 지지 플레이트(101a)의 양측에 결합되는 커버들(101b,101c)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101a)와 하부바디(103)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105)이 장착된다. 슬라이드 모듈(105)는 본체(101)와 하부바디(103)를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06,107)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드 부재(106)는 지지 플레이트(101a)의 하면에 고정되며, 제2슬라이드부재(107)는 하부바디(103)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부(107)에 고정된다.
상부바디(102)와 하부바디(103)의 사이에는 상부바디(102)가 틸팅됨에 따라 하부바디(103)를 본체(101)로부터 인출시키는 구동 유닛(200)이 장착된다. 구동 유닛(200)은 상부바디(102)를 하부바디(1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부바디(102)의 회전 운동을 하부바디(10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동 유닛(200)은 상부 및 하부바디(102,103)의 양측에 한쌍으로 결합되며, 지지 플레이트(101a)에 형성된 측판들(101d,101e)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부 및 하부바디(102,103)를 연결한다. 측판들(101d.101e)에는 구동 유닛(200)과 상부 및 하부 바디에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109)들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들(101b,101c)은 구동 유닛을 가리도록 지지 플레이트(101a)의 양 측판들(101d,101e)과 결합된다. 커버들(101b,101c)은 상부 및 하부바디(102,103)의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구동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들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체(101)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 유닛(200)은 상부바디(102)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210)와, 하부바디(103)에 연결되는 동력 변환부(220)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210)는 상부바디(102)의 회전력을 하부바디(103)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동력 변환부(220)는 동력 전달부(2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변환하여 하부바디(103)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전달부(210)는 상부바디(102)에 고정되는 제1피니언 기어(211)와, 제1피니언 기어(211)에 맞물리는 제3피니언 기어(212), 및 제3피니언 기어(212)에 맞물리는 제4피니언 기어(213)를 포함한다.
하부바디(103)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기어 지지부(201)가 장착되며, 피니언 기어들은 기어 지지부(2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피니언 기어(211)는 상부바디(102)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바디(102)의 회전에 따라 상부바디(102)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3피니언 기어(212)는 제1피니언 기어(211)보다 작은 원주 피치(circular pitch)를 가지며, 제1피니언 기어(211)와 맞물려 제1피니언 기어(21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4피니언 기어(213)는 제3피니언 기어(212)보다 큰 원주 피치(circular pitch)를 가지며, 제3피니언 기어(212)와 맞물려 제3피니언 기어(21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제4피니언 기어(213)는 제1피니언 기어(21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동력 변환부(220)는 제4피니언 기어(213)에 맞물리는 제2피니언 기어(221)와, 제2피니언 기어(221)에 맞물리도록 하부바디(103)에 형성되는 랙 기어(221)를 포함한다.
제2피니언 기어(221)는 제4피니언 기어(213)에 맞물려 회전하며, 제4피니언 기어(213)보다 작은 원주 피치(circular pitch)를 가진다. 다시 말해, 제4피니언 기어(213)는 제2피니언 기어(221)와 제3피니언 기어(212)의 사이에 이들과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제2피니언 기어(221)는 제4피니언 기어(21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제1피니언 기어(21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피니언 기어(221)는 제4피니언 기어(213)에 맞물리는 제1기어부(221a)와, 제1기어부(221a)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기어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부(221b)는 제1기어부(221a)보다 두꺼운 이빨 두께(tooth thickness)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랙 기어(221)는 하부바디(103)의 양 측면에 하부바디(103)의 인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부바디(103)의 인출 길이(즉, 슬라이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랙 기어(221)는 제2기어부(221b)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제2기어부(221b)의 이빨 두께에 대응되는 이빨 두께, 즉 제1피니언 기어(211)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이빨 두께를 가진다. 이는 랙 기어(222)의 이빨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시켜, 하부바디(103)의 슬라이드 동작을 보다 신뢰성 있게 구현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피니언 기어(211)와 제3 및 제4피니언 기어(212,213)를 동력 전달부(210)의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동력 전달부(210)는 제1피니언 기어(211)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피니언 기어(211)가 제2피니언 기어(221)에 직접 맞물리는 구성을 가지며, 제1피니언 기어(211)의 회전에 따라 제2피니언 기어(221)는 제1피니언 기어(21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 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원주 피치를 갖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들을 사용하여 피니언 기어들의 원주 피치를 감소시킴으로써, 동력 전달부(210)가 차지하는 부피(또는 면적)을 최대한 감소시켰다.
도 9a 내지 9c는 구동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9a는 이동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바디(102)와 하부바디(103)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9b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상부바디(102)를 회전시키면 제1피니언 기어(211)는 상부바디(10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제1피니언 기어(211)는 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을 갖는다.
제1피니언 기어(211)의 회전에 따라 제3피니언 기어(21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4피니언 기어(21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피니언 기어(221)는 제4피니언 기어(213)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랙 기어(221) 제1방향(①)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하부바디(103)는 랙 기어(221)의 직선 이동에 따라 제1방향(①)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하부바디(103)는 랙 기어(221)의 길이만큼 본체(101)에서 인출되며, 인출이 완료되면 도 9c의 도시와 같이 상부바디(102)가 틸팅되고 하부바디가 인출된 열린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하부바디(103)를 제2방향(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2피니언 기어(22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4피니언 기어(21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3피니언 기어(212)는 제4피니언 기어(213)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피니언 기어(211)는 제3피니언 기어(212)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바디(102)가 틸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즉, 열린 상태에서 하부바디(103)를 본체(101)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부바디(102)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닫힌 상태로 전환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구동 유닛(300)을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의 구동 유닛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바디의 회전력을 하부바디(103)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10)와, 동력 전달부(3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변환하는 동력 변환부(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전달부(310)는 상부바디(102)에 연결되는 제1 축(311)과, 제1축(3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축(312), 및 제1축(311)의 회전력을 제2축(312)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밸트(313)를 포함한다.
제1축(311)은 상부바디(102)에 고정되어 상부바디(10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제2축(312)은 동력 변환부(320)로 제1축(311)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전달한다.
동력 전달 밸트(313)는 제1 및 제2축(311,312)의 외주면을 감싸며, 동력 전달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축(311,312)의 외주면에 마찰 접촉된다. 동력 전달 밸트(313)는 제1축(311)과 제2축(312)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을 갖도록 'X'자 형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동력 변환부(320)는 제2축(312)에서 연장되는 피니언 기어(321)와,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부바디(103)에 형성되는 랙기어(322)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321)와 랙 기어(322)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제2기어부(221b)와 랙 기어(222)와 대응되는 구성인바,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동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닫힌 상태에서 상부바디(102)의 회전에 따라 제1축(311)은 도 10의 도시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동력 전달 밸트(313)가 구동되게 되며, 제2축(31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축(312)과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 기어(321)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피니언 기어(312)에 맞물린 랙 기어(322)는 제1방향(①)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바디(103)는 본체(101) 상을 제1방향(①)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본체(101)로부터 인출되게 되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의 전환은 앞서 설명된 동작과 역순으로 이루어지며, 앞선 실시예와 유사한 동작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구동 유닛(200,300)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바디(102)의 회전을 하부바디(103)의 직선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른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들.
도 6은 도 2 및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구동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측면도.
도 9a 내지 9c는 구동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측면도.

Claims (15)

  1. 본체;
    제1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제2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틸팅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의 전면에 구비되고,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에 구비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서로 연동시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시, 상기 하부바디를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전환시, 상기 하부바디를 상기 본체에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인출 방향을 가지며,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축은 상기 본체의 타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바디를 하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운동을 상기 하부바디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바디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하부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바디가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변환하는 동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상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변환부는 상기 제1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바디에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1피니언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3피니언 기어 사이에 상기 제2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3피니언 기어에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제4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4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반대 방향의 회전 방향을 갖는 제1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는 제1축과, 상기 제1축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축과, 상기 제1축의 회전을 상기 제2축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변환부는 상기 제2축에서 연장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바디에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유닛을 가리는 커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하부바디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와 하부바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본체;
    제1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제2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틸팅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디;
    상기 본체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서로 연동시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시, 상기 하부바디를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상부바디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전환시, 상기 하부바디를 상기 본체에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090038546A 2009-04-30 2009-04-30 이동 단말기 KR10148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546A KR101483030B1 (ko) 2009-04-30 2009-04-30 이동 단말기
US12/750,504 US8411427B2 (en) 2009-04-30 2010-03-30 Mobile terminal
EP10003739.9A EP2247081B1 (en) 2009-04-30 2010-04-07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a tilting body and a sliding body
CN201010169767.9A CN101877733B (zh) 2009-04-30 2010-04-29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546A KR101483030B1 (ko) 2009-04-30 2009-04-30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438A KR20100119438A (ko) 2010-11-09
KR101483030B1 true KR101483030B1 (ko) 2015-01-26

Family

ID=4233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8546A KR101483030B1 (ko) 2009-04-30 2009-04-30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1427B2 (ko)
EP (1) EP2247081B1 (ko)
KR (1) KR101483030B1 (ko)
CN (1) CN1018777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486B2 (en) * 2011-07-24 2014-03-25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tional screen in a portab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958185B1 (ko) * 2011-12-14 201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기어 힌지 장치
TWI465884B (zh) * 2012-02-10 2014-12-21 Acer Inc 電子裝置
CN103257674B (zh) * 2012-02-17 2016-10-12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3680471B (zh) * 2012-09-21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图像的方法及电子设备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KR102091517B1 (ko) * 2013-07-02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50012982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10975603B2 (en) *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WO2016017914A1 (ko) * 2014-07-28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625952B2 (en) * 2014-09-10 2017-04-18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 assemblies
KR102096313B1 (ko) * 2015-01-30 202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317934B2 (en) * 2015-02-04 2019-06-11 Dell Products, Lp Gearing solution for an external flexible substrate on a multi-use product
US10528090B2 (en) * 2015-06-19 2020-0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y for a computing device
KR101706503B1 (ko) * 2016-06-10 2017-02-13 유동걸 멀티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및 그의 구동 제어 방법
WO2018079872A1 (ko) * 2016-10-26 2018-05-03 (주)씨앤피 휴대용 전자 영상 확대 장치
US10365686B2 (en) 2016-10-28 2019-07-30 Lenovo (Singapore) Pte. Ltd. Geared housing assembly
US10345866B2 (en) 2017-02-07 2019-07-09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with magnetic hinge
WO2020211948A1 (en) * 2019-04-18 2020-10-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Rolling display arrangement for electronic device
CN110650230B (zh) * 2019-09-26 2021-01-2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扩展屏及电子设备
US11064067B2 (en) * 2019-09-30 2021-07-13 Motorola Mobility Llc Gesture detection based on device form factor
TWI742866B (zh) * 2019-10-08 2021-10-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滑動組件的電子裝置
US10928865B1 (en) * 2019-11-14 2021-02-23 Lenovo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apparatus
CN116803070A (zh) * 2021-02-10 2023-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可折叠结构
TWI751907B (zh) * 2021-02-18 2022-01-0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728A1 (en) 2004-01-14 2005-07-14 Antti Ronkko Foldable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8101519A1 (en) 2007-02-23 2008-08-28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housing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708A (en) * 1914-06-09 Bernard W Lynch Folding pad-holding cover.
JPH0594231A (ja) * 1991-10-02 1993-04-16 Canon Inc 電子機器
JPH0635565A (ja) * 1992-07-13 1994-02-10 Fujitsu Ltd 携帯用情報機器
GB2350516A (en) 1999-05-26 2000-11-29 Ericsson Telefon Ab L M Telephone handset with at least two movable elements whose motion is linked or is initiated by pushbutton or incoming call
FR2799017A1 (fr) 1999-09-24 2001-03-30 Satit Appareil informatique avec bande de protection peripherique
KR100396771B1 (ko) * 2001-01-13 2003-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CN2478287Y (zh) * 2001-02-23 2002-02-20 李旭熙 利用翻盖转动带动天线伸缩的折叠式手机
JP4010975B2 (ja) * 2003-04-07 2007-11-2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装置
KR20060119567A (ko) * 2005-05-20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장치
CN1941795A (zh) * 2005-09-30 2007-04-04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带有相机的便携终端
US7801576B2 (en) 2006-06-09 2010-09-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with self-cleaning displays
KR100810252B1 (ko) * 2006-07-0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86530B1 (ko) * 2006-10-13 2012-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CN101231537B (zh) * 2007-01-25 2011-03-0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折叠式电子装置
US8102675B2 (en) * 2009-04-15 2012-01-2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ing a driver wheel to provide a plurality of housing configur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728A1 (en) 2004-01-14 2005-07-14 Antti Ronkko Foldable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8101519A1 (en) 2007-02-23 2008-08-28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housing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7733A (zh) 2010-11-03
US8411427B2 (en) 2013-04-02
EP2247081A1 (en) 2010-11-03
KR20100119438A (ko) 2010-11-09
US20100277860A1 (en) 2010-11-04
EP2247081B1 (en) 2014-05-07
CN101877733B (zh)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030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KR1013970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813033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7683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16925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49627B1 (ko) 이동 단말기
KR101873408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25616A (ko) 이동 단말기
KR101792502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0785B1 (ko) 이동 단말기
KR101398171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8982A (ko) 이동 단말기
KR10182983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3437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208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006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4559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7709B1 (ko) 이동 단말기
KR10185385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770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900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21877B1 (ko) 이동 단말기
KR10164122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4124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